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가요계)] [목차] == 개요 == [[2022년]]의 가요계를 설명한 문서이다. == 대한민국 == === 2022년 이전 상황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1년 가요계)] [[트로트]]의 열기는 약간 잠잠해진 가운데[* 지상파에서도 열렸던 수많은 트로트 프로그램들이 사라졌다.] 음악계를 주도한 장르 없이 다양한 노래들이 차트에 보였다.[* 하반기에는 [[SHOW ME THE MONEY 10]]의 영향으로 힙합 장르가 우세했으나, 연 단위로 보면 주도한 수준까진 아니었다.] [[아이유]], [[방탄소년단]] 등 이미 최정상에 있는 '브랜드 가수'들이 화제성을 주도하며 건재함을 과시했다. 또한 [[aespa]]가 걸그룹의 뉴 아이콘으로 부상했고 [[NCT]]는 [[방탄소년단]], [[세븐틴]]에 이어 보이그룹 역사상 3번째로 초동 판매량만으로 밀리언셀러를 달성하며, [[SM엔터테인먼트]]의 새로운 간판스타의 등장을 알렸다. 그외 [[STAYC]], [[IVE]], [[이무진]] 등 신인 아티스트들이 큰 주목을 받았다. 아이돌의 경우 대중적 열기가 눈에 띄게 줄어들고 팬덤 중심으로 전환되는 흐름을 보였다. 보이그룹들은 대중성을 얻지 못한 상황에서도 팬덤 파워를 바탕으로 대부분 활발히 활동했으나, 방탄소년단을 제외하고는 음원 차트에는 아예 들지 못한 채 음반 판매량만 우수한 양상이 나타났다.[* 때문에 매출이 좋아도 대중은 존재도 모르는 아이돌을 아이돌이라 불러도 되느냐에 대한 비판이 나왔다.] 걸그룹들은 그 특성상 대중성을 추구하지 않고는 유지가 어려워서, 더 타격이 컸다. 소수 걸그룹을 제외하고는 신인과 기성을 막론하고 대부분 활동을 활발히 이어가지 못했다. 또한, [[IZ*ONE]], [[러블리즈]], [[여자친구(아이돌)|여자친구]] 등 큐트&청순 계열의 걸그룹들이 대거 활동을 종료하면서 청순 컨셉의 걸그룹의 계보가 거의 종말을 맞음과 동시에 이와 완전히 반대 노선인 걸크러쉬, 틴크러쉬 스타일이 대중적인 유행을 얻게 되었다.[* 당장 예시로 22년 현재 다양한 매체에서 4세대 걸그룹 대표 주자로 꼽히는 그룹들의 음악 스타일이나 컨셉만 봐도 청순 컨셉의 그룹은 '''아예''' 보이지 않는다. 4대세 첫 청순 걸그룹인 [[아일리원]]과 [[첫사랑(아이돌)|첫사랑]]이 각각 22년 4월과 7월이라는 4세대 기준으로 너무 늦은 시기에 데뷔한 것이 그 반증. 또한, [[이효리]]를 시작으로 해서 [[씨스타]] 등 2~2.5세대에 유행했던 섹시 컨셉 걸그룹 역시 [[브레이브걸스]]를 제외하면 2017년 이후부터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브레이브걸스도 최근 앨범들을 보면 섹시 컨셉과는 거리가 먼 편이다. 솔로 가수들 중 [[현아]], [[효린]], [[제시(가수)|제시]], [[청하]], [[선미]] 정도가 섹시 컨셉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방증하듯 음원 차트에는 [[롤린]] 등 [[역주행(노래 용어)|역주행]] 열풍이 뜨거웠고, 신곡은 검증된 유명 가수가 아니고서는 좀처럼 올라오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대부분의 가요 시상식 시청률이 전부 '''수 년 연속''' 역대 최저치를 찍었다.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MAMA]]는 0%대로 떨어졌으며, 아이돌로만 라인업을 꾸린 [[2022 KBS 가요대축제: Y2K|KBS 가요대축제]]와 [[2022 SBS 가요대전: THE LIVE SHOUT OUT|SBS 가요대전]]도 역대 최저였던 전년도보다도 낮게 기록되며 간신히 2%대에 턱걸이했다.[* 특히 SBS는 2부만 따지면 '''1%대'''라는 그야말로 처참한 기록을 세웠다.] 반면 기성 가수들도 대거 포함시킨 [[2022 MBC 가요대제전: With Love|MBC 가요대제전]]은 1, 2부 모두 나 홀로 5%를 넘기며 어느 정도 선방할 수 있었다. === 정리 === ==== 1분기 ==== * '''1월''' 지난 해에 이어 [[우주소녀]]의 《[[As You Wish|이루리]]》가 또 다시 새해 첫 날에 차트를 역주행하며 실시간 1위를 기록했다. 특히 [[멜론(음원 서비스)|멜론]] 5분 차트에서 '''역대 실수치 1위'''를 기록하며, 작년보다도 훨씬 강해진 화력을 보였다. 1월 3일, [[P1Harmony]]가 미니 3집 《[[DISHARMONY : FIND OUT]]》을 발매했다. 같은 날 [[걸스플래닛999 : 소녀대전]]의 데뷔조 [[Kep1er]]가 미니 1집 《[[FIRST IMPACT]]》로, [[SM엔터테인먼트]]의 1회성 유닛 [[GOT the beat]]가 디지털 싱글 《[[Step Back]]》로 데뷔했다. 1월 4일, [[원위]]가 미니 2집 《[[Planet Nine : VOYAGER]]》, [[woo!ah!]]가 디지털 싱글 《[[별 따러 가자]]》를 발매했다. 1월 5일, [[우주소녀 쪼꼬미]]가 싱글 2집 《[[슈퍼 그럼요]]》을 발매했고, [[H1-KEY]]가 싱글 1집 《[[ATHLETIC GIRL]]》로 데뷔했다. 1월 10일, [[ENHYPEN]]이 정규 1집 리패키지 《[[DIMENSION : ANSWER]]》을 발매했다. 같은 날 [[위아이]]의 멤버 [[김요한(위아이)|김요한]]이 미니 1집《[[Illusion(김요한)|Illusion]]》을 발매했다. 1월 12일, [[미래소년]]이 미니 3집 《[[Marvelous]]》를 발매했다. 1월 13일, [[최강창민]]이 미니 2집 《[[Devil(최강창민)|Devil]]》를 발매했다. 1월 14일, [[모모랜드]]가 디지털 싱글 《[[Yummy Yummy Love]]》를 발매했다. 1월 15일, [[이소정(가수)|이소정]]이 디지털 싱글 《[[\#구름스타그램]]》를 발매했다. 1월 16일, [[휘인]]이 미니 2집 《[[WHEE]]》를 발매했다. 1월 17일, [[프로미스나인]]의 미니 4집《[[Midnight Guest]]》이, [[DRIPPIN|드리핀]]의 미니 3집 《[[Villain(DRIPPIN)|Villain]]》을 발매했다. 같은 날 [[IZ*ONE]] 출신의 [[최예나]]가 미니 1집 《[[ˣ‿ˣ (SMiLEY)]]》로 솔로 데뷔했다. [[태연]] 역시 같은 날에 정규 3집 선공개곡 《[[Can't Control Myself]]》를 공개했다. 1월 18일, [[여자친구(아이돌)|여자친구]] 출신 [[유주]]가 미니 1집 《[[REC.]]》로 솔로 데뷔를 했다. 1월 19일, [[문별]]이 미니 3집 《[[6equence]]》를 발매했다. 1월 21일, [[BM(KARD)|BM]]이 싱글 《LOST IN EUPHORIA》를 발매했다. 1월 24일, [[펜타곤(아이돌)|펜타곤]]이 미니 12집 《[[IN:VITE U]]》를 발매했다. 1월 25일, [[규현]]이 미니 4집 [[Love Story (4 Season Project 季)]]를 발매했다. 1월 28일, 걸그룹 [[APRIL]]이 해체하였다. ---- * 2월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올림픽]]으로 인해 음악방송들이 무더기로 결방하면서 또 다시 컴백이 뜸해졌다. 2월 7일, [[DAY6]]의 [[원필]]이 첫 정규 앨범이자 솔로 데뷔 앨범인 《[[Pilmography]]》를 발매했다. 2월 9일, [[VIVIZ]]가 《[[Beam Of Prism]]》으로 데뷔했다. 2월 14일, [[Apink]]가 22개월간의 긴 공백기를 깨고 스페셜 앨범 《[[HORN]]》을 발매했다.[* 다만 이번 활동에는 [[손나은]]이 참여하지 않는다.] 같은 날 [[태연]]도 정규 3집 《[[INVU]]》로 컴백했으며 [[에픽하이]] 역시 정규 10집 두 번째 파트인 《[[Epik High Is Here 下]]》로 컴백했다. 2월 15일, YG 신인 보이그룹 [[TREASURE]]가 첫번째 미니 앨범 《[[THE SECOND STEP : CHAPTER ONE]]》을 발매했다. 2월 16일, [[원호]]가 싱글 1집 [[OBSESSION(원호)|OBSESSION]]으로 컴백했다. 2월 21일, [[비투비]]가 군백기를 마치고 정규 3집 《[[Be Together]]》로 컴백했다. 같은날 [[STAYC]]가 미니 2집 《[[YOUNG-LUV.COM]]》으로 컴백했다. 2월 22일 JYP 신인 걸그룹 [[NMIXX]]가 싱글 《[[AD MARE]]》로 데뷔했다. 2월 23일, [[Billlie]]가 미니 2집 《[[the collective soul and unconscious: chapter one]]》으로 컴백했다. 2월 26일, [[MSG 워너비]] M.O.M 유닛이 싱글 《[[듣고 싶을까]]》로 컴백했다. 2월 27일, [[방과후 설렘]]의 데뷔조로 7인조 [[CLASS:y]]가 결성되었다. 2월 28일 [[SUPER JUNIOR]]가 스페셜 싱글앨범인 《[[The Road : Winter for Spring]]》으로 [[로켓펀치]]가 미니 4집 《[[YELLOW PUNCH]]》로 컴백했다. ---- * 3월 3월 2일, [[TEMPEST(아이돌)|TEMPEST]]가 첫 미니앨범 《[[It's ME, It's WE]]》 로 데뷔했다.[* 원래 데뷔일은 2022년 2월 21일이었으나, 멤버들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진으로 데뷔가 연기되었다.] 같은 날, 유튜버 [[민쩌미]]가 직접 작사, 작곡한 《[[점점점(민쩌미)|점점점]]》이 공개되었으며, [[체리블렛]]이 미니 2집 《[[Cherry Wish]]》로 컴백했다. 3월 3일, [[신지(가수)|신지]]가 미니 1집 《[[Always here]]》을 발매했다.[* 앨범에는 신지가 2021년 발매한 [[ALWAYS (2021)]], [[나를 너에게 #s-3|나를 너에게]], [[맴찢]]이 포함되어 있다.] 3월 7일, [[Weeekly]]가 첫 번째 싱글 《[[Play Game : AWAKE]]》로 컴백했다. 3월 11일, [[박재범]]이 디지털 싱글 《[[GANADARA]]》로 컴백했다. 피처링에 [[아이유]]가 참여하여 큰 화제를 모았다. 같은 날에 [[사이버 가수|버츄얼 걸그룹]]인 [[이세계아이돌]]이 싱글 2집 《[[겨울봄]]》으로 컴백했다. 3월 14일, [[브레이브걸스]]가 미니 6집 《[[THANK YOU(브레이브걸스)|THANK YOU]]》로, [[(여자)아이들]]이 정규 1집 《[[I NEVER DIE]]》로 컴백했다. 같은 날 [[뉴이스트]]가 활동을 종료했고, [[김종현|JR]]과 [[아론(가수)|아론]], [[렌(가수)|렌]]이 회사를 떠났다. 3월 15일, 전일자로 계약이 만료된 [[뉴이스트]]의 베스트 앨범 《[[Needle & Bubble]]》이 발매되었다. 같은 날 [[몬스타엑스]] [[기현]]이 싱글 1집 《[[VOYAGER(기현)|VOYAGER]]》로 솔로 데뷔를 했다. 3월 16일, [[솔라(마마무)|솔라]]가 미니 1집 《[[容 : FACE]]》로, [[위아이]]가 미니 4집《[[Love Pt.1 : First Love]]》로 컴백했다. 3월 18일, [[CLC]]의 멤버 [[장승연]]과 [[예은(1998)|장예은]]의 [[큐브엔터테인먼트]] 전속 계약이 종료되었다. 같은 날 [[Stray Kids]]가 미니 6집 《[[ODDINARY]]》로 초고속 컴백했다. 3월 21일, [[Red Velvet]]이 미니 앨범 《[['The ReVe Festival 2022 - Feel My Rhythm']]》으로, [[하이라이트(아이돌)|하이라이트]]가 정규 1집 《[[DAYDREAM(하이라이트)|DAYDREAM]]》으로 컴백했다. 3월 21일, [[Seori]]가 디지털 싱글 《[[Can't Stop This Party]]》로 컴백했다. 3월 22일, [[CRAVITY]]가 정규 1집 PART 2 《[[LIBERTY : IN OUR COSMOS]]》로 컴백했다.[* 원래 컴백일은 2월 22일이었으나, 멤버들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진으로 컴백이 연기되었다.] 3월 28일, [[오마이걸]]이 정규 2집 《[[Real Love(오마이걸)|Real Love]]》로, [[NCT DREAM]]이 정규 2집 《[[Glitch Mode]]》로 컴백했다. 3월 29일, [[퍼플키스]]가 미니 3집 《[[memeM]]》으로 컴백했다. 3월 30일, [[BAE173]]이 미니 3집 《[[INTERSECTION: BLAZE]]》로 컴백했으며, [[NINE.i]]가 미니 1집 《[[NEW WORLD(NINE.i)|NEW WORLD]]》로 데뷔했다. 지난 해 동분기 그야말로 처참한 수준이었던 걸그룹들이 이번 년도 1분기에는 강세를 보였다. [[태연]]과 [[Red Velvet]]은 오랜 연차임에도, 또 한번 음원과 음반 양면에서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특히 [[태연]]은 [[1989년]]생으로 당시 4세대 걸그룹들 중 유일하게 80년대생이며, 거의 최연장자임에도 불구하고, 걸그룹•가수 검색량, 브랜드 평판에서 1위를 차지하였다.] 특히, [[(여자)아이들]]의 활약이 두드러졌는데 [[서수진 학교폭력 가해 논란|멤버 탈퇴]]와 오랜 공백을 딛고 연간 최상위급 강력한 음원 파워를 선보였다. 반면, [[오마이걸]]과 [[브레이브걸스]][* 이로 인해 [[용감한 형제]]에게 쏟아지는 비판이 많아진건 덤.]는 지난 해에 비해 다소 부진했다. [[ENHYPEN]], [[TREASURE]], [[NCT DREAM]] 등 대형기획사들이 내세우는 [[Z세대]] 보이그룹들이 차례대로 출격해 새로운 음반 기록들을 갱신하며, 좋은 성장세를 보여주었다. 특히, [[Stray Kids]]는 [[방탄소년단]]과 [[SuperM]]에 이어 한국 가수 중 세 번째로 '''빌보드 200 차트 1위를 달성'''하며 높아진 북미권 인기를 어필했다. 한편 드라마 [[스물다섯 스물하나]]의 인기에 힘입어 2013년 발매 곡인 [[자우림]]의 [[스물다섯, 스물하나]]가 역주행하였다. 공식 OST는 아니지만 작중에서 중요 소재와 모티브로 작용하였고, 그 결과 극이 절정에 이르는 3월 말 TOP 100에 진입 이후 꾸준히 중위권을 기록하고 있다. 롱런 측면에서 발매 당시보다 오히려 준수한 성적을 거두고 있을 정도. ==== 2분기 ==== * 4월 4월 4일, [[권은비]]가 미니 2집 《[[Color(권은비)|Color]]》로 컴백했고, [[아일리원]]이 싱글 1집 《[[Love In Bloom]]》로 데뷔했다.[* 원래 데뷔일은 2022년 3월 15일이었으나, 멤버들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진으로 인해 연기되었다.] 4월 5일, [[BIGBANG]]이 《[[봄여름가을겨울 (Still Life)]]》로, [[IVE]]가 싱글 2집 《[[LOVE DIVE]]》로 컴백했다. 4월 8일, [[손나은]]이 [[Apink]]를 탈퇴하였다. 4월 11일, [[온유(SHINee)|온유]]가 미니 2집 《[[DICE(온유)|DICE]]》로, [[EPEX]]가 미니 3집 《[[불안의 서 Chapter 1. '21세기 소년들']]》로 컴백했다. 4월 12일, [[드림캐쳐(아이돌)|드림캐쳐]]가 정규 2집 《[[Apocalypse: Save us]]》로, [[BE'O]]가 디지털 싱글 《LOVE me》로 컴백, [[EXO]] 유일한 중국인 멤버 [[레이(EXO)|레이]]가 SM ENT와의 전속계약 기간이 만료되어서 결별하였다.[* SM ENT와의 전속계약 기간이 끝났지만 팀에서 잔류 혹은 탈퇴에 대해선 언급은 없지만 다시 팀에서 합류을 할지는 미지수이다.] 같은 날, [[DKZ]]가 싱글 6집 《[[CHASE EPISODE 2. MAUM]]》 로 컴백했다. 4월 20일, [[볼빨간사춘기]]가 미니 7집 《[[Seoul(볼빨간사춘기)|Seoul]]》로 컴백, [[YOUNITE]]가 미니 1집 《[[YOUNI-BIRTH]]》로 데뷔했다. 4월 22일, 걸그룹 [[핫이슈(아이돌)|핫이슈]]가 데뷔한지 360일만에 해체하였다. 4월 26일, [[몬스타엑스]]가 미니 11집 《[[SHAPE of LOVE]]》로 컴백했다. 4월 27일, [[(여자)아이들]]의 멤버 [[미연]]이 첫 솔로 미니앨범 《[[MY(미연)|MY]]》로 컴백했다. 4월 28일, [[문별]]이 싱글 2집 《[[C.I.T.T (Cheese in the Trap)]]》으로 컴백했다. 4월 29일, [[싸이]]가 5년여 만에 정규 9집《[[싸다9]]》로 컴백했다. 같은 날 [[지코]]가 사회복무요원 복무를 마치고 소집해제했다. 음원차트 외의 소식으로는 [[드림캐쳐]]가 데뷔 1924일 만에 [[쇼챔피언]]에서 [[MAISON]]으로 첫 1위를 했다. [[밍스]] 시절부터 계산하면 [[지유]], [[수아]], [[시연]], [[유현]], [[다미]]는 데뷔 2771일만에 1위이며, 이는 걸그룹 중 1위까지 걸린 최장 기록이다. ---- * 5월 5월 2일, 2020년 [[내일은 미스터트롯]]으로 큰 인기를 끌었던 [[임영웅]]이 드디어 첫 번째 정규 음반을 발매했다. 또한, [[HYBE]] 레이블 출범 이후 첫 걸그룹인 [[LE SSERAFIM]]이 미니 1집 《[[FEARLESS(LE SSERAFIM)|FEARLESS]]》로 데뷔했다. 처음에는 반응이 미미했으나 나름 괜찮은 퀄리티와 개인의 뛰어난 역량으로 시간이 지나고 나서 '''차트 10위권에 도달하는 데 성공하였다.''' 5월 2일, [[허영생]]이 디지털 싱글 《[[Don't Forget You]]》를 발매했다. 5월 3일, [[려욱]]이 미니 3집 《[[A Wild Rose]]》를 발매했다. 5월 4일, [[WOODZ]]가 미니 4집 《[[COLORFUL TRAUMA]]》로 컴백했다. 5월 5일, [[MBC TV|MBC]]에서 방영된 [[방과후 설렘]]의 걸그룹 [[CLASS:y]]가 미니 1집 Y 《[[CLASS IS OVER]]》로 정식 데뷔했다. 5월 9일, [[투모로우바이투게더]]가 미니 4집 《[[minisode 2: Thursday's Child]]》로 컴백했다. 5월 11일, [[정세운]]이 미니 5집 《[[Where is my Garden!]]》