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2 {{{#fff VNL 2022}}}}}}'''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22 VNL.jpg|width=100%]]}}} || || '''{{{#fff 대회 기간}}}''' ||[[5월 31일]] ~ [[7월 17일]] || || '''{{{#fff 예선전 개최지}}}''' ||6개 도시[* 슈리브포트-보셔시티, 앙카라, 브라질리아, 파사이, 캘거리, --우파--→소피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개최지 변경]] || || '''{{{#fff 토너먼트 개최지}}}''' ||[[앙카라]] || || '''{{{#fff 참가국}}}''' ||16개국 || || '''{{{#fff 홈페이지}}}''' ||[[https://en.volleyballworld.com/volleyball/competitions/vnl-2022/| [[파일:FIVB 워드마크.svg|width=45]]]] || ||<-2> '''{{{+1 {{{#fff 대회결과}}}}}}''' || || '''{{{#000 우승}}}'''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이탈리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 || || '''{{{#000 준우승}}}'''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브라질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브라질]] || || '''{{{#000 3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30]] [[세르비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세르비아]] || || '''{{{#000 4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30]] [[튀르키예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튀르키예]] || ||<-2> '''{{{+1 {{{#fff 수상}}}}}}''' || || '''{{{#fff MVP}}}'''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파올라 에고누]] || || '''{{{#fff 최다 득점자}}}'''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30]] 브릿 헤르보츠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2년 열리는 [[FIVB 여자 발리볼네이션스리그|VNL 여자부]] 경기이다. 통산 4번째 대회이다. == 참가국 == ||<-4>
'''코어 팀''' ||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30]] ||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30]]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파일:태국 국기.svg|width=30]]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30]]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 ||<-4> '''챌린저 팀''' || ||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5]] ||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30]]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30]] || ||<-4> [[파일:불가리아 국기.svg|width=30]][*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러시아가 참가하지 못하게 되면서 대신 참가한다.] || === 대한민국 대표팀 === [[FIVB]]는 2024 파리 올림픽부터 출전 방식을 1.세계예선전 또는 2.랭킹포인트로 결정하겠다고 발표했는데, 우리 대표팀은 어떻게든 국제대회에서 성적을 꾸준히 내줘야 2024년까지 랭킹을 유지할 수 있다. 대표팀은 지금까지 올림픽 외의 대회에서 그렇게까지 필사적으로 임한 적이 없다. 그러나 이제는 달라졌다. 이번 VNL부터는 정말 최선을 다해서 좋은 순위로 마무리지어야 한다. 그렇기에 그동안의 대회와는 달리 주전 선수들이 뛰는 시간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15년간 멱살 잡고 대표팀을 이끌어 나갔던 [[김연경]]과 [[양효진]]이 은퇴한 후 우리나라가 처음으로 참가하는 국제대회인 만큼 선수들의 부담감은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이다. 이 두 명은커녕 [[김희진(배구선수)|김희진]]과 [[박정아(배구선수)|박정아]]급의 신인도 안 나오고 있는 것이 지금 여자 배구 대표팀의 현실이다. 이번 VNL에 뽑히는 많은 백업 선수들이 대회에서 어떤 활약을 보여줄지도 관전 포인트이다. 2022년 4월 27일 최종 로스터가 공개되었다. ||<-6>
[[파일:vnllogo.png|height=30]][br]{{{#fff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VNL 엔트리'''}}} || || '''번호''' || '''이름''' || '''포지션''' || '''신체''' || '''생년월일''' || '''소속팀''' || || 3 || [[염혜선]] || S || 177cm, 64kg || 91.02.03 || [[파일:대전 KGC인삼공사 엠블럼.svg|height=20]] || || 4 || [[한다혜]] || Li || 164cm, 50kg || 95.02.28 || [[파일:GS칼텍스 서울 KIXX 엠블럼.svg|height=15]] || || 5 || [[노란]] || Li || 167cm, 58kg || 94.03.17 || [[파일:대전 KGC인삼공사 엠블럼.svg|height=20]] || || 6 || [[이선우(배구선수)|이선우]] || OH || 184cm, 69kg || 02.07.12 || [[파일:대전 KGC인삼공사 엠블럼.svg|height=20]] || || 7 || [[강소휘]] || OH || 180cm, 65kg || 97.07.18 || [[파일:GS칼텍스 서울 KIXX 엠블럼.svg|height=15]] || || 8 || [[정호영(배구선수)|정호영]] || MB || 190cm, 68kg || 01.08.23 || [[파일:대전 KGC인삼공사 엠블럼.svg|height=20]] || || 9 || [[이주아]] || MB || 185cm, 72kg || 00.08.21 || [[파일:PinkSpiders_Logo.png|height=15]] || || 10 || [[고예림]] || OH || 177cm, 61kg || 94.06.12 || [[파일:Hillstate_logo_2.png|height=20]] || || 11 || [[박혜민]] || OH || 181cm, 65kg || 00.11.08 || [[파일:대전 KGC인삼공사 엠블럼.svg|height=20]] || || 12 || [[이다현(배구선수)|이다현]] || MB || 185cm, 70kg || 01.11.11 || [[파일:Hillstate_logo_2.png|height=20]] || || 13 || [[박정아(배구선수)|박정아]] || OH || 187cm, 74kg || 93.03.26 || [[파일:ex_hipass_logo2.png|height=20]] || || 15 || [[황민경]] || OH || 174cm, 64kg || 90.06.02 || [[파일:Hillstate_logo_2.png|height=20]] || || 16 || [[이한비]] || OH || 177cm, 77kg || 96.10.28 || [[파일:광주 페퍼저축은행 AI 페퍼스 엠블럼(2021~2022).png|height=20]] || || 17 || [[박혜진(배구선수)|박혜진]] || S || 177cm, 60kg || 02.04.15 || [[파일:PinkSpiders_Logo.png|height=15]] || || 18 || [[최정민(배구선수)|최정민]] || MB || 181cm, 72kg || 02.12.21 || [[파일: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 엠블럼.svg|height=20]] || || 19 || [[김희진(배구선수)|김희진]] || OPP || 185cm, 75kg || 91.04.29 || [[파일: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 엠블럼.svg|height=20]] || ||<-6> {{{#fff 감독:}}} [[세자르 에르난데스 곤잘레스|{{{#fff 세자르}}}]] || 세 명의 주전 선수 박정아, 김희진, 염혜선을 제외하고는 굉장히 어린 선수들로 구성되어 있다. 