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그룹 스테이지)] [Include(틀: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 경기 일정)] [목차] == 개요 == == 리그별 진출팀 == === LCK(한국): 1/2 === [[T1 Challengers|T1]]이 KRS를 3:0으로 꺾고 4강에 진출했다. === LPL(중국): 3/4 === 어느 정도 예상이 된 결과였겠지만, [[FPX/리그 오브 레전드#s-6|FPB]]와 [[Edward Gaming HYCAN#s-6|EDG.Y]]가 1세트씩 내주긴 했지만 다 3대1로 승리하며 4강에 올라왔으며 이어서 [[MAX(프로게임단)|MAX]]도 3대0으로 승리하며 3팀이 4강에 올라섰다. 중국팀 세 팀이 4강에 오르면서, 공교롭게도 21년 월즈 4강 구도와 정확히 반대되는 형세가 되었다.[* 21년 월즈 4강은 LCK 3팀과 LPL 1팀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 PCS(태평양 연안): 0/1 === [[Mega Bank Beyond Gaming#s-3.1|Beyond Gaming Academy]]가 8강에서 떨어지면서 PCS도 VCS와 마찬가지로 아무 팀도 진출하지 못했다. === VCS(베트남): 0/1 === VCS의 희망이었던 [[Team Flash]]마저 8강에서 탈락하면서 VCS의 [[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ASCI]]는 여기서 끝나게 되었다. == 대진 편성 == == 경기 진행 == === 1경기 [[FPX/리그 오브 레전드#s-6|FPB]] vs [[Edward Gaming HYCAN#s-6|EDG.Y]] === ||<:><#000> '''{{{+1 [[FPX/리그 오브 레전드#s-6|{{{#fa0f00 '''FunPlus Blaze'''}}}]]}}}''' || '''{{{+1 [[Edward Gaming HYCAN#s-6|{{{#eeeeec '''EDG YOUTH TEAM'''}}}]]}}}''' || ||<#fff> [[FPX/리그 오브 레전드#s-6|[[파일:FPB_New_logo.png|width=150]]]] ||<#fff> [[Edward Gaming HYCAN#s-6|[[파일:EDward_Gaming_Youth_Teamlogo_square.png|width=150]]]] || ||<-3> [[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파일:asci 2022 logo_white_notext.svg|width=30]]]] {{{#FFF '''[[2022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ummer|{{{#FFF '''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br]4강 1경기 선발 라인업'''}}} || || [[FPX/리그 오브 레전드|[[파일:FPB_New_logo.png|width=55]]]] ||<|2>[[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파일:asci 2022 logo_white_notext.svg|width=73]]]] || [[Edward Gaming HYCAN#s-6|[[파일:EDward_Gaming_Youth_Teamlogo_square.png|width=55]]]] || || [[FPX/리그 오브 레전드#s-6|{{{#fa0f00 '''FunPlus Blaze'''}}}]] || [[Edward Gaming HYCAN#s-6|{{{#eeeeec '''EDG YOUTH TEAM'''}}}]] || || '''웡카록'''[br](Kartis) ||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height=40]] || '''막후컹'''[br](Solokill) || || '''허웬하오'''[br](Haoye)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height=40]] || '''왕멍치'''[br](Monki) || || '''후지아주'''[br](Qing)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height=40]] || '''첸진쿤'''[br](Ckyu) || || '''첸쩌'''[br](Xingye)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height=40]] || '''후홍차오'''[br](Leave) || || '''당보린'''[br](Lele)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height=40]] || '''왕용쉬'''[br](Xiamu) || ==== 경기 내용 ==== ||<-12><:> [[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파일:asci 2022 logo_white_notext.svg|width=25]]]] '''{{{#white 4강 1경기 (2022. 