[include(틀:상위 문서, top1=2022 신한은행 SOL 카트라이더 리그 수퍼컵)] [목차] == 개요 == [[2022 신한은행 SOL 카트라이더 리그 수퍼컵]]의 규정을 설명하는 문서. [[https://kartrideresports.nexon.com/KRL/Notice/Contents?page=1&articlesn=250|규정 공지]], [[https://drive.google.com/file/d/1sl9Vw6Bg5mdCpwShScT6Sjlco83l2B8i/view|규정 PDF]] == 트랙 == 개인전은 시즌1, 시즌2에서 사용된 트랙 중[* 스피드 팀전 20개, 아이템 팀전, 스피드 개인전 21개.] 내부 회의를 통해 결정된다. 기존 정규시즌처럼 12개의 트랙으로 진행하지 않고 수퍼컵 시즌에 맞게 총 16개의 트랙으로 진행한다. 특히 팀전은 트랙 드래프트라는 신규 룰을 도입하여 트랙을 선정하고 경기를 진행한다. === 팀전 === 트랙 드래프트를 통해 사용되는 트랙이 결정된다. 시그니처 트랙은 본인들의 경기에서 2개의 세트 중 1개를 1라운드 트랙으로 사용할 수 있다. ==== 팀전 트랙 드래프트 ==== * 참가팀 8팀은 2022 시즌 1, 시즌 2에 사용 되었던 트랙 중 2트랙을 선택하게 되고 총 16개의 트랙이 수퍼컵에 선정된다. * 한 팀당 트랙 선택은 '''시그니처 트랙'''과 일반 트랙, 이렇게 두 개의 트랙을 선택하게 되며 시그니처 트랙은 수퍼컵 포인트 순위에 따라 선정하며 일반 트랙은 수퍼컵 포인트의 역순으로 선택하게 된다. '''추첨 일자는 10월 24일(월) 오후 7시.''' ||<-2> '''{{{#fff 팀전 트랙 드래프트 순서}}}''' || || '''{{{#fff 시그니처 트랙}}}''' || [[DFI BLADES/카트라이더|DFI BLADES]] > [[Liiv SANDBOX/카트라이더|Liiv SANDBOX]] > [[광동 프릭스/카트라이더|광동 프릭스]] > [[Lunatic(게임단)|Lunatic]] > [[FINALE e-sports/카트라이더|FINALE e-sports]] > [[Glorious H]] > On-Off > BLANC[* 두 팀의 선택 순서는 추첨 당일에 결정되었으며, 추첨 결과 On-Off가 7번, BLANC이 8번이 되었다.] || || '''{{{#fff 일반 트랙}}}''' || BLANC > On-Off > [[Glorious H]] > [[FINALE e-sports/카트라이더|FINALE e-sports]] > [[Lunatic(게임단)|Lunatic]] > [[광동 프릭스/카트라이더|광동 프릭스]] > [[Liiv SANDBOX/카트라이더|Liiv SANDBOX]] > [[DFI BLADES/카트라이더|DFI BLADES]] || *'''시그니처 트랙'''은 팀의 1트랙 픽으로 작용하는 중요 트랙으로 작용한다. 양 팀의 경기시, 양 팀의 시그니처 트랙 2개 중 하나가 1트랙 고정으로 선정된다. 수퍼컵 포인트가 더 높은 팀이 스피드전과 아이템전 중 어떤 세트에서 밴픽 우선권과 함께 1라운드를 시그니처 트랙으로 가져갈 지 결정할 수 있으며, 상대하는 팀은 자동적으로 남은 세트에서 밴픽 우선권과 1라운드 시그니처 트랙을 가져간다.[* 예시를 들면, DFI BLADES의 시그니처 트랙이 마비노기 이멘 마하, Liiv SANDBOX의 시그니처 트랙이 메이플 리스항구 언덕길일때, 두 팀간의 경기의 스피드전 1트랙은 마비노기와 메이플 중 하나가 1트랙으로 고정된다. 포인트가 더 높은 블즈가 스피드전을 선택했다면 밴픽 우선권과 함께 스피드전 1트랙은 마비노기가 되며, 샌드박스는 아이템전에서 밴픽 우선권과 1라운드 시그니처 트랙을 가진다.] 또한 트랙의 중복 선택은 불가능하다. ==== 스피드전 ==== ||<-4> {{{#FFFFFF '''스피드전 트랙'''}}} || ||<-4> '''시그니처 트랙'''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노르테유 스카이웨이.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올림포스 하늘의 신전.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문숨지.pn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공마초_new.png|width=100%]]}}}|| || [[DFI BLADES/카트라이더|[[파일:DFI BLADES_logo.png|height=30]]]][br][[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노르테유#노르테유 스카이웨이|노르테유 스카이웨이]][*S2 시즌2 사용] || [[Liiv SANDBOX/카트라이더|[[파일:Liiv SANDBOX 로고.svg|height=30]]]][br][[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올림포스#올림포스 하늘의 신전|올림포스 하늘의 신전]][*S2] || [[광동 프릭스/카트라이더|[[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height=20]]]][br][[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문힐시티#문힐시티 숨겨진 지하터널|문힐시티 숨겨진 지하터널]][*S2] || [[Lunatic(게임단)|[[파일:2022-S Lunatic.png|height=30]]]][br][[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공동묘지#공동묘지 마왕의 초대|공동묘지 마왕의 초대]][*S2]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신화 차원의 관문.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마비노기 이멘 마하0.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메이플 리스항구 언덕길.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KC 투어링 랠리.jpg|width=100%]]}}} || || [[FINALE e-sports/카트라이더|[[파일:finale e-sports.png|height=30]]]][br][[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신화#신화 차원의 관문|신화 차원의 관문]][*S2] || [[Glorious H|[[파일:Glorious H(2).png|height=20]]]][br][[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마비노기#마비노기 이멘 마하|마비노기 이멘 마하]][*S1 시즌1 사용] || [[파일:2022-S On-Off.png|height=30]][br][[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메이플스토리#메이플 리스항구 언덕길|메이플 리스항구 언덕길]][*S2] || [[파일:2022-S BLC.png|height=30]][br][[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WKC#WKC 투어링 랠리|WKC 투어링 랠리]][*S2] || ||<-4> '''일반 트랙'''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네모 강철바위 용광로.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공중다리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문힐폭질.