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경기 종목)] [include(틀: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축구(남자))] [목차] == 개요 == || '''{{{#fff 순위}}}''' ||<-2> '''{{{#fff 팀명}}}''' || '''{{{#fff 경기수}}}''' || '''{{{#fff 승}}}''' || '''{{{#fff 무}}}''' || '''{{{#fff 패}}}''' || '''{{{#fff 득점}}}''' || '''{{{#fff 실점}}}''' || '''{{{#fff 득실차}}}''' || '''{{{#fff 승점}}}''' || {{{#ffffff '''비고'''}}} || || '''{{{#000,#fff 1}}}''' || [[파일:북한 국기.svg|width=30]] ||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373a3c,#dddddd '''북한'''}}}]] || 3 || 3 || 0 || 0 || 4 || 0 || '''+4''' || '''9''' || || || '''{{{#000,#fff 2}}}''' ||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width=30]] || [[키르기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373a3c,#dddddd '''키르기스스탄'''}}}]] || 3 || 1 || 0 || 2 || 4 || 4 || '''0''' || '''3''' || || || '''{{{#000,#fff 3}}}'''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30]] ||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373a3c,#dddddd '''인도네시아'''}}}]] || 3 || 1 || 0 || 2 || 2 || 2 || '''0''' || '''3''' || || || '''{{{#000,#fff 4}}}''' ||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width=30]] || [[대만 축구 국가대표팀|{{{#373a3c,#dddddd '''대만'''}}}]] || 3 || 1 || 0 || 2 || 2 || 6 || '''-4''' || '''3''' || || ||<-12> {{{#8E8,#098004 '''■'''}}} 16강 진출 | {{{#FBB,#800000 '''■'''}}} 탈락 || ---- '''승자승: 북한 제외 나머지 세 팀 승점 동률. 키르기스스탄 4득점 3실점(+1), 인도네시아 3득점 2실점(+1), 대만 2득점 4실점(-2).'''[* 아시안 게임에서 승자승 타이브레이커가 일부만 깨진 경우, 남은 팀들끼리 승자승을 처음부터 다시 적용하지 않고, 그대로 남은 타이브레이커 목록을 따라간다. 따라서 인도네시아가 키르기스스탄을 이기긴 했으나, 이는 반영되지 않고, 북한 제외 나머지 세 팀간 다득점으로 두 팀의 순위가 결정되었다.]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축구(남자)]] 조별리그 F조에 대해 서술한 문서. [[신태용]]의 인도네시아가 최근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어 16강 진출 확률이 높고, 키르기스스탄도 잘만 하면 16강 정도는 노릴 전력이 된다. 그리고 도무지 예측을 할 수 없는 미지의 팀 북한이 있다는 것이 함정이다. 다만 아시안 게임에서는 전통적으로 그래도 나쁘지 않은 모습을 보여 왔기에 북한의 조 1위 가능성을 높게 점치기도 한다. == 각 국가별 상대전적 및 전력분석 == * 북한 vs 인도네시아 * 역대 전적: * 최근 맞대결: * 북한 vs 키르기스스탄 * 역대 전적: * 최근 맞대결: * 북한 vs 대만 * 역대 전적: * 최근 맞대결: * 대만 vs 인도네시아 * 역대 전적: * 최근 맞대결: 2023년 9월 9일, AFC U-23 아시안컵 예선 9 : 0 인도네시아 승 * 대만 vs 키르기스스탄 * 역대 전적: * 최근 맞대결: * 키르기스스탄 vs 인도네시아 * 역대 전적: * 최근 맞대결: ===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s-7.1|[[파일:북한 국기.svg|width=30]] 북한]] === * 지난대회 성적: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8강[* 7위] * 최근 3대회 결과: 8강[* 5위](2010) - {{{#C0C0C0 은메달}}}(2014) - 8강[* 7위](2018) * 감독: [[파일:북한 국기.svg|width=30]] 신용남 * 핵심선수: 이름(클럽/국가) ===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s-5.1|[[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30]] 