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2022년 3월 27일에 개막한 [[이터널 리턴]]의 파일럿 리그.[* 2022 Eternal Return League Spring][* ERL과 ERC는 향후 이터널리턴 정기 리그화 실험을 위한 파일럿 형태로 진행하는 대회다.] == 참가팀 == === 내로남불 (NR)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RL_NR2.jpg|width=100%]]}}} || || '''대회 ID''' || NR_Hifumi[*팀장], NR_Gwork || || '''인게임 ID''' || 히후미, gwork || || '''주력 실험체''' || 아르카나 [[비앙카(이터널 리턴)|비앙카]]/망치 [[일레븐(이터널 리턴)|일레븐]], 레이피어 [[아델라(이터널 리턴)|아델라]] || || '''팀 로고''' || [[파일:ERLNR.jpg|width=80px]] || 전 시즌 1위로 잔류하였다. Tae 선수의 닉네임이 Hifumi로 변경되었다.[* 히푸미가 아닌 [[아지타니 히후미|히후미]] 라고 한다.] Week1 비앙카/아델라, 비앙카/일레븐 조합으로 336점의 포인트로 압도적인 Week1 1등을 차지했다. Week3 일레븐/아드리아나, 니키/아드리아나 조합으로 313점의 포인트로 또 한번 300점을 돌파하며 Week3 1등을 차지했다. 서킷 포인트 39점으로 2022 ERL Spring 우승과 ERL 2연패를 하게 되었다. === [[SPEAR Gaming]] (SP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RL_SPG.jpg|width=100%]]}}} || || '''대회 ID''' || SPG_JaengE[*팀장], SPG_Haekam || || '''인게임 ID''' || 젱이, 해캄 || || '''주력 실험체''' || 글러브 [[니키(이터널 리턴)|니키]], 레이피어 [[아델라(이터널 리턴)|아델라]] || || '''팀 로고''' || [[파일:스피어.png|width=80px]] || 전 시즌 2위로 잔류하였다. ERL 최초로 e스포츠 팀([[SPEAR Gaming]])의 스폰을 받은 팀이다. Week2 당시 레녹스/아야, 레녹스/엠마 조합으로 183점으로 2등팀 NR과 6점차이로 Week2 1등을 차지했다. === igloo (IGL)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RL_IGL.jpg|width=100%]]}}} || || '''대회 ID''' || IGL_Akjil[*팀장], IGL_Haqueen || || '''인게임 ID''' || 악질장동기, 하퀸 || || '''주력 실험체''' || 암기 [[자히르(이터널 리턴)|자히르]], 단검 [[캐시(이터널 리턴)|캐시]] || || '''팀 로고''' || [[파일:ERLIGL.jpg|width=80px]] || 전 시즌 3위로 잔류하였다. === HingRo (HR)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RL_HR.jpg|width=100%]]}}} || || '''대회 ID''' || HR_Rosner[*팀장], HR_hingggul, HR_Spitz || || '''인게임 ID''' || 로즈너, 버거맛집힁껄터치, Kleinspitz || || '''주력 실험체''' || 활 [[나딘(이터널 리턴)|나딘]], 망치 [[일레븐(이터널 리턴)|일레븐]], 채찍 [[마이(이터널 리턴)|마이]] || || '''팀 로고''' || [[파일:ERLHR.jpg|width=80px]] || 전 시즌 4위로 잔류하였다. === SAYEON (SY)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RL_SY.jpg|width=100%]]}}} || || '''대회 ID''' || SY_Yohan[*팀장], SY_Saten, SY_Land || || '''인게임 ID''' || 요한2, Twitch사텐, Twtich땅꾸녕 || || '''주력 실험체''' || 도끼 [[재키(이터널 리턴)|재키]], 활 [[혜진(이터널 리턴)|혜진]], 도끼 [[재키(이터널 리턴)|재키]] || || '''팀 로고''' || [[파일:ERLSY.jpg|width=100px]] || 전 시즌 5위로 잔류하였다. Champyeon 선수의 닉네임이 Yohan으로 변경되었다. === Professor (Pro)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RL_PRO.jpg|width=100%]]}}} || || '''대회 ID''' || Pro_MoJom[*팀장], Pro_HyeCM, Pro_Cheondol || || '''인게임 ID''' || Twitch모좀, 혜시엠, 천원돌파 || || '''주력 실험체''' || 투척 [[시셀라(이터널 리턴)|시셀라]], 글러브 [[니키(이터널 리턴)|니키]], 레이피어 [[아델라(이터널 리턴)|아델라]] || || '''팀 로고''' || [[파일:ERLPRO.jpg|width=80px]] || 승강전 1위로 진출하였다. ERL 승격 후 cheondol 선수가 로스터에 추가되었다. Week4 시셀라/혜진, 