09. 22) (KST 18:00)}}}''' || ||<-5> [[FPX/리그 오브 레전드#s-6|{{{#fa0f00 '''FunPlus Blaze''' }}}]] ||<|2> 2 ||<|2> '''3''' ||<-5> [[Edward Gaming HYCAN#s-6|{{{#eeeeec '''EDG YOUTH TEAM''' }}}]] || || × || ○ || × || ○ || × || ○ || × || ○ || × || ○ || ||<-5> '''{{{#white 탈락}}}''' ||<-2> '''{{{#white 결과}}}''' ||<-5> '''{{{#black 결승 진출}}}''' || ||<-5> [[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파일:asci 2022 logo_white_notext.svg|width=32]]]] '''{{{#white 4강 1경기 MVP}}}''' || || 1세트 || 2세트 || 3세트 || 4세트 || 5세트 || || '''첸진쿤[br](Cyku)''' || '''후지아주[br](Qing)''' || '''첸진쿤[br](Cyku)''' || '''웡카록[br](Kartis)''' || '''막후컹[br](Solokill)''' || ===== 1세트 ===== ||<-4> [[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파일:asci 2022 logo_white_notext.svg|width=25]]]] '''{{{#white FPB vs EDG.Y 1세트[br](2022. 09. 22.)}}}''' || || '''WIN''' ||<-2> 30:42 || LOSS || || 18/7/44 ||<|2> '''EDG.Y''' ||<|2> '''FPB''' || 7/18/17 || || 58.9k || 45.5k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EDG YOUTH TEAM, redteam=FunPlus Blaze , d_blueban1=뽀삐, d_blueban2=탈리야, d_blueban3=레넥톤, d_blueban4=잭스, d_blueban5=세주아니 , p_blueban1=poppy, p_blueban2=taliyah, p_blueban3=renekton, p_blueban4=jax, p_blueban5=sejuani , d_redban1=유미, d_redban2=오공, d_redban3=아지르, d_redban4=바이, d_redban5=그웬 , p_redban1=yuumi, p_redban2=wukong, p_redban3=azir, p_redban4=vi, p_redban5=gwen , d_bluepic1=이렐리아, d_bluepic2=그레이브즈, d_bluepic3=르블랑, d_bluepic4=칼리스타, d_bluepic5=레나타 글라스크 , p_bluepic1=irelia, p_bluepic2=graves, p_bluepic3=leblanc, p_bluepic4=kalista, p_bluepic5=renataGlasc , d_redpic1=아트록스, d_redpic2=벨베스, d_redpic3=아리, d_redpic4=드레이븐, d_redpic5=노틸러스 , p_redpic1=aatrox, p_redpic2=belveth, p_redpic3=ahri, p_redpic4=draven, p_redpic5=nautilus)]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인게임 용 , dragon1=Cloud, dragon2=Infernal, dragon3=Ocean, dragonsoul=)] 23분 36초 경, Monki의 '''[[저혈당증|저혈당]] 이슈'''로 퍼즈가 걸렸다. 이번 경기는 '''정글차이'''가 뚜렷하게 보일 정도의 경기였다. '''오브젝트 싸움'''을 지는 것은 물론, 딜량에서도 '''1만 2천'''차이가 났다. [* 상대팀 서포터인 Xiamu보다 '''딜량이 낮다!'''] ===== 2세트 ===== ||<-4>