인도네시아]] === * 지난대회 성적: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16강[* 9위] * 최근 3대회 결과: 불참(2010) - 16강[* 11위](2014) - 16강[* 9위](2018) * 감독: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30]] 인드라 샤프리가 * 핵심선수: 이름(클럽/국가) === [[키르기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s-3.1|[[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width=30]] 키르기스스탄]] === * 지난대회 성적: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조별리그[* 2018 대회 21위(23강 조별리그)] * 최근 3대회 결과: 조별리그[* 2010 대회 23위(24강 조별리그)](2010) - 16강[* 16위](2014) - 조별리그[* 2018 대회 21위(23강 조별리그)](2018) * 감독: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width=30]] 누르베크 졸도쇼프 * 핵심선수: 이름(클럽/국가) === [[대만 축구 국가대표팀#s-5.1|[[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width=30]] 대만]] === * 지난대회 성적: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조별리그[* 2018 대회 23위(25강 조별리그)] * 최근 3대회 결과: 불참(2010) - 불참(2014) - 조별리그[* 2018 대회 23위(25강 조별리그)](2018) * 감독: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width=30]] 쩡타이린 * 핵심선수: 이름(클럽/국가) == 1경기: 북한 2 : 0 대만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d0b7c 0%, #FFFFFF 20%, #FFFFFF 80%, #dd0b7c)" [[파일: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로고.svg|width=80]][br]'''{{{#433feb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남자축구 F조 1경기}}}'''[br]'''{{{#433feb 2023. 09. 19. (화) 17:00 (UTC+9)}}}'''}}} || ||<-3> '''[[저장사범대학 이스트 스타디움|{{{#fff 저장사범대학 이스트 스타디움}}}]] [[진화시|{{{#fff (중국, 진화)}}}]]''' || ||<-3> '''{{{#fff 주심: 유시프 사이드 하산 (이라크)}}}''' || ||<-3> '''{{{#fff 관중: 1,248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3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1100 5%, #FFFFFF 5%, #FFFFFF 7%, #FF1100 7%, #FF1100 93%, #FFFFFF 93%, #FFFFFF 95%, #FF1100 95%)" [[파일:북한 국기.svg|height=50]]}}} ||<|2> '''{{{+5 2 : 0}}}'''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82567 5%, transparent 5%), linear-gradient(to right, #063197 9.95%, transparent 9.95%, transparent 10.95%, #063197 10.95%, #063197 21.25%, transparent 21.25%, transparent 22.25%, #063197 22.25%, #063197 32.55%, transparent 32.55%, transparent 33.55%, #063197 33.55%, #063197 43.85%, transparent 43.85%, transparent 44.85%, #063197 44.85%, #063197 55.15%, transparent 55.15%, transparent 56.15%, #063197 56.15%, #063197 66.45%, transparent 66.45%, transparent 67.45%, #063197 67.45%, #063197 77.75%, transparent 77.75%, transparent 78.75%, #063197 78.75%, #063197 89.05%, transparent 89.05%, transparent 90.05%, #063197 90.05%), linear-gradient(30deg, #fff, #051584, #051584, #fff, #051584, #051584, #fff, #051584, #051584, #fff, #051584, #051584, #fff, #051584, #051584, #fff)" [[파일:Chinese_Taipei_FA.png|height=100]]}}} || ||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s-7.1|[[파일:북한 