평균 나이 역시 24.75세로 눈에 띄게 어려진 것을 볼 수 있다. 세자르 감독이 과감하게 세대교체를 단행한 것으로 보인다. 최장신 선수는 정호영(190cm)이고, 최단신 선수는 리베로 한다혜(164cm)이다. 최고령 선수는 황민경(31세)이고, 최연소 선수는 최정민, 이선우(19세)다. 처음 발표된 엔트리에는 레프트 [[정지윤(2001)|정지윤]]이 포함되어 있었으나, 훈련 도중 입은 피로골절 부상으로 인해 같은 팀의 [[고예림]]이 합류하게 되었다. 정지윤은 어린 나이에 파워풀한 공격력을 가지고 있어 이번 대회의 활약에 큰 기대를 받고 있었기에 아쉬움이 크다. 대체 발탁된 고예림은 황민경과 함께 수비 강화 목적으로 후위에서 투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대다수의 팬들과 언론은 주전 멤버로 레프트에 [[박정아(배구선수)|박정아]]와 [[강소휘]], 라이트에 [[김희진(배구선수)|김희진]], 세터에 [[염혜선]]을 예상하고 있다. 센터에는 [[이다현(2001)|이다현]], [[이주아]], [[정호영(배구선수)|정호영]]이, 리베로에는 [[노란]]과 [[한다혜]]가 필요한 타이밍에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물론 어디까지나 추측일 뿐, 정확한 선발 라인업은 첫 경기날 확실하게 알게 된다. == 조 편성 == ||<-2>
{{{#fff {{{+1 1주차}}}[br]5/31~6/5}}} ||<-2> {{{#fff {{{+1 2주차}}}[br]6/14~6/19}}} ||<-2> {{{#fff {{{+1 3주차}}}[br]6/28~7/3}}} || || 1조 || 2조 || 3조 || 4조 || 5조 || 6조 ||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5]]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5]] ||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5]]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30]] ||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30]]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30]] ||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width=30]]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30]]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30]] || ||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30]] ||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30]] ||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30]]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width=30]] ||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30]]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width=30]]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파일:태국 국기.svg|width=30]]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파일:태국 국기.svg|width=30]]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30]]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30]]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30]]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 [[파일:태국 국기.svg|width=30]] || == 예선전 == === 1주차 === ||<-8>
{{{#fff 1주차}}} || ||<-4> 1조 ||<-4> 2조 || || 국가 || 승 || 패 || 승점 || 국가 || 승 || 패 || 승점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 4 || 0 || 11 ||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 3 || 1 || 10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 3 || 1 || 10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30]] || 3 || 1 || 9 ||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3 || 1 || 10 ||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30]] || 3 || 1 || 9 || ||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30]] || 3 || 1 || 8 || [[파일:태국 국기.svg|width=30]] || 3 || 1 || 8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30]] || 2 || 2 || 6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 2 || 2 || 6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1 || 3 || 5 ||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30]] || 1 || 3 || 2 ||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 || 0 || 4 || 0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width=30]] || 1 || 3 || 2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0 || 4 || 0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0 || 4 || 2 || === 2주차 === ||<-8>