[[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파일:asci 2022 logo_white_notext.svg|width=25]]]] '''{{{#white FPB vs EDG.Y 2세트[br](2022. 09. 22.)}}}''' || || '''WIN''' ||<-2> 27:48 || LOSS || || 14/6/35 ||<|2> '''FPB''' ||<|2> '''EDG.Y''' || 6/14/16 || || 52.3k || 44.4k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FunPlus Blaze, redteam=EDG YOUTH TEAM , d_blueban1=유미, d_blueban2=르블랑, d_blueban3=아지르, d_blueban4=레나타 글라스크, d_blueban5=아무무 , p_blueban1=yuumi, p_blueban2=leblanc, p_blueban3=azir, p_blueban4=renataGlasc, p_blueban5=amumu , d_redban1=칼리스타, d_redban2=탈리야, d_redban3=뽀삐, d_redban4=카르마, d_redban5=브라움 , p_redban1=kalista, p_redban2=taliyah, p_redban3=poppy, p_redban4=karma, p_redban5=braum , d_bluepic1=아트록스, d_bluepic2=오공, d_bluepic3=아리, d_bluepic4=이즈리얼, d_bluepic5=레오나 , p_bluepic1=aatrox, p_bluepic2=wukong, p_bluepic3=ahri, p_bluepic4=ezreal, p_bluepic5=leona , d_redpic1=이렐리아, d_redpic2=트런들, d_redpic3=사일러스, d_redpic4=드레이븐, d_redpic5=노틸러스 , p_redpic1=irelia, p_redpic2=trundle, p_redpic3=sylas, p_redpic4=draven, p_redpic5=nautilus)]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인게임 용 , dragon1=Ocean, dragon2=Mountain, dragon3=Infernal, dragonsoul=)] 초반 1분 경, FPB의 Xingye가 1킬, Leave의 '''점멸'''이 빠지면서 라인전을 시작하게 된다. ===== 3세트 ===== ||<-4>
[[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파일:asci 2022 logo_white_notext.svg|width=25]]]] '''{{{#white FPB vs EDG.Y 3세트[br](2022. 09. 22.)}}}''' || || '''WIN''' ||<-2> 30:31 || LOSS || || 21/7/54 ||<|2> '''EDG.Y''' ||<|2> '''FPB''' || 7/21/13 || || 61.3k || 48.7k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EDG YOUTH TEAM, redteam=FunPlus Blaze , d_blueban1=뽀삐, d_blueban2=탈리야, d_blueban3=레넥톤, d_blueban4=아트록스, d_blueban5=잭스 , p_blueban1=poppy, p_blueban2=taliyah, p_blueban3=renekton, p_blueban4=aatrox, p_blueban5=jax , d_redban1=유미, d_redban2=오공, d_redban3=칼리스타, d_redban4=이렐리아, d_redban5=제이스 , p_redban1=yuumi, p_redban2=wukong, p_redban3=kalista, p_redban4=irelia, p_redban5=jayce , d_bluepic1=그웬, d_bluepic2=바이, d_bluepic3=아리, d_bluepic4=제리, d_bluepic5=룰루 , p_bluepic1=gwen, p_bluepic2=vi, p_bluepic3=ahri, p_bluepic4=zeri, p_bluepic5=lulu , d_redpic1=나르, d_redpic2=세주아니, d_redpic3=사일러스, d_redpic4=시비르, d_redpic5=카르마 , p_redpic1=gnar, p_redpic2=sejuani, p_redpic3=sylas, p_redpic4=sivir, p_redpic5=karma)]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인게임 용 , dragon1=Cloud, dragon2=Mountain, dragon3=Hextech, dragonsoul=)] ===== 4세트 ===== ||<-4>
[[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파일:asci 2022 logo_white_notext.svg|width=25]]]] '''{{{#white FPB vs EDG.Y 4세트[br](2022. 09. 22.)