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메잊도중.png|width=100%]]}}} || || [[파일:2022-S BLC.png|height=30]][br][[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네모#네모 강철바위 용광로|네모 강철바위 용광로]][*S2] || [[파일:2022-S On-Off.png|height=30]][br][[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포레스트#포레스트 오싹한 공중다리|포레스트 오싹한 공중다리]][*S1] || [[Glorious H|[[파일:Glorious H(2).png|height=20]]]][br][[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문힐시티#문힐시티 폭우속의 질주|문힐시티 폭우속의 질주]][*S1] || [[FINALE e-sports/카트라이더|[[파일:finale e-sports.png|height=30]]]][br][[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메카닉#메카닉 잊혀진 도시의 중심부|메카닉 잊혀진 도시의 중심부]][*S2]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황오황자.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화이상한나라의문.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문힐시청.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트라이더_코리아_부산.png|width=100%]]}}} || || [[Lunatic(게임단)|[[파일:2022-S Lunatic.png|height=30]]]][br][[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황금문명#황금문명 오르에트 황금 좌표|황금문명 오르에트 황금 좌표]][*S1] || [[광동 프릭스/카트라이더|[[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height=20]]]][br][[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동화#동화 이상한 나라의 문|동화 이상한 나라의 문]][*S1&S2 2022 시즌 내내 사용] || [[Liiv SANDBOX/카트라이더|[[파일:Liiv SANDBOX 로고.svg|height=30]]]][br][[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문힐시티#문힐시티 지피의 시청광장|문힐시티 지피의 시청광장]][*S2] || [[DFI BLADES/카트라이더|[[파일:DFI BLADES_logo.png|height=30]]]][br][[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코리아#코리아 부산의 밤|코리아 부산의 밤]][*S1] || {{{#8f161b '''시즌 1'''}}} 맵으로 좌표, 포오공, 폭우, 이멘마하, 부산이 선정되었으며 {{{#00437a '''시즌 2'''}}} 맵으로 신전, 리스항구, 스카이웨이, 마왕, 문숨지, 시청광장, 용광로, 신차관, 랠리, 메카닉으로 선정되었다. 동이문은 올해 2022 시즌 내내 스피드 팀전 맵으로 선정되었다. 여담으로 2년 연속으로 수퍼컵 트랙에 선정된 트랙은 부산이다.[* 작년 수퍼컵 개인전 맵에서 넘어온 맵은 신전, 랠리만 있다.] 또한 각 시즌 고정 트랙으로 사용되었던 트랙이 모두 리그 트랙으로 지정되었다.[* 시즌1 이멘 마하, 시즌2 전반부 스카이웨이, 시즌2 후반부 리스항구 언덕길] =====# 선택 가능 트랙 후보 #===== ||<-4> {{{#00ff55 '''녹색'''}}}{{{#fff 은 선택된 트랙.}}} || || '''{{{#fff 트랙명}}}''' || '''{{{#fff 사용 시즌}}}''' || '''{{{#fff 트랙명}}}''' || '''{{{#fff 사용 시즌}}}''' || || 마비노기 이멘마하 ||<|10> {{{#8f161b '''시즌1'''}}} || 노르테유 스카이웨이 ||<|9> {{{#00437a '''시즌2'''}}} || || WKC 브라질 서킷 || WKC 투어링 랠리 || || 빌리지 운명의 다리 || 공동묘지 마왕의 초대 || || 문힐시티 폭우속의 질주 || 네모 강철바위 용광로 || || 아이스 설산 다운힐 || 메카닉 잊혀진 도시의 중심부 || || 코리아 부산의 밤 || 문힐시티 숨겨진 지하터널 || || 팩토리 부비트랩 공장 탐험 || 문힐시티 지피의 시청광장 || || 포레스트 오싹한 공중다리 || 신화 차원의 관문 || || 해적 로비 절벽의 전투 || 올림포스 하늘의 신전 || || 황금문명 오르에트 황금좌표 || 어비스 운명의 갈림길 || {{{#00437a '''시즌2'''}}}(전반부) || || 동화 이상한 나라의 문 ||<|2> {{{#8f161b '''시즌1'''}}}, {{{#00437a '''2'''}}} || 메이플 리스항구 언덕길 || {{{#00437a '''시즌2'''}}}(후반부) || || 카멜롯 펜드래건 캐슬 ||<-2> || ||<-4> '''{{{#fff 시즌 1, 2 합산 총 23개 트랙}}}''' || ==== 아이템전 ==== ||
<-4> '''아이템전 트랙''' || ||<-4> '''시그니처 트랙'''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광3지.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코리아 천년의 경주.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광산 보석채굴장.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화목욕탕에개굴개굴.jpg|width=100%]]}}} || || [[DFI BLADES/카트라이더|[[파일:DFI BLADES_logo.png|height=30]]]][br][[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광산#광산 3개의 지름길 (아이템)|광산 3개의 지름길(아이템)]][*S1] || [[Liiv SANDBOX/카트라이더|[[파일:Liiv SANDBOX 로고.svg|height=30]]]][br][[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코리아#코리아 천년의 경주|코리아 천년의 경주]][*S2] || [[광동 프릭스/카트라이더|[[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height=20]]]][br][[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광산#광산 보석채굴장|광산 보석채굴장]][*S2] || [[Lunatic(게임단)|[[파일:2022-S Lunatic.png|height=30]]]][br][[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동화#동화 목욕탕에 개굴개굴|동화 목욕탕에 개굴개굴]][*S2]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노부점.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공동묘지 유령 카니발.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공동묘지 어두운 박쥐 성.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역사피 20200611업데이트.png|width=100%]]}}} || || [[FINALE e-sports/카트라이더|[[파일:finale e-sports.png|height=30]]]][br][[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노르테유#노르테유 부스터존 점령작전|노르테유 부스터존 점령작전]][*S2] || [[Glorious H|[[파일:Glorious H(2).png|height=20]]]][br][[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공동묘지#유령의 축제|유령의 축제]][*S2] || [[파일:2022-S On-Off.png|height=30]][br][[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공동묘지#공동묘지 어둠의 박쥐성|공동묘지 어둠의 박쥐성]][*S1] || [[파일:2022-S BLC.png|height=30]][br][[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사막#[R] 사막 피라미드 탐험|[R] 사막 피라미드 탐험]][*S2] || ||<-4> '''일반 트랙'''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코리아 인천 센트럴 파크.