으로 컴백했다. 5월 13일, [[B.I]]가 글로벌 선공개 싱글 《[[BTBT]]》를 발매하였다. 미국의 래퍼 [[Soulja Boy]]와 콜라보하였으며, 댄스 챌린지가 외국에서 유행하며 90개국 이상의 아이튠즈 차트에서 1위를 달성하였다. 5월 16일, [[효연]]이 미니 1집 《[[DEEP]]》으로 컴백했다. 5월 17일, [[원어스]]가 미니 7집 《[[TRICKSTER(원어스)|TRICKSTER]]》으로 컴백했다. 5월 18일, [[여자친구(아이돌)|여자친구]] 출신 [[예린]]이 첫 솔로 앨범 《[[ARIA(예린)|ARIA]]》로 데뷔했다.[* 공교롭게도 작년 이 날짜에 여자친구가 [[여자친구 쏘스뮤직 전속계약 종료 논란|활동 종료]] 소식을 알렸다.] 5월 24일, [[LIGHTSUM]]이 미니 1집 《[[Into The Light(LIGHTSUM)|Into The Light]]》로, [[백예린]]이 디지털 싱글 《[[물고기(Pisces)|물고기]]》로 컴백했다. 5월 26일, [[CLASS:y]]가 미니 1집 Z 《[[LIVES ACROSS]]》로 초고속 컴백했다. 5월 27일, [[세븐틴]]이 정규 4집 《[[Face the Sun]]》으로 컴백했다. 5월 30일, [[NCT DREAM]]이 정규 2집 리패키지 《[[Beatbox]]》로 컴백했다. 음원차트 외의 소식으로는 먼저 [[오마이걸]]의 [[공지호|지호]]가 5월 9일 계약 종료와 함께 팀에서 탈퇴하였고, 오마이걸은 6인조로 재편되었다. 또한 [[LE SSERAFIM]]의 멤버 [[김가람]]의 [[김가람 학교폭력 논란|과거 학교폭력 가해 논란]]이 불거졌으며, 특히 5월 15일을 기점으로 학폭위 서류가 공개되면서 논란이 더욱 증폭되었다. 결국 [[LE SSERAFIM]]은 [[김가람]]을 활동 중지시킨 뒤 5인 체제로 활동하였다. 5월 25일에는 [[H1-KEY]]의 태국인 멤버 [[시탈라]]가 탈퇴했다. ---- * 6월 6월 6일, 걸그룹 [[CLC]]가 해체되었다. 6월 9일, [[강혜원]]의 디지털 싱글 《[[Like a Diamond]]》, [[woo!ah!]]의 미니 1집 《[[JOY(woo!ah!)|JOY]]》가 발매되었다. 6월 10일, [[방탄소년단]]의 앤솔러지 앨범 《[[Proof(방탄소년단)|Proof]]》가 발매했다. 6월 13일, [[원호]]가 미니 3집 [[FACADE]]로 컴백했고, [[bugAboo]]도 싱글 2집 《[[POP(bugAboo)|POP]]》으로 컴백했다. 6월 20일, [[이달의 소녀]]가 여름 스페셜 미니 앨범 《[[Flip That]]》으로, [[Kep1er]]가 미니 2집 《[[DOUBLAST]]》로 컴백했다. [[Lapillus]]가 디지털 싱글 《[[HIT YA!]]》로, [[소녀세상]]이 첫 번째 싱글 《[[RAPUNZEL]]》[* 같은 소속사 선배 그룹 [[아이씨유]]의 [[채이(아이씨유)|채이]], [[나예(아이씨유)|나예]]가 참여한 콜라보 데뷔 싱글.]로 데뷔했다. 6월 22일, [[KARD]]가 미니 5집 《[[Re:(KARD)|Re:]]》 로 컴백했다. 6월 23일, [[이무진]]이 미니 1집 《[[Room Vol.1]]》로 컴백했다. 6월 24일, [[TWICE]]의 멤버 [[나연]]이 《[[IM NAYEON]]》으로 솔로 데뷔를 했다. 이로써 3세대 대표 걸그룹 일명, [[트레블(걸그룹)|트레블]]에서 모두 솔로 데뷔를 하였다.[* 2018년 [[BLACKPINK]] [[제니(BLACKPINK)|제니]], 2021년 [[Red Velvet]] [[웬디(Red Velvet)|웬디]], [[조이(Red Velvet)|조이]], [[BLACKPINK]] [[로제(BLACKPINK)|로제]], [[리사(BLACKPINK)|리사]], 2022년 [[TWICE]] [[나연]].] 6월 27일, [[프로미스나인]]이 미니 5집 《[[from our Memento Box]]》로 컴백했다. 또한 [[딩고 뮤직]]의 협업으로 [[B.I]]와 [[츄(가수)|츄]]의 콜라보 싱글 《[[자장가 (Lullaby)]]》가 발매되었다. 6월 29일, [[선미]]가 디지털 싱글 《[[열이올라요 (Heart Burn)]]》로 컴백했다. 6월 30일, [[헤이즈]]가 정규 2집 《[[Undo(헤이즈)|Undo]]》로 컴백했다. [[2022년]] 2분기 가요계는 [[태연]], [[임영웅]], [[박재범]], [[(여자)아이들]] 등 1분기에 발매된 음원들이 건재한 가운데 [[싸이]]와 [[방탄소년단]], 그리고 [[BIGBANG]]이라는 어마어마한 음원강자들이 대거 컴백한, [[코로나19]]로 얼어붙었던 대중음악 시장에 오랜만에 벌어진 차트 전쟁이었다고 할 수 있다. 먼저 4월에 컴백한 [[BIGBANG]]은 오랜 연차와 높은 나이대에도 불구하고, 최고의 음원강자 보이그룹답게 좋은 성과를 거두었다. 기나긴 공백기를 끝내고 돌아온 음원강자들은 건재한 화력을 보여주었고, 치열한 파이 나눠먹기 사이에서도 [[IVE]]가 대중적으로 크게 선전했으며, [[LOVE DIVE]]는 쟁쟁한 차트 강자들을 제치고 '''4세대 걸그룹 최초 월간 차트 1위'''라는 성적을 내었다. 또한 [[LE SSERAFIM]] 등 신인그룹들의 약진과 여전히 롱런 중인 1분기 [[(여자)아이들]]의 [[TOMBOY((여자)아이들)|TOMBOY]]까지, [[2010년대]] 이후 다년간 부진하다 [[2021년 가요계 #s-2.2.1|작년부터 숨통이 트이기 시작한]] [[걸그룹]] 시장이 화려하게 부활하였음을 볼 수 있는 시기였다. ==== 3분기 ==== * 7월 7월 4일, [[ENHYPEN]]이 미니 3집 《[[MANIFESTO : DAY 1]]》으로 ,국내 최초 틱톡커로 구성된 그룹 [[브레이브 보이즈]]가 싱글 1집 《SUMMER KING》으로 컴백했다. 7월 5일, [[우주소녀]]가 스페셜 싱글 《[[Sequence(우주소녀)|Sequence]]》로, [[WINNER]]가 미니 4집 《[[HOLIDAY(WINNER)|HOLIDAY]]》로 컴백했다. 7월 6일, [[VIVIZ]]가 미니 2집 《[[Summer Vibe]]》로, [[H1-KEY]]가 맥시 싱글 《[[RUN(H1-KEY)|RUN]]》으로 컴백했다. 7월 7일, [[강지영]]이 디지털 싱글 《[[LUCID DREAM(강지영)|LUCID DREAM]]》을 발매했다. 7월 8일, [[aespa]]가 미니 2집 《[[Girls(aespa)|Girls]]》로 컴백했다. 7월 9일, [[놀면 뭐하니?]]의 네번째 프로젝트 그룹 [[WSG 워너비]]가 정규 1집 《[[WSG 워너비 1집]]》으로 데뷔하였고, 발매와 동시에 모든 음원 사이트에서 전 곡 차트 줄세우기를 기록했다. 7월 11일, [[청하]]가 정규 2집 《[[Bare&Rare Pt.1]]》로 컴백했다. 7월 12일, [[Apink]] 멤버 [[박초롱]], [[윤보미]]의 에이핑크 공식 첫 유닛[* 그간 BnN(보미, 남주), 주지롱(남주, 은지, 초롱), YOS(보미, 하영, 나은)까지 총 세 유닛이 존재했으나, BnN은 프로젝트&OST 음원, 주지롱과 YOS는 수록곡을 위한 유닛이었기 때문에 단독 음반을 발매해 정식 데뷔한 유닛이 아니었다.] [[Apink 초봄]]의 첫 싱글앨범 《[[Copycat(Apink 초봄)|Copycat]]》으로 데뷔하였고. [[박재범]]이 디지털 싱글《Need To Know》로 컴백했다. [[SUPER JUNIOR]]가 정규 11집 《[[The Road : Keep on Going]]》Vol.1 《[[Mango(SUPER JUNIOR)]]》로 컴백하였다 [* 하지만 [[SUPER SHOW 9 : ROAD]] 일정으로 인하여 음악 방송 출연은 없다고 한다.] 2022년 7월 기준 활동하면서, 최근 컴백한 아이돌 그룹들 중 최연장자다. 7월 14일, [[Billlie]]가 프로젝트 앨범 [[track by YOON: 팥빙수]]로 컴백했다. 7월 15일, [[ITZY]]가 미니 5집 《[[CHECKMATE(ITZY)|CHECKMATE]]》로 컴백했으며, [[지연(1993)|지연]]이 디지털 싱글 《[[또르르]]》를 발매했다. 7월 18일, [[효린]]이 미니 3집 《[[iCE(효린)|iCE]]》로, [[세븐틴]]이 정규 4집 리패키지 《[[SECTOR 17]]》으로 컴백했다. 7월 19일, [[STAYC]]가 싱글 3집 《[[WE NEED LOVE]]》로 컴백했다. 7월 20일, [[P1Harmony]]가 미니 4집 《[[HARMONY : ZERO IN]]》으로 컴백했다. 7월 25일, [[로꼬 & 화사]]가 싱글 《[[Somebody]]!》, [[퍼플키스]]가 미니 4집 《[[Geekyland]]》으로, [[YOUNITE]]가 약 3개월만에 《[[YOUNI-Q]]》로 컴백했다. 7월 26일, 걸그룹 [[블링블링(아이돌)|블링블링]]이 데뷔한지 2년만에 해체되었다. 7월 26일, [[선예]]가 미니 1집 《[[GENUINE]]》로 솔로 데뷔를 했다. 7월 27일, [[IST엔터테인먼트]]에서 선보이는 보이그룹 [[ATBO]]가 미니 1집《[[The Beginning : 開花]]》로 데뷔했고, [[니콜(카라)|니콜]]이 디지털 싱글 《[[YOU.F.O]]》로 8년만에 컴백했다. 또한, [[지코]]가 사회복무를 끝마치고 미니 4집 《Grown Ass Kid》로 컴백하였다. 7월 28일, [[첫사랑(아이돌)|첫사랑]]이 미니 1집 《[[Sequence : 7272]]》로 데뷔 했으며, [[유주]]가 디지털 싱글 《[[이브닝 (Feat. BIG Naughty)|이브닝]]》을 발매했다. 7월 29일, [[ATEEZ]]가 미니 9집 《[[THE WORLD EP.1 : MOVEMENT]]》로 컴백했다. 음원차트 외의 소식으로는 먼저 7월 20일 [[김가람 학교폭력 논란|학교폭력 논란]]을 빚었던 [[김가람]]이 [[LE SSERAFIM]]을 탈퇴함과 동시에 [[쏘스뮤직]]과의 전속 계약을 해지하였고, 이로써 6월부터 5인 체제로 활동해 온 [[LE SSERAFIM]]은 공식적으로 5인조로 재편되었다. 뒤이어 7월 31일, [[프로미스나인]]의 [[장규리]]가 계약을 종료하고 팀을 떠나면서 프로미스나인 역시 8인조로 재편되었다. ---- * 8월 8월 1일, [[NewJeans]]가 미니 1집 《[[New Jeans]]》로 데뷔했다. 8월 3일, [[최예나]]가 미니 2집 《[[SMARTPHONE]]》으로 컴백, [[JUSTHIS]]가 디지털 싱글 《찢어졌다 붙었다 다시》로 컴백했다. 8월 5일, [[소녀시대]]가 정규 7집 《[[FOREVER 1]]》으로 5년 만에 컴백했다. 8월 8일, [[골든차일드]]가 미니 6집《[[AURA(골든차일드)|AURA]]》로 컴백했으며, [[코요태]]가 디지털 싱글《[[GO(코요태)|GO]]》로 컴백했다. 8월 9일, [[펜타곤(아이돌)|펜타곤]] [[키노(펜타곤)|키노]]가 스페셜 싱글 《[[POSE(앨범)|POSE]]》로 솔로 데뷔를 했으며, [[이소정(가수)|이소정]]이 디지털 싱글 《[[내가 제일 사랑했던 노래]]》으로 컴백했다. 8월 9일, [[BM(KARD)|BM]]이 디지털 싱글 《STRANGERS》를 발매했다. 8월 12일, [[CRAVITY]]가 미니 4집 《[[NEW WAVE]]》의 선공개 곡이자 첫 번째 영어 싱글 〈[[Boogie Woogie]]〉를 발매했다. 8월 16일, [[더보이즈]]가 미니 7집 《[[BE AWARE]]》로 컴백했다. 8월 17일, [[BAE173]]이 미니 4집《[[ODYSSEY : DaSH]]》로 컴백했다. 8월 19일, [[BLACKPINK]]가 정규 2집 선공개 싱글 《[[Pink Venom]]》로 컴백했다. 8월 22일, [[IVE]]가 싱글 3집 《[[After LIKE]]》로 컴백했다. 8월 26일, [[TWICE]]가 미니 11집 《[[BETWEEN 1&2]]》로 컴백했다. 8월 29일, [[이진혁(가수)|이진혁]]이 미니 5집 《[[5ight]]》로, [[TEMPEST(아이돌)|TEMPEST]]가 미니 2집 《[[SHINING UP]]》으로, [[로켓펀치]]가 싱글 2집 《[[FLASH(로켓펀치)|FLASH]]》로 컴백했다. 8월 29일, [[APRIL]] 출신 [[김채원(1997)|김채원]]이 첫 번째 싱글 《[[TOMORROW(김채원(1997))|TOMORROW]]》로 솔로 데뷔를 했다. 8월 30일, [[KEY(SHINee)|Key]]가 정규 2집 《[[Gasoline]]》으로 컴백했다. 8월 31일, [[Billlie]]가 미니 3집 《[[the Billage of perception: chapter two]]》로 컴백했다. ---- * 9월 9월 4일, [[츄(가수)|츄]]가 리메이크곡 《일과 이분의 일》을 발매했다. 9월 5일, [[김재환(가수)|김재환]]이 미니 5집 《[[Empty Dream(음반)|Empty Dream]]》으로, [[원어스]]가 미니 8집 《[[MALUS]]》로 컴백했다. 9월 14일, [[위키미키]]의 [[최유정]]이 첫 싱글 앨범 《[[Sunflower(최유정)|Sunflower]]》를 발매하며 솔로 데뷔를 했다. 같은 날 [[DIA(아이돌)|DIA]]가 디지털 싱글 《[[Rooting For You]]》를 발매했으며, 다이아는 9월 17일 활동을 마무리 했다. 9월 16일, [[BLACKPINK]]가 정규 2집 《[[BORN PINK]]》로, [[NCT 127]]이 정규 4집 《[[질주 (2 Baddies)]]》로 컴백, [[예스아이엠엔터테인먼트]]에서 처음으로 선보이는 걸그룹 [[mimiirose]]가 싱글 1집 《[[AWESOME(mimiirose)|AWESOME]]》으로 데뷔했다. 9월 19일, [[NMIXX]]가 싱글 2집 《[[ENTWURF]]》로 컴백했다. 9월 22일, [[Lapillus]]가 미니 1집 《[[GIRL's ROUND Part. 1]]》로 컴백, 유명한 인플루언서 [[퀸동주]]가 <[[삐삐]]>로 정식 음원 데뷔, [[Crush(가수)|Crush]]가 사회복무를 끝마치고 [[제이홉]]이 피처링한 싱글 《Rush Hour》로 컴백했다. 9월 26일, [[EXO]] [[시우민]]이 미니 1집 《[[Brand New(시우민)|Brand New]]》로 솔로 데뷔했다. 9월 27일, [[CRAVITY]]가 미니 4집 《[[NEW WAVE]]》로 컴백했다. 9월 28일, [[미래소년]]이 미니 4집 《[[Ourturn]]》로 컴백했다. 9월 29일, [[EXID]]가 10주년 기념 앨범 《[[X(EXID)|X]]》로 3년 만에 컴백했다. 같은 날 [[143엔터테인먼트]]의 신인 걸그룹 [[LIMELIGHT]]이 《[[LIMELIGHT(LIMELIGHT)|LIMELIGHT]]》로 프리데뷔했다. 당초 9월 10일부터 25일까지 개최 예정이던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이 연기되면서 3분기 컴백을 계획했던 기획사나 아티스트들도 일정을 조정할 것으로 보인다. ==== 4분기 ==== 10월 4일, [[Red Velvet]] [[슬기(Red Velvet)|슬기]]가 미니 1집 《[[28 Reasons]]》로 솔로 데뷔, [[TREASURE]]가 미니 2집 《[[THE SECOND STEP : CHAPTER TWO]]》로 컴백, [[AB6IX]]가 미니 6집 《[[TAKE A CHANCE]]》로 컴백했다. 10월 5일, [[코요태]]가 싱글 《[[LET's KOYOTE]]》를 발매했다.[* [[GO(코요태)|GO]]발매 후 약 2개월 만의 초고속 음원 발매이다.] 10월 6일, [[수지(1994)|수지]]가 디지털 싱글 《[[수지(1994)/음반#s-2.3.6|Cape]]》를 발매했다. 같은 날, [[DKZ]]가 싱글 7집 《[[CHASE EPISODE 3. BEUM]]》로 발매했다. 10월 7일, [[Stray Kids]]가 미니 7집 《[[MAXIDENT]]》로 컴백했다. 10월 11일, [[마마무]]가 미니 12집 《[[MIC ON]]》으로, [[드림캐쳐(아이돌)|드림캐쳐]]가 미니 7집 《[[Apocalypse: Follow us]]》로 컴백했다. 10월 12일, [[이채연|이채연]]이 미니 1집 《[[HUSH RUSH]]》로 솔로 데뷔를 했고, [[권은비]]가 미니 3집 《[[Lethality]]》로 컴백, [[박지훈]]이 미니 6집 《[[박지훈/음반#s-2.2.6|THE ANSWER]]》로 컴백, [[백호(가수)|백호]]가 미니 1집 《[[Absolute Zero(백호)|Absolute Zero]]》로 솔로 데뷔를 했다. 10월 13일, [[Kep1er]]가 미니 3집 《[[TROUBLESHOOTER]]》로 컴백했다. 10월 14일, [[로이킴]]이 데뷔 10주년 정규 앨범을 앞두고 선공개 싱글 《그때로 돌아가》로, [[원호]]가 싱글 2집 《[[Bittersweet(원호)|Bittersweet]]》로 컴백했다. 10월 15일, [[방탄소년단]]이 [[2030 엑스포]] [[부산광역시]] 유치 기원하기 위해 '''[[부산]] 단독 [[무료]] 콘서트'''가 열렸다. 10월 17일, [[(여자)아이들]]이 미니 5집 《[[I love]]》로, [[LE SSERAFIM]]이 미니 2집 《[[ANTIFRAGILE]]》로, [[엔플라잉]]이 미니 8집 《[[Dearest(엔플라잉)|Dearest]]》로, [[이찬혁]]이 《[[ERROR(이찬혁)|ERROR]]》로 솔로 데뷔했다. 10월 19일, [[위아이]]가 미니 5집 《[[Love Pt.2 : Passion]]》로 컴백했다. 10월 20일, [[김설현|설현]]이 [[AOA(아이돌)|AOA]]를 탈퇴했다. 10월 21일, [[SHOW ME THE MONEY 11]]이 방영되었다. 