}}}''' || || '''WIN''' ||<-2> 26:46 || LOSS || || 13/3/34 ||<|2> '''FPB''' ||<|2> '''EDG.Y''' || 3/13/10 || || 54.2k || 42.4k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FunPlus Blaze, redteam=EDG YOUTH TEAM , d_blueban1=유미, d_blueban2=르블랑, d_blueban3=아지르, d_blueban4=룰루, d_blueban5=브라움 , p_blueban1=yuumi, p_blueban2=leblanc, p_blueban3=azir, p_blueban4=lulu, p_blueban5=braum , d_redban1=칼리스타, d_redban2=탈리야, d_redban3=뽀삐, d_redban4=레넥톤, d_redban5=아트록스 , p_redban1=kalista, p_redban2=taliyah, p_redban3=poppy, p_redban4=renekton, p_redban5=aatrox , d_bluepic1=그웬, d_bluepic2=오공, d_bluepic3=조이, d_bluepic4=시비르, d_bluepic5=알리스타 , p_bluepic1=gwen, p_bluepic2=wukong, p_bluepic3=zoe, p_bluepic4=sivir, p_bluepic5=alistar , d_redpic1=아칼리, d_redpic2=바이, d_redpic3=아리, d_redpic4=제리, d_redpic5=아무무 , p_redpic1=akali, p_redpic2=vi, p_redpic3=ahri, p_redpic4=zeri, p_redpic5=amumu)]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인게임 용 , dragon1=Cloud, dragon2=Mountain, dragon3=Infernal, dragonsoul=)] ===== 5세트 ===== ||<-4>
[[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파일:asci 2022 logo_white_notext.svg|width=25]]]] '''{{{#white FPB vs EDG.Y 5세트[br](2022. 09. 22.)}}}''' || || '''WIN''' ||<-2> 29:42 || LOSS || || 16/10/34 ||<|2> '''EDG.Y''' ||<|2> '''FPB''' || 10/16/23 || || 56.4k || 50.2k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EDG YOUTH TEAM, redteam=FunPlus Blaze , d_blueban1=뽀삐, d_blueban2=탈리야, d_blueban3=조이, d_blueban4=바이, d_blueban5=트런들 , p_blueban1=poppy, p_blueban2=taliyah, p_blueban3=zoe, p_blueban4=vi, p_blueban5=trundle , d_redban1=유미, d_redban2=칼리스타, d_redban3=르블랑, d_redban4=루시안, d_redban5=제리 , p_redban1=yuumi, p_redban2=kalista, p_redban3=leblanc, p_redban4=lucian, p_redban5=zeri , d_bluepic1=그웬, d_bluepic2=오공, d_bluepic3=사일러스, d_bluepic4=트리스타나, d_bluepic5=알리스타 , p_bluepic1=gwen, p_bluepic2=wukong, p_bluepic3=sylas, p_bluepic4=tristana, p_bluepic5=alistar , d_redpic1=아트록스, d_redpic2=비에고, d_redpic3=아리, d_redpic4=시비르, d_redpic5=브라움 , p_redpic1=aatrox, p_redpic2=viego, p_redpic3=ahri, p_redpic4=sivir, p_redpic5=braum)]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인게임 용 , dragon1=Infernal, dragon2=Ocean, dragon3=Hextech, dragonsoul=)] 이 경기를 [[Edward Gaming HYCAN#s-6|EDG.Y]]가 이긴다면 '''블루 진영 전승'''이 된다. ===== 1경기 총평 ===== '''3 - 2'''까지 가는 치열한 접전 끝에 EDG.Y가 FPB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며 결승 진출을 확정 지었다. 모든 세트가 쉴 새 없이 치열한 난타전이였으며, '''LPL이건''', '''LDL이건''' 확실한 건 둘 다 운영보다는 '''교전'''을 선호하는 모습이다. EDG.Y가 이 경기를 승리하면서 '''블루 진영 전승'''을 달성하게 되었다. === 2경기 [[T1 Challengers|T1]] vs [[MAX(프로게임단)|MAX]] === ||<:><#e4002b> '''{{{+1 [[T1 Challengers|{{{#FFF '''T1 Challengers'''}}}]]}}}''' || '''{{{+1 [[MAX(프로게임단)|{{{#FFF '''MAX'''}}}]]}}}''' || ||<#fff> [[T1 Challengers|[[파일:T1 LoL 