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경과]] [include(틀:상위 문서, top1=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경과)] ##@[include(틀:토론 합의, 문서명=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합의사항1=다음의 합의사항으)] ##@|| {{{#ffffff '''토론 합의사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000,#eaeaea ##@#1 [[https://namu.wiki/thread/HeavyBrokenIgnorantReceipt#212|토론 링크]] ##@ * SNS 등 '''[[근거 신뢰성 순위]]에 포함되지 않은 내용을 기반으로 한 서술도 허용하되''', [[루머|확실히 검증되지 않은 내용]]을 서술할 때에는 '''그 사실을 독자가 인지할 수 있어야 한다.''' ''(문맥상 인지 가능[* ~라고 주장한다. ~라고 전해진다. ~인 듯 하다.] or 직접 명시)''[* 이를 이행하지 않아 편집 분쟁이 발생한 경우, '''존치측'''이 토론 합의를 어긴 것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토론을 발제하지 아니한다.] ##@ * 또한, 거짓임이 의심되거나 확실한 경우 '''근거를 문서에 덧붙이거나,[* 거짓이 러시아나 우크라이나 측에서 정보 이점을 가져가기 위한 전략적 거짓인 경우와 같이 '''해당 정보가 거짓이라는 사실 자체'''를 서술할 가치가 있는 경우에 해당 방법을 권장한다.] 편집 요약에 서술한 후 삭제한다.''' ##@ *''' '근거를 들어 삭제한 정보' '''에 관해 편집 분쟁이 발생할 경우 토론을 발제하며 '''양측 전부 입증 책임을 진다.'''[* 근거를 들지 않고 지속적으로 삭제하여 편집 분쟁이 발생한 경우, '''삭제측'''이 토론 합의를 어긴 것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토론을 발제하지 아니한다.] ##@#2 [[https://namu.wiki/thread/BurlyWoozyWittyTomatoes|토론 링크]] ##@ * 본 문서의 부제를 '''현상유지'''한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경과'''] ##@#3 [[https://namu.wiki/thread/FuturisticTastelessAblazeValue|토론 링크]] ##@ * ~~하단에 있는 틀을 관련된 문서(2~7월 이후)에 모두 삽입한다.~~ [[https://board.namu.wiki/b/report/2806528#c_2875877|#유권해석]] ('''편집지침으로 인한 무효 처리''') ##@ * '''[검증 필요]'''라는 문구를 남용하지 않는다. ##@ * 교차 검증이 된 자료에 대해서는 신뢰성 있는 정보임을 강조하기 위해 '''[{{{#2f854e,#8bcb98 검증됨}}}]''' 문구를 삽입하는걸 '''강력히 권장한다.''' ##@ * 추후에 거짓으로 밝혀진 정보는 '''[거짓]''' 문구를 맨 앞에 의무적으로 서술하거나 삭제해야 한다. ##@ * '''[{{{#2f854e,#8bcb98 검증됨}}}]''', '''[거짓]''' 문구는 그 근간이 되는 근거가 부정당했을 때에는 적절한 것으로 수정하여야 한다. ##@ * 자료의 출처와 자료의 작성자(또는 언론사)의 국적(또는 진영)을 함께 작성한다. ##@[각주] ##@}}} ##@---- ##@{{{#!wiki style="font-size: 12px; text-align: center" ##@}}} ||}}}}}}}}} || [include(틀: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목차] == 개요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의 [[2024년]] [[2월]] 전황을 정리한 문서이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양측이 모두 거짓, 과장, 오해를 담은 정보들을 여러 매체와 [[SNS]] 상에서 게시하고 있다. 이는 교전국 간에 벌어지고 있는 [[정보전]]의 부산물 또는 공포에 떠는 시민에 의한 잘못된 정보일 가능성이 있다.[[http://www.seoulwire.com/news/articleView.html?idxno=463159|#]] 따라서 여기 인용된 정보들도 실제 상황과는 상당히 다른 내용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참고만 해야 한다. 이 문서에 올라온 정보들 중에서는 출처 표시가 없는 것은 [[가짜 뉴스]]일 가능성이 높다. 특히 [[AP통신]]이나 [[CNN]] 등 주요 [[언론]]이나 공식 기관의 SNS 및 [[X(SNS)|X]](舊 트위터)발 정보가 아닌 경우에는 쉽게 사실로 믿기 어려우며, 여러 근거와 교차검증으로 확인된 사안('''[검증된 사실]'''이 부착된 서술)을 제외하면 신뢰성을 담보하기 어렵다. 심지어 AP통신, CNN도 잘못된 정보가 종종 확인되므로 꾸준한 [[교차 검증]]이 필요하다. 실제로 [[즈미이니 섬 전투]]처럼 우크라이나군이 전멸했다는 소식이 전 세계 커뮤니티에 퍼진 뒤 며칠 뒤에 사실은 항복해서 생존해있다는 식으로 정정하는 해프닝이 발생했다. 특히 BBC, CNN, DW 등의 서방 언론을 사칭하며 돌아다니는 조작된 친러 성향의 게시물들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오보를 부추기고 있는 상황이다. 러시아는 가짜 뉴스를 살포해 다양한 국제 언론 매체들의 신용을 떨어뜨리고 있다. 러시아가 2월 24일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가짜 뉴스가 성행하고 있으며 BBC, CNN, 그리고 다른 뉴스 매체에서 보도한 것처럼 가장한 가짜 비디오, 보고서, 트윗들이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 올라왔고, 일부는 심지어 많이 공유됐다. 