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아신하.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황흔위.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광산 뽀글뽀글 용암굴.jpg|width=100%]]}}} || || [[파일:2022-S BLC.png|height=30]][br][[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코리아#코리아 인천 센트럴파크|코리아 인천 센트럴파크]][*S1] || [[파일:2022-S On-Off.png|height=30]][br][[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아이스#아이스 신나는 하프파이프|아이스 신나는 하프파이프]][*S1] || [[Glorious H|[[파일:Glorious H(2).png|height=20]]]][br][[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황금문명#황금문명 흔들리는 위협|황금문명 흔들리는 위협]][*S2] || [[FINALE e-sports/카트라이더|[[파일:finale e-sports.png|height=30]]]][br][[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광산#광산 뽀글뽀글 용암굴|광산 뽀글뽀글 용암굴]][*S1]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마비노기 티르 코네일0.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포격장.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팩토리부스터제작의비밀.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차서병.png|width=100%]]}}} || || [[Lunatic(게임단)|[[파일:2022-S Lunatic.png|height=30]]]][br][[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마비노기#마비노기 티르 코네일|마비노기 티르 코네일]][*S1] || [[광동 프릭스/카트라이더|[[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height=20]]]][br][[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포레스트#포레스트 유격장|포레스트 유격장]][*S2] || [[Liiv SANDBOX/카트라이더|[[파일:Liiv SANDBOX 로고.svg|height=30]]]][br][[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팩토리#팩토리 부스터 제작의 비밀|팩토리 부스터 제작의 비밀]][*S2] || [[DFI BLADES/카트라이더|[[파일:DFI BLADES_logo.png|height=30]]]][br][[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차이나#차이나 서안 병마용 (아이템)|차이나 서안 병마용(아이템)]][*S1] || {{{#8f161b '''시즌 1'''}}} 맵으로 병마용, 티르코네일, 하프파이프, 광삼지, 박쥐성, 용암굴, 인천이 선정되었으며 {{{#00437a '''시즌 2'''}}} 맵으로 비밀, 위협, 유격장, 축제, 부스터존, 개굴개굴, 채굴장, 경주, 역사피탐으로 선정되었다. 특히 축제가 이번 시즌 아이템전 맵이 되며 '''수퍼컵 최초로''' 매시업 트랙이 선정되었다. 여담으로 2년 연속으로 수퍼컵 트랙으로 선정된 트랙으로 인천이 있다.[* 작년 수퍼컵 시즌 스피드전으로 쓰였던 광3지, 병마용은 아이템전으로 바뀌었다.] 또한 인천은 {{{#00437a '''시즌 2'''}}}에서 리버스 버전으로 바뀐 것을 제외하면 2021-S 시즌부터 '''4연속''' 아이템 트랙으로 선정되었다. =====# 선택 가능 트랙 후보 #===== ||<-4> {{{#00ff55 '''녹색'''}}}{{{#fff 은 선택된 트랙.}}} || || '''{{{#fff 트랙명}}}''' || '''{{{#fff 사용 시즌}}}''' || '''{{{#fff 트랙명}}}''' || '''{{{#fff 사용 시즌}}}''' || || 마비노기 티르 코네일 ||<|12> {{{#8f161b '''시즌1'''}}} || 코리아 천년의 경주 ||<|11> {{{#00437a '''시즌2'''}}} || || 공동묘지 어둠의 박쥐성 || [R]사막 피라미드 탐험 || || 광산 3개의 지름길(아이템) || [R]코리아 인천 센트럴 파크 || || 광산 뽀글뽀글 용암굴 || 광산 보석 채굴장 || || 비치 수상비행장 || 노르테유 부스터존 점령작전 || || 빌리지 댐 위의 대결 || 동화 목욕탕에 개굴개굴 || || 빌리지 시계탑 || 황금문명 흔들리는 위협 || || 아이스 신나는 하프파이프 || 사막 울렁울렁 || || 차이나 서안 병마용(아이템) || 유령의 축제 || || 코리아 인천 센트럴파크 || 팩토리 부스터 제작의 비밀 || || 코리아 전주 한옥 마을 || 포레스트 유격장 || || 팩토리 브로디의 심술 || 대저택 루이의 장난감 천국 || {{{#00437a '''시즌2'''}}}(전반부) || ||<-2> || 메이플 꿈의 도시 레헬른 || {{{#00437a '''시즌2'''}}}(후반부) || ||<-4> '''{{{#fff 시즌 1, 2 합산 총 25개 트랙}}}''' || === 개인전 === ||
<-4> {{{#FFFFFF '''스피드 개인전 트랙'''}}}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 차이나 골목길 대질주.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쥐라기 공룡섬 대모험.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어비스 스카이라인.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월드 이탈리아 피사의 사탑.jpg|width=100%]]}}} ||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차이나#[R] 차이나 골목길 대질주|[R] 차이나 골목길 대질주]][*고정 1트랙 고정]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쥐라기#쥐라기 공룡섬 대모험|쥐라기 공룡섬 대모험]][*S1 시즌1 사용]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어비스#어비스 스카이라인|어비스 스카이라인]][*S2 시즌2 사용]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월드#월드 이탈리아 피사의 사탑|월드 이탈리아 피사의 사탑]][*S1]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광산 위험한 제련소.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아부빙.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트라이더_코리아_서울.