국기.svg|width=30]] {{{#fff '''북한'''}}}]] || [[대만 축구 국가대표팀#s-5.1|[[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width=30]] {{{#fff '''대만'''}}}]] || || '''7' 리조국'''[br]'''12' 김국진'''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dd0b7c, #b223ba, #433feb)" {{{#fff '''[[https://info.hangzhou2022.cn/en/results/football/results-men-gpf-000100-.htm|{{{#fff 매치 리포트}}}]] | [[|{{{#fff 경기 하이라이트}}}]]'''}}}}}} || [[2020 AFC U-23 챔피언십|2020년 U-23 아시아 챔피언십]] 대회 이후로, 북한축구의 거의 4년만의 국제대회 복귀전이 되었다. 4년이라는 긴 시간이 흐르면서 아무 경기도 안치렀기 때문에,[* 단순 친선전등 아예 축구 경기자체를 안했다. 타 스포츠도 마찬가지.] 그만큼 북한의 전력도 매우 쇠약해졌을거라 예상하는 이들도 많았다. 하지만 비록 대만이 약체라 하지만 12분만에 2골을 넣는 등 공격 축구를 보여주며 나쁘지 않은 모습을 보여줬다. 이로써 적어도 아시안게임 레벨에서는 8강 - 은메달 - 8강이라는 지난 성적이 말해주듯 북한 또한 이번 대회에서 충분한 난적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줬다. == 2경기: 인도네시아 2 : 0 키르기스스탄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d0b7c 0%, #FFFFFF 20%, #FFFFFF 80%, #dd0b7c)" [[파일: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로고.svg|width=80]][br]'''{{{#433feb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남자축구 F조 2경기}}}'''[br]'''{{{#433feb 2023. 09. 19. (화) 20:30 (UTC+9)}}}'''}}} || ||<-3> '''[[저장사범대학 이스트 스타디움|{{{#fff 저장사범대학 이스트 스타디움}}}]] [[진화시|{{{#fff (중국, 진화)}}}]]''' || ||<-3> '''{{{#fff 주심: 아이사 바라라 (팔레스타인)}}}''' || ||<-3> '''{{{#fff 관중: 1,445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0 7%, transparent 7%),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3%, #ff0000 13%, #ff0000 15%, transparent 25%, transparent 27%, #ff0000 37%, #ff0000 39%, transparent 49%, transparent 51%, #ff0000 62%, #ff0000 63%, transparent 73%, transparent 74%, #ff0000 85%, #ff0000 87%, transparent 97%), linear-gradient(20deg, #cc0000, #ff0000 10%, #cc0000 20%, #ff0000 30%, #cc0000 40%, #ff0000 50%, #cc0000 60%, #ff0000 70%, #cc0000 80%, #ff0000 90%, #cc0000)" [[파일:dlsehsptldk cnrrn tls fhrh.png|height=100]]}}} ||<|2> '''{{{+5 2 : 0}}}'''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 2%, #000 2%, #000 5%, transparent 5%), linear-gradient(to right, #eee 3%, #fff 3%, #fff 6%, #eee 6%, #eee 9%, #fff 9%, #fff 12%, #eee 12%, #eee 15%, #fff 15%, #fff 18%, #eee 18%, #eee 21%, #fff 21%, #fff 24%, #eee 24%, #eee 27%, #fff 27%, #fff 30%, #eee 30%, #eee 33%, #fff 33%, #fff 36%, #eee 36%, #eee 39%, #fff 39%, #fff 42%, #eee 42%, #eee 45%, #fff 45%, #fff 48%, #eee 48%, #eee 51%, #fff 51%, #fff 54%, #eee 54%, #eee 57%, #fff 57%, #fff 60%, #eee 60%, #eee 63%, #fff 63%, #fff 66%, #eee 66%, #eee 69%, #fff 69%, #fff 72%, #eee 