이것의 배후에는 러시아가 있으며 러시아의 허위 사실 공표 전쟁을 방조하는 것이 주된 목적으로 보인다고 한다. 그들의 두 번째 목표는 (서방) 언론 매체의 신용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https://apple.news/ARNhAOJy0Qaa41b0Vk4xdPQ|#]][[https://apple.news/ARNhAOJy0Qaa41b0Vk4xdPQ|#]] 실시간 전황 지도 파악은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2022_Russian_invasion_of_Ukraine.svg|위키백과의 svg 파일]]에 상세하고 빠르게 업데이트되고 있고,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7/72/2022_Russian_Invasion_of_Ukraine_animated.gif|전선 변화를 gif로 나타낸 것]]도 있는데, 누구나 편집할 수 있다는 [[위키백과]]의 특성상 반드시 교차검증이 필요하며 이 문서 또한 마찬가지이다. 앞선 달과 마찬가지로 양측 모두 전선에서 정체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각종 가짜 뉴스와 공작같은 정보전만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전선은 수 개월째 고착화 되어 있는 상태이며 이에 맞춰 친러, 반러 성향 정보들이 혼재되어 있기 때문에 이런 상황에 대한 피로감도 상당한 편이다. 어느 한 쪽의 의견만 보면 왜 종전이 안되고 있는지 이해가 가지 않을 정도이다. 양측이 사소한 전과를 결정적 승리로 부풀리고, 패배는 감추며 선전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일반인이 이 [[전쟁]]과 관련하여 정확한 정보를 파악하는 건 매우 힘들어진 상황이다. == 1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02_021813.png|width=100%]] }}} || || '''02.01. 기준 러시아 연방군의 장교 손실''' || *총 장교손실이 3500명에 도달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02_021522.png|width=100%]] }}} || || '''02.01. 기준 러시아 연방군의 손실''' || *전사(戰死)한 러시아 연방군 인력이 38만 6천 명을 돌파하였다.(우크라이나 국군의 주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02_021804.jpg|width=100%]] }}} || || '''02.01.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 * 한국 시각으로 오후 5시 43분, 영국 국방부가 우크라이나 전황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했다.[[https://twitter.com/DefenceHQ/status/1752975835710046472?t=XHyqLW4lVFmShaK0vCyUnQ&s=19|#]] * 국제사법재판소는 우크라이나가 러시아를 상대로 제기한 사건에 대해 MH17 격추에 대한 판결을 거부하고 러시아가 제기한 배상 청구를 기각한다는 판결을 내렸다.[[https://www.reuters.com/world/europe/world-court-rule-whether-russia-violated-international-treaties-ukraine-2024-01-31/|#]] * 유럽연합(EU)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500억 유로(약 72조원) 규모의 장기지원안에 합의했다.[[https://m.yna.co.kr/view/AKR20240201177600098?section=international/all|#]] * 라트비아 의회가 자국 국가대표팀이 러시아 또는 벨라루스와 경기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https://m.yna.co.kr/view/AKR20240202026100007?section=international/all|#]] * 러시아 해군 흑해함대 소속 타란툴급 초계함 "이바노베츠"함이 우크라이나군의 수상자폭드론들의 공격을 받고 침몰했다.[[https://twitter.com/Tendar/status/1753010473786540042?t=2HF3eRWftPyefeocleMxSQ&s=19|#]] == 2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02_210715.jpg|width=100%]] }}} || || '''02.02.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선 지도''' || * 한국 시간으로 오후 7시 24분, 영국 국방부가 전황 지도를 업데이트했다.[[https://twitter.com/DefenceHQ/status/1753363764865331523?t=u4v1lzJmB9KQFFIX7YoEow&s=19|#]]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02_210550.png|width=100%]] }}} || || '''02.02. 기준 러시아 연방군의 손실''' || *전사(戰死)한 러시아 연방군 인력이 38만 7천 명을 돌파하였다.(우크라이나 국군의 주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02_210712.jpg|width=100%]] }}} || || '''02.02.