에이든/띠아 조합으로 202점으로 2등인 SM과 7점 차이로 1등을 차지했다. Week4 당시 서킷포인트 11점으로 강등권에 위치했는데 Week4 6Round에서 6킬 우승으로 주차 1등으로 올라서 잔류에 성공하였다. === Water Rocket (WRC)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RL_WRC.jpg|width=100%]]}}} || || '''대회 ID''' || WRC_BoBmalsa[*팀장], WRC_Offense || || '''인게임 ID''' || 밥말아먹는사람, Offense || || '''주력 실험체''' || 채찍 [[라우라(이터널 리턴)|라우라]], 레이피어 [[키아라(이터널 리턴)|키아라]] || || '''팀 로고''' || [[파일:ERLWRC.jpg|width=80px]] || 승강전 2위로 진출하였다. ERC 당시 Week4에서 최종 1등으로 Week4만 참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승강전 진출전에 진출하여 ERL에 승격하였다. === DRAMA (DR)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RL_DR.jpg|width=100%]]}}} || || '''대회 ID''' || DR_Dabih[*팀장], DR_Romatic || || '''인게임 ID''' || 다비흐, Romatic || || '''주력 실험체''' || 아르카나 [[요한(이터널 리턴)|요한]], 활 [[나딘(이터널 리턴)|나딘]] || || '''팀 로고''' || [[파일:ERLDR.jpg|width=80px]] || 승강전 3위로 진출하였다. 전 시즌 ERL에서 강등권에 있던 팀중 유일하게 잔류에 성공했다. === Sword Master (SM)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RL_SM.jpg|width=100%]]}}} || || '''대회 ID''' || SM_JUMO[*팀장], SM_Zerojin, SM_GAMJATANG || || '''인게임 ID''' || 주사위의모험, Twitch영르진, 감자탕은맛있어 || || '''주력 실험체''' || 아르카나 [[비앙카(이터널 리턴)|비앙카]], 암기 [[자히르(이터널 리턴)|자히르]], 권총 [[실비아(이터널 리턴)|실비아]] || || '''팀 로고''' || [[파일:ERLSM.jpg|width=80px]] || 승강전 4위로 진출하였다. ERL 승격 후 GAMJATANG 선수가 로스터에 추가되었다. == 대회 진행 == ||<-9> '''{{{#white 2022 Eternal Return League Spring 순위표 (Week 4)}}}''' || || '''순위''' || '''팀''' || '''보유 CP''' || || {{{#000,#e5e5e5 1}}} || NR || 39 || || {{{#000,#e5e5e5 2}}} || Sword Master || 27 || || {{{#000,#e5e5e5 3}}} || IGLOO || 26 || || {{{#000,#e5e5e5 4}}} || SPEAR Gaming || 24 || || {{{#000,#e5e5e5 5}}} || Professor || 23 || || {{{#000,#e5e5e5 6}}} || SAYEON || 21 || || {{{#000,#e5e5e5 7}}} || Water Rocket || 11 || || {{{#000,#e5e5e5 8}}} || HingRo || 10 || || {{{#000,#e5e5e5 9}}} || DRAMA || 9 || ||<-9> {{{-2 {{{#97ecab,#006118 녹색}}}{{{#white : 차기 리그 잔류 |}}} {{{#ff9,#b29a00 노란색}}}{{{#white : 차기 리그 승강전}}}}}} || 2022 ERL Spring은 [[2021 ERL Winter]]에 이어서 NR이 우승을 거머쥐게 되었다. == MVP 포인트 == ||<-9> '''{{{#white 2022 Eternal Return League Spring MVP 포인트 (Week 3)}}}''' || || '''순위''' || '''선수''' || '''보유 MVP 포인트''' || || {{{#000,#e5e5e5 1}}} || NR_Hifumi || 500 || || {{{#000,#e5e5e5 2}}} || NR_Gwork || 300 || || {{{#000,#e5e5e5 3}}} || IGL_Haqueen || 300 || || {{{#000,#e5e5e5 4}}} || SPG_Haekam || 200 || || {{{#000,#e5e5e5 5}}} || SY_Saten || 200 || || {{{#000,#e5e5e5 6}}} || Pro_Cheondol || 200 || || {{{#000,#e5e5e5 7}}} || SM_JUMO || 200 || || {{{#000,#e5e5e5 8}}} || SPG_JaengE || 100 || || {{{#000,#e5e5e5 9}}} || HR_Spitz || 100 || || {{{#000,#e5e5e5 10}}} || SM_Zerojin || 100 || || {{{#000,#e5e5e5 11}}} || WRC_BoBmalsa || 100 || || {{{#000,#e5e5e5 12}}} || Pro_MoJom || 100 || 2022 ERL Spring에 처음 도입된 제도로 각 라운드마다 MVP를 선정하여 100 MVP 포인트를 지급하며, 시즌 종료 후 가장 높은 MVP 포인트를 가지고 있는 선수에게 50만원을 지급한다. 