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해상비.png|width=100%]]}}} ||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광산#광산 위험한 제련소|광산 위험한 제련소]][*S2]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아이스#아이스 부서진 빙산|아이스 부서진 빙산]][*S1]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코리아#코리아 다이나믹 서울|코리아 다이나믹 서울]][*S1]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해적#해적 상어섬의 비밀|해적 상어섬의 비밀]][*S1]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도검 야외 수련관.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올림포스 제우스 시티.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노익.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메이플 레헬른 악몽의 시계탑.png|width=100%]]}}} ||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도검#도검 야외 수련관|도검 야외 수련관]][*S2]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올림포스#올림포스 제우스 시티|올림포스 제우스 시티]][*S2]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노르테유#노르테유 익스프레스|노르테유 익스프레스]][*S2]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메이플스토리#메이플 레헬른 악몽의 시계탑|메이플 레헬른 악몽의 시계탑]][*S2]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은지.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노전투.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공해대.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해숨보.png|width=100%]]}}} ||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대저택#대저택 은밀한 지하실|대저택 은밀한 지하실]][*S2]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노르테유#노프테유 전투비행장|노르테유 전투비행장]][*S1]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공동묘지#공동묘지 해골성 대탐험|공동묘지 해골성 대탐험]][*S1]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해적#해적 숨겨진 보물|해적 숨겨진 보물]][*S2] || 고정 트랙이 신규트랙인 [R]차이나 골목길 대질주로 선정됨으로써 카트리그 역사상 두 번째로[* 최초로 고정 트랙이 리버스 트랙이었던 리그는 [[GomTV 카트라이더 6차 리그#s-5.2.1|6차리그 2라운드]]로, 당시 리버스 포레스트 지그재그가 첫 트랙 고정이었다.] 리버스 트랙이 고정 트랙으로 결정되었다. {{{#8f161b '''시즌 1'''}}} 맵으로 쥐라기 공룡성 대모험, 월드 이탈리아 피사의 사탑, 코리아 다이나믹 서울, 노르테유 전투비행장, 공동묘지 해골성 대탐험, 해적 상어섬의 비밀으로 정했으며, {{{#00437a '''시즌 2'''}}} 맵으로 어비스 스카이라인, 광산 위험한 제련소, 도검 야외 수련관, 올림포스 제우스 시티, 노르테유 익스프레스, 메이플 레헬른 악몽의 시계탑, 대저택 은밀한 지하실, 해적 숨겨진 보물로 정했으며 이번 시즌 고정 맵인 역골목길은 {{{#00437a '''시즌 2'''}}} 맵이었던 오리지널 골목길을 리버스 버전으로 바꾸어 선정되었다. 신맵을 고정 트랙으로 정하는 카트라이더 리그의 관행을 생각하면 절묘하게 맞아떨어진 셈. 전체 트랙이 무려 16개나 된다.[* 트랙 개수가 너무 많다고 하는 [[KRPL]]보다도 1개 더 많다.] 따라서 80점제 결승전에서조차 트랙을 한바퀴 순환하지 못하고 그 전에 1세트가 종료될 가능성이 있다.[* 수퍼컵 한정으로 트랙을 16개로 늘린 것이므로 2023-1 시즌에서 다시 12트랙으로 돌아올 가능성이 있다.] 트랙은 전체적으로 어려운 편이나 전투비행장, 야외수련관 같이 쉬운 트랙도 중간에 끼워넣어 밸런스를 그럭저럭 맞췄다는 평가이다. 그리고 렉키 V1의 추가에 맞추어 바이크 트랙들을 대거 선정하여 대체적으로 바이크 숙련도가 중요한 대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여담으로 2년 연속 수퍼컵 트랙으로 선정된 트랙으로 노익, 제련소, 피사, 상어섬, 지하실, 서울 등이 있다.[* 작년 수퍼컵 시즌 팀전으로 쓰였던 제우스 시티, 부빙은 개인전으로 바뀌었다.] ===# 테마별 트랙선정 상황 #=== || '''{{{#fff 테마}}}''' || '''{{{#fff 스피드전}}}''' || '''{{{#fff 아이템전}}}''' || '''{{{#fff 개인전}}}''' ||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메이플스토리|[[파일:카트라이더 메이플 아이콘.png]][br]{{{#000 메이플}}}]] || 리스항구 언덕길 || - || 레헬른 악몽의 시계탑 ||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마비노기|[[파일:카트라이더 마비노기 아이콘.png]][br]{{{#000 마비노기}}}]] || 이멘 마하 || 티르 코네일 || - ||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코리아|[[파일:카트라이더 코리아 테마 아이콘.png]][br]{{{#000 코리아}}}]] || 부산의 밤 || 인천 센트럴 파크,천년의 경주 || 다이나믹 서울 ||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올림포스|[[파일:카트라이더 올림포스 테마 아이콘.png]][br]{{{#000 올림포스}}}]] || 하늘의 신전 || - || 제우스 시티 ||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어비스|[[파일:어비스 테마2.png]][br]{{{#000 어비스}}}]] || - || - || 스카이라인 ||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신화|[[파일:신화 테마2.png]][br]{{{#000 신화}}}]] || 차원의 관문 || - || - ||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도검|[[파일:도검 테마2.png]][br]{{{#000 도검}}}]] || - || - || 야외 수련관 ||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네모|[[파일:네모 테마2.png]][br]{{{#000 네모}}}]] || 강철바위 용광로 || - || - ||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월드|[[파일:월드 테마2.png]][br]{{{#000 월드}}}]] || - || - || 이탈리아 피사의 사탑 ||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쥐라기|[[파일:쥐라기 테마2.png]][br]{{{#000 쥐라기}}}]] || - || - || 공룡섬 대모험 ||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WKC|[[파일:WKC 테마2.png]][br]{{{#000 WKC}}}]] || 투어링 랠리 || - || - ||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메카닉|[[파일:메카닉 