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경기 종목)] [include(틀: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축구(남자))] [목차] == 개요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축구(남자)|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남자축구]] 준결승에 대해 서술한 문서. == 준결승 진출팀 == === [[서아시아 축구 연맹|서아시아(WAFF)]] 0/1 === ||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75]]]] || ||<#008000>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30]] {{{#fff '''사우디아라비아'''}}}]] || || '''vs 우즈베키스탄 : 1-2 패''' || 서아시아의 유일한 8강 진출 팀 사우디아라비아는 우즈벡에게 전반 2골을 실점하고 탈락하였다. 이로써 서아시아는 전부 탈락하였다. === [[중앙아시아 축구 연맹|중앙아시아(CAFA)]] 1/2 === ||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75]]]] ||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FA emblem.png|height=75]]]] || ||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이란 국기.svg|width=30]] {{{#red '''이란'''}}}]] ||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width=30]] {{{#ffffff '''우즈베키스탄'''}}}]] || || '''vs 홍콩 : 0-1 패''' || '''vs 사우디아라비아 : 2-1 승''' || 중동의 강자 사우디아라비아를 2:1로 물리친 우즈베키스탄만 살아남았다. 이란은 약체 홍콩에게 1:0 충격패를 당했고, 이로써 전통의 강자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가 모두 아시안 게임에서 조기 퇴장했다. 결국 이란과 사우디는 A대표팀 축구 수준에 비해 최근 아시안 게임에서 연이어 부진했던 흐름을 끊지 못했다.[* 이란의 마지막 축구 메달은 2006 도하 아시안게임 동메달, 사우디는 1986 서울 아시안게임 은메달이 마지막이다. 특히 이란은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조별리그 최하위 탈락,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16강 탈락 등 계속해서 최악의 흐름을 보이고 있다. 사우디 또한 2014 인천 아시안 게임과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에 이어 이번에도 8강에서 탈락하는 징크스를 이어나갔다.] === [[동아시아 축구 연맹|동아시아(EAFF)]] 3/5 === ||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중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75]]]] || [[홍콩 축구 국가대표팀|[[파일:홍콩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75]]]] ||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height=75]]]]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0 0%, #F00 20%, #F00 80%, #FF0)"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ff0 '''중국'''}}}]]}}} || [[홍콩 축구 국가대표팀|[[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30]] {{{#fff '''홍콩'''}}}]]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51B2 0%, #263164 30%, #263164 70%, #0051B2)"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fff '''일본'''}}}]]}}} || || '''vs 대한민국 0-2 패''' || '''vs 이란 : 1-0 승''' || '''vs 북한 : 2-1 승''' || ||<-3>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75]]]] ||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북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75]]]] || ||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000 '''대한민국'''}}}]] ||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북한 국기.svg|width=30]] {{{#fff '''북한'''}}}]] || || '''vs 중국 2-0 승''' || '''vs 일본 : 1-2 패''' ||}}} || 탈락한 팀들은 모두 같은 동아시아 팀과의 대결에서 걸렸다. 홍콩이 최악의 상대로 평가받던 강적 이란을 만났으나 1:0으로 꺾고 진출하는 쾌거를 이루어냈다. 대한민국은 거친 플레이를 구사하던 중국을 압도적인 실력으로 2:0으로 찍어누르고 51,000명이 넘는 중국 홈 관중을 침묵시키며 4강에 올랐고, 일본도 북한을 상대로 생각 이상으로 고전하긴 했지만 2:1 승리를 거두며 4강에 올랐다.[* 공교롭게도 대표적인 반서방 진영으로 꼽히는 중국, 북한, 이란이 모두 탈락했다.] == 경기 == === 1경기 홍콩 0 : 4 일본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d0b7c 0%, #FFFFFF 20%, #FFFFFF 80%, #dd0b7c)" [[파일: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로고.svg|width=80]][br]'''{{{#433feb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남자축구 준결승 1경기}}}'''[br]'''{{{#433feb 2023. 10. 04. (수) 19:00 (UTC+9)}}}'''}}} || ||<-3> '''[[샤오산 스포츠 센터 경기장|{{{#fff 샤오산 스포츠 센터 경기장}}}]] [[항저우시|{{{#fff (중국, 항저우)}}}]]''' || ||<-3> '''{{{#fff 주심: 카심 마타르 알 타미 (오만)}}}''' || ||<-3> '''{{{#fff 관중: 7,456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4%, #de2910 4%, #de2910 96%, #ffffff 96%)" [[파일:홍콩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100]]}}} ||<|2> '''{{{+5 0 : 4}}}'''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B1E40 2%, transparent 2%, transparent 98%, #CB1E40 98%), linear-gradient(45deg, #0073E5 15%, #FFF 20%, #0073E5 25%, #0073E5 35%, #FFF 40%, #0073E5 45%, #0073E5 55%, #FFF 60%, #0073E5 65%, #0073E5 75%, #FFF 80%, #0073E5 85%)" [[파일: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height=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4%, #de2910 4%, #de2910 96%, #ffffff 