72%, #eee 75%, #fff 75%, #fff 78%, #eee 78%, #eee 81%, #fff 81%, #fff 84%, #eee 84%, #eee 87%, #fff 87%, #fff 90%, #eee 90%, #eee 93%, #fff 93%, #fff 96%, #eee 96%)" [[파일:키르기스스탄 축구 연합 로고.png|height=100]]}}} || ||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s-5.1|[[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30]] {{{#fff '''인도네시아'''}}}]] || [[키르기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s-3.1|[[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width=30]] {{{#000 '''키르기스스탄'''}}}]] || || '''58' 루마키예크 [br]90' 사미르'''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dd0b7c, #b223ba, #433feb)" {{{#fff '''[[https://info.hangzhou2022.cn/en/results/football/results-men-gpf-000200-.htm|{{{#fff 매치 리포트}}}]] | [[|{{{#fff 경기 하이라이트}}}]]'''}}}}}} || [[신태용]] 감독이 아시안 게임 지휘봉을 내려놓아서 한국 팬 입장에서는 다소 기대치가 낮아지게 된 인도네시아 팀이었다. 그러나 반드시 잡아야 할 팀 중 하나였던 키르기스스탄을 일찌감치 잡아내며 페이스를 끌어올리는데 성공했다. == 3경기: 대만 1 : 0 인도네시아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d0b7c 0%, #FFFFFF 20%, #FFFFFF 80%, #dd0b7c)" [[파일: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로고.svg|width=80]][br]'''{{{#433feb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남자축구 F조 3경기}}}'''[br]'''{{{#433feb 2023. 09. 21. (목) 17:00 (UTC+9)}}}'''}}} || ||<-3> '''[[저장사범대학 이스트 스타디움|{{{#fff 저장사범대학 이스트 스타디움}}}]] [[진화시|{{{#fff (중국, 진화)}}}]]''' || ||<-3> '''{{{#fff 주심: 모하메드 자비즈 (몰디브)}}}''' || ||<-3> '''{{{#fff 관중: 894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82567 5%, transparent 5%), linear-gradient(to right, #063197 9.95%, transparent 9.95%, transparent 10.95%, #063197 10.95%, #063197 21.25%, transparent 21.25%, transparent 22.25%, #063197 22.25%, #063197 32.55%, transparent 32.55%, transparent 33.55%, #063197 33.55%, #063197 43.85%, transparent 43.85%, transparent 44.85%, #063197 44.85%, #063197 55.15%, transparent 55.15%, transparent 56.15%, #063197 56.15%, #063197 66.45%, transparent 66.45%, transparent 67.45%, #063197 67.45%, #063197 77.75%, transparent 77.75%, transparent 78.75%, #063197 78.75%, #063197 89.05%, transparent 89.05%, transparent 90.05%, #063197 90.05%), linear-gradient(30deg, #fff, #051584, #051584, #fff, #051584, #051584, #fff, #051584, #051584, #fff, #051584, #051584, #fff, #051584, #051584, #fff)" [[파일:Chinese_Taipei_FA.png|height=100]]}}} ||<|2> '''{{{+5 1 : 0}}}'''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0 7%, transparent 7%),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3%, #ff0000 13%, #ff0000 15%, transparent 25%, transparent 27%, #ff0000 37%, #ff0000 39%, transparent 49%, transparent 51%, #ff0000 62%, #ff0000 63%, transparent 73%, transparent 