{{{#fff 2주차}}} || ||<-4> 3조 ||<-4> 4조 || || 국가 || 승 || 패 || 승점 || 국가 || 승 || 패 || 승점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 8 || 0 || 23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 7 || 1 || 18 ||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6 || 2 || 18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 6 || 2 || 17 ||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30]] || 5 || 3 || 16 ||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 5 || 3 || 16 || ||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30]] || 5 || 3 || 14 || [[파일:태국 국기.svg|width=30]] || 4 || 4 || 12 || ||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30]] || 4 || 4 || 11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 || 3 || 5 || 9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30]] || 3 || 5 || 9 ||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30]] || 3 || 5 || 6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2 || 6 || 8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width=30]] || 2 || 6 || 6 ||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1 || 7 || 6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0 || 8 || 0 || === 3주차 === ||<-8>
{{{#fff 3주차}}} || ||<-4> 5조 ||<-4> 6조 || || 국가 || 승 || 패 || 승점 || 국가 || 승 || 패 || 승점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 4 || 0 || 11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 4 || 0 || 12 || ||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30]] || 3 || 1 || 9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4 || 0 || 11 ||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3 || 1 || 8 ||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 3 || 1 || 10 ||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30]] || 2 || 2 || 8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width=30]] || 2 || 2 || 6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2 || 2 || 6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 || 2 || 2 || 5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30]] || 1 || 3 || 3 || [[파일:태국 국기.svg|width=30]] || 1 || 3 || 3 || ||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30]] || 1 || 3 || 2 ||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30]] || 0 || 4 || 1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 0 || 4 || 2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0 || 4 || 0 || === [[2022 FIVB 여자 발리볼네이션스리그/대한민국|대한민국 경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2 FIVB 여자 발리볼네이션스리그/대한민국)] == [[2022 FIVB 여자 발리볼네이션스리그/토너먼트|토너먼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2 FIVB 여자 발리볼네이션스리그/토너먼트)] == 최종 순위 == || {{{#fff '''순위'''}}} || {{{#fff '''국가'''}}}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5px; border-radius: 9px; background: #ffa000; font-size: .8em; margin-top:-10px;" {{{#ffffff '''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이탈리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5px; border-radius: 9px; background: #CCC; font-size: .8em; margin-top:-10px;" {{{#ffffff '''2'''}}}}}}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브라질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브라질]]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5px; border-radius: 9px; background: #cd7f32; font-size: .8em; margin-top:-10px;" {{{#ffffff '''3'''}}}}}}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30]] [[세르비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세르비아]] || || '''4'''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30]] [[튀르키예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튀르키예]] || || '''5'''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미국]] || || '''6'''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중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중국]] || || '''7'''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일본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일본]] || || '''8''' ||[[파일:태국 국기.svg|width=30]] [[태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태국]] || || '''9'''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 [[도미니카 공화국]] || || '''10'''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독일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독일]] || || '''11'''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네덜란드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네덜란드]] || || '''12'''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30]] [[캐나다]] || || '''13'''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30]] [[폴란드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폴란드]] || || '''14''' ||[[파일:불가리아 국기.svg|width=30]] [[불가리아]] || || '''15'''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30]] [[벨기에]] || || '''1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 == 수상 == * MVP [include(틀:FIVB 여자 배구 네이션스리그 MVP)] ----- * 베스트7 || OH[br][[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C.