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 * 한국 시각으로 오후 5시 49분, 영국 국방부가 우크라이나 전황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했다.[[https://twitter.com/DefenceHQ/status/1753339871073091709?t=JArR7kqJnQOPQhWmZXw__w&s=19|#]] * 러시아의 드론 공격으로 우크라이나 중부 지역의 민간인 4만 명에 대한 전력 공급이 차단되고 크리비 리흐(Kryvyi Rih) 지하에 갇힌 광부들이 발생했다.[[https://euromaidanpress.com/2024/02/02/russian-drone-assault-cuts-power-for-thousands-traps-100-miners-underground-as-ukraine-downs-11-24-uavs/|#]] * 헤르손주에서 인도주의 구호 활동을 하던 프랑스인 두 명이 러시아의 공격에 사망했다. [[https://m.yna.co.kr/view/AKR20240202155700081?section=international/all|#]] 또, 문화재 일부가 파괴되었다.[[https://kyivindependent.com/russia-targets-18th-century-national-monument-of-cossack-period-in-kherson-oblast/|#]] == 3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06_080525.png|width=100%]] }}} || || '''02.03. 기준 러시아 연방군의 손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06_082539.jpg|width=100%]] }}} || || '''02.03.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 * 한국 시각으로 오후 2시 17분, 영국 국방부가 우크라이나 전황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했다.[[https://twitter.com/DefenceHQ/status/1753830122811985976?t=2RdcU_JxykEEt80F4P217w&s=19|#]] * 러시아 볼고그라드의 루코일 정유공장이 우크라이나 장거리 드론의 공격을 받아 대규모 화재가 발생하고 운영이 중단됐다.[[https://www.kyivpost.com/post/27558|#]] * 에스토니아는 재블린 대전차미사일과 기타 무기, 탄약, 차량 및 다이빙 장비가 포함된 8천만 유로(8천8백만 달러) 상당의 군사 지원 패키지를 우크라이나에 전달했다.[[https://kyivindependent.com/estonia-delivers-javelin-anti-tank-missiles-other-military-aid-to-ukraine/|#]] * 러시아는 리시찬스크의 한 빵집을 하이마스(HIMARS) 시스템으로 공격해 15명이 사망했다고 비난했다.[[https://www.reuters.com/world/europe/russia-appointed-official-says-ukraine-shells-bakery-occupied-eastern-ukraine-2024-02-03/|#]] * 러시아 올렉 스테가체프 사령관이 러시아 엥겔스 시에서 총격을 받았다고 우크라이나 군사정보국(GUR)이 밝혔다.[[https://kyivindependent.com/military-intelligence-reports-assassination-attempt-on-russian-military-pilot/|#]] * '화이트 로터스' 시즌 3에서 친러 행적으로 논란이 된 밀로스 비코비치가 퇴출되었다.[[https://m.yna.co.kr/view/AKR20240204047400009?section=international/all|#]] == 4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06_080545.png|width=100%]] }}} || || '''02.04. 기준 러시아 연방군의 손실''' || *전사(戰死)한 러시아 연방군 인력이 38만 8천 명을 돌파하였다.(우크라이나 국군의 주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06_082657.jpg|width=100%]] }}} || || '''02.04.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 * 한국 시각으로 오후 6시 21분, 영국 국방부가 우크라이나 전황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했다.[[https://twitter.com/DefenceHQ/status/1754072757300494539?t=ixGLDbb3cZRAzsz4fzzF2A&s=19|#]] *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자포리자의 제65기계화보병여단을 찾아 격려했다.[[https://m.yna.co.kr/view/AKR20240204049200108?section=international/all|#]] == 5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06_080651.jpg|width=100%]] }}} || || '''02.05. 기준 러시아 연방군의 손실''' || *전사(戰死)한 러시아 연방군 인력이 38만 9천 명을 돌파하였다.(우크라이나 국군의 주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06_082730.jpg|width=100%]] }}} || || '''02.05.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 * 한국 시각으로 오후 6시 15분, 영국 국방부가 우크라이나 전황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했다.