테마2.png]][br]{{{#000 메카닉}}}]] || 잊혀진 도시의 중심부 || - || - ||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대저택|[[파일:대저택 테마2.png]][br]{{{#000 대저택}}}]] || - || - || 은밀한 지하실 ||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차이나|[[파일:차이나 테마2.png]][br]{{{#000 차이나}}}]] || - || 서안 병마용(아이템) || [R]골목길 대질주 ||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황금문명|[[파일:황금문명 테마2.png]][br]{{{#000 황금문명}}}]] || 오르에트 황금좌표 || 흔들리는 위협 || - ||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문힐시티|[[파일:문힐시티 테마2.png]][br]{{{#000 문힐시티}}}]] || 폭우속의 질주[br]숨겨진 지하터널[br]지피의 시청광장 || - || - ||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동화|[[파일:동화 테마2.png]][br]{{{#000 동화}}}]] || 이상한 나라의 문 || 목욕탕에 개굴개굴 || - ||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해적|[[파일:해적 테마2.png]][br]{{{#000 해적}}}]] || - || - || 상어섬의 비밀[br]숨겨진 보물 ||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팩토리|[[파일:팩토리 테마2.png]][br]{{{#000 팩토리}}}]] || - || 부스터 제작의 비밀 || - ||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노르테유|[[파일:노르테유 테마2.png]][br]{{{#000 노르테유}}}]] || 스카이웨이 || 부스터존 점령작전 || 익스프레스[br]전투 비행장 ||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광산|[[파일:광산 테마2.png]][br]{{{#000 광산}}}]] || - || 3개의 지름길(아이템)[br]보석 채굴장[br]뽀글뽀글 용암굴 || 위험한 제련소 ||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공동묘지|[[파일:공동묘지 테마2.png]][br]{{{#000 공동묘지}}}]] || 마왕의 초대 || 어둠의 박쥐성[br]유령의 축제 || 해골성 대탐험 ||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아이스|[[파일:아이스 테마2.png]][br]{{{#000 아이스}}}]] || - || 신나는 하프파이프 || 부서진 빙산 ||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사막|[[파일:사막 테마2.png]][br]{{{#000 사막}}}]] || - || [R]피라미드 탐험 || - ||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포레스트|[[파일:포레스트 테마2.png]][br]{{{#000 포레스트}}}]] || 오싹한 공중다리 || 유격장 || - || == 카트바디 == === 스피드전 === ||
<-5> '''{{{#ffffff 스피드 카트바디}}}''' || || [[골든 코튼 V1|[[파일:골든 코튼 V1 고화질.png|width=95px]]]] || [[아이언 솔리드 V1|[[파일:아이언 솔리드 V1.png|width=95px]]]] || [[파이어 마라톤 V1|[[파일:파이어 마라톤 V1.png|width=95px]]]] || [[나이트 세이버 V1|[[파일:나이트 세이버 V1.png|width=95px]]]] || [[비트 V1|[[파일:비트 V1.png|width=95px]]]] || || [[골든 코튼 V1]] || [[아이언 솔리드 V1]] || [[파이어 마라톤 V1]] || [[나이트 세이버 V1]] || [[비트 V1]] || || [[에스토크 V1|[[파일:에스토크 V1 고화질.png|width=95px]]]] || [[크롬 버스트 V1|[[파일:크롬 버스트 V1 고화질.png|width=95px]]]] || [[로디 크로스 GT|[[파일:로디 크로스 GT.png|width=95px]]]] || [[스틸 솔리드 V1|[[파일:스틸 솔리드.png|width=95px]]]] || [[폭스 V1|[[파일:폭스 V1.png|width=95px]]]] || || [[에스토크 V1]] || [[크롬 버스트 V1]] || [[로디 크로스 GT]] || [[스틸 솔리드 V1]] || [[폭스 V1]] || || [[검은 케라우노스 V1|[[파일:검은 케라우노스 V1.png|width=95px]]]] || [[그믐 산군 V1|[[파일:그믐 산군 V1.png|width=95px]]]] || [[레드 스톰 V1|[[파일:레드 스톰 V1.png|width=95px]]]] || [[그래피티 V1|[[파일:그래피티 V1 고화질.png|width=95px]]]] || [[몬스터 V1|[[파일:몬스터 V1 고화질.png|width=95px]]]] || || [[검은 케라우노스 V1]] || [[그믐 산군 V1]] || [[레드 스톰 V1]] || [[그래피티 V1]] || [[몬스터 V1]] || || [[카본 비트 V1|[[파일:카본 비트 V1 고화질.png|width=95px]]]] || [[이온 V1|[[파일:이온 V1.png|width=95px]]]] || [[플라즈마 V1|[[파일:플라즈마 V1 사진.png|width=95px]]]] || [[켈베로스 V1|[[파일:켈베로스 V1.png|width=95px]]]] || [[빅토리아 중형택시 V1|[[파일:빅토리아 중형택시 V1.png|width=95px]]]] || || [[카본 비트 V1]] || [[이온 V1]] || [[플라즈마 V1]] || [[켈베로스 V1]] || [[빅토리아 중형택시 V1]][br][*신규 2022 수퍼컵에 추가된 카트바디] || || [[위험지역 총알택시 V1|[[파일:위험지역 총알택시 V1.png|width=95px]]]] || [[골든 로디 크로스|[[파일:골든 로디 크로스.png|width=95px]]]] || [[코리아 V1|[[파일:코리아 V1.png|width=95px]]]] || [[박스터 V1|[[파일:박스터 V1.png|width=95px]]]] || [[렉키 V1|[[파일:렉키 V1.png|width=95px]]]] || || [[위험지역 총알택시 V1]][br][*신규 ] || [[골든 로디 크로스]][br][*신규 ] || [[코리아 V1]][*신규 ] || [[박스터 V1]][*신규 ] || [[렉키 V1]][*신규 ] || || [[아이스 플라즈마 V1|[[파일:아이스 플라즈마 V1.png|width=95px]]]] || || || || || || [[아이스 플라즈마 V1]][br][*신규 ] || || || || || 레전드 등급 V1 카트바디는 이번에도 제외되었다.[* 현재까지 레전드 스피드 카트바디는 총 4대로, 추가해도 무방할 수는 있으나 파츠 장착이 금지되어 순정으로 진행되는 리그 특성상 레전드 4대의 카트바디만 고착화되어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더불어 렉키 V1을 추가하며 바이크의 활약을 의도한 시즌이 될 것으로 보이는데, 레전드 카트바디가 나올 경우 레전드 등급 바이크의 출시 전까진 사실상 사용이 어렵기에 현 시즌까지는 레어 등급의 카트바디로 진행되는 것으로 보인다.] 기존에 쓰이던 카트바디들 외에 그동안 출시된 레어 등급 카트가 추가되었는데, 단연 눈길을 끄는 건 첫 정식 V1 바이크인 [[렉키 V1]]. 레전드 등급이 아직 추가되지 않은 상황에서 메타를 바이크로 뒤흔들 것으로 예상되며 선수들도 리그 규정이 발표되자마자 전부 렉키로 맹 연습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 외에는 새로운 스위퍼 카트바디로 주목받는 [[박스터 V1]], P 계열의[* 부스터 지속시간이 매우 길고, 대신 게이지 충전량이 매우 낮다. 즉 F 계열의 완전히 반대 성향] [[아이스 플라즈마 V1]] 등도 추가되었다. 팀전에서는 기본적으로 스피드 에이스와 러너가 렉키 V1과 [[그믐 산군 V1]], 미들과 스위퍼가 박스터 V1과 [[플라즈마 V1]]을 사용할 것으로 보이며 일부 L타입이 유리한 맵에서는 아이스 플라즈마 V1도 보일 전망이다. 개인전에서는 대부분 렉키 V1을 탑승하고 있으나, 바이크가 불리한 일부 트랙에선 플라즈마 V1이나 아이스 플라즈마 V1, 그믐 산군 V1 등을 탑승하기도 한다. 리그 본선에서는 S타입을 쓰는 트랙에서는 빅토리아 중형택시도 보이고 있다. [* 연습방 기준으로 쥐라기와 부빙, 노익, 보물에선 플라즈마가 주로 나오고 있으며 해골성에서는 그믐 산군, 전투비행장에선 아이스 플라즈마를 주로 탑승한다.] === 아이템전 === ||