보세티 || MB[br][[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30]] [[요바나 스테바노비치|스테바노비치]] || OP[br][[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파올라 에고누|에고누]] || || S[br][[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알레시아 오로|오로]] || MB[br][[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카롤 || OH[br][[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가브리엘라 기마랑이스|가비]] || ||<#DDD> || Li[br][[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젠나로 ||<#DDD> || [include(틀:FIVB 네이션스 리그 여자부 베스트팀)] == 기록 == * 토너먼트 경기 기준 ||<-2> {{{#fff 득점}}} || || 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파올라 에고누|에고누]] (83) || || 2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4]] 키시 (53) || || 3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24]] 로조 (51) || || 4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24]] 비엘리차 (49) || || 4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4]] [[가브리엘라 기마랑이스|가비]] (49) || ||<-2> {{{#fff 공격}}} ||<-2> {{{#fff 블로킹}}} ||<-2> {{{#fff 서브}}} || || 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파올라 에고누|에고누]] || 1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4]] 카롤 || 1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4]] [[에다 에르뎀|에르뎀]] || || 2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4]] [[가브리엘라 기마랑이스|가비]] || 2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24]] 스테바노비치 || 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파올라 에고누|에고누]] || || 3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4]] 키시 ||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안나 다네시|다네시]] || 3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24]] 스테바노비치 || || 4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24]] 비엘리차 || 4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4]] [[제흐라 귀네슈|귀네슈]] || 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C.보세티 || || 5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24]] 로조 || 5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24]] 알렉시치 || 5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24]] 로조 || ||<-2> {{{#fff 세트}}} ||<-2> {{{#fff 디그}}} ||<-2> {{{#fff 리시브}}} || || 1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4]] [[마크리스 카르네이로|마크리스]] || 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젠나로 || 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C.보세티 || || 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알레시아 오로|오로]] || 2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24]] 푸시치 || 2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24]] 푸시치 || || 3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4]] [[잔수 외즈바이|잔수]] || 3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4]] [[심게 아쾨즈|아쾨즈]] || 3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4]] 줄리아 || || 4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24]] 드르차[* 결혼 전 지브코비치] || 4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4]] [[가브리엘라 기마랑이스|가비]] || 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엘레나 피에트리니|피에트리니]] || || 5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타마키 || 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C.보세티 || 5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4]] [[한데 발라딘|발라딘]] || == 여담 == * 원래 3주차 6조 경기는 러시아 [[우파(러시아)|우파]]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개최지가 불가리아 [[소피아(도시)|소피아]]으로 변경되었다. * 개최지 변경에 이어 [[FIVB]]는 [[러시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러시아]]의 진출권을 박탈하였고, [[불가리아]]가 대신 출전하게 되었다. * 대한민국 대표팀은 벨기에, 미국, 불가리아와는 예선전에서 경기를 치르지 않게 된다. * 개최국 터키는 홈 어드밴티지에도 불구하고 동메달 결정전에서 [[보스코비치]]와 [[오그네노비치]]가 빠진 세르비아 1.5군에게 털리는 바람에 욕을 꽤 먹고 있다. === 변경된 점 === 이번 대회에는 변경된 점이 아주 많다. * 선수들과 감독이 대기하는 벤치가 주심과 같은 쪽에 배치된다. 원래는 주심과 마주보는 부심 쪽에 벤치가 있었는데, 벤치의 위치가 반대로 옮겨간 것이다. * 기존과 달리 세트마다 코트체인지를 하지 않는다. 그래서 처음 배정된 쪽의 코트에서 쭉 경기를 치른다. 펜데믹 예방을 위한 조치이다. * 테크니컬 타임아웃은 세트당 두 번(8점, 16점)에서 한 번(12점)으로 줄었고, 팀마다 쓸 수 있는 타임아웃 횟수도 두 번에서 한 번으로 줄었다. * 서브를 8초 안에 넣어야 한다는 룰이 매우 엄격하게 적용된다. 기존에도 있던 룰이지만 그리 깐깐하게 시간을 재지 않았는데, 이번 대회에서는 타이머를 띄워놓을 정도로 까다롭게 측정한다. * 중계 화면에서 점수판 위치가 왼쪽 구석에서 가운데 아래로 바뀌었다. 이에 대해서는 호불호가 갈린다. [[분류:FIVB 발리볼네이션스리그]][[분류:2022년 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