[[https://twitter.com/DefenceHQ/status/1754433467092275699?t=8w2cNVGB_6pQ9RE7HIRjvQ&s=19|#]] * 러시아 브랸스크 주에서 드론 2기를 격추했다.[[https://kyivindependent.com/2-drones-shot-down-over-bryansk-oblast-governor-claims/|#]] * 우크라이나 보안국(SBU)은 오데사, 자포리자, 도네츠크 주에서 러시아 스파이 네트워크에 참여한 혐의로 5명을 체포했다.[[https://kyivindependent.com/sbu-uncovers-alleged-russian-spy-network-in-3-oblasts/|#]] * 조지아 국가 보안국은 보로네시 공격에 사용하기 위해 러시아로 수송되는 우크라이나의 폭발물을 가로챘다고 주장했다.[[https://kyivindependent.com/georgian-authorities-seize-explosives/|#]] * 우크라이나 보훈부 장관이었던 율리야 라푸티나가 사임을 했다.[[https://kyivindependent.com/veterans-affairs-minister-yuliia-laputina-submits-her-resignation/|#]] == 6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07_015226.png|width=100%]] }}} || || '''02.06. 기준 러시아 연방군의 손실''' || *전사(戰死)한 러시아 연방군 인력이 '''39만 명'''을 돌파하였다.(우크라이나 국군의 주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07_015143.jpg|width=100%]] }}} || || '''02.06.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 * 한국 시각으로 오후 6시 15분, 영국 국방부가 우크라이나 전황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했다.[[https://twitter.com/DefenceHQ/status/1754796068309471743?t=LzxUFi42cK9YYsBgDVmRLg&s=19|#]] * 하르키우 지역 내 졸로치프의 민간 건물과 호텔에 대한 러시아의 미사일 공격으로 생후 2개월 된 아기가 사망했다.[[https://www.rainews.it/maratona/2024/02/biden-fermare-putin-o-non-si-fermera-allucraina-a47b40c6-b01f-4e6b-a1ff-8ab3957fc747.html#e2ef7def-0aab-4797-9382-eeabcbcda2e7|#]] * 우크라이나 보안국(SBU)은 러시아 스파이 네트워크에 참여한 혐의로 우크라이나 정보기관 직원을 포함해 5명을 체포했다.[[https://kyivindependent.com/sbu-uncovers-alleged-russian-spy-network-including-former-ukrainian-officials/|#]] * 우크라이나 국방부는 특수작전부대가 흑해에서 러시아가 보유한 시추 플랫폼에서 작전을 수행해 장비를 탈취하고 시설을 파괴했다고 주장했다.[[https://kyivindependent.com/defense-ministry-ukrainian-special-forces-capture-russian-equipment/|#]] == 7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07_234218.png|width=100%]] }}} || || '''02.07. 기준 러시아 연방군의 손실''' || *전사(戰死)한 러시아 연방군 인력이 39만 1천 명을 돌파하였다.(우크라이나 국군의 주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07_234231.jpg|width=100%]] }}} || || '''02.07.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 * 한국 시각으로 오후 7시 12분, 영국 국방부가 우크라이나 전황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했다.[[https://twitter.com/DefenceHQ/status/1755172681463349625?t=wpix9KxYVEjWwNvcTI9Zjw&s=19|#]] *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전역에 미사일과 드론 공격을 가해 최소 3명의 민간인이 사망하고 키이우에서 2명을 포함해 11명이 부상을 입었다.[[https://www.bbc.co.uk/news/world-europe-68224416|#]] * 독일의 라인메탈사는 레오파드 1 및 2 탱크, 마더 IFV, 게파르드 대공포, 40mm 및 수 만발의 155mm 포탄 전달을 포함하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새로운 지원 계획을 발표했다.[[https://www.msn.com/en-gb/money/technology/leopard-2-tanks-marder-ifvs-and-more-rheinmetall-announces-planned-aid-to-ukraine/ar-BB1hSzoy|#]] * 우크라이나 보안국(SBU)은 우크라이나 군대를 염탐하고 도네츠크 주의 민간 기반 시설에 대한 러시아의 공격을 도운 러시아 정보국의 정보원으로 의심되는 사람을 구금했다.