<-5> '''아이템 카트바디''' || || [[달토끼 V1|[[파일:달토끼 V1.png|width=95px]]]] || [[곰신 V1|[[파일:곰신 V1.png|width=95px]]]] || [[케라우노스 V1|[[파일:케라우노스 V1.png|width=95px]]]] || [[흑호 V1|[[파일:흑호 V1.png|width=95px]]]] || [[엘레강스 루루 V1|[[파일:엘레강스 루루 V1.png|width=95px]]]] || || [[달토끼 V1]] || [[곰신 V1]] || [[케라우노스 V1]] || [[흑호 V1]] || [[엘레강스 루루 V1]] || || [[도깨비불 V1|[[파일:도깨비불 V1.png|width=95px]]]] || [[리벤저 V1|[[파일:리벤저 V1.png|width=95px]]]] || [[트레인 V1|[[파일:트레인 V1.png|width=95px]]]] || [[세베크 V1|[[파일:세베크 V1.png|width=95px]]]] || [[귀양 V1|[[파일:귀양 V1.png|width=95px]]]] || || [[도깨비불 V1]] || [[리벤저 V1]] || [[트레인 V1]] || [[세베크 V1]] || [[귀양 V1]] || || [[저스티스 V1|[[파일:저스티스 V1.png|width=95px]]]] || [[골머리 V1|[[파일:골머리 V1.png|width=95px]]]] || [[기간테스 V1|[[파일:기간테스 V1.png|width=95px]]]] || [[에이스 V1|[[파일:에이스 V1.png|width=95px]]]] || [[맷돌 V1|[[파일:맷돌 V1.png|width=95px]]]] || || [[저스티스 V1]] || [[골머리 V1]] || [[기간테스 V1]] || [[에이스 V1]] || [[맷돌 V1]] || || [[핑크빈 택시 V1|[[파일:핑크빈 택시 V1.png|width=95px]]]] || [[바이올린 V1|[[파일:empty_kart.png|width=95px]]]] || [[고릴라 V1|[[파일:고릴라 V1.png|width=95px]]]] || [[레비아탄 V1|[[파일:레비아탄 V1.png|width=95px]]]] || [[웨이브 V1|[[파일:웨이브 V1.png|width=95px]]]] || || [[핑크빈 택시 V1]][*신규 ] || [[바이올린 V1]][*신규 ] || [[고릴라 V1]][*신규 ] || [[레비아탄 V1]][*신규 ] || [[웨이브 V1]][*신규 ] || 아이템전은 10월 20일 패치로[* 새로운 공격 아이템 '랜덤 미사일'이 추가되었으며, 순위별 아이템 확률이 소폭 변경되었다. 특히, 자석 등장 확률의 감소가 두드러졌다.] 인해 지난 시즌과 다른 메타가 예정되어 있다. 더불어 지난 시즌에 말이 많았던 [[맷돌 V1]]과 [[귀양 V1]]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 진행 방식 == 모든 본선 진출 선수는 광명 IVEX 스튜디오 경기장 내 144hz 주사율 모니터와 Windows 10 프로 에디션 운영체제가 설치된 컴퓨터를 사용한다. === 팀전 === * 8강 조별 풀리그 -> 4강 포스트시즌 ||<|5> {{{#white '''8강[br]조별리그'''}}} || {{{#white '''순위''' }}} || {{{#white '''A조''' }}} || {{{#white '''B조''' }}} ||<|5> {{{#white '''포스트시즌'''}}} ||<-7> {{{#white '''포스트시즌'''}}} || || '''1위''' ||<-2> '''결승 진출전''' || A조 1위 ||<|2> 결승 진출전 || {{{#e11 '''승'''}}}[* 팀전 결승 {{{#e11 '''레드 라이더'''}}} 확정.] ||<-2> 결승 직행 ||<|2> 결승전 ||<#FFD700> '''우승''' || || '''2위''' ||<-2> '''준플레이오프''' || B조 1위 || 패 ||<|2> 플레이오프 || {{{#dodgerblue '''승'''}}}[* 팀전 결승 {{{#dodgerblue '''블루 라이더'''}}} 확정.] ||<#C0C0C0> 준우승 || || '''3위''' ||<-2> 탈락 || A조 2위 ||<|2> 준플레이오프 || 승 || 패 ||<#CD7F32><-2> 3위 || || '''4위''' ||<-2> 탈락 || B조 2위 || 패 ||<#bbf><-4> 4위 || * 8강 조별 풀리그 배틀로얄 ~ 에볼루션, 2019 시즌에 개최되었던 방식대로 8팀을 4팀 2개 조로 나누어 조별 풀리그를 진행, 각 조 상위 2팀이 4강에 진출한다. 순위의 기준은 매치 승>세트 득실>트랙 득실>승자승 순이다.[* 승자승으로도 순위가 결정되지 않을 경우 팀별 에이스끼리 스피드 개인전 승자 결정전을 진행할 수 있다.] * 포스트시즌 A조 1위 vs B조 1위, A조 2위 vs B조 2위로 각각 결승진출전과 준플레이오프를 치르고, {{{#e11 '''결승진출전 승리팀'''}}}은 결승 직행, 패배한 팀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준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한 팀은 플레이오프에 진출, 결승진출전 패배 팀과 준플레이오프 승리팀이 플레이오프에서 경기를 치러 {{{#dodgerblue '''플레이오프 승리 팀'''}}}이 결승전에 진출한다. 결승전에서 페이즈 제도로 3판 2선승제로 진행하여 2점을 선취한 팀이 승리하며 승리한 팀이 우승, 패배한 팀이 준우승을 차지한다. ------ || 1set || 4:4 스피드 팀전 ||<|2> 8강 조별리그&결승전-5판 3선[br]4강 크로스 토너먼트-7판 4선 || || 2set || 4:4 아이템 팀전 || || 3set || 1:1 스피드 개인전[br],,에이스 결정전,, || 단판 || 8강 조별리그에는 수퍼컵 포인트 상위 팀, 포스트시즌과 결승전 페이즈 1에는 {{{#e11 '''레드 라이더'''}}}, 결승전 페이즈 2에는 페이즈 1 승리팀이 어드밴티지를 받아 1세트와 2세트 중 밴픽 우선권("A팀")을 가질 세트를 선택한다. 상대 팀은 남는 세트에서 밴픽 우선권을 갖는다. 1, 2세트의 1라운드 트랙은 우선권 팀의 시그니처 트랙을 사용한다. 포스트시즌에는 비우선권 팀의 시그너처 트랙을 2라운드 트랙으로 사용한다. 이후 트랙은 규정에 있는 16트랙에서 다음 형태의 밴픽을 통해 결정된다. ||<-9> 8강 조별리그 & 결승전 1,2페이즈 || ||<-2> SIGNATURE[* 코인토스 결과에 따라 선밴선픽을 1,2세트를 먼저 어느 팀이 가져가느냐에 따라 밴픽의 결과가 좌우된다. 예를 들어, {{{#e11 '''A팀'''}}}이 선밴선픽을 아이템전에서 가져가면 {{{#1e90ff '''B팀'''}}}이 자연스레 스피드전에서 가져가는 형식. 