96%)" [[홍콩 축구 국가대표팀#s-4.1|[[파일:홍콩 국기.svg|width=30]] {{{#ffffff '''홍콩'''}}}]]}}} ||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s-9.1|[[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fff100 '''일본'''}}}]] || || '''-'''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23' 아유카와 슌'''[br]'''54', 86' 히노 쇼타'''[br]'''74' 코미 요타'''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dd0b7c, #b223ba, #433feb)" {{{#fff '''[[https://info.hangzhou2022.cn/en/results/football/results-men-sfnl-000200-.htm|{{{#fff 매치 리포트}}}]] | [[|{{{#fff 경기 하이라이트}}}]]'''}}}}}}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축구(남자)/8강 2경기|이란을 1:0으로 이기고 4강에 진출한]] 홍콩과 북한과의 맞대결에서 혈전 끝에 2:1로 승리를 거두고 4강에 진출한 일본의 맞대결이다. 하지만 아무리 홍콩이 이란을 잡았다 한들, 양 팀의 전력상 일본의 무난한 승리는 물론 대승이 예상되는게 현실이다. 홍콩은 그래도 이란이라는 나름 금메달 후보를 잡은 만큼,[* 아시안 게임에서는 힘을 빼고 출전하는 국가들이 많지만, 이란은 한국과 마찬가지로 병역 문제가 걸려있기 때문에 되도록 최고의 전력을 꾸려서 대회에 나선다.] 그리고 처음으로 4강에 올라온 만큼 단순한 [[공은 둥글다|이변]]을 넘어 더 높은 곳을 원할 것이다. 일본이 예상대로 무난히 승리할 경우 지난 2018 아시안 게임에 이어 또 다시 한국을 결승전에서 상대하게 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홍콩이 승리할 경우 사상 첫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결승 진출이 된다. 다만 홍콩은 중국의 일부로 간주되는 만큼[* 물론 선수들이나 홍콩 사람들이 사실상 중국화가 된 [[일국양제]]를 어떻게 바라보는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중국이 한국에게 0:2로 패했고, 중국의 혐일은 혐한보다도 훨씬 강한 만큼 자존심을 위해서라도 홍콩을 응원하게 될 테니 홍콩의 입장이니 하는 건 어차피 뒷전이 될 게 뻔하다.] 중국과 동일한 홈 어드벤티지를 받을 가능성이 있다. 즉, 편파판정과 중국 관중의 일방적인 응원이 벌어질 수 있다는 뜻이다. 특히나 일본은 중국과 사이 안 좋은 게 한국 못지 않은 나라이니만큼 더욱 그렇다. 경기 결과 일본이 홍콩을 싱겁게 이겨버리고 결승에 진출했다. 또한 한국이 우즈벡을 꺾고 결승에 진출하면서 지지난 대회 8강 및 지난 대회 결승에 이어 이번에도 한일전이 성사되었다. 앞선 두 경기는 모두 한국이 승리했다. === 2경기 [[황선홍호/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우즈베키스탄전|대한민국 2 : 1 우즈베키스탄]]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d0b7c 0%, #FFFFFF 20%, #FFFFFF 80%, #dd0b7c)" [[파일: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로고.svg|width=80]][br]'''{{{#433feb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남자축구 준결승 2경기}}}'''[br]'''{{{#433feb 2023. 10. 04. (수) 21:00 (UTC+9)}}}'''}}} || ||<-3> '''[[황룽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fff 황룽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 [[항저우시|{{{#fff (중국, 항저우)}}}]]''' || ||<-3> '''{{{#fff 주심: 아마르 아시카나니 (쿠웨이트)}}}''' || ||<-3> '''{{{#fff 관중:38,018명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0 3%, transparent 3%, transparent 20%, #E6002D 20%), linear-gradient(to right, #E6002D 0%, #C50C2D 2.5%, #E6002D 5%, #C50C2D 7.5%, #E6002D 10%, #C50C2D 12.5%, #E6002D 15%, #C50C2D 17.5%, #E6002D 20%, #C50C2D 22.5%, #E6002D 25%, #C50C2D 27.5%, #E6002D 30%, #C50C2D 32.5%, #E6002D 35%, #C50C2D 37.5%, #E6002D 40%, #C50C2D 42.5%, #E6002D 45%, #C50C2D 47.5%, #E6002D 50%, #C50C2D 52.5%, #E6002D 55%, #C50C2D 57.5%, #E6002D 60%, #C50C2D 62.5%, #E6002D 65%, #C50C2D 67.5%, #E6002D 70%, #C50C2D 72.5%, #E6002D 75%, #C50C2D 77.5%, #E6002D 80%, #C50C2D 82.5%, #E6002D 85%, #C50C2D 87.5%, #E6002D 90%, #C50C2D 92.5%, #E6002D 95%, #C50C2D 97.5%, #E6002D)"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빨간색 로고.svg|height=100]]}}} ||<|2> '''{{{+5 2 : 1}}}'''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1468b3 2%, #fff 2%, #fff 4%, #1eb53a 4%, #1eb53a 6%, #ffffff 6%, #ffffff 25%, #e6f5f8 25%)" [[파일:UFA emblem.png|height=100]]}}} || ||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000000 '''대한민국'''}}}]] ||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s-9.1|[[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width=30]] {{{#1468B3 '''우즈베키스탄'''}}}]] || || '''4', 38' [[정우영(1999년생 축구선수)|{{{#000,#ddd 정우영}}}]][br]'''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25' [[자수르베크 잘롤리디노프|{{{#000,#ddd 자수르베크 잘롤리디노프}}}]]''' || || '''-''' || [[파일:경고 퇴장 아이콘.svg|height=20]] || '''73' [[압두라우프 부리예프|{{{#000 압두라우프 부리예프}}}]]'''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dd0b7c, #b223ba, #433feb)" {{{#fff '''[[https://info.hangzhou2022.cn/en/results/football/results-men-sfnl-000100-.htm|{{{#fff 매치 리포트}}}]] | [[|{{{#fff 경기 하이라이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황선홍호/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우즈베키스탄전)] [[분류: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축구(남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