로고.svg|width=200]]]] ||<#fff> [[MAX(프로게임단)|[[파일:MAX_logo_square.png|width=150]]]] || ||<-3> [[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파일:asci 2022 logo_white_notext.svg|width=30]]]] {{{#FFF '''[[2022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ummer|{{{#FFF '''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br]4강 2경기 선발 라인업'''}}} || || [[T1 Challengers|[[파일:T1 LoL 로고.svg|width=65]]]] ||<|2>[[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파일:asci 2022 logo_white_notext.svg|width=73]]]] || [[MAX(프로게임단)|[[파일:MAX_logo_square.png|width=50]]]] || || [[T1 Challengers|{{{#FFF '''T1 Challengers'''}}}]] || [[MAX(프로게임단)|{{{#FFF '''MAX'''}}}]] || || '''[[경규태|{{{#FFF '''경규태'''}}}]]'''[br](Photon) ||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height=40]] || '''팡자웨이'''[br](Garvey) || || '''[[이현서(2002)|{{{#FFF '''이현서'''}}}]]'''[br](Forest)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height=40]] || '''찬치융'''[br](KennyChan) || || '''[[서상원|{{{#FFF '''서상원'''}}}]]'''[br](TolanD)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height=40]] || '''리카웬'''[br](Medzz) || || '''[[김의주|{{{#FFF '''김의주'''}}}]]'''[br](Trigger)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height=40]] || '''우링펑'''[br](Xiaguang) || || '''[[정상현(프로게이머)|{{{#FFF '''정상현'''}}}]]'''[br](Kabbie)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height=40]] || '''리첸시'''[br](XinMo) || ==== 경기 내용 ==== ||<-12><:> [[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파일:asci 2022 logo_white_notext.svg|width=25]]]] '''{{{#white 4강 2경기 (2022. 09. 23) (KST 18:00)}}}''' || ||<-5> [[T1 Challengers|{{{#fff '''T1 Challengers''' }}}]] ||<|2> 2 ||<|2> '''3''' ||<-5> [[MAX(프로게임단)|{{{#fff '''MAX'''}}}]] || || × || ○ || ○ || × || × || ○ || × || × || ○ || ○ || ||<-5> '''{{{#white 탈락}}}''' ||<-2> '''{{{#white 결과}}}''' ||<-5> '''{{{#black 결승 진출}}}''' || ||<-5> [[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파일:asci 2022 logo_white_notext.svg|width=32]]]] '''{{{#white 4강 2경기 MVP}}}''' || || 1세트 || 2세트 || 3세트 || 4세트 || 5세트 || || '''팡자웨이[br](Garvey)''' || '''[[이현서(2002)|이현서]][br](Forest)''' || '''[[경규태|경규태]][br](Photon)''' || '''리카웬[br](Medzz)''' || '''리카웬[br](Medzz)''' || ===== 1세트 ===== ||<-4>