10월 24일, [[Queenz Eye]]가 싱글 1집 《[[QUEENZ TABLE]]》로 데뷔를 했다. 10월 24일, [[기현]]이 미니 1집 《[[YOUTH(기현)|YOUTH]]》로, [[조유리]]가 싱글 2집 《[[Op.22 Y-Waltz : in Minor]]》로 컴백했다. 10월 25일, [[로이킴]]이 정규 4집 《[[로이킴/음반#s-2.1.4|그리고]]》를 발매했으며, [[오휘연|휘연]]과 [[김지안(2006)|지안]]이 [[LIGHTSUM]]를 탈퇴를 했다. 10월 26일, [[EPEX]]가 미니 4집 《[[사랑의 서 Chapter 1. '퍼피 러브']]》로, [[ATBO]]가 미니 2집 《[[The Beginning : 始作]]》으로, [[CLASS:y]]가 미니 2집 《[[Day&Night(CLASS:y)|Day&Night]]》으로 컴백했다. 10월 27일, [[앨리스(아이돌)|앨리스]]가 싱글 1집 《[[DANCE ON]]》으로 컴백했다. 또한 [[김영조(1995)|김영조]]가 [[원어스]]를 탈퇴했다. 10월 28일, [[방탄소년단]] [[진(방탄소년단)|진]]이 싱글 1집 《[[The Astronaut]]》으로 솔로 데뷔했다. 같은 날 [[모드하우스]] 소속의 걸그룹 [[tripleS]]의 유닛 [[Acid Angel from Asia]]가 《[[ACCESS(tripleS)|ACCESS]]》로 데뷔했다. 10월 29일, [[사이버 가수|버츄얼 보이그룹]]인 [[레볼루션 하트]]가 싱글 1집 《[[TRIGGER(레볼루션 하트)|TRIGGER]]》으로 컴백했다. 10월 31일, [[YOUNITE]]가 미니 3집 《[[YOUNI-ON]]》으로 컴백했다. ---- * 11월 11월 21일부터 개막하는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카타르 월드컵]]이라는 초대형 변수가 있어서 10월~11월에 컴백이 몰리고 있다. 허나 [[이태원 압사 사고|이태원 참사]]가 발생하면서 11월 첫 주 컴백을 예고한 일부 가수들의 일정 조정이 있었다. 11월 4일, [[Xdinary Heroes]]가 미니 2집 《[[Overload(Xdinary Heroes)|Overload]]》으로 컴백했다. 11월 7일, [[하이라이트(아이돌)|하이라이트]]가 미니 4집《[[AFTER SUNSET]]》로 컴백했다. 11월 8일, [[뉴이스트]] 출신 솔로 가수 [[김종현]][* 활동 당시 예명은 JR.]이 《[[MERIDIEM]]》으로 솔로 데뷔했으며, [[NINE.i]]가 미니 2집 《[[I Part 1]]》으로 컴백했다. 11월 11일, [[정은지]]가 첫 리메이크 앨범 《[[log(정은지)|log]]》로 2년 4개월만에 컴백했다.[* 원래 11월 2일 발매 예정이었으나 [[이태원 압사 사고]] 발생으로 인해 컴백 일정이 밀리게 되었다.] 11월 14일, [[VERIVERY]]가 싱글 3집 《[[Liminality - EP.LOVE]]》으로 컴백했다. 11월 14일, [[유아(오마이걸)|유아]]가 미니 2집 《[[SELFISH(유아)|SELFISH]]》로 컴백했다. 11월 16일, [[woo!ah!]]가 싱글 4집 《[[Pit-a-Pat]]》로 컴백했다. 11월 17일, [[첫사랑(아이돌)|첫사랑]]이 싱글 1집 《[[Sequence : 17&]]》로 컴백했다. 11월 18일, [[조용필]]이 무려 9년 만에 신보《[[Road to 20 PRELUDE 1]]》를 발매했으며,[* 2023년 말에 발매될 예정인 조용필 정규 20집의 선공개 싱글이다.] [[B.I]]의 글로벌 EP 《[[Love or Loved Part.1]]》이 발매되었다. 같은날 걸그룹 [[FIFTY FIFTY]]가 미니 1집《[[THE FIFTY]]》로 데뷔를 했다. 또한 [[박지은(1997)|박지은]]이 [[퍼플키스]]를 탈퇴했다. 11월 21일, [[신화 WDJ]]가 미니 1집 《[[Come To Life]]》의 선공개 곡 《[[Come To Life#s-3.5|Tomorrow]]》를 발매했다. 이는 멤버 전원 40대로 구성되어 있어 [[슈퍼주니어]]의 평균 36.3세 기록을 깨고 2022년 기준 컴백한 최연장 아이돌 그룹의 타이틀을 가져갔다. 11월 22일, [[보아]]가 미니 3집 《[[Forgive Me]]》로 컴백했다. 11월 23일, [[NMIXX]]가 인터믹션 싱글 1집 《[[Funky Glitter Christmas]]》로 컴백했다. 11월 28일, [[Red Velvet]]이 EP 《[['The ReVe Festival 2022 - Birthday']]》으로 컴백했다. 11월 29일 [[카라]]가 15주년 기념 앨범 《[[MOVE AGAIN]]》으로 7년만에 탈퇴했던 [[강지영]], [[니콜]]과 함께 컴백했다. 11월 30일, [[ITZY]]가 미니 6집 《[[CHESHIRE]]》로 컴백했으며, [[APRIL]] 출신 [[김채원(1997)|김채원]]과 [[이진솔]]이 듀엣으로 디지털 싱글 《[[Forever & Forever (다시 봄이 온다면)]]》를 발매했다. 한편, [[윤하]]의 [[사건의 지평선(윤하)|사건의 지평선]], [[END THEORY#s-4.3|오르트구름]]이 가을 축제 시즌의 영향을 받아 가파른 기세의 역주행을 보여주었다. 사건의 지평선은 일간은 물론 주간, 월간 1위까지 찍었고, 오르트구름 역시 음원이 2개(정규 및 리패키지)로 분산되는 핸디캡 속에서도[* 이후 피드백을 받았는지 리패키지 쪽 음원은 막아두었다.] 탑100에 진입하는 성과를 거뒀다. 음원차트 외적으로 사건사고가 많았던 4분기인데, 특히 90년대에나 볼 법한 수준의 기획사 발 갑질 관련 사건사고가 연달아 일어나면서 대중들을 경악시키고 있다. 먼저 10월 말부터 계속되고 있는 [[오메가엑스]]의 [[스파이어엔터테인먼트 OMEGA X 멤버 폭행 사건|소속사 대표 부인의 폭행 논란]]에 이어, 11월 중순부터는 가수 [[이승기]]가 [[이승기 후크엔터테인먼트 계약 논란|소속사로부터 20년 가까운 시간 동안 음원 수익을 한 푼도 정산받지 못하는 등 착취를 당해 온 사건]]이 드러나 충격을 주었다. 뒤이어 11월 25일, [[이달의 소녀]]의 [[츄(가수)|츄]]가 [[이달의 소녀 츄 퇴출 사건|스태프를 향한 폭언 및 갑질이라는, 여러모로 앞뒤가 안 맞는 이유로 퇴출 처분을 당하는]] 초유의 사건이 일어나면서 연예 기획사들을 향한 불신이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 * 12월 12월 2일, [[방탄소년단]] [[RM]]이 《[[Indigo(앨범)|Indigo]]》 를 발매했다. 12월 2일, [[홍진영]]이 미니 2집 《Color Mood》를 발매했다. 12월 6일, [[신화 WDJ]]가 미니 1집《[[Come To Life]]》 로, [[민호]]가 미니 1집 《[[CHASE(민호)|CHASE]]》로 컴백했다. 12월 9일, [[지니(가수)|지니]]가 개인적인 사정으로 계약해지와 동시에 [[NMIXX]]를 탈퇴하였다. 12월 12일, [[APRIL]] 출신 [[이진솔]]이 디지털 싱글 《[[Let me out(이진솔)|Let me out]]》를 발매했다. 12월 13일, [[위아이]]가 스페셜 앨범 《[[Gift For You]]》를 발매했다. 12월 15일, [[SUPER JUNIOR]] 가 정규 11집 Vol.2 《[[The Road : Celebration]]》로, 같은 날 [[레볼루션 하트]]가 스페셜 싱글 《[[흰 눈이 내려와]]》로 컴백했다. 12월 16일, [[NCT DREAM]]이 스페셜 미니앨범 《[[Candy(NCT DREAM)|Candy]]》를 발매했다. [[H.O.T.]]의 [[캔디(H.O.T.)|캔디]]를 리메이크 했다. 12월 19일, [[NewJeans]]가 싱글 1집 《[[OMG(NewJeans)|OMG]]》의 프리 싱글 《[[Ditto(NewJeans)|Ditto]]》로 컴백했다. 12월 20일, [[미래소년]]이 스페셜 싱글 《[[Snow Prince(미래소년)|Snow Prince]]》를 발매했다. 직속 선배인 [[SS501(아이돌)|SS501]]의 [[Snow Prince|동명의 곡]]을 리메이크 했다. 12월 21일, [[소유(가수)|소유]]가 리메이크 음원 발매 프로젝트 [다시, 별] 첫 번째 음원 [[나인뮤지스]]의 《[[DOLLS(나인뮤지스)|돌스(Dolls)]]》를 리메이크하여 발매했다. 12월 22일, [[APRIL]] 출신 [[김채원(1997)|김채원]]이 디지털 싱글 《[[My Little Christmas]]》를 발매했다. === 연간차트 === ==== 멜론 차트 ==== ||<-7> '''{{{#white 2022년 멜론 연간 차트[* 2023. 01. 19. 공개][* 주간/월간 순위는 2위까지 기재, '''좋아요수는 발표일 기준으로 이후 수정하지 말 것''']}}}''' || || '''{{{#white 연간순위}}}''' || '''{{{#white 아티스트명}}}''' || '''{{{#white 곡명}}}''' || '''{{{#white 좋아요수}}}''' || '''{{{#white 주간순위}}}''' || '''{{{#white 월간순위}}}''' || '''{{{#white 앨범명}}}''' || || '''{{{#red 1위}}}''' || '''[[IVE]]''' || '''LOVE DIVE''' || 223,022 || '''{{{#red 3주 1위}}}''' || '''{{{#red 1위}}}''' || LOVE DIVE || || '''{{{#red 2위}}}''' || '''[[(여자)아이들]]''' || '''TOMBOY''' || 230,005 || '''{{{#red 3주 1위}}}''' || '''{{{#blue 2위}}}''' || I NEVER DIE || || '''{{{#red 3위}}}''' || '''[[김민석(멜로망스)|김민석 (멜로망스)]]''' || '''취중고백''' || 155,867 || '''{{{#red 6주 1위}}}''' || '''{{{#red 1위}}}''' || 취중고백 || || '''{{{#red 4위}}}''' || '''[[멜로망스]]''' || '''사랑인가 봐''' || 171,845 || - || - || 사랑인가 봐 (사내맞선 OST 스페셜 트랙) || || '''{{{#red 5위}}}''' || '''[[임영웅]]''' || '''사랑은 늘 도망가''' || 187,184 || '''{{{#blue 2위}}}''' || '''{{{#blue 2위}}}''' || 신사와 아가씨 OST Part.2 || || '''{{{#blue 6위}}}''' || '''[[IVE]]''' || '''ELEVEN''' || 173,644 || - || - || ELEVEN || || '''{{{#blue 7위}}}''' || '''[[BIGBANG]]''' || '''봄여름가을겨울 (Still Life)''' || 290,014 || '''{{{#red 5주 1위}}}''' || '''{{{#red 1위}}}''' || 봄여름가을겨울 (Still Life) || || '''{{{#blue 8위}}}''' || '''[[경서예지]], [[전건호]]''' || '''다정히 내 이름을 부르면''' || 161,969 || - || - || 다정히 내 이름을 부르면 (경서예지 x 전건호) || || '''{{{#blue 9위}}}''' || '''[[싸이]]''' || '''That That (prod. & feat. SUGA of BTS)''' || 128,931 || '''{{{#red 5주 1위}}}''' || '''{{{#red 1위}}}''' || 싸다9 || || '''{{{#blue 10위}}}''' || '''[[BIG Naughty]]''' || '''정이라고 하자 (Feat. 10CM)''' || 197,072 || - || - || 정이라고 하자 || ==== 써클 차트[*Circle 2022년 7월 7일부로 가온차트에서 써클차트로 이름을 변경하였다.] ==== ||<-7> '''{{{#white 2022년 써클 디지털 연간 차트[* 2023년 1월 13일 공개][* 주간, 월간 순위는 2위까지 기록]}}}''' || || '''{{{#white 연간순위}}}''' || '''{{{#white 아티스트명}}}''' || '''{{{#white 곡명}}}''' || '''{{{#white 가온지수}}}''' || '''{{{#white 주간순위}}}''' || '''{{{#white 월간순위}}}''' || '''{{{#white 앨범명}}}''' || || '''{{{#red 1위}}}''' || '''[[IVE]]''' || '''LOVE DIVE''' || 808,096,095 || '''{{{#red 4주 1위}}}''' || '''{{{#red 1위}}}''' || LOVE DIVE || || '''{{{#red 2위}}}''' || '''[[(여자)아이들]]''' || '''TOMBOY''' || 756,188,453 || '''{{{#red 2주 1위}}}''' || '''{{{#blue 2위}}}''' || I NEVER DIE || || '''{{{#red 3위}}}''' || '''[[김민석(멜로망스)|김민석 (멜로망스)]]''' || '''취중고백''' || 681,836,572 || '''{{{#red 5주 1위}}}''' || '''{{{#red 1위}}}''' || 취중고백 || || '''{{{#red 4위}}}''' || '''[[멜로망스]]''' || '''사랑인가 봐''' || 668,696,709 || - || - || 사랑인가 봐 (사내맞선 OST 스페셜 트랙) || || '''{{{#red 5위}}}''' || '''[[임영웅]]''' || '''사랑은 늘 도망가''' || 635,225,646 || - || - || 신사와 아가씨 OST Part.2 || || '''{{{#blue 6위}}}''' || '''[[IVE]]''' || '''ELEVEN''' || 595,892,371 || '''{{{#blue 2위}}}''' || '''{{{#blue 2위}}}''' || ELEVEN || || '''{{{#blue 7위}}}''' || '''[[BIGBANG]]''' || '''봄여름가을겨울 (Still Life)''' || 569,666,809 || '''{{{#red 5주 1위}}}''' || '''{{{#red 1위}}}''' || 봄여름가을겨울 (Still Life) || || '''{{{#blue 8위}}}''' || '''[[싸이]]''' || '''That That (prod. & feat. SUGA of BTS)''' || 536,264,813 || '''{{{#red 4주 1위}}}''' || '''{{{#red 1위}}}''' || 싸다9 || || '''{{{#blue 9위}}}''' || '''[[경서예지]], [[전건호]]''' || '''다정히 내 이름을 부르면''' || 514,888,578 || - || - || 다정히 내 이름을 부르면 (경서예지 x 전건호) || || '''{{{#blue 10위}}}''' || '''[[BIG Naughty]]''' || '''정이라고 하자 (Feat. 10CM)''' || 495,877,807 || - || - || 정이라고 하자 || === 1위 곡 목록 === ==== 멜론 차트 ==== ||<-5> '''{{{#white 멜론차트 1위 곡 목록}}}''' || || '''{{{#white 곡}}}''' || '''{{{#white 가수}}}''' || '''{{{#white 일간 1위 횟수}}}''' || '''{{{#white 주간 1위 횟수}}}''' || '''{{{#white 월간 1위}}}''' || || '''Counting Stars (Feat. Beenzino)''' || '''BE'O (비오)''' || 9일[* 2021년 누적 25일] || 2주[* 2021년 누적 4주] || - || || '''회전목마 (Feat. Zion.T, 원슈타인) (Prod. Slom)''' || '''sokodomo''' || 1일[* 2021년 누적 8일] || - || - || || '''취중고백''' || '''김민석 (멜로망스)''' || 42일 || 6주 || '''{{{#red 1월 1위}}}'''[br]'''{{{#red 2월 1위}}}''' || || '''INVU''' || '''태연 (TAEYEON)''' || 18일 || 3주 || '''{{{#red 3월 1위}}}''' || || '''GANADARA (Feat. 아이유)''' || '''박재범''' || 10일 || 1주 || - || || '''TOMBOY''' || '''(여자)아이들''' || 21일 || 3주 || - || || '''봄여름가을겨울 (Still Life)''' || '''BIGBANG (빅뱅)''' || 35일 || 5주 || '''{{{#red 4월 1위}}}''' || || '''That That (prod. & feat. SUGA of BTS)''' || '''싸이 (PSY)''' || 33일 || 5주 || '''{{{#red 5월 1위}}}''' || || '''LOVE DIVE''' || '''IVE (아이브)''' || 21일 || 3주 || '''{{{#red 6월 1위}}}''' || || '''그때 그 순간 그대로 (그그그)''' || '''WSG워너비 (가야G)''' || 32일 || 5주 || '''{{{#red 7월 1위}}}''' || || '''Attention''' || '''NewJeans''' || 18일 || 2주 || '''{{{#red 8월 1위}}}''' || || '''After LIKE''' || '''IVE (아이브)''' || 27일 || 4주 || '''{{{#red 9월 1위}}}''' || || '''새삥 (Prod. ZICO) (Feat. 