밴픽 결과는 스피드, 아이템전에서 정 반대의 시드가 차지한다.] || 트랙 밴 || 2라운드 픽 || 3라운드 픽 ||<-2> 트랙 밴 || 4라운드 픽 || 5라운드 픽 || ||<-2> {{{#white A팀 }}} || B팀 || B팀 || {{{#white A팀 }}} || {{{#white A팀 }}} || B팀 || B팀 || {{{#white A팀 }}} || ||<-11> 포스트시즌 밴픽 방식 || ||<-2> SIGNATURE ||<-4> TRACK PHASE 1 ||<-5> TRACK PHASE 2 || || 1라운드 || 2라운드 ||<-2> 트랙 밴 || 3라운드 픽 || 4라운드 픽 ||<-2> 트랙 밴 || 5라운드 픽 || 6라운드 픽 || 7라운드 픽 || || {{{#white A팀 }}} || B팀 || B팀 || {{{#white A팀 }}} || {{{#white A팀 }}} || B팀 || B팀 || {{{#white A팀 }}} || {{{#white A팀 }}} || B팀 || {{{#white A팀 }}} || ------ 팀전 결승전은 개인전 결승전과 따로 치루기 때문에 페이즈 제도를 도입했다. '''3번의 페이즈 중 2번의 페이즈를 먼저 승리하는 팀이 승리한다.'''[* 즉, 이전 시즌으로 비유하면 1페이즈가 스피드전 한 세트, 2페이즈가 아이템전 한 세트, 3페이즈가 에이스 결정전으로 비유할 수 있다. 다만 이번 시즌부터는 페이즈 제도가 도입되었기 때문에 한 페이즈당 스피드, 아이템, 에결 모두 해당된다. 3페이즈는 예외로 에결의 연장 버전이라 보면 된다.] * Phase 1, 2 : 하나의 페이즈는 3개의 세트, 스피드-아이템-에결로 구성되어있다. 즉, 8강 단계에서의 매치가 결승전에서의 페이즈에 해당하는 것이다. 3개의 세트 중 2개의 세트를 먼저 승리하는 팀이 해당 페이즈를 가져간다. 이때 스피드-아이템 세트의 밴픽과 에결 트랙 선정은 8강에서의 진행 방식과 동일하다. * Phase 3 : 양 팀이 서로 1번씩 페이즈를 승리하여 페이즈 스코어가 1:1 동률이 될 경우, 3페이즈는 1:1 스피드 개인전 승자연전으로 진행된다. 각 팀에서 정해둔 순서로 선수가 출전하여 1:1 스피드 개인전 대결을 펼치되 [[위너스 리그|패배한 선수는 교체, 승리한 선수는 계속 출전하며]] 서바이벌 방식으로 대결을 이어나간다. 한 팀에서 먼저 4승을 거둔 팀이 3페이즈를 승리, 최종 우승을 차지하게 된다. 1라운드 트랙은 추첨으로 결정되며 이후 라운드는 직전 라운드에서 승리한 팀이 선택한다. '''맵과 출전 선수는 30초 안에 결정해야 하며, 시간을 넘기면 랜덤으로 결정된다.''' ||
<|3> Phase 1 || set 1-1 || 4:4 스피드 팀전[br],,5판 3선승,, || || set 1-2 || 4:4 아이템 팀전[br],,5판 3선승,, || || set 1-3 || 1:1 스피드 개인전[br],,에이스 결정전,, || ||<|3> Phase 2 || set 2-1 || 4:4 스피드 팀전[br],,5판 3선승,, || || set 2-2 || 4:4 아이템 팀전[br],,5판 3선승,, || || set 2-3 || 1:1 스피드 개인전[br],,에이스 결정전,, || ||<-2> Phase 3 || 1:1 스피드 개인전[br],,승자연전(7판 4선),, || ------ * 양팀은 게임 시작 전 픽/밴할 맵을 하나하나 결정할 때 '''60초''' 이내에 진행해야 한다. * 승자연전에서는 전 라운드 승자가 맵을 결정할 때 '''30초''', 전 라운드 진 팀이 다음 선수를 결정할 때 '''30초'''가 주어진다. * 제한 시간을 초과할 경우 해당 트랙 또는 선수 선택을 남은 선택지 중 무작위로 추첨한다. * 8강 조별리그는 수퍼컵 포인트가 높은 팀이, 포스트시즌과 결승전 1페이즈에서는 {{{#e11 '''레드 팀'''}}}이, 결승전 2페이즈에서는 1페이즈 승리 팀이 {{{#e11 선}}}/{{{#dodgerblue 후}}}를 결정하며, 스피드에서 {{{#e11 선}}}을 잡은 팀은 자동으로 아이템에서 {{{#dodgerblue 후}}}가 되며, 수퍼컵 포인트가 높은팀이 스피드/아이템 중 어디서 {{{#e11 선}}}을 잡을 것인지 선택한다. * {{{#e11 붉은색}}}/{{{#dodgerblue 푸른색}}} 표기는 편의상 나타낸 것일 뿐, 경기 내 {{{#d13 '''레드'''}}}/{{{#dodgerblue '''블루 라이더'''}}}가 아니다. * 다만 포스트시즌, 결승전의 경우 무조건 상위 시드 팀이 {{{#e11 '''레드 라이더'''}}}가 된다. * 준플레이오프와 결승 진출전에서는 8강 경기의 세트 득실과 트랙 득실을 비교하여 더 우위에 있는 팀이 {{{#e11 '''레드 라이더'''}}}가 된다. 만약 세트 득실과 트랙 득실이 동률일 경우 추첨으로 {{{#e11 '''레드 라이더'''}}}와 {{{#dodgerblue '''블루 라이더'''}}}가 결정되며, 이 경우에도 위의 밴픽 어드밴티지가 그대로 적용된다. * 트랙 선택 후 남은 잔여 트랙은 사용되지 않는다. * 1, 2페이즈 모두 한 팀이 승리하여 경기가 2:0으로 종료될 경우, 3페이즈는 진행되지 않는다. * 3페이즈의 경우, 밴픽에 관계없이 스피드 팀전 트랙 16개 중 미리 하나를 사전에 추첨하여 해당 트랙에서 1라운드를 진행하며 [[위너스 리그]] 형식으로 7전 4선승제를 거쳐 최종 우승 팀을 결정한다. 이후 라운드는 전 라운드 승리 팀이 트랙을 선택한 후, 패배 팀이 출전할 선수를 선택한다. === 개인전 === 정규 시즌 16강전과 동일한 방식인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진행된다. 1~4등끼리, 5~8등끼리 조를 다시 편성해서 두 번 이상 5~8등을 기록한 8명이 16강에서 탈락하고, 남은 8명이서 결승전을 진행한다.[* 16강 A조, B조 -> 16강 승자전 -> 16강 패자전 -> 16강 최종전 -> 결승전.] 라운드 별 순위에 따른 포인트 배분 방법은 다음과 같다. || {{{#white '''순위''' }}} || '''1st''' || '''2nd''' || '''3rd''' || 4th || 5th || 6th || 7th ||<:>8th|| '''Retire''' || || {{{#white '''포인트''' }}} || '''10''' || '''7''' || '''5''' || '''4''' ||<:> '''3''' || '''1''' || '''0''' || '''-1''' || '''-5''' || ||<-6> 16강 ||<-3> 50포인트 선취제 || ||<-6> 결승전 Set 1 ||<-3> 80포인트 선취제 || ||<-6> 결승전 Set 2 ||<-3> 1:1 5판 3선승제 || ||<-9> n포인트 선취제: 특정 선수가 n포인트를 획득했을 시 경기가 종료되며,[br]종료시의 포인트에 따라 순위가 결정된다. || ||<|12> 16강 ||<-8> 조별 경기(1경기/2경기) ||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6위 || 7위 || 8위 || ||<-4><#00FF00> '''승자전 진출''' ||<-4><#CD7F32> 패자전 진출 || ||<-8> 승자전 ||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6위 || 7위 || 8위 || ||<-4><#FFD700> '''결승전 진출''' ||<-4><#C0C0C0> 최종전 진출 || ||<-8> 패자전 ||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6위 || 7위 || 8위 || ||<-4><#C0C0C0> '''최종전 진출''' ||<-4><#ffa7a7> 탈락 || ||<-8> 최종전 ||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6위 || 7위 || 8위 || ||<-4><#FFD700> '''결승전 진출''' ||<-4><#ffa7a7> 탈락 || ||<|6> 결승전 ||<-8> SET 1 ||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6위 || 7위 || 8위 || ||<-2><#FFD700> '''Set 2 진출''' ||<-1><#CD7F32> '''3위''' ||<-5><#ffa7a7> 탈락 || ||<-8> SET 2 || ||<-4> 승자 ||<-4> 패자 || ||<-4><#FFD700> '''우승''' ||<-4><#C0C0C0> '''준우승''' || 라이더의 컬러는 이전 라운드의 평균 포인트에 따라 결정되며, 포인트 순위에 따라 다음과 같은 컬러가 배정된다. || {{{#gold '''1위'''}}} || {{{#black '''2위'''}}} || {{{#red '''3위'''}}} || {{{#silver '''4위'''}}} || {{{#purple '''5위'''}}} || {{{#green '''6위'''}}} || {{{#dodgerblue '''7위'''}}} || {{{#orange '''8위'''}}} || || [[노란색|{{{#black '''옐로우'''}}}]] || [[검은색|{{{#white '''블랙'''}}}]] || [[빨간색|{{{#white '''레드'''}}}]] || [[흰색|{{{#black '''화이트'''}}}]] || [[보라색|{{{#white '''퍼플'''}}}]] || [[초록색|{{{#white '''그린'''}}}]] || [[파란색|{{{#black '''블루'''}}}]] || [[주황색|{{{#black '''오렌지'''}}}]] || 경기장 내 좌석은 팀전 {{{#d13 '''레드팀 진영'''}}}, {{{#dodgerblue '''블루팀 진영'''}}}에 각 선수들을 앉힌다.