[[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파일:asci 2022 logo_white_notext.svg|width=25]]]] '''{{{#white T1 vs MAX 1세트[br](2022. 09. 23.)}}}''' || || '''WIN''' ||<-2> 30:28 || LOSS || || 10/5/24 ||<|2> '''MAX''' ||<|2> '''T1''' || 5/10/11 || || 55.0k || 51.8k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MAX, redteam=T1 Challengers , d_blueban1=칼리스타, d_blueban2=트런들, d_blueban3=사일러스, d_blueban4=유미, d_blueban5=드레이븐 , p_blueban1=kalista, p_blueban2=trundle, p_blueban3=sylas, p_blueban4=yuumi, p_blueban5=draven , d_redban1=탈리야, d_redban2=뽀삐, d_redban3=레넥톤, d_redban4=아리, d_redban5=아칼리 , p_redban1=taliyah, p_redban2=poppy, p_redban3=renekton, p_redban4=ahri, p_redban5=akali , d_bluepic1=아트록스, d_bluepic2=오공, d_bluepic3=갈리오, d_bluepic4=시비르, d_bluepic5=알리스타 , p_bluepic1=aatrox, p_bluepic2=wukong, p_bluepic3=galio, p_bluepic4=sivir, p_bluepic5=alistar , d_redpic1=이렐리아, d_redpic2=세주아니, d_redpic3=아지르, d_redpic4=닐라, d_redpic5=레나타 글라스크 , p_redpic1=irelia, p_redpic2=sejuani, p_redpic3=azir, p_redpic4=nilah, p_redpic5=renataGlasc)]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인게임 용 , dragon1=Cloud, dragon2=Infernal, dragon3=Hextech, dragonsoul=Hextech)] 2분 10초경, T1측의 네트워크 이슈로 퍼즈가 걸렸다. MAX가 드래곤을 '''2번이나''' 스틸하였고, 2번째 드래곤 스틸 이후 '''한타 대승'''을 거두며 그대로 게임을 끝내버렸다. T1의 경우 포톤과 트리거가 '''저점'''을 찍었다. 포톤은 시작부터 연속해서 데스를 기록했고, 트리거는 게임 내내 제대로 딜을 넣지 못하며 고작 '''5204''' 딜을 찍어버렸다. ===== 2세트 ===== ||<-4>
[[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파일:asci 2022 logo_white_notext.svg|width=25]]]] '''{{{#white T1 vs MAX 2세트[br](2022. 09. 23.)}}}''' || || LOSS ||<-2> 26:33 || '''WIN''' || || 25/7/57 ||<|2> '''T1''' ||<|2> '''MAX''' || 7/25/15 || || 56.0k || 42.9k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T1 Challengers, redteam=MAX , d_blueban1=탈리야, d_blueban2=뽀삐, d_blueban3=시비르, d_blueban4=바이, d_blueban5=비에고 , p_blueban1=taliyah, p_blueban2=poppy, p_blueban3=sivir, p_blueban4=vi, p_blueban5=viego , d_redban1=칼리스타, d_redban2=트런들, d_redban3=레넥톤, d_redban4=이렐리아, d_redban5=레나타 글라스크 , p_redban1=kalista, p_redban2=trundle, p_redban3=renekton, p_redban4=irelia, p_redban5=renataGlasc , d_bluepic1=나르, d_bluepic2=세주아니, d_bluepic3=사일러스, d_bluepic4=아펠리오스, d_bluepic5=탐켄치 , p_bluepic1=gnar, p_bluepic2=sejuani, p_bluepic3=sylas, p_bluepic4=aphelios, p_bluepic5=tahmKench , d_redpic1=아트록스, d_redpic2=오공, d_redpic3=아지르, d_redpic4=드레이븐, d_redpic5=노틸러스 , p_redpic1=aatrox, p_redpic2=wukong, p_redpic3=azir, p_redpic4=draven, p_redpic5=nautilus)]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인게임 용 , dragon1=Infernal, dragon2=Ocean, dragon3=Hextech, dragonsoul=)] 1세트에서 '''저점'''을 찍었던 [[경규태|포톤]]과 [[김의주|트리거]]가 오히려 이번 세트에서는 나르와 아펠을 잡고 '''활약'''했다. ===== 3세트 ===== ||<-4>