호미들)''' || '''지코 (ZICO)''' || 25일 || 3주 || '''{{{#red 10월 1위}}}''' || || '''Nxde''' || '''(여자)아이들''' || 17일 || 3주 || - || || '''사건의 지평선''' || '''윤하 (YOUNHA)''' || 43일 || 6주 || '''{{{#red 11월 1위}}}'''[br]'''{{{#red 12월 1위}}}''' || || '''Ditto''' || '''NewJeans''' || 13일 || 2주 || - || ==== 써클 차트[*Circle 2022년 7월 7일부로 가온차트에서 써클차트로 이름을 변경하였다.] ==== ||<-5> '''{{{#white 써클 디지털 차트 1위 곡 목록}}}''' || || '''{{{#white 곡}}}''' || '''{{{#white 가수}}}''' || '''{{{#white 주간 1위 횟수}}}''' || '''{{{#white 월간 1위}}}''' || '''{{{#white 월간 음원상}}}'''[* [[써클차트 뮤직 어워즈]]의 월간 음원 수상자] || || '''회전목마 (Feat. Zion.T, 원슈타인) (Prod. Slom)''' || '''sokodomo''' || 1주[* 2021년 누적 3주] || - || - || || '''겨울잠''' || '''아이유 (IU)''' || 1주 || - || - || || '''취중고백''' || '''김민석 (멜로망스)''' || 5주 || '''{{{#red 1월 1위}}}'''[br]'''{{{#red 2월 1위}}}''' || - || || '''WA DA DA''' || '''Kep1er (케플러)''' || - || - || '''{{{#red 1월 1위}}}''' || || '''INVU''' || '''태연 (TAEYEON)''' || 4주 || '''{{{#red 3월 1위}}}''' || '''{{{#red 2월 1위}}}''' || || '''GANADARA (Feat. 아이유)''' || '''박재범''' || 1주 || - || - || || '''TOMBOY''' || '''(여자)아이들''' || 2주 || - || '''{{{#red 3월 1위}}}''' || || '''봄여름가을겨울 (Still Life)''' || '''BIGBANG (빅뱅)''' || 3주 || '''{{{#red 4월 1위}}}''' || - || || '''우리들의 블루스''' || '''임영웅''' || 1주 || - || - || || '''다시 만날 수 있을까''' || '''임영웅''' || 1주 || - || - || || '''FEARLESS''' || '''LE SSERAFIM (르세라핌)''' || - || - || '''{{{#red 5월 1위}}}''' || || '''That That (prod. & feat. SUGA of BTS)''' || '''싸이 (PSY)''' || 4주 || '''{{{#red 5월 1위}}}''' || - || || '''Beatbox''' || '''NCT DREAM''' || 1주 || - || - || || '''LOVE DIVE''' || '''IVE (아이브)''' || 4주 || '''{{{#red 6월 1위}}}''' || '''{{{#red 4월 1위}}}''' || || '''Yet To Come''' || '''방탄소년단''' || - || - || '''{{{#red 6월 1위}}}''' || || '''Girls''' || '''aespa''' || - || - || '''{{{#red 7월 1위}}}''' || || '''그때 그 순간 그대로 (그그그)''' || '''WSG워너비 (가야G)''' || 5주 || '''{{{#red 7월 1위}}}''' || - || || '''Attention''' || '''NewJeans''' || 2주 || '''{{{#red 8월 1위}}}''' || - || || '''Pink Venom''' || '''BLACKPINK''' || - || - || '''{{{#red 8월 1위}}}''' || || '''After LIKE''' || '''IVE (아이브)''' || 4주 || '''{{{#red 9월 1위}}}''' || - || || '''새삥 (Prod. ZICO) (Feat. 호미들)''' || '''지코 (ZICO)''' || 4주 || '''{{{#red 10월 1위}}}''' || - || || '''Shut Down''' || '''BLACKPINK''' || - || - || '''{{{#red 9월 1위}}}''' || || '''Nxde''' || '''(여자)아이들''' || 2주 || - || - || || '''ANTIFRAGILE''' || '''LE SSERAFIM (르세라핌)''' || - || - || '''{{{#red 10월 1위}}}''' || || '''Cheshire''' || '''ITZY (있지)''' || - || - || '''{{{#red 11월 1위}}}''' || || '''사건의 지평선''' || '''윤하 (YOUNHA)''' || 6주 || '''{{{#red 11월 1위}}}'''[br]'''{{{#red 12월 1위}}}''' || - || || '''Ditto''' || '''NewJeans''' || 2주 || - || '''{{{#red 12월 1위}}}''' || === 음악 방송 1위 곡 목록 === ||<-8> '''{{{#white 음악 방송 1위 곡 목록}}}'''[* 한 음악 방송에서 트리플 크라운, 혹은 3주 이상 1위 곡에는 금색 배경, 음악방송 올킬 곡에는 볼드체 처리.][* 7관왕 이상 달성한 경우에만 표 아래에 서술한다.] || ||<-2> '''{{{#white 시기}}}''' || [[더 쇼|[[파일:더 쇼 로고(2018-2023).svg|width=50%]]]] || [[쇼챔피언|[[파일:쇼 챔피언 2019 로고.png|width=50%]]]] || [[엠 카운트다운|[[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21.svg|width=50%]]]] || [[뮤직뱅크|[[파일:뮤직뱅크 로고 2019.png|width=50%&theme=light]][[파일:뮤직뱅크 로고 화이트 2019.png|width=50%&theme=dark]]]] || [[쇼! 음악중심|[[파일:쇼! 음악중심 로고(2019).svg|width=50%]]]] || [[SBS 인기가요|[[파일:SBS 인기가요 로고 2022.png|width=50%]]]] || ||<|8> 1월 ||<|2> 1주 ||<|2><-3> 결방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Universe Album Art.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LEVEN.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LEVEN.jpg|width=100%]]}}} || || Universe[br]NCT U || ELEVEN[br]IVE || ELEVEN[br]IVE || ||<|2> 2주 ||<|2><-2> 결방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IRST IMPACT.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IRST IMPACT.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LEVEN.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LEVEN.jpg|width=100%]]}}} || || WA DA DA[br]Kep1er || WA DA DA[br]Kep1er || ELEVEN[br]IVE || ELEVEN[br]IVE || ||<|2> 3주 ||<|2> 결방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IMENSION : ANSWER.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IRST IMPACT.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IMENSION : ANSWER.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LEVEN.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LEVEN.jpg|width=100%]]}}} || || Blessed-Cursed[br]ENHYPEN || WA DA DA[br]Kep1er || Blessed-Cursed[br]ENHYPEN || ELEVEN[br]IVE || ELEVEN[br]IVE || ||<|2> {{{#!wiki style="word-break: keep-all" 4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dnight Guest.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dnight Guest.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HEE MAIN ARTWORK.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조각집 앨범커버.jpg|width=100%]]}}} ||<|8> 결방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tep Back.jpg|width=100%]]}}} || || DM[br]프로미스나인 || DM[br]프로미스나인 || 오묘해[br]휘인 || 겨울잠[br]아이유 || Step Back[br]GOT the beat || ||<|8> 2월 ||<|2> 1주 ||<|6> 결방 ||<|4> 결방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tep Back.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tginviteu.jpg|width=100%]]}}} ||<|4> 결방 || || Step Back[br]GOT the beat || Feelin' Like[br]펜타곤 || ||<|2> 2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ˣ‿ˣ (SMiLEY).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LEVEN.jpg|width=100%]]}}} || || SMILEY[br]YENA || ELEVEN[br]IVE || ||<|2> 3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eam Of Prism 앨범커버.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eam Of Prism 앨범커버.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LEVEN.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tep Back.jpg|width=100%]]}}} || || BOP BOP![br]VIVIZ || BOP BOP![br]VIVIZ || ELEVEN[br]IVE || Step Back[br]GOT the beat || ||<|2> 4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ORN_ALBUM_COVER.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HE SECOND STEP : CHAPTER ON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NVU.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HE SECOND STEP : CHAPTER ON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NVU.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NVU.jpg|width=100%]]}}} || || Dilemma[br]Apink || 직진[br]TREASURE || INVU[br]태연 || 직진[br]TREASURE || INVU[br]태연 || INVU[br]태연 || ||<|8> 3월 ||<|2> 1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YOUNG-LUV.COM.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e Together.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e Together.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YOUNG-LUV.COM.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NVU.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NVU.jpg|width=100%]]}}} || || RUN2U[br]STAYC || 노래[br]비투비 || 노래[br]비투비 || RUN2U[br]STAYC || INVU[br]태연 || INVU[br]태연 || ||<|2> 2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YOUNG-LUV.COM.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YOUNG-LUV.COM.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YOUNG-LUV.COM.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YOUNG-LUV.COM.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NVU.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NVU.jpg|width=100%]]}}} || || RUN2U[br]STAYC || RUN2U[br]STAYC || RUN2U[br]STAYC || RUN2U[br]STAYC || INVU[br]태연 || INVU[br]태연 || ||<|2> 3주 ||<|2><-2> 결방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YOUNG-LUV.COM.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우석 3집 Reve 앨범커버.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NVU.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취중고백.jpg|width=100%]]}}} || || RUN2U[br]STAYC || Switch[br]김우석 || INVU[br]태연 || 취중고백[br]김민석 || ||<|2> 4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 NEVER DI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 NEVER DI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 NEVER DI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DDINARY Online Cover.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 NEVER DI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 NEVER DIE.jpg|width=100%]]}}} || || TOMBOY[br](여자)아이들 || TOMBOY[br](여자)아이들 || TOMBOY[br](여자)아이들 || MANIAC[br]Stray Kids || TOMBOY[br](여자)아이들 || TOMBOY[br](여자)아이들 || ||<|10> 4월 ||<|2> 1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ighlight DAYDREAM.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DDINARY Online Cover.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 NEVER DI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he ReVe Festival 2022 - Feel My Rhythm.jpg|width=100%]]}}} ||<|2> 결방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 NEVER DIE.jpg|width=100%]]}}} || || DAYDREAM[br]하이라이트 || MANIAC[br]Stray Kids || TOMBOY[br](여자)아이들 || Feel My Rhythm[br]레드벨벳 || TOMBOY[br](여자)아이들 || ||<|2> 2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eal Lov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litch Mode Album Art.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litch Mode Album Art.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litch Mode Album Art.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litch Mode Album Art.