74%, #ff0000 85%, #ff0000 87%, transparent 97%), linear-gradient(20deg, #cc0000, #ff0000 10%, #cc0000 20%, #ff0000 30%, #cc0000 40%, #ff0000 50%, #cc0000 60%, #ff0000 70%, #cc0000 80%, #ff0000 90%, #cc0000)" [[파일:dlsehsptldk cnrrn tls fhrh.png|height=100]]}}} || || [[대만 축구 국가대표팀#s-5.1|[[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width=30]] {{{#fff '''대만'''}}}]] ||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s-5.1|[[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30]] {{{#fff '''인도네시아'''}}}]] || || '''47' 친웬옌'''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dd0b7c, #b223ba, #433feb)" {{{#fff '''[[https://info.hangzhou2022.cn/en/results/football/results-men-gpf-000300-.htm|{{{#fff 매치 리포트}}}]] | [[|{{{#fff 경기 하이라이트}}}]]'''}}}}}} || 한때 아시안 게임 축구 강호에서 완전히 동네북 신세를 면치 못하던 대만이 자신보다 몇 수 위인 인도네시아에 일격을 먹이며 충격을 선사했고, 졸지에 F조의 판도를 혼돈 속으로 만들었다. 며칠 전 U-23 아시안컵 예선경기에서 인도네시아 팀이 대만에 9대 0 대승을 거뒀는데, 그 당시의 팀 구성과 이 경기의 팀 구성이 상당히 다르긴 했다. 전반적으로 아시아의 23세 이하 국가대표팀이 아시안 게임보다는 동연령대 AFC 대회 준비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인도네시아도 예외는 아니었던 것. 2014년 인천 대회 당시에는 일본이 네팔에 1점차 힘겨운 승리를 거두고 베트남에 지기도 했으며, 이란도 1대 4로 베트남에 시원하게 털리는 등 알아서 이변을 만들어줬다. 사실 올림픽 축구의 아시아 예선인 AFC U-23 아시안컵이 2010년대에 생겨나고, 이 대회의 예선은 아시안게임 직전에 열리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일정이 겹치는 경우가 많기에, 주력으로 밀어붙이는 대회가 아니면 대부분의 팀이 상당히 힘을 빼고 나오는 것이다. 참고로, 대만의 인도네시아전 승리는 아시안 게임 축구대회에서 무려 65년만에 승리한 경기다. == 4경기: 키르기스스탄 0 : 1 북한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d0b7c 0%, #FFFFFF 20%, #FFFFFF 80%, #dd0b7c)" [[파일: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로고.svg|width=80]][br]'''{{{#433feb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남자축구 F조 4경기}}}'''[br]'''{{{#433feb 2023. 09. 21. (목) 20:30 (UTC+9)}}}'''}}} || ||<-3> '''[[저장사범대학 이스트 스타디움|{{{#fff 저장사범대학 이스트 스타디움}}}]] [[진화시|{{{#fff (중국, 진화)}}}]]''' || ||<-3> '''{{{#fff 주심: 알리 리다 (레바논)}}}''' || ||<-3> '''{{{#ffffff 관중: 1,235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 2%, #ED1B24 2%, #ED1B24 5%, transparent 5%), linear-gradient(to right, #ff0000 3%, #ED1B24 3%, #ED1B24 6%, #ff0000 6%, #ff0000 9%, #ED1B24 9%, #ED1B24 12%, #ff0000 12%, #ff0000 15%, #ED1B24 15%, #ED1B24 18%, #ff0000 18%, #ff0000 21%, #ED1B24 21%, #ED1B24 24%, #ff0000 24%, #ff0000 27%, #ED1B24 27%, #ED1B24 30%, #ff0000 30%, #ff0000 33%, #ED1B24 33%, #ED1B24 36%, #ff0000 36%, #ff0000 39%, #ED1B24 39%, #ED1B24 42%, #ff0000 42%, #ff0000 45%, #ED1B24 45%, #ED1B24 48%, #ff0000 48%, #ff0000 51%, #ED1B24 51%, #ED1B24 54%, #ff0000 54%, #ff0000 57%, #ED1B24 57%, #ED1B24 60%, #ff0000 60%, #ff0000 63%, #ED1B24 63%, #ED1B24 66%, #ff0000 