[[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파일:asci 2022 logo_white_notext.svg|width=25]]]] '''{{{#white T1 vs MAX 3세트[br](2022. 09. 23.)}}}''' || || LOSS ||<-2> 24:33 || '''WIN''' || || 8/20/23 ||<|2> '''MAX''' ||<|2> '''T1''' || 20/8/39 || || 38.4k || 52.3k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MAX, redteam=T1 Challengers , d_blueban1=칼리스타, d_blueban2=사일러스, d_blueban3=드레이븐, d_blueban4=바이, d_blueban5=세주아니 , p_blueban1=kalista, p_blueban2=sylas, p_blueban3=draven, p_blueban4=vi, p_blueban5=sejuani , d_redban1=탈리야, d_redban2=뽀삐, d_redban3=레넥톤, d_redban4=르블랑, d_redban5=아리 , p_redban1=taliyah, p_redban2=poppy, p_redban3=renekton, p_redban4=leblanc, p_redban5=ahri , d_bluepic1=오른, d_bluepic2=오공, d_bluepic3=코르키, d_bluepic4=루시안, d_bluepic5=나미 , p_bluepic1=ornn, p_bluepic2=wukong, p_bluepic3=corki, p_bluepic4=lucian, p_bluepic5=nami , d_redpic1=아트록스, d_redpic2=트런들, d_redpic3=아지르, d_redpic4=시비르, d_redpic5=룰루 , p_redpic1=aatrox, p_redpic2=trundle, p_redpic3=azir, p_redpic4=sivir, p_redpic5=lulu)]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인게임 용 , dragon1=Mountain, dragon2=Infernal, dragon3=Cloud, dragonsoul=)] 아트가 물리면서 불리할것 같던 T1이 [[서상원|톨란드]]의 '''미친 합류'''로 '''트리플 킬'''을 해냈다.[* [[경규태|포톤]]이 잘 버틴것도 어느정도 지분이 있었다.] 이어진 바론 한타에서 T1이 '''대승'''을 거두었다. 포톤이 2세트에 이어서 아트록스로 '''솔캐리'''를 했다고 무방할 정도의 경기였다.[* 심지어 상대 오른과의 딜량 차이가 '''1만'''이나 차이가 난다!] 반면 맥스는 가비와 메드지의 부진이 꽤나 뼈아팠다. 그리고 이 경기에서 레드인 T1이 승리하면서 '''블루 진영 전승'''이 깨졌다. ===== 4세트 ===== ||<-4>
[[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파일:asci 2022 logo_white_notext.svg|width=25]]]] '''{{{#white T1 vs MAX 4세트[br](2022. 09. 23.)}}}''' || || '''WIN''' ||<-2> 40:02 || LOSS || || 24/17/54 ||<|2> '''MAX''' ||<|2> '''T1''' || 17/24/46 || || 80.0k || 71.4k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MAX, redteam=T1 Challengers , d_blueban1=칼리스타, d_blueban2=사일러스, d_blueban3=아지르, d_blueban4=이렐리아, d_blueban5=그웬 , p_blueban1=kalista, p_blueban2=sylas, p_blueban3=azir, p_blueban4=irelia, p_blueban5=gwen , d_redban1=레넥톤, d_redban2=뽀삐, d_redban3=탈리야, d_redban4=레나타 글라스크, d_redban5=유미 , p_redban1=renekton, p_redban2=poppy, p_redban3=taliyah, p_redban4=renataGlasc, p_redban5=yuumi , d_bluepic1=아트록스, d_bluepic2=트런들, d_bluepic3=아리, d_bluepic4=시비르, d_bluepic5=아무무 , p_bluepic1=aatrox, p_bluepic2=trundle, p_bluepic3=ahri, p_bluepic4=sivir, p_bluepic5=amumu , d_redpic1=세주아니, d_redpic2=비에고, d_redpic3=스웨인, d_redpic4=아펠리오스, d_redpic5=알리스타 , p_redpic1=sejuani, p_redpic2=viego, p_redpic3=swain, p_redpic4=aphelios, p_redpic5=alistar)]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인게임 용 , dragon1=Mountain, dragon2=Infernal, dragon3=Cloud, dragonsoul=Cloud)] ===== 5세트 ===== ||<-4>