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litch Mode Album Art.jpg|width=100%]]}}} || || Real Love[br]오마이걸 || 버퍼링[br]NCT DREAM || 버퍼링[br]NCT DREAM || 버퍼링[br]NCT DREAM || 버퍼링[br]NCT DREAM || 버퍼링[br]NCT DREAM || ||<|2> 3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OVE DIV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OVE DIV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봄여름가을겨울 (Still Lif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OVE DIVE.jpg|width=100%]]}}} ||<|2> 결방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봄여름가을겨울 (Still Life).jpg|width=100%]]}}} || || LOVE DIVE[br]IVE || LOVE DIVE[br]IVE || 봄여름가을겨울[br]빅뱅 || LOVE DIVE[br]IVE || 봄여름가을겨울[br]빅뱅 || ||<|2> 4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OVE DIV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S.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봄여름가을겨울 (Still Lif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OVE DIV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봄여름가을겨울 (Still Lif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봄여름가을겨울 (Still Life).jpg|width=100%]]}}} || || LOVE DIVE[br]IVE}}} || MAISON[br]드림캐쳐 || 봄여름가을겨울[br]빅뱅 || LOVE DIVE[br]IVE || 봄여름가을겨울[br]빅뱅 || 봄여름가을겨울[br]빅뱅 || ||<|2> 5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S.jpg|width=100%]]}}} ||<|2> 결방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봄여름가을겨울 (Still Lif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OVE DIV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봄여름가을겨울 (Still Lif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봄여름가을겨울 (Still Life).jpg|width=100%]]}}} || || MAISON[br]드림캐쳐 || 봄여름가을겨울[br]빅뱅 || LOVE DIVE[br]IVE || 봄여름가을겨울[br]빅뱅 || 봄여름가을겨울[br]빅뱅 || ||<|8> 5월 ||<|2> 1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미연 MY.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APE of LOV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OVE DIV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APE of LOV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봄여름가을겨울 (Still Lif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OVE DIVE.jpg|width=100%]]}}} || || Drive[br]미연 || LOVE[br]몬스타엑스 || LOVE DIVE[br]IVE || LOVE[br]몬스타엑스 || 봄여름가을겨울[br]빅뱅 || LOVE DIVE[br]IVE || ||<|2> 2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EARLESS.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싸다9.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 HERO.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EARLESS.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 HERO.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싸다9.jpg|width=100%]]}}} || || FEARLESS[br]LE SSERAFIM || That That[br]싸이 || 다시 만날 수 있을까[br]임영웅 || FEARLESS[br]LE SSERAFIM || 다시 만날 수 있을까[br]임영웅 || That That[br]싸이 || ||<|2> 3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EARLESS.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싸다9.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싸다9.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nisode 2: Thursday's Child.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싸다9.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싸다9.jpg|width=100%]]}}} || || FEARLESS[br]LE SSERAFIM || That That[br]싸이 || That That[br]싸이 || {{{-2 Good Boy Gone Bad}}}[br]{{{-1 투모로우바이투게더}}} || That That[br]싸이 || That That[br]싸이 || ||<|2> 4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rive to the Starry Road.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rive to the Starry Road.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rive to the Starry Road.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rive to the Starry Road.jpg|width=100%]]}}} ||<|2> 결방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싸다9.jpg|width=100%]]}}} || || Candy Sugar Pop[br]아스트로 || Candy Sugar Pop[br]아스트로 || Candy Sugar Pop[br]아스트로 || Candy Sugar Pop[br]아스트로 || That That[br]싸이 || ||<|8> 6월 ||<|2> 1주 ||<|2> 결방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EARLESS.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ace the Sun.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ace the Sun.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angdanielThe Story.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 NEVER DIE.jpg|width=100%]]}}} || || FEARLESS[br]LE SSERAFIM || HOT[br]세븐틴 || HOT[br]세븐틴 || Upside Down[br]강다니엘 || TOMBOY[br](여자)아이들 || ||<|2> 2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p.22 Y-Waltz : in Major.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eatbox.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eatbox.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eatbox.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eatbox.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eatbox.jpg|width=100%]]}}} || || 러브 쉿![br]조유리 || Beatbox[br]NCT DREAM || Beatbox[br]NCT DREAM || Beatbox[br]NCT DREAM || Beatbox[br]NCT DREAM || Beatbox[br]NCT DREAM || ||<|2> 3주 ||<|4> 결방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roof.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roof.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roof.png|width=100%]]}}} ||<|2> 결방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roof.png|width=100%]]}}} || || Yet To Come[br]방탄소년단 || Yet To Come[br]방탄소년단 || Yet To Come[br]방탄소년단 || Yet To Come[br]방탄소년단 || ||<|2> 4주 ||<|2> 결방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roof.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roof.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roof.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roof.png|width=100%]]}}} || || Yet To Come[br]방탄소년단 || Yet To Come[br]방탄소년단 || Yet To Come[br]방탄소년단 || Yet To Come[br]방탄소년단 || ||<|10> 7월 ||<|2> 1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lip That.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lip That.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roof.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OUBLAST.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 HERO.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OVE DIVE.jpg|width=100%]]}}} || || Flip That[br]이달의 소녀 || Flip That[br]이달의 소녀 || Yet To Come[br]방탄소년단 || Up![br]Kep1er || 다시 만날 수 있을까[br]임영웅 || LOVE DIVE[br]IVE || ||<|2> 2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rom our Memento Box.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rom our Memento Box.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rom our Memento Box.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rom our Memento Box.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rom our Memento Box.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 NAYEON.jpg|width=100%]]}}} || || Stay This Way[br]프로미스나인 || Stay This Way[br]프로미스나인 || Stay This Way[br]프로미스나인 || Stay This Way[br]프로미스나인 || Stay This Way[br]프로미스나인 || POP![br]나연 || ||<|2> 3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NIFESTO : DAY 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NIFESTO : DAY 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 NAYEON.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NIFESTO : DAY 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 NAYEON.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OVE DIVE.jpg|width=100%]]}}} || || Future Perfect[br]ENHYPEN || Future Perfect[br]ENHYPEN || POP![br]나연 || Future Perfect[br]ENHYPEN || POP![br]나연 || LOVE DIVE[br]IVE || ||<|2> 4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are&Rare Pt.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irls.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irls.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HECKMATE (NEW ver.).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SG 워너비 1집.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 NAYEON.jpg|width=100%]]}}} || || Sparkling[br]청하 || Girls[br]aespa || Girls[br]aespa || SNEAKERS[br]ITZY || {{{-1 그때 그 순간 그대로}}}[br]WSG워너비 || POP![br]나연 || ||<|2> 5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E NEED LOV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ECTOR 17.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ECTOR 17.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ECTOR 17.jpg|width=100%]]}}} ||<|2> 결방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ECTOR 17.jpg|width=100%]]}}} || || {{{-1 BEAUTIFUL[br]MONSTER}}}[br]STAYC || _WORLD[br]세븐틴 || _WORLD[br]세븐틴 || _WORLD[br]세븐틴 || _WORLD[br]세븐틴 || ||<|8> 8월 ||<|2> 1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HE WORLD EP.1 : MOVEMENT.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HE WORLD EP.1 : MOVEMENT.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ECTOR 17.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HE WORLD EP.1 : MOVEMENT.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SG 워너비 1집.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 NAYEON.jpg|width=100%]]}}} || || Guerilla[br]ATEEZ || Guerilla[br]ATEEZ || _WORLD[br]세븐틴 || Guerilla[br]ATEEZ || {{{-1 그때 그 순간 그대로}}}[br]WSG워너비 || POP![br]나연 || ||<|2> 2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HE WORLD EP.1 : MOVEMENT.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HE WORLD EP.1 : MOVEMENT.