66%, #ff0000 69%, #ED1B24 69%, #ED1B24 72%, #ff0000 72%, #ff0000 75%, #ED1B24 75%, #ED1B24 78%, #ff0000 78%, #ff0000 81%, #ED1B24 81%, #ED1B24 84%, #ff0000 84%, #ff0000 87%, #ED1B24 87%, #ED1B24 90%, #ff0000 90%, #ff0000 93%, #ED1B24 93%, #ED1B24 96%, #ff0000 96%)" [[파일:키르기스스탄 축구 연합 로고 화이트.png|height=100]]}}} ||<|2> '''{{{+5 0 : 1}}}'''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5%, #FF1100 5%, #FF1100 7%, #FFFFFF 7%, #FFFFFF 93%, #FF1100 93%, #FF1100 95%, #FFFFFF 95%)" [[파일:북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100]]}}} || || [[키르기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s-3.1|[[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width=30]] {{{#fff '''키르기스스탄'''}}}]] ||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s-7.1|[[파일:북한 국기.svg|width=30]] {{{#000 '''북한'''}}}]] || || '''-'''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20' 김국진'''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dd0b7c, #b223ba, #433feb)" {{{#fff '''[[https://info.hangzhou2022.cn/en/results/football/results-men-gpf-000400-.htm|{{{#fff 매치 리포트}}}]] | [[https://youtu.be/GljZjq_h-ZA?si=OodAkmnfvOviYmR1|{{{#fff 경기 하이라이트}}}]]'''}}}}}} || 키르기스스탄은 두 번째 경기에서마저 득점을 올리지 못하고 0대 1로 무기력하게 패했으며, 2경기 무득점 전패의 수렁에 빠졌다. 북한의 전력이 전혀 녹슬지 않았다는 것만 확인시켜준 것은 덤. == 5-1경기: 키르기스스탄 4 : 1 대만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d0b7c 0%, #FFFFFF 20%, #FFFFFF 80%, #dd0b7c)" [[파일: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로고.svg|width=80]][br]'''{{{#433feb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남자축구 F조 5-1경기}}}'''[br]'''{{{#433feb 2023. 09. 24. (일) 17:00 (UTC+9)}}}'''}}} || ||<-3> '''[[진화 스타디움|{{{#ffffff '''진화 스포츠센터 스타디움'''}}}]] [[진화시|{{{#ffffff '''(중국, 진화)'''}}}]]''' || ||<-3> '''{{{#fff 주심: 페라스 타윌 (시리아)}}}''' || ||<-3> '''{{{#ffffff 관중: 16,973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 2%, #ED1B24 2%, #ED1B24 5%, transparent 5%), linear-gradient(to right, #ff0000 3%, #ED1B24 3%, #ED1B24 6%, #ff0000 6%, #ff0000 9%, #ED1B24 9%, #ED1B24 12%, #ff0000 12%, #ff0000 15%, #ED1B24 15%, #ED1B24 18%, #ff0000 18%, #ff0000 21%, #ED1B24 21%, #ED1B24 24%, #ff0000 24%, #ff0000 27%, #ED1B24 27%, #ED1B24 30%, #ff0000 30%, #ff0000 33%, #ED1B24 33%, #ED1B24 36%, #ff0000 36%, #ff0000 39%, #ED1B24 39%, #ED1B24 42%, #ff0000 42%, #ff0000 45%, #ED1B24 45%, #ED1B24 48%, #ff0000 48%, #ff0000 51%, #ED1B24 51%, #ED1B24 54%, #ff0000 54%, #ff0000 57%, #ED1B24 57%, #ED1B24 60%, #ff0000 60%, #ff0000 63%, #ED1B24 63%, #ED1B24 66%, #ff0000 66%, #ff0000 69%, #ED1B24 69%, #ED1B24 72%, #ff0000 72%, #ff0000 75%, #ED1B24 75%, #ED1B24 78%, #ff0000 78%, #ff0000 81%, #ED1B24 