[[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파일:asci 2022 logo_white_notext.svg|width=25]]]] '''{{{#white T1 vs MAX 5세트[br](2022. 09. 23.)}}}''' || || '''WIN''' / LOSS ||<-2> 00:00 || '''WIN''' / LOSS || || K/D/A ||<|2> '''T1''' ||<|2> '''MAX''' || K/D/A || || 00.0k || 00.0k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T1 Challengers, redteam=MAX , d_blueban1=탈리야, d_blueban2=뽀삐, d_blueban3=시비르, d_blueban4=룰루, d_blueban5=노틸러스 , p_blueban1=taliyah, p_blueban2=poppy, p_blueban3=sivir, p_blueban4=lulu, p_blueban5=nautilus , d_redban1=칼리스타, d_redban2=레넥톤, d_redban3=아지르, d_redban4=유미, d_redban5=루시안 , p_redban1=kalista, p_redban2=renekton, p_redban3=azir, p_redban4=yuumi, p_redban5=lucian , d_bluepic1=이렐리아, d_bluepic2=세주아니, d_bluepic3=아칼리, d_bluepic4=케이틀린, d_bluepic5=럭스 , p_bluepic1=irelia, p_bluepic2=sejuani, p_bluepic3=akali, p_bluepic4=caitlyn, p_bluepic5=lux , d_redpic1=아트록스, d_redpic2=오공, d_redpic3=사일러스, d_redpic4=아펠리오스, d_redpic5=레나타 글라스크 , p_redpic1=aatrox, p_redpic2=wukong, p_redpic3=sylas, p_redpic4=aphelios, p_redpic5=renataGlasc)]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인게임 용 , dragon1=Cloud, dragon2=Infernal, dragon3=Cloud, dragonsoul=)] T1이 '''요즘 메타 챔피언'''을 주고 마치 '''2022 LCK 스프링'''을 보는 듯한 조합을 꺼내들었다. 세주아니를 선픽하면서 이번 시리즈 3승 1패 3하드캐리를 적립 중이던 아트록스를 레드로 넘겨줬으며, 그 아트록스의 카운터로 2세트 결자해지한 나르 대신 1세트 최악의 모습을 보여준 이렐리아를 도로 꺼내들었다. ~~그리고 더 망했다...~~ 바텀의 케이틀린 럭스 역시 럭스의 점멸이 1렙에 빠지면서 시청하는 T1 팬들의 MSI 트라우마를 재발시켰다. 33분 경, MAX측의 프로그램 드라이버 이슈로 퍼즈가 걸렸다. ===== 2경기 총평 ===== T1이 4세트까지는 무난무난하게 흘러가는 밴픽을 하는 것 같았으나, 5세트에서 갑자기 '''[[2022 Mid-Season Invitational/결승#s-5.5|이해 할수 없는 픽]]'''을 꺼내 들었다.[* 무슨 수가 있었다 해도 T1한테는 '''최악수'''였을 것이다.] 결국 T1의 선택은 T1 1군이 MSI에서 보여준 '''진-유미'''만큼이나 '''최악의 픽'''이였으며, 도대체 왜 아직도 그런 픽을 꺼내들었는지는 의문이다. 그 덕에 MAX는 5세트를 거의 '''꽁으로 먹고''' 결승에 진출하게 되었다. == 4강 총평 == LDL도 LPL 못지 않게 '''난전에서의 강함'''을 보여준 경기들이 많았다. 이로써 결승은 LDL 내전으로 치러지게 되었다. === 결승 진출 - [[Edward Gaming HYCAN#s-6|EDG.Y]] === [[파일: EDGY WIN.png]] FPB를 상대로 3-2 승리를 거두며 결승에 '''제일 먼저''' 진출하게 되었다. 확실한 건, EDG.Y는 운영보단 '''끝없는 교전'''을 통해서 이득을 '''극한으로''' 가져가거나, 손해를 이득으로 '''메꾸는''' 장면이 많이 보였다. === 결승 진출 - [[MAX(프로게임단)|MAX]] === [[파일: MAX WIN.png]] LPL의 하위 리그답게 난전에서의 공격성, 무력을 '''똑똑히''' 보여주면서 T1을 꺾고 결승에 진출하였다. === 탈락 - [[T1 Challengers|T1]] === [[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결산#s-3.2.2.1.]] 항목 참조. === 탈락 - [[FPX/리그 오브 레전드#s-6|FPB]] === [[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결산#s-3.2.2.2.]] 항목 참조. [[분류: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4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