[* {{{#d13 '''레드팀 진영'''}}}에는 맨 왼쪽부터 순서대로 홀수번 시드인 {{{#gold '''옐로우'''}}}, {{{#d13 '''레드'''}}}, {{{#purple '''퍼플'''}}}, {{{#dodgerblue '''블루'''}}} 시드 선수가 앉고 {{{#dodgerblue '''블루팀 진영'''}}}에는 맨 오른쪽부터 순서대로 짝수번 시드인 '''블랙''', {{{#silver '''화이트'''}}}, {{{#0b0 '''그린'''}}}, {{{#orange '''오렌지'''}}} 시드 선수가 앉는다.] 그리고 같은 팀이 서로 옆자리에 앉게 되면 티밍 방지를 위해 자리 순서를 조정하되 컬러는 바꾸지 않고 그대로 유지한다. 1세트 1라운드 트랙은 '''[R]차이나 골목길 대질주'''로 고정되며, 이후 1위 선수가 다음 트랙을 선택한다. 당락이 결정되는 순위가 동점일 경우 16강에서는 1라운드 트랙 [R]차이나 골목길 대질주에서, 결승 1세트에서는 사전 추첨된 트랙에서 해당 선수들끼리 재경기를 진행하며, 당락에 영향이 없는 동점의 경우 마지막 트랙에서 더 높은 순위를 차지한 선수의 최종 순위를 더 높게 처리한다.[* 예를 들어 16강 승자전의 경우 공동 4위가 발생시 진출자 1명을 가리기 위한 재경기를 진행하나, 공동 6위가 발생시에는 마지막 트랙 순위를 기준으로 6, 7위가 결정된다. 다만 결승전 Set 1 3위의 경우는 재경기 없이 마지막 트랙 순위로만 결정하고 결승전 Set 1 1,2위가 동점이어도 마지막 트랙에서 상위 등수를 차지한 선수가 조 1위를 차지한다.] 2세트는 1세트 상위 2인이 1:1 스피드 개인전으로 치루되 5판 3선승제로 진행한다. 3점 선취자가 개인전 최종 우승을 차지한다.[* 페인트 컬러는 1세트에서 받은 그 컬러 그대로 사용한다. 2022-1 시즌까지는 조 1위가 {{{#e11 '''레드 라이더'''}}}, 조 2위가 {{{#dodgerblue '''블루 라이더'''}}}였지만 2022-2 시즌부터 규정이 바뀌었다.] == 출전 제한 규정 == === 게임 운영 정책 위반 === 참가 신청한 계정이 현재 게임 운영 정책 위반에 따른 제재 상태거나 과거 제재 이력이 있을 경우 아래의 기준에 따라 참가 자격이 제한된다. 참가 제한의 시작 시점은 '''가장 마지막 제재가 부가된 시점을 기준'''으로 한다. ||
{{{#ffd200 '''위반 항목'''}}} || {{{#ffd200 '''징계'''}}} || || 타인에게 불쾌감과 모욕감을 주는 경우 || 5회 이상 위반 시 '''영구 출전금지''' || || 원활한 게임 진행 및 게임 운영 업무 방해 || 4회 이상 위반 시 '''영구 출전금지''' || || 운영자 사칭 및 허위 사실 유포 || 3회 이상 위반 시 '''영구 출전금지''' || || 현금 거래 및 상업 광고 || 2회 이하 위반 시 1년 출전금지, [br] 3회 이상 위반 시 '''영구 출전금지''' || || 불법 핵 프로그램 사용 및 제작, 배포 ||<|3> 1회 위반 시 1년 출전금지, [br] 2회 이상 위반 시 '''영구 출전금지''' || || 해킹, 계정도용 및 개인정보 유출 || || 시스템(버그) 악용 및 어뷰징 || 선수의 품위를 떨어뜨린다고 판단되는 잘못된 행위를 한 경우 리그 진행위원회의 판단 하에 구두 경고, 라운드 패배, 세트 패배(팀전), 경기 패배, 리그 실격 중 하나를 적용받게 된다. 경기 도중 벌어진 잘못으로 인해 라운드패 처리 시 바로 다음 라운드에서 라운드패가 적용되고, 경기를 진행하지 않는 시간에 벌어진 잘못으로 인해 라운드 패배 처리가 되면 가장 가까운 시일 내의 첫 번째 경기에서 패배 처리가 된다. 팀전의 경우 스피드전 1트랙[* {{{#e11 '''레드'''}}}, {{{#dodgerblue '''블루'''}}} 사이드 중 하나가 고른 시그니처 트랙]에서 '''패배 처리'''되며, 개인전의 경우 1트랙인 [R]차이나 골목길 대질주에서 '''리타이어(-5) 처리된다.''' 세트 패배는 팀전에서만 적용되며 스피드 세트, 아이템 세트, 에이스 결정전 세트 중에서 하나를 패배 처리하게 된다. 세트 내 모든 경기가 패배 처리되며 경기 도중 적용되지 않는다면 가장 가까운 시일 내의 벌어질 경기의 스피드 세트를 패배 처리하게 된다. 개인전에서는 결승전에서만 1세트와 2세트로 나누어져 있고 최상위 2인을 제외하면 1세트에서 다 탈락하기 때문에 굳이 세트를 나눠서 일일이 처벌할 필요가 없다. 경기 패배는 팀전의 경우 세트 2:0, 트랙 6:0으로 패배한 것으로 처리되며, 개인전의 경우는 사실상 게임에서 제외되고 즉시 8등으로 처리된다. === 리그 참가 제한 제재 === 과거 넥슨코리아가 주최하는 카트라이더 리그에서의 규정 위반에 따라 리그 참가 제한 제재 상태인 경우 참가 자격이 제한된다. 현행 규정에 명시된 리그 참가 제재는 다음과 같다. 리그 도중 카트라이더 운영정책 위반으로 인해 선수 본인의 계정이 제재되는 경우 참가자격이 박탈되고 아래와 같이 리그 참여가 제한된다. ||
{{{#ffd200 '''위반 항목'''}}} || {{{#ffd200 '''징계'''}}} || || 90일 미만 || 2회 1시즌, 3회 1년, 4회 '''영구 출전금지''' || || 90일 ~ 365일 미만 || 1회 1시즌, 2회 1년, 3회 '''영구 출전금지''' || || 365일 이상 || 1회 1년, 2회 '''영구 출전금지''' || || 영구 정지 || '''영구 출전금지''' || 리그 실격이 누적되는 경우 아래와 같이 리그 참여가 제한된다. ||
{{{#ffd200 '''회수'''}}} || {{{#ffd200 '''징계'''}}} || || 1회 || - || || 2회 || 다음 시즌 출전금지 || || 3회 || '''영구 출전금지''' || 페널티 기준표 상의 리그 출전금지에 해당하는 행위를 한 경우, 기준표의 내용에 따라 참여가 제한된다. ||
{{{#ffd200 '''위반 항목'''}}} || {{{#ffd200 '''징계'''}}} || || 예선 종료일 이후 본선 진출한 선수/팀이 리그 진행 도중 불참/기권 || 리그 실격 + 다음 시즌 참가 불가[* 천재지변, 질병, 가족상 등등 부득이한 사유가 있을 경우 증빙자료를 제출하면 차기 시즌 참가 불가 페널티가 부과되지 않는다. 코로나의 경우 질병에 해당되며, 리그 운영진은 코로나바이러스 사태를 천재지변에 준하는 사유로 보고 있다.] || || 핵 프로그램 및 매크로 프로그램 사용 시 || '''영구 출전금지''' || || 대리 참여, 승부 조작, 사행 행위 등 || '''영구 출전금지''' || || 리그 기간 중 선수 계정 (라이브 서버 계정 및 리그용 계정) 제재 || 리그 실격 + 최대 '''영구 출전금지'''[* 위의 운영정책 위반으로 인한 징계 표 참조.] || || 선수 자격 관련 자료 미제출 및 허위 제출 || 리그 실격 + 다음 시즌 참가 불가 || [[분류:2022 신한은행 SOL 카트라이더 리그 수퍼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