[[https://kyivindependent.com/sbu-detains-suspected-spy-who-allegedly-aided-deadly-strike-in-pokrovsk-district-on-jan-6/|#]] * 러시아는 벨고로드에 대한 우크라이나의 포격으로 2명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https://kyivindependent.com/russian-official-claims-2-injured-in-attack-on-belgorod/|#]] * 우크라이나 공군 제299전술항공여단은 베테랑 조종사 중 한 명인 블라디슬라프 리코프(Vladislav Rykov)가 385회의 출격을 마치고 사망했다고 발표했다.[[https://kyivindependent.com/experienced-ukrainian-pilot-killed-in-action/|#]] * 우크라이나군은 아우디이우카 근처에서 러시아 Ka-52 앨리게이터 헬리콥터를 격추했다고 주장했다.[[https://kyivindependent.com/commander-ukraine-downs-russian-ka-52-attack-helicopter-near-avdiivka/|#]] == 8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08_231857.png|width=100%]] }}} || || '''02.08. 기준 러시아 연방군의 손실''' || *전사(戰死)한 러시아 연방군 인력이 39만 2천 명을 돌파하였다.(우크라이나 국군의 주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08_231921.jpg|width=100%]] }}} || || '''02.08.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 * 한국 시각으로 오후 5시 47분, 영국 국방부가 우크라이나 전황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했다.[[https://twitter.com/DefenceHQ/status/1755513566872895488?t=2q16PVdjl0eb2D_-kXsYfQ&s=19|#]] * 러시아 국방부에 따르면 100명의 러시아 포로도 석방된 포로 교환에서 마리우폴 포위 공격 이후 대부분 포로로 잡힌 우크라이나 포로 100명의 귀환을 발표했다.[[https://kyivindependent.com/ukraine-returns-100-pows-from-russian-captivity/|#]] * 젤렌스키 대통령이 우크라이나군 총사령관을 발레리 잘루즈니에서 올렉산드르 시르스키로 교체했다.[[https://twitter.com/ZelenskyyUa/status/1755622695478128947|#]] == 9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09_220230.jpg|width=100%]] }}} || || '''02.09.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선 지도''' || * 한국 시간으로 오후 7시 59분, 영국 국방부가 전황 지도를 업데이트했다.[[https://twitter.com/DefenceHQ/status/1755909168802767024?t=VW0aj_kgFEoulRiQuSiMFQ&s=19|#]]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09_220509.png|width=100%]] }}} || || '''02.09. 기준 러시아 연방군의 장교 손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09_220249.png|width=100%]] }}} || || '''02.09. 기준 러시아 연방군의 손실''' || *전사(戰死)한 러시아 연방군 인력이 39만 3천 명을 돌파하였다.(우크라이나 국군의 주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09_220149.jpg|width=100%]] }}} || || '''02.09.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 * 한국 시각으로 오후 7시 07분, 영국 국방부가 우크라이나 전황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했다.[[https://twitter.com/DefenceHQ/status/1755896150157062572?t=HFQpoXJIbreIqG_Qd5uiqQ&s=19|#]] * 러시아는 흑해, 크라스노다르 지역, 쿠르스크, 브랸스크, 오룔 주에서 드론 19대를 격추했다고 주장했다. 드론 중 하나가 크라스노다르 지역의 일스키(Ilsky) 정유공장 구내에서 화재를 일으킨 것으로 알려졌다.[[https://kyivindependent.com/russia-claims-it-destroyed-19-drones-over-4-regions-black-sea/|#]] * 우크라이나가 미국 제조업체를 국제 전쟁후원자로 지정했다.[[https://kyivindependent.com/ukraine-designates-us-based-manufacturer-as-international-sponsor-of-war/|#]] * 돈바스 전쟁 참전용사 올렉산드르 포르훈(Oleksandr Porkhun) 이 우크라이나 보훈부장관 대행으로 임명되었다.[[https://kyivindependent.com/government-appoints-hero-of-ukraine-oleksandr-porkhun-as-acting-veterans-affairs-minister/|#]] * 러시아군은 우크라이나 내에서 스페이스X(SpaceX)의 스타링크 통신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https://www.defenseone.com/threats/2024/02/russia-using-spacexs-starlink-satellite-devices-ukraine-sources-say/394080/|#]] == 10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10_201221.png|width=100%]] }}} || || '''02.10. 