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HECKMATE (NEW ver.).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HE WORLD EP.1 : MOVEMENT.jpg|width=100%]]}}} ||<|2> 미집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HECKMATE (NEW ver.).jpg|width=100%]]}}} || || Guerilla[br]ATEEZ || Guerilla[br]ATEEZ || SNEAKERS[br]ITZY || Guerilla[br]ATEEZ || SNEAKERS[br]ITZY || ||<|2> 3주 ||<|2><-2> 결방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뉴진스 The 1st EP 앨범커버.sv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뉴진스 The 1st EP 앨범커버.sv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뉴진스 The 1st EP 앨범커버.sv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뉴진스 The 1st EP 앨범커버.svg|width=100%]]}}} || || Attention[br]NewJeans || Attention[br]NewJeans || Attention[br]NewJeans || Attention[br]NewJeans || ||<|2> 4주 ||<|2> 결방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ink Venom.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ink Venom.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E AWAR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E AWAR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뉴진스 The 1st EP 앨범커버.svg|width=100%]]}}} || || Pink Venom[br]BLACKPINK || Pink Venom[br]BLACKPINK || WHISPER[br]더보이즈 || WHISPER[br]더보이즈 || Attention[br]NewJeans || ||<|10> 9월 ||<|2> 1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fter LIKE.sv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fter LIKE.sv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ink Venom.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fter LIKE.sv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fter LIKE.sv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ink Venom.jpg|width=100%]]}}} || || After LIKE[br]IVE || After LIKE[br]IVE || Pink Venom[br]BLACKPINK || After LIKE[br]IVE || After LIKE[br]IVE || Pink Venom[br]BLACKPINK || ||<|2> 2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fter LIKE.sv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fter LIKE.sv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ink Venom.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fter LIKE.svg|width=100%]]}}} ||<-2><|2> 결방 || || After LIKE[br]IVE || After LIKE[br]IVE || Pink Venom[br]BLACKPINK || After LIKE[br]IVE || ||<|2> 3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LUS 커버.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LUS 커버.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fter LIKE.sv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LUS 커버.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fter LIKE.sv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ink Venom.jpg|width=100%]]}}} || || Same Scent[br]원어스 || Same Scent[br]원어스 || After LIKE[br]IVE || Same Scent[br]원어스 || After LIKE[br]IVE || Pink Venom[br]BLACKPINK || ||<|2> 4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LUS 커버.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LACKPINK_BORN PINK.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LACKPINK_BORN PINK.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fter LIKE.sv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fter LIKE.sv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ink Venom.jpg|width=100%]]}}} || || Same Scent[br]원어스 || Shut Down[br]BLACKPINK || Shut Down[br]BLACKPINK || After LIKE[br]IVE || After LIKE[br]IVE || Pink Venom[br]BLACKPINK || ||<|2> 5주 ||<|2> 결방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LACKPINK_BORN PINK.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LACKPINK_BORN PINK.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질주 (2 Baddies).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질주 (2 Baddies).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LACKPINK_BORN PINK.jpg|width=100%]]}}} || || {{{-1 Shut Down[br]BLACKPINK}}} || {{{-1 Shut Down[br]BLACKPINK}}} || 질주[br]NCT 127 || 질주[br]NCT 127 || Shut Down[br]BLACKPINK || ||<|8> {{{#!wiki style="word-break: keep-all" 10월}}} ||<|2> 1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EW WAV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LACKPINK_BORN PINK.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LACKPINK_BORN PINK.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fter LIKE.sv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LACKPINK_BORN PINK.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LACKPINK_BORN PINK.jpg|width=100%]]}}} || || PARTY ROCK[br]CRAVITY || Shut Down[br]BLACKPINK || Shut Down[br]BLACKPINK || After LIKE[br]IVE || Shut Down[br]BLACKPINK || Shut Down[br]BLACKPINK || ||<|2> 2주 ||<|2> 결방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XIDENT Online Cover.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XIDENT Online Cover.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XIDENT Online Cover.jpg|width=100%]]}}} ||<|2> 결방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LACKPINK_BORN PINK.jpg|width=100%]]}}} || || CASE 143[br]Stray Kids || CASE 143[br]Stray Kids || CASE 143[br]Stray Kids || Shut Down[br]BLACKPINK || ||<|2> 3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HASE EPISODE 3. BEUM ALBUM COVER.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XIDENT Online Cover.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XIDENT Online Cover.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XIDENT Online Cover.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fter LIKE.sv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fter LIKE.svg|width=100%]]}}} || || 호랑이가 쫓아온다[br]DKZ || CASE 143[br]Stray Kids || CASE 143[br]Stray Kids || CASE 143[br]Stray Kids || After LIKE[br]IVE || After LIKE[br]IVE || ||<|2> 4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 lov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 lov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 lov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 lov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 love.jpg|width=100%]]}}} ||<|2> 결방 || || Nxde[br](여자)아이들 || Nxde[br](여자)아이들 || Nxde[br](여자)아이들 || Nxde[br](여자)아이들 || Nxde[br](여자)아이들 || ||<|8> 11월 ||<|2> 1주 ||<|2><-3> 결방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NTIFRAGILE.svg|width=100%]]}}} ||<|2> 결방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 love.jpg|width=100%]]}}} || || ANTIFRAGILE[br]LE SSERAFIM || Nxde[br](여자)아이들 || ||<|2> 2주 ||<|2> 결방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 lov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he Astronaut.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NTIFRAGILE.sv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 lov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 love.jpg|width=100%]]}}} || || Nxde[br](여자)아이들 || The Astronaut[br]진}|| ANTIFRAGILE[br]LE SSERAFIM || Nxde[br](여자)아이들 || Nxde[br](여자)아이들 || ||<|2> 3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FTER SUNSET 앨범아트.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FTER SUNSET 앨범아트.jpg|width=100%]]}}} ||<|12> 결방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FTER SUNSET 앨범아트.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 lov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 love.jpg|width=100%]]}}} || || Alone[br]하이라이트 || Alone[br]하이라이트 || Alone[br]하이라이트 || Nxde[br](여자)아이들 || Nxde[br](여자)아이들 || ||<|2> 4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ELFISH_앨범커버.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iminality - EP.LOVE_Online Cover.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iminality - EP.LOVE_Online Cover.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임영웅_Polaroid.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ndTheoryFinalEdition.jpg|width=100%]]}}} || || SELFISH[br]유아 || Tap Tap[br]VERIVERY || Tap Tap[br]VERIVERY || London Boy[br]임영웅 || 사건의 지평선[br]윤하 || ||<|10> 12월 ||<|2> 1주 ||<|10> 결방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NANDONALBUMCOVER.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equence : 17&.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NTIFRAGILE.sv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ndTheoryFinalEdition.jpg|width=100%]]}}} || || Dragon (飛上)[br]TEMPEST || 러브티콘[br]첫사랑 || ANTIFRAGILE[br]LE SSERAFIM || 사건의 지평선[br]윤하 || ||<|2> 2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he ReVe Festival 2022 - Birthday'.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HESHIRE ONLINE COVER.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NTIFRAGILE.sv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ndTheoryFinalEdition.jpg|width=100%]]}}} || || Birthday[br]레드벨벳 || Cheshire[br]ITZY || ANTIFRAGILE[br]LE SSERAFIM || 사건의 지평선[br]윤하 || ||<|2> 3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he ReVe Festival 2022 - Birthday'.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OVE AGAIN.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NTIFRAGILE.svg|width=100%]]}}} ||<|6> 결방 || || Birthday[br]레드벨벳 || WHEN I MOVE[br]카라 || ANTIFRAGILE[br]LE SSERAFIM || ||<|2> 4주 ||<|4> 결방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ndTheoryFinalEdition.jpg|width=100%]]}}} ||<|4> 결방 || || 사건의 지평선[br]윤하 || ||<|2> 5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ndy Album Art.