초대 ERL MVP는 NR_Hifumi 선수가 차지했다. == 경기 다시보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I3H87j4-9s)]}}}|| || Week 1 공식 방송 다시보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aVzOcLJInE)]}}}|| || Week 2 공식 방송 다시보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T7qW-zp3IE)]}}}|| || Week 3 공식 방송 다시보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mPWa_jHhqg)]}}}|| || Week 4 공식 방송 다시보기 || == 경기 하이라이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ChJPhCtRd0)]}}}|| || Week 1 하이라이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GILLT1ZJ1M)]}}}|| || Week 2 하이라이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UB9BTPjteY)]}}}|| || Week 3 하이라이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qlQLcWJ9K0)]}}}|| || Week 4 하이라이트 || == 승강전 == ||<-9> '''{{{#white 2022 Eternal Return League 승강전}}}''' || || '''순위''' || '''팀''' || '''TOTAL''' || || {{{#000,#e5e5e5 1}}} || Carpe Diem || 198 || || {{{#000,#e5e5e5 2}}} || HingRo || 173 || || {{{#000,#e5e5e5 3}}} || DRAMA || 169 || || {{{#000,#e5e5e5 4}}} || Water Rocket || 166 || || {{{#000,#e5e5e5 5}}} || 무면허게이밍 || 139 || || {{{#000,#e5e5e5 6}}} || CleanGuard || 120 || || {{{#000,#e5e5e5 7}}} || 하형성민 || 50 || || {{{#000,#e5e5e5 8}}} || 근본 || 35 || || {{{#000,#e5e5e5 9}}} || SaYeon || 28 || ||<-9> {{{-2 {{{#97ecab,#006118 녹색}}}{{{#white : ERL Summer 승격 |}}} {{{#ff9,#b29a00 노란색}}}{{{#white : 강등}}}}}} || Water Rocket팀의 마지막 라운드 역전극으로 ERL 4팀 중 3팀이 2,3,4위에 위치하며 잔류에 성공하였고, ERC에서 포인트 1위로 승강전 진출전 없이 승강전에 온 CleanGuard가 탈락하고 포인트 2위, 승강전 진출전 1위로 올라온 lpl 우승자 출신 [[이동욱(프로게이머)|로컨]]의 Carpe Diem이 전체 1위로 ERL Spring 6위의 SaYeon 팀을 밀어내고 ERL Summer에 진출하게 되었다. == 논란 및 사건 사고 == 시즌 시작 전 SY팀의 3번 로스터였던 람지나라 선수가 과거 계정공유 정지 내역이 적발되어 SY_Land 선수로 교체되었다. 2022년 4월 11일 DR_Dabih 선수가 Week3 3세트 진행 중 사후 관전 상태에서 다른 ERL 선수가 있었던 개인 디스코드 서버에 어디 지역 상자의 어떤 아이템이 있었다와 같은 경기의 내용을 발설해 부정 행위로 3주차 몰수패 및 대회 실격의 징계를 받았다.[* [[https://gall.dcinside.com/mini/ertv/20786|DR_Dabih 선수의 사과문]]] ||2022년 제1차 ER ESPORTS 제재 공지[* [[https://www.inven.co.kr/board/er/5680/96|원글 링크]]] 안녕하세요, ER ESPORTS 팀입니다. 2022년 4월 10일(일)에 진행한 2022 ERL Spring 3주차 경기 중 규정 위반 사항이 발견되어 아래와 같이 징계합니다. 1. 대상 : 'DRAMA'팀 Dabih 선수 2. 위반사항 : e스포츠 제재 내역 중 '부정 행위' 3. 제재 수위 : - Dabih 선수의 ERL/ERC를 비롯한 공식 e스포츠 대회의 현 시즌 이후 4시즌 출장 정지 (현재 시즌 및 이후 4개 시즌) - DRAMA 팀의 ERL 3주차 경기 무효화 및 4주차 경기 실격 4. 제재 일자 : 2022년 4월 11일(월) 4. 제재 일자 : 2022년 4월 11일(월)|| == 관련 문서 == * [[이터널 리턴/대회]] * [[2021 ERL Winter]] [[분류:이터널 리턴]][[분류:이터널 리턴/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