81%, #ED1B24 84%, #ff0000 84%, #ff0000 87%, #ED1B24 87%, #ED1B24 90%, #ff0000 90%, #ff0000 93%, #ED1B24 93%, #ED1B24 96%, #ff0000 96%)" [[파일:키르기스스탄 축구 연합 로고 화이트.png|height=100]]}}} ||<|2> '''{{{+5 4 : 1}}}'''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82567 5%, transparent 5%), linear-gradient(to right, #063197 9.95%, transparent 9.95%, transparent 10.95%, #063197 10.95%, #063197 21.25%, transparent 21.25%, transparent 22.25%, #063197 22.25%, #063197 32.55%, transparent 32.55%, transparent 33.55%, #063197 33.55%, #063197 43.85%, transparent 43.85%, transparent 44.85%, #063197 44.85%, #063197 55.15%, transparent 55.15%, transparent 56.15%, #063197 56.15%, #063197 66.45%, transparent 66.45%, transparent 67.45%, #063197 67.45%, #063197 77.75%, transparent 77.75%, transparent 78.75%, #063197 78.75%, #063197 89.05%, transparent 89.05%, transparent 90.05%, #063197 90.05%), linear-gradient(30deg, #fff, #051584, #051584, #fff, #051584, #051584, #fff, #051584, #051584, #fff, #051584, #051584, #fff, #051584, #051584, #fff)" [[파일:Chinese_Taipei_FA.png|height=100]]}}} || || [[키르기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s-3.1|[[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width=30]] {{{#fff '''키르기스스탄'''}}}]] || [[대만 축구 국가대표팀#s-5.1|[[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width=30]] {{{#fff '''대만'''}}}]] || || '''45+2' 아빌로프 에르나즈[br]55' 황쯔밍(OG)[br]62' 톡토스노프 다스탄벡[br]90+1' 샤르셴베코프 아르센'''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34' 첸 포 리앙(FK)'''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dd0b7c, #b223ba, #433feb)" {{{#fff '''[[https://info.hangzhou2022.cn/en/results/football/results-men-gpf-000500-.htm|{{{#fff 매치 리포트}}}]] | [[|{{{#fff 경기 하이라이트}}}]]'''}}}}}} || 한국의 16강 상대를 결정지을 수 있기에, 상당히 관심도가 높았던 경기. 대만이 PK를 얻어 선취점을 얻을 때까지만 해도 대만이 조 2위로 올라갈 것이며, 개최국 중국을 대비하여 예행 연습을 해놓자는 국내 여론이 분분했다. 그런데 키르기스스탄이 전반 막판에 동점골을 넣고 각성하더니, 후반전에 자책골까지 이끌어내는 등 갑자기 대만을 맹폭했다. 그렇게 4대 1로 대승을 거두면서 골득실을 0으로 맞추고, 북한이 인도네시아를 잡아준 덕에 무득점 최하위에서 조 2위로 한 번에 뛰어오르며 토너먼트에 직행했다. 대만은 무승부만 거두어도 16강에 갈수있는 유리한 상황이었는데 그걸 못해서 자신들이 조 최하위로 굴러떨어졌고, 1승을 거뒀음에도 다른 조의 팀들과 경합조차도 하지 못하는 불운을 받아들여야만 했다. == 5-2경기: 북한 1 : 0 인도네시아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d0b7c 0%, #FFFFFF 20%, #FFFFFF 80%, #dd0b7c)" [[파일: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로고.svg|width=80]][br]'''{{{#433feb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남자축구 F조 5-2경기}}}'''[br]'''{{{#433feb 2023. 09. 