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ndy Album Art.jpg|width=100%]]}}} || || Candy[br]NCT DREAM || Candy[br]NCT DREAM || [[IVE]]가 데뷔곡 <[[ELEVEN]]>으로 2022년에 8관왕을 추가했고, <[[LOVE DIVE]]>가 10관왕을 차지했으며, <[[After LIKE]]> 또한 14관왕을 차지하며 올해 최고의 신인임을 증명해냈다. 또한 올해 총 32관왕으로, 2022년 음악방송 최다 1위 타이틀을 얻었다. [[(여자)아이들]]이 역시 <[[TOMBOY((여자)아이들)|TOMBOY]]>으로 8관왕을 차지했고 <[[Nxde]]>가 11관왕을 차지하며 올해 가수의 인기를 증명했다. [[STAYC]]의 <[[RUN2U]]>가 7관왕, [[태연]]의 <[[INVU]]>가 8관왕. [[BIGBANG]]의 <[[봄여름가을겨울 (Still Life)]]>가 9관왕을 차지했다. [[싸이]]의 [[That That]]이 7관왕, [[방탄소년단]]의 <[[Yet To Come (The Most Beautiful Moment)]]>이 9관왕을 차지했다. [[BLACKPINK]]의 [[Pink Venom]]이 7관왕, Shut Down이 10관왕을 차지했다. == 분석 및 총평 == === 국내 === 2022년은 2009년과 함께[* Gee, I Don't Care, Abracadabra 등 걸그룹 노래들이 나란히 연간 1, 2, 3위를 차지했다.] 대한민국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걸그룹]]의 지배력이 높았던 해로 꼽힌다.[* 2016년도 걸그룹의 지배력이 높았던 해이지만, 그 해에는 발라드도 큰 인기를 끌었던 반면 2022년에는 거의 대부분의 히트곡들이 걸그룹이었다.] 소위 '[[K-POP]] 대세 걸그룹'은 2022년을 기점으로 3세대에서 4세대로 완벽하게 세대교체되었으며, 음원차트 상위권 대부분도 걸그룹 음원들이 차지하고 있다. 2, 3, 4세대 걸그룹들이 한 데 모여 경쟁했던, K-POP 걸그룹 역사상 최고의 해 중 하나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ELEVEN]]-'''[[LOVE DIVE]]'''-[[After LIKE]] 3연속 히트를 달성한 [[IVE]]는 데뷔 1년만에 최정상 걸그룹으로 발돋움했고, [[HYBE]]발 걸그룹인 [[LE SSERAFIM]]과 [[NewJeans]]도 각각 뚜렷한 컨셉과 탄탄한 기획력으로 4세대 걸그룹 경쟁의 핵심 주자들로 자리잡았다.[* 특히 [[NewJeans]]는 [[Attention(NewJeans)|데뷔곡]]으로 [[BLACKPINK]]의 [[SQUARE ONE#휘파람|휘파람]] 이후 6년 만에 '''월간 차트 1위'''라는 대기록을 세우기까지 했다.] 반면 전년도에 두각을 나타낸 4세대 선발주자들은 다소 주춤했는데, [[aespa]]는 [[Girls(aespa)|Girls]]로 앨범 판매 최고치를 경신하였지만 대중성에서 [[Next Level(aespa)|Next Level]], [[Savage]]에 미치지 못한다는 평을 받았고[* 연간 23위를 기록한 [[Next Level(aespa)|Next Level]]과 56위를 기록한 [[Savage]]에 모두 밀려 94위를 기록했다.], [[STAYC]]는 [[YOUNG-LUV.COM#RUN2U|RUN2U]]로 첫 지상파 1위를 기록했지만[* 2021년 연간 33위를 기록한 [[STAYDOM|ASAP]]과는 달리 롱런에 실패해 연간 74위를 기록했다.] 후속작인 [[BEAUTIFUL MONSTER]]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적을 기록했다.[* 다행히 2023년에는 STAYC가 [[Teddy Bear]]로 첫 지상파 3사 음악방송 모두 1위를 기록했으며, aespa가 [[MY WORLD(aespa)#Spicy|Spicy]]로 [[Savage]] 이후 오랜만에 멜론 일간 및 주간 1위를 기록했다.] 선배 그룹 중에서는 지난해 원치 않은 공백기를 가졌던 [[(여자)아이들]]이 [[TOMBOY((여자)아이들)|TOMBOY]]와 [[Nxde]]로 음원시장을 재패하며 커리어하이를 기록했고, 2년만에 [[BORN PINK|정규앨범]]으로 컴백한 [[BLACKPINK]]는 [[Destiny's Child|데스티니스 차일드]] 이후 21년만에 미/영 앨범 차트에서 모두 1위에 오른 걸그룹이 되었다. [[프로미스나인]]도 [[Midnight Guest#DM|DM]]이 처음으로 멜론 주간 및 월간차트에 진입하고 [[Stay This Way]]가 처음으로 지상파 1위를 차지하는 등 상승세를 이어갔다. 그에 비해 [[Red Velvet]]은 [['The ReVe Festival 2022 - Feel My Rhythm'#Feel My Rhythm|Feel My Rhythm]]이 히트쳤지만 [['The ReVe Festival 2022 - Birthday'#Birthday|Birthday]]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적을 기록했으며, [[ITZY]]는 [[CHECKMATE(ITZY)#SNEAKERS|SNEAKERS]]가 히트쳤지만 [[CHESHIRE|Cheshire]]가 역대 타이틀곡 최초로 멜론 월간 및 주간 차트에 진입하지 못해 데뷔 이후 최악의 성적을 기록했다. [[TWICE]]의 [[Talk that Talk(TWICE)|Talk that Talk]], [[오마이걸]]의 [[Real Love(오마이걸)|Real Love]], [[브레이브걸스]]의 [[THANK YOU(브레이브걸스)|Thank You]], [[Apink]]의 [[HORN#Dilemma|Dilemma]]도 전작에 미치지 못하는 성적을 기록했다. 보이그룹 쪽에서는 '''절대 1강''' [[방탄소년단]]이 2022년에도 [[Proof(방탄소년단)|Proof]]로 건재함을 보였지만, 당분간 그룹 활동을 중단하고 [[군백기]]에 돌입하면서 [[세븐틴]], [[NCT]], [[투모로우바이투게더]], [[Stray Kids]] 같은 그룹들의 경쟁도 치열해졌다. 세븐틴의 [[Face the Sun]]과 스트레이 키즈의 [[MANIAC(Stray Kids)|MANIAC]]은 미국 [[타임(주간지)|타임]] 지에서 선정한 '2022 베스트 K-POP'에 선정되었고, 스트레이 키즈의 [[MAXIDENT]]는 총 판매량 300만장을 돌파하며 [[빌보드 200]] 앨범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앨범 판매량과 대비되는 대중성의 저하 문제, 유사연애 마케팅의 한계 등으로 인하여 남자 어린이, 청소년들이 남자 아이돌이 되는 것을 꺼리고 있으며[* 이러한 인재들은 대부분 아프리카TV의 남캠, 종합게임 [[BJ]]나 유튜브, 트위치 [[스트리머]]로 대표되는 [[인터넷 방송인]] 쪽으로 많이 유출되었다. SNS 인플루언서, 힙합 아티스트 쪽으로도 빠져나갔다.], 신인 남자 아이돌들의 성적 부진[* 당장 22년에 데뷔한 그룹은 물론이고 '''21년'''에 데뷔한 보이그룹 중에서도 2022년에 이렇다 할 성과를 보인 그룹은 단 하나도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멜론 뮤직 어워드]]에서 사상 최초로 신인상을 같은 성별의 가수 2팀에게 주었다([[IVE]], [[NewJeans]]). 이전까지는 아무리 히트친 동성 신인 가수가 2팀 이상 있어도 반드시 한 성별에는 한 팀만 신인상을 주었었다.]으로 인한 세대교체의 적체 등으로 인해 K-POP 남자 아이돌 시장에 빨간 불이 켜진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또한 [[BIGBANG]], [[소녀시대]], [[카라]], [[EXID]], [[슈퍼주니어]], [[지코]] 등 2세대 아이돌이 많이 컴백한 해이기도 했다. BIGBANG은 4년만에 [[봄여름가을겨울 (Still Life)|봄여름가을겨울]]로 컴백해 압도적인 음원 성적을 보여주었고[* 연간 7위를 기록했다.], 군 복무를 마치고 복귀한 [[지코]]는 하반기 [[새삥]]으로 아무노래 이후 2년만에 다시 한번 [[숏폼]] 댄스 챌린지 붐을 일으켰다. 소녀시대와 카라 역시 각각 '''5년''', '''7년'''만에 새 앨범을 발표하며 팬덤 및 대중들의 좋은 반응을 이끌어냈다. 반면 같은 2세대 아이돌 출신인 [[아이유]]는 데뷔 이래 이례적으로 음반 발매를 하지 않았다.[* [[LILAC|정규 앨범]]부터 [[strawberry moon|디지털 싱글]], [[조각집|미공개 자작곡 모음집]]까지 쉴 새 없이 달렸던 2021년과는 완전히 상반되는 모습이다. 이렇게 음반 발매를 전혀 하지 않은 해는 2016년과 더불어 데뷔 이래 딱 2번뿐이다.][* 여담으로 [[임창정]]도 음원 발매를 하지 않았다. 모두 세는나이로 '0'으로 끝나는 나이인 것이 공통점이다.] [[트로트]] 분야에서는 [[임영웅]]을 제외한 오디션 출신 가수들이 음악적으로 이렇다 할 성과를 보여주지 못했고, 그 임영웅 마저 정통 트로트에서 벗어나 다양한 장르의 음악으로 인기를 이어갔다는 점에서 [[내일은 미스트롯]] 이래의 전성기가 사실상 끝났다는 평이 나왔다. 2022년 말에 시작되는 [[미스터트롯2 - 새로운 전설의 시작]]과 [[불타는 트롯맨]]의 성패 여부가 향후 트로트 시장의 방향을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알앤비와 싱잉랩 계열에서도 올 한 해는 굉장한 영향력을 가졌다. 걸그룹들처럼 대놓고 유행한 곡은 거의 없다시피했지만, 차트에서 꾸준히 롱런을 하면서 연간차트에서 꽤나 높은 순위에 안착했다. 특히나 쇼미더머니 10이 대박이 나면서 비오는 연간차트에 무려 4곡을 넣었고, 빅나티 또한 10cm와의 콜라보로 연간 top10 안에 들면서 드디어 메이저 아티스트로 발돋움하였다. 또한 최근에 멜론에서 영 시원찮은 성적을 거두었던 박재범, 크러쉬가 각각 아이유, 제이홉과의 콜라보로 부활한 것도 눈에 띄는 부분이다. 다만 알앤비와 싱잉랩을 제외한 정통힙합은 부진했는데, 새삥 빼고는 연간차트에서 전멸했다는 것이 참 대중들의 힙합을 보는 트렌드가 바뀌었음을 여실히 보여준 통계이다. === 해외 === 연초에는 [[엔칸토: 마법의 세계/사운드트랙]]이 [[엔칸토]]가 [[디즈니 플러스]]에 스트리밍된 이후 역주행하며 영미권에서 크게 흥행하고 있다. 흥행 성적만 놓고 보면 [[겨울왕국]]과 [[Let It Go(겨울왕국)|Let It Go]]를 뛰어넘었다. [[빌보드 200]]에선 8주 1위를 차지했고, [[We Don't Talk About Bruno]]가 [[스포티파이]] 장기간 1위를 기록하며 '''[[빌보드 핫 100]] 5주 연속 1위'''까지 거머쥐었다. 이 노래는 [[영국]] [[Official Charts]]에서는 '''[[디즈니]] OST 사상 최초로 1위'''를 기록했다. [[Surface Pressure]]도 빌보드 핫 100 8위, 영국 차트 3위까지 올랐다. 영국 차트에선 [[The Family Madrigal]]이 7위로 역주행해 '''디즈니 OST 최초로 3곡이 10위권에 진입한 앨범'''이 되었다. 엔칸토의 인기는 [[Gunna]]와 [[위켄드(가수)|위켄드]]의 [[Dawn FM]], [[YoungBoy Never Broke Again]], [[코닥 블랙]] 등 기존 인기 가수들의 신작을 압도하는 수준이다. [[역주행(노래 용어)|역주행]] 노래들이 차트에서 좋은 성적을 내고 있다. 또한 [[GAYLE]]이란 신인 가수의 [[abcdefu]]가 역주행하며 빌보드 핫 100 3위, 영국 차트 1위까지 차지하며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영국 [[인디]] [[록 밴드]] [[글래스 애니멀스]]의 [[Heat Waves]] 역시 꾸준히 역주행한 끝에 마침내 '''빌보드 1위'''를 차지하고, 스포티파이에서 '''1위'''를 차지하는 등 신곡들을 제치고 좋은 기록을 유지하고 있다. 이 노래는 특히 59주 만에 빌보드 1위에 올라섰다는 점에서 역주행 곡의 대표 사례라 할 수 있다. 또한 [[더 배트맨]]의 흥행으로 삽입곡인 [[너바나]]의 [[Something in the Way]]가 스포티파이, 애플뮤직 등 음원 사이트에서 역주행을 하며 인기몰이를 했다. [[케이트 부시]]의 [[Running Up That Hill]]은 [[기묘한 이야기(시즌 4)]]에 삽입되면서 미국 스포티파이 1위를 기록하는 등 역주행을 하고 있다. 그 덕분에 영국 싱글 차트 3주 연속 1위,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는 3위까지 기록했다. 케이트 부시로서는 37년만에 얻은 싱글 차트 상위 10위권에 진입한 노래다. 7월 1일, 기묘한 이야기 시즌 4 파트2가 공개된 이후엔 [[메탈리카]]의 [[Master of Puppets]]가 역주행하며 빌보드 차트 40위로 진입했다. 이 노래가 빌보드 메인 차트에 진입한 건 1986년 발매 이래 처음이다. 역주행 노래들이 차트를 점령하는 바람에 정작 2022년에 발매된 곡들이 빛을 보지 못했는데, [[해리 스타일스]]의 [[As It Was]]와 [[잭 할로우]]의 [[First Class]]가 나란히 미국 스포티파이 스트리밍 기록을 갱신하며 이 징크스도 깨졌다. 특히나 As It Was는 빌보드 핫 100 비연속 15주 1위, 영국 차트 10주 연속 1위를 기록하며 '''2022년 영미권 최장 1위 히트곡'''이라는 대기록을 달성하며 2022년 최고 히트곡 반열에 올라섰다. 특히 빌보드 차트에서 '''15주 1위'''를 기록하면서 '''[[2020년대]] 최장 기간 1위''' 기록을 달성했다. As It Was는 빌보드와 스포티파이 여름 노래 차트에서도 최종 1위를 차지하며 대표 히트곡으로 인정받았다. 미국에서는 [[힙합]]의 인기가 여전히 거세다. [[푸샤 티]], [[Future]], [[켄드릭 라마]]의 [[Mr. Morale & The Big Steppers]] 등의 앨범이 거의 1주일 간격으로 발매되며 최고 앨범 판매량을 갈아치웠다. 퓨처는 특히 [[WAIT FOR U]]를 통해 [[래퍼]] 중 두 번째로 [[빌보드 200]]과 [[빌보드 핫 100]] 1위를 동시에 석권했다. 그 외 [[릴 더크]], [[머신 건 켈리]] 등의 신보도 많은 인기를 얻었다. 특히 미국 스트리밍 제왕으로 불리는 [[Drake]]는 [[Honestly, Nevermind]]와 [[Jimmy Cooks]]를 통해 '''역대 래퍼 중 최초로 빌보드 200과 빌보드 핫 100 1위를 두 번 이상 동시에 석권'''하는 기염을 토했다. 이후 드레이크는 11월에 [[21 Savage]]와 합작 앨범 [[Her Loss]]를 발매해 또 한 번 차트를 뒤집어놓는다. 1번 트랙 [[Rich Flex]]가 그 중 가장 좋은 성적을 거뒀다. 미국에서는 앨범 차트에서는 배드 버니가, 싱글 차트에서는 해리 스타일스가 가장 큰 두각을 나타냈다.[[배드 버니]]는 스페인어 앨범인 [[Un Verano Sin Ti]]으로 차트 폭격 수준으로 인기를 휩쓸었다. 이 앨범은 '''빌보드 앨범 차트 13주 1위'''를 기록하며 '''2022년 최장 기간 앨범 차트 1위'''를 달성했다. 또한 '''[[2020년대]] 최장 기간 1위 앨범'''이 됐다. 배드 버니는 그야말로 [[라틴 팝]]의 대표 스타로 자리매김하며 미국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 차트 성적만 보면 2022년은 배드 버니의 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 배드 버니는 2022년 스포티파이 스트리밍 수만 130억 회를 돌파해 전 세계 아티스트 중 단연 독보적인 1위의 스트리밍을 기록했다. 배드 버니는 '''스포티파이 역사상 두 번째로 누적 스트리밍이 500억회'''를 돌파한 가수가 됐다. 투어 역시 성황리에 진행했다. 배드 버니의 'World's Hottest Tour'는 2억 3250만 달러를 벌어들이며 [[라틴 아메리카]] 가수 콘서트 투어 중 역대 최고 수익을 기록했다. [[AMA]] 시상식에서는 8개 부문 후보에 오르며 2022년 최다 노미네이트 가수라는 영예를 차지했다. [[해리 스타일스]]는 정규 3집 [[Harry's House]]로 최고 전성기를 맞았다고 과언이 아니라고 할 정도로 각종 신기록을 작성하며 최고의 성적을 달성했다. 또한 유튜버 출신 일본과 호주 혼혈 가수 [[Joji]]가 '[[Glimpse of Us]]'라는 노래로 스포티파이를 비롯한 스트리밍 차트에서 최상위권을 차지하며 빌보드 핫 100 8위를 기록하는 등 좋은 기록을 거두었다. [[더 인터넷]] 출신 가수 [[스티브 레이시]]의 [[Bad Habit]]이 앨범 발매 이후 역주행하며 스트리밍 사이트 최상위권을 휩쓸었다. 이후 빌보드 3주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샘 스미스]]는 [[킴 페트라스]]와 [[Unholy]]라는 싱글을 발표해 영국 차트 3주 연속 1위, 빌보드 1위라는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이들은 각각 최초의 [[논바이너리]], [[트랜스젠더]] 빌보드 1위 기록 보유자라는 의미 있는 기록을 세웠다. 성소수자로서 처음으로 빌보드 차트 정상을 차지한 점에서 많은 주목을 받았다. 어느 때보다도 여가수들의 활약이 부진한 한 해이기도 하다. 오랫동안 [[빌보드 200]]과 [[빌보드 핫 100]]에서 1위를 차지한 여가수가 단 한 명도 없었다가 리조가 마침내 빌보드 핫 100 1위를 차지하며 이 기록을 깼다. 앨범 차트에서도 한참동안 1위를 기록한 여가수가 없었다가 8월에 들어서야 비욘세가 딱 한 번 1위를 기록했다. 