24. (일) 17:00 (UTC+9)}}}'''}}} || ||<-3> '''[[저장사범대학 이스트 스타디움|{{{#fff 저장사범대학 이스트 스타디움}}}]] [[진화시|{{{#fff (중국, 진화)}}}]]''' || ||<-3> '''{{{#fff 주심: 칼레드 살레 알 투라이스 (사우디아라비아)}}}''' || ||<-3> '''{{{#ffffff 관중: 7,288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3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1100 5%, #FFFFFF 5%, #FFFFFF 7%, #FF1100 7%, #FF1100 93%, #FFFFFF 93%, #FFFFFF 95%, #FF1100 95%)" [[파일:북한 국기.svg|height=50]]}}} ||<|2> '''{{{+5 1 : 0}}}'''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0000 7%, transparent 7%),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3%, #ffffff 13%, #ffffff 15%, transparent 25%, transparent 27%, #ffffff 37%, #ffffff 39%, transparent 49%, transparent 51%, #ffffff 62%, #ffffff 63%, transparent 73%, transparent 74%, #ffffff 85%, #ffffff 87%, transparent 97%), linear-gradient(20deg, #eeeeee, #ffffff 10%, #eeeeee 20%, #ffffff 30%, #eeeeee 40%, #ffffff 50%, #eeeeee 60%, #ffffff 70%, #eeeeee 80%, #ffffff 90%, #eeeeee)" [[파일:dlsehsptldk cnrrn tls fhrh.png|height=100]]}}} || ||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s-7.1|[[파일:북한 국기.svg|width=30]] {{{#fff '''북한'''}}}]] ||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s-5.1|[[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30]] {{{#000 '''인도네시아'''}}}]] || || '''40' 김유송'''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dd0b7c, #b223ba, #433feb)" {{{#fff '''[[https://info.hangzhou2022.cn/en/results/football/results-men-gpf-000600-.htm|{{{#fff 매치 리포트}}}]] | [[|{{{#fff 경기 하이라이트}}}]]'''}}}}}} || 인도네시아는 하필 대만에 일격을 맞은 상황에서 무실점 전승을 달리던 북한을 만나 조 2위 자리를 빼앗길 가능성이 높아졌고, 이 경기에서 다실점으로 진다면 진짜로 탈락의 구렁텅이에 빠질 뻔했다. 다만 비기기만 해도 조 3위는 지킬 가능성이 있고, 그렇다면 2전 1무 1패 득실차 -2를 기록한 카타르를 제치고 16강에 갈 수 있으므로 인도네시아는 16강 진출을 위해 이 경기에서 무승부 이상의 결과를 꼭 내야 하는 상황이었다. 인도네시아는 다소 방어적으로 경기에 임했으나, 북한의 결정적인 한 방을 허용하고 0대 1로 패배하면서 북한의 무실점 전승을 완성시켰다. 다만 인도네시아는 패배했음에도 불구하고 키르기스스탄이 대만을 맹폭하여 대승을 거두는 바람에 조 3위에 안착하는 행운을 거머쥐었다. 그렇게 조 3위 팀들 간의 경합에서 승리하고 토너먼트에서 사실상 홍콩과의 연습 경기만 치른 우즈베키스탄을 상대하게 되었다. == 총평 == * 1위팀 (북한) 4년만에 등장한 국제대회로 전력이 약화되어 있을거라는 우려와 달리 3전 전승 및 무실점으로 조1위 통과. 특히, 골 넣은 선수들의 출신이 [[평양국제축구학교]]라는 점에서 잠깐 주목받았다. * 2위팀 (키르기스스탄) 인도네시아, 북한에게 연달아 패배할때까지는 키르기스스탄은 사실상 탈락이 예상되고 있었지만 근성의 키르기스스탄은 기어코 마지막경기에서 대만을 4대1로 박살내고 북한이 인도네시아를 이겨준 행운덕분에 조2위 16강진출에 성공했으며 16강에서 대한민국을 상대한다. * 3위팀 (인도네시아) 키르기스스탄과 2대0승리로 첫단추를 잘뀌었지만 이후 대만에게 충격패를 당하면서 북한전에 승리해야 하는 절박한 상황에서 결국 1대0패배를 당하였다. 그런데 같은시간 키르기스스탄이 3대1로 대만을 박살내고 있어서 이대로 끝나면 조2위로 16강에 갈수 있었지만 결국 키르기스스탄이 한골더넣으면서 다득점에 밀리면서 조3위로 가고 말았다. 하지만 패배를당한 대만이 조4위로 떨어지면서 조3위 경쟁에서 무난하게 이겼다. * 4위팀 (대만) 인도네시아에 승리했지만, 키르기스스탄에게 4실점을 허용하고 패하면서 결국 최하위가 되며 탈락했다. 2무 1패 (승점 2점)만으로도 16강에 진출한 나라도 있는 상황에서, 1승 (승점 3점)을 기록하고도 탈락하며 조 편성의 불운을 당하게 되었다. [[분류: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축구(남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