특히 리조부터 비욘세, 니키 미나즈까지 빌보드 역사상 최초로 흑인 여성 솔로 가수들의 싱글들이 3연속 1위를 차지했다. 단, 백인 여가수들의 노래는 별로 반향을 일으키지 못했다. [[BLACKPINK]]가 케이팝 걸그룹 최초로 [[BORN PINK]]로 영미 앨범 차트를 동시에 차지했다. 단순히 케이팝 걸그룹 내에서만의 결과가 아니라 걸그룹이 영미 메인 앨범 차트 1위를 동시에 차지한 건 [[2001년]] [[데스티니스 차일드]] 이후 21년만에 블랙핑크가 처음이다. 여가수 싱글 중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노래가 50위로 진입해 역주행 끝에 빌보드 핫 100 1위를 차지한 [[리조]]의 [[About Damn Time]]이다. 그 다음이 최고 3위를 기록한 GAYLE의 abcdefu, [[Latto]]의 [[Big Energy]] 정도다. 단, 이 노래는 [[머라이어 캐리]]의 피처링 덕분에 빌보드 차트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메건 디 스탤리언]], [[두아 리파]] 등이 발표한 싱글들도 차트에서 큰 힘을 발휘하지 못했다. [[카밀라 카베요]]는 4년만에 정규 3집 [[파밀리아]]를 발표했지만 부진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비욘세]] 역시 [[Lemonade]] 이후 6년만에 새 정규 앨범 [[RENAISSANCE(비욘세)|RENAISSANCE]] 발매를 공표하며 리드 싱글 [[BREAK MY SOUL]]을 발매했지만 빌보드 핫 100에서 15위 데뷔라는 아쉬운 성적을 거두었다. 해당 싱글은 애초에 뮤직비디오도 없고 빌보드 성적 집계가 시작되는 금요일이 아닌 화요일에 기습 발매한 곡이라 차트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기엔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앨범 발매 이후 [[리믹스 편법]] 등 덕분에 빌보드 1위로 역주행했다. 빌보드 차트에서 강세를 보였던 [[카디 비]]는 정규 2집 발매를 예고하며 [[칸예 웨스트]], 릴 더크가 참여한 리드 싱글 Hot Shit을 발표했지만 13위로 데뷔하며 역시 약세를 보였다. 그 와중에도 두각을 나타내는 여가수들이 있었다.[[니키 미나즈]]는 솔로 커리어 최초로 [[Super Freaky Girl]]로 빌보드 1위로 핫샷 데뷔하며 그간의 차트 약세를 뒤집었다. 약 6년만에 가족의 간섭 없이 스스로의 뜻으로 [[Hold Me Closer]]라는 [[엘튼 존]]과의 합작 싱글을 낸 [[브리트니 스피어스]]도 빌보드 핫 100 6위로 데뷔하는 등 괜찮은 성적을 거두었다. [[테일러 스위프트]]가 10월 21일 발매한 [[Midnights]]가 기존 기록을 모두 깨부수면서 시장을 초토화했다. 미국에서만 첫 주에 157만장이 넘는 판매고를 기록하며 [[reputation]] 이후 '''5년만에 밀리언 셀러 앨범'''을 배출했다. 영국에서도 발매 첫 주에 20만장 넘게 팔며 2022년 최고 판매량을 기록했다. 또한 기존 스트리밍 기록을 모두 갈아치우며 리드 싱글 [[Anti-Hero(테일러 스위프트)|Anti-Hero]]가 압도적인 성적으로 빌보드 핫 100 1위를 8주나 차지한 것은 물론, '''빌보드 역사상 최초로 1위부터 10위까지 모두 본인의 곡으로 채워버리는''' 기염을 토했다. 테일러 스위프트가 영미권 스트리밍 사이트를 도배한 와중에 [[리한나]]는 [[블랙 팬서: 와칸다 포에버]] OST [[Lift Me Up]]을 발매해 6년만에 가수로서 신곡을 발표해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미국 애플뮤직을 비롯해 전 세계 46개국 애플뮤직 차트에서 1위를 기록했으며, 글로벌 스포티파이에선 3위로 데뷔했다. 이후 빌보드 핫 100에서 2위를 기록했다. 또한 12월에 [[SZA]]가 오랜만에 발매한 정규 2집 앨범 [[SOS(앨범)]]이 6주 연속 빌보드 200 1위를 차지하며 연말에는 여가수들이 차트를 휩쓸며 막을 내렸다. 그 외에 특기할 점이 있다면 [[핑크 플로이드]]가 우크라이나를 지원하기 위해 [[Hey Hey Rise Up]]이라는 싱글을 내며 재결합한 사건 등이 있다. 영국 다운로드 차트에서 1위를 하는 등 노익장을 제대로 보여주는 중.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빌보드 핫 100/2020년대 1위 곡)]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빌보드 200/2020년대 1위 앨범)] == 여담 == * 1세대 아이돌인 [[베이비복스]], [[디바(가수)|디바]], [[S.E.S]], [[젝스키스]], [[지누션]], [[NRG(아이돌)|NRG]], [[태사자(아이돌)|태사자]],[* 이 중에서 현재 활동 중인 그룹은 젝스키스와 지누션, 태사자인데, S.E.S는 공식 해체 선언했지만 지난 20주년 때 잠깐 뭉쳐서 앨범을 발매한 적이 있고, NRG 역시 지난 20주년 때 앨범을 발매했으며 현재는 다시 휴지기이다. 디바의 경우는 공식 해체 선언하지 않았으나 가끔 이벤트성으로 뭉쳐서 공연한 적은 있다.(2021년 12월 24일에 유희열의 스케치북에 출연) 마지막으로 베이비복스는 공식해체 선언은 한 적 없으나 무기한 활동 중단하고 있다. 그러다가 디바가 7월에 지니, 이민경, 채리나로 공연했다. 지니, 채리나, 이민경으로의 구성으로는 처음이다.] 밴드 [[자우림]]이 25주년을 맞는다. * [[VIBE]], [[서인영]][* 쥬얼리 2기 합류.], [[한경일]], [[휘성]], [[비(연예인)|비]], [[리쌍]][* 20주년을 3개월 정도 앞둔 2022년 3월 26일 개리가 공식적으로 해체를 언급함으로써 해체한 그룹이 되었다.], [[노을(보컬그룹)|노을]] 등이 데뷔 20주년을 맞았다. * [[FTISLAND]], [[원더걸스]], [[카라]], [[소녀시대]], [[슈퍼노바(아이돌)|슈퍼노바]], [[써니힐]], [[8eight]]가 데뷔 15주년을 맞이했다. 이 중에서 정상적으로 그룹 활동을 하는 팀은 FT아일랜드밖에 없는 상태였다.[* 원더걸스만 공식 해체 선언을 했다.] 그리고 8월에 소녀시대가 15주년을 기념하여 5년 만에 컴백하여 정규 7집 [[FOREVER 1]]을 발매했으며, 초동 약 18만 5천 장으로 커리어 하이이자 2세대 걸그룹 중 최초로 초동 10만 장을 돌파하는 기록을 세웠다. 그리고, 11월 카라가 박규리, 한승연, 니콜, 강지영, 허영지 5인조로 컴백하여 15주년 기념앨범 [[MOVE AGAIN]]을 발매했으며, 12월 16일 카라는 뮤직뱅크에서 1위하게 되면서 2세대 걸그룹 중에서 지상파 1위를 달성하게 된다.[* 이외에 에이트는 2년 전에 디지털 싱글로 컴백하였고 현재는 다시 공백기 기간을 가지고 있으며, 써니힐의 경우는 빛나와 코타만 디지털 싱글 형식으로 발매하였다. 슈퍼노바의 경우 팀 활동은 없는 상태이며 각자 개인 활동에 힘쓰고 있다.] * [[EXID]], [[EXO]], [[AOA(아이돌)|AOA]], [[B.A.P]], [[A-JAX]], [[빅스타(아이돌)|BIGSTAR]], [[비투비]], [[VIXX]], [[백퍼센트]], [[뉴이스트]], [[크레용팝]], [[피에스타(아이돌)|피에스타]], [[헬로비너스]], [[스피카(아이돌)|스피카]]가 데뷔 10주년을 맞이했다. 또한 애프터스쿨에 마지막으로 합류했던 [[이가은(1994)|이가은]]과 달샤벳에 새 멤버로 합류했던 [[배우희]] 역시 데뷔 10주년이다. 이 중에서 현재 활동 중인 그룹은 EXO와 비투비.[* EXID는 공식 해체 선언은 없었으나 바나나컬쳐와 계약이 종료된 후 개별 활동 중이었고 2022년 일본 콘서트를 위해 완전체로 모였다. B.A.P, A-JAX, 빅스타, 백퍼센트, 크레용팝, 피에스타, 헬로비너스, 그리고 스피카는 공식 해체 선언을 한 상태이다. AOA는 3명 남아 있는 상태지만 그룹 활동은 중단된 상태이고, VIXX는 5명 모두 공식 탈퇴한 멤버는 없으나 젤리피쉬에 소속되어 있는 멤버는 2명으로 완전체 컴백의 가능성은 있으나 군백기 돌입 후 개별 활동에 집중하고 있으며, 2022년 1월 이후 일시적으로 전원 민간인 상태이나 10주년 기념 컨텐츠 촬영 외에 그룹 활동은 없는 상황이다. 그리고 뉴이스트는 10주년 전일에 3명이 계약 만료되었으며 10주년이 되는 날 베스트 앨범을 발매하며 그룹 활동을 종료하였다.] 그리고 EXID는 9월 29일에 10주년 기념으로 완전체로 컴백하였다. * [[Red Velvet]], [[라붐(아이돌)|라붐]], [[마마무]], [[러블리즈]], [[GOT7]], [[AKMU]], [[WINNER]], [[핫샷(아이돌)|HOTSHOT]], [[UNIQ]]가 8주년을 맞이했다. 이 중 러블리즈와 핫샷만 전년도에 이미 해체된 상태이다. 또한 유키스에 새 멤버로 합류했던 [[이준영(1997)|이준영]]과 카라에 마지막으로 합류했던 [[허영지]] 역시 데뷔 8주년이다. * 3세대 아이돌인 [[여자친구(아이돌)|여자친구]], [[오마이걸]], [[CLC]], [[APRIL]], [[몬스타엑스]], [[세븐틴]], [[DIA(아이돌)|DIA]], [[엔플라잉]], [[DAY6]], [[TWICE]], [[업텐션]], [[iKON]] 등이 데뷔 7주년을 맞게 되었다. 표준계약서로 치면 이 해에 계약이 종료되기 때문에, 올해를 기점으로 많은 3세대 아이돌들의 재계약 여부가 결정된다. * 우선 여자친구의 경우 지난 2021년 5월 [[여자친구 쏘스뮤직 전속계약 종료 논란|계약이 종료되면서 7년을 다 채우지 않고 종료되었다]]. 오마이걸은 7명 중 5명(효정, 아린, 유빈, 승희, 유아)가 먼저 3년 재계약을 마쳤고 11월에 추가로 멤버 1명이 재계약 했다고 하나 누구인지는 공개하지 않았다. 다만 지호가 계약 만료로 탈퇴한 것으로 보아 추가로 재계약한 멤버는 미미로 확정된다. 세븐틴, TWICE, 엔플라잉, DAY6는 멤버 전원이 재계약을 했다. 몬스타엑스는 [[아이엠]]을 제외한 5인이 재계약을 완료했고, 아이엠은 스타쉽을 떠났으나 팀 활동은 계속된다. 반면 [[APRIL]]은 1월 28일 해체를 선언하였고[* 말이 2022년 해체지 이미 [[APRIL 원년 멤버들의 이현주 집단괴롭힘 논란]]으로 인해 '''2021년 초부터 공백기'''였던 상황이였다. 게다가 [[DSP미디어]]마저 이 사건으로 인해 이미지가 나락으로 떨어지며 결국 APRIL 해체와 동시에 '''[[RBW]]에게 인수되는 참사가 일어났다.'''] [[CLC]]도 6월 6일 해체됐다. [[DIA(아이돌)|DIA]]도 9월 17일 계약이 만료됐다. 업텐션은 김우석과 이진혁이 여전히 팀으로 복귀하지 않고 있는 데다 병역을 마친 리더 진후는 어디에서도 보이지 않고 있으며 샤오와 환희가 [[보이즈플래닛]] 참가를 결정하면서 향후 활동이 기로에 놓였다. 그리고 iKON은 2022년 12월 31일에 YG와 계약이 종료되었지만 팀 활동은 유지한다. * 2017년 데뷔한 [[골든차일드]], [[온앤오프]], [[FAVORITE(아이돌)|페이버릿]], [[더보이즈]], [[프리스틴]], [[위키미키]], [[드림캐쳐(아이돌)|드림캐쳐]], [[에이스(아이돌)|에이스]], [[TRCNG]], [[KARD]], [[Wanna One]], [[JBJ]], [[RAINZ]], [[IN2IT]]이 데뷔 5주년을 맞았다. 이 중 골든차일드, 온앤오프, 더보이즈, 위키미키, 드림캐쳐, 에이스, 카드만 현재 정상적으로 그룹 활동을 하고 있다.[* JBJ는 2018년 4월에, 레인즈는 2018년 10월에 공식 해체하였고, 워너원도 2019년 1월에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 프리스틴도 2019년 5월에 공식 해체되었다. 인투잇은 2020년 1월에 소속사와 계약을 해지하면서 그룹 활동이 끊긴 상태이고, 페이버릿은 2020년 3월에 발매한 앨범 이후로 공백기가 2년 넘게 계속되고 있어 사실상 해체나 다름없는 상태이다.] 또한 엔플라잉에 새 멤버로 합류했던 [[유회승]]과, 다이아에 새 멤버로 합류했던 [[주은]]과 [[안솜이|솜이]] 그리고 에이프릴에 추가 멤버로 합류했던 [[레이첼(2000)|레이첼]] 역시 데뷔 5주년이다. * [[윤하]]의 사건의 지평선이 역주행하는 화력을 보였다. 대학 축제 시기에 축제를 여러차례 뛰면서 오직 입소문만으로 이루어진 역주행이었다. 따듯한 가사로 화제가 되기도 한 노래인데,이는 멜로디나 팬덤이 아닌 가사 역시 노래의 성공을 좌우하는 요소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 사례라고 할 수 있다. * 한국 트롯계의 전설적 명곡 중 하나인 [[내 나이가 어때서]] 발매 10주년이 되었다. * [[싸이]]의 메가 히트곡 [[강남스타일]] 발매 10주년이 되었다. 참고로 10주년인 2022년 7월 15일에는 [[ITZY]]의 [[CHECKMATE(ITZY)|CHECKMATE]]가 발매되었다. * [[WINNER]]의 메가 히트곡 [[REALLY REALLY]]와 그 외 수많은 2017년 히트곡들이 발매 5주년을 맞았다. * [[BIGBANG]]이 4년 간의 공백기를 깨고 컴백한 해이다. 결국 이번에도 나오자마자 1위를 차지했다. 게다가, 2022년에 활동 중인 그룹에서는 2000년대생 아이돌이 경쟁하는 사이에 [[SUPER JUNIOR]][* 컴백 당시 나이는 무려 '''36.3세'''이며, 세는 나이로는 2022년 기준 '''37.5세'''다.]와 함께 드물게 [[1980년대]]생으로[* [[소녀시대]], [[카라]]도 90년대생 멤버가 있고, 작년 역주행 신드롬으로 유명한 [[브레이브걸스]]는 평균 나이가 30이 넘어서 또 화제였는데, 이 그룹의 연장자가 거기에 못 미치는 1990년생이다.] 구성된 아이돌 그룹이다.[* 솔로 아이돌 가수까지 포함하자면 [[보아]], [[태연]], [[박재범]], [[제시(가수)|제시]] 등이 있다.][* 유노윤호의 불법 유흥주점 출입 및 방역수칙 위반 사건 이후 한국에서 앨범을 내고 있지 않은 [[동방신기]]도 아직 현역이다. 컴백 소식은 없으나 해당 사건 이후 1년 가량 지난 2022년 SMTOWN에서 다시 그룹으로 모습을 보였다.][* [[신화 WDJ]]까지 포함하면 70년대생까지 넓혀졌다.] 본격 평균 나이가 30을 넘어가는 최연장자 아이돌들이 오랜만에 컴백한 해이다.[* 슈퍼주니어, BIGBANG과 하이라이트, 소녀시대, 카라, EXID의 컴백 덕분에 2022년은 특히나 2세대 아이돌 그룹의 컴백이 화제가 된 해이기도 하다.(단, 걸그룹은 4세대 들어 강력한 신인이 많아 나이대가 어려졌는데, 2세대 아이돌이나 [[브레이브걸스]]등의 어느정도 나이 있는 여돌들도 같이 컴백해 나이대가 다양하져, 밸런스가 잡히는 추세지만, 보이그룹은 그렇지 않고 [[군백기]] 끝난 [[고인물]]들이 대거 컴백해서 나이대 [[벨붕|밸런스를 못 잡고]], 평균 나이대만 높아지고 있다.)] * [[서태지와 아이들]]이 데뷔 30주년을 맞이했다. 다만 2022년이 저물도록 데뷔 30주년 기념 콘서트나 서태지 솔로 10집과 관련된 소식은 일절 없는 상황이다. * [[코요태]]가 [[20th ANNIVERSARY 'REborn']] 발매 이후 약 3년만에 음악방송에 출연하며 최장수 혼성 댄스그룹의 저력을 보여주었다. [[제이지스타|새로 계약한 소속사]]의 열일로 여러 아이돌과 [[GO(코요태) #s-5|챌린지]]를 찍은 것이 엄청난 홍보 효과를 일으켜 화제가 되었다. 그 덕분에 연말 가요제[* [[2022 KBS 가요대축제: Y2K]], [[2022 MBC 가요대제전: With Love]]]를 10년만에 출연하였다. * [[온앤오프]]와 [[DAY6]]는 멤버가 모두 입대함에 따라[* 온앤오프의 경우 일본인 멤버 제외] 2023년까지는 [[군백기]]일 예정이다. [[에이스(아이돌)|에이스]] 또한 멤버 전원이 입대하여 2024년까지 군백기가 되었다. * 이 해에 군백기를 종료한 그룹으로는 [[KARD]][* 남자 멤버들 한정], [[인피니트(아이돌)|인피니트]]가 있다.[* [[비투비]]도 2022년 전원 군필이 될 예정이었으나, [[정일훈]]의 탈퇴로 2021년에 군필돌이 되었다.] * [[이태원 압사 사고]]로 10월 말~11월 초에 예정되었던 대부분의 공연이 연기되었다. * [[방탄소년단]]의 맏형 [[진(방탄소년단)|진]]이 12월 13일에 입대하면서 방탄소년단도 군백기에 들어가기 시작했다. * 2021년이 [[2021년 학교폭력 폭로 사건/연예계|혼란스러운 연예계 상황]]을 [[브레이브걸스]]의 [[롤린]][* [[롤린]] 자체 곡은 2017년 노래로 3세대 중반 노래여서 묻혀가는듯 했지만, 이 노래가 [[롤린/역주행|롤린 역주행]] 현상으로 메가히트곡이 된 시점은 4세대로 교체되는 시기이다.]으로 종식시켜 새로운 시작이 되었고, [[aespa]]의 [[Next Level(aespa)|Next Level]]로 4세대 걸그룹의 시작을 알린 해라면, 올해는 [[IVE]][* 아이브는 2021년 데뷔이기는 하나, 12월 데뷔이기 때문에 대체적으로 2022년 데뷔 그룹들과 함께 분류된다.], [[LE SSERAFIM]], [[NewJeans]] 등 많은 인기 4세대 걸그룹이 데뷔하고, [[소녀시대]], [[카라]] 등 예전 세대 걸그룹들까지 컴백을 하여 걸그룹 전성을 이끌었던 해이다. * 여러모로 2021년이 롤린 역주행으로 4세대 걸그룹을 시작한 것이, 2009년이 Gee로 본격적인 걸그룹 시작을 열었던 것이랑 유사하고, 2022년 본격적인 4세대 신인 걸그룹 붐이 2.5세대 걸그룹 붐인 2010년~2014년 못지않게 전성기를 누리고 있다. == 관련 문서 == * [[한국 음원시장]]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2022년, version=1233)] [[분류:음악사]][[분류:가요]][[분류:202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