기준 러시아 연방군의 손실''' || *전사(戰死)한 러시아 연방군 인력이 39만 4천 명을 돌파하였다.(우크라이나 국군의 주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10_201533.jpg|width=100%]] }}} || || '''02.10.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 * 한국 시각으로 오후 5시 51분, 영국 국방부가 우크라이나 전황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했다.[[https://twitter.com/DefenceHQ/status/1756239408859131908?t=pCFjl4Z28hYADNih85uo4A&s=19|#]] * 하르키우의 한 주유소가 러시아 드론에 의해 폭파되어 어린이 3명을 포함해 7명이 사망했다 [[https://kyivindependent.com/update-russian-attack-on-kharkiv-causes-mass-fire-killing-7/|#]] * 우크라이나군 제59 독립차량화보병여단 사령관인 바딤 수하레우스키 대령과 안드리 레베덴코를 우크라이나군 부사령관으로 임명했다.[[https://kyivindependent.com/zelensky-announces-more-changes-to-military-leadership/|#]] == 11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11_195938.png|width=100%]] }}} || || '''02.11. 기준 러시아 연방군의 손실''' || *전사(戰死)한 러시아 연방군 인력이 39만 5천 명을 돌파하였다.(우크라이나 국군의 주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11_195952.jpg|width=100%]] }}} || || '''02.11.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 * 한국 시각으로 오후 7시 37분, 영국 국방부가 우크라이나 전황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했다.[[https://twitter.com/DefenceHQ/status/1756628494690218034?t=EgAcMmNGCABx1wKclHlgfg&s=19|#]] * 러시아는 1월에 약 33.14km²의 우크라이나 영토를 점령했다. 러시아는 여전히 우크라이나 전체 면적의 약 17.49%를 점령하고 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대반격이 실패한후 공세로 전환해서 11월에 4km²,12월에 약 32.22km² 의 우크라이나 영토를 점령했다.][[https://twitter.com/War_Mapper/status/1756447480965705757|#]] * 올렉산드르 파블리우크 전 국방부 제1차관을 우크라이나 지상군 신임 사령관으로 임명했다.[[https://m.yna.co.kr/view/AKR20240211026500009?section=international/all|#]] * 러시아가 점령한 도네츠크 주에 30km의 철도 방어선이 구축되었다.[[https://www.rainews.it/maratona/2024/02/raid-di-droni-russi-colpiti-zhytomyr-e-kiev-kuleba-intervistare-putin-e-come-dare-parola-a-hitler-nel-44-guerra-in-ucraina-019fc209-649a-44e6-9503-e0c977ad2687.html#631a94e0-8ae6-4c1c-a3aa-11198ac1f027|#]] * 몰도바 국경 경찰은 9~10일 밤 우크라이나의 이즈마일 지역에 대한 러시아의 공격 이후 에툴리아(Etulia) 마을에서 우크라이나 방공군에 의해 격추된 후 몰도바에 추락한 것으로 의심되는 러시아 드론 파편을 발견했다.[[https://stiri.md/article/social/fragmente-de-drona-depistate-la-vulcanesti-accesul-in-regiune-restrictionat|#]] == 12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13_004740.png|width=100%]] }}} || || '''02.12. 기준 러시아 연방군의 손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13_004758.jpg|width=100%]] }}} || || '''02.12.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 * 한국 시각으로 오후 6시 13분, 영국 국방부가 우크라이나 전황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했다.[[https://twitter.com/DefenceHQ/status/1756969646001979568?t=ygRhWjPOiRquWXb-C3qdPQ&s=19|#]] * 우크라이나군 제47기계화여단 사령관인 드미트로 리움쉰은 러시아군이 아우디이우카를 적절한 장비도 없고 훈련이 잘 안 된 병사들을 전장에 바로 투입하는 이른바 "인파" 공격을 중단하고 대신 공중 엄호를 갖춘 소규모 부대로 공세하고 있다고 말했다.[[https://kyivindependent.com/ukraine-war-latest-russia-stops-using-human-wave-attacks-in-avdiivka-deploys-small-assault-groups-instead-commander-says/|#]] * 영국 파이낸셜 타임스(FT)는 우크라이나 군사정보국(GUR)을 인용해 러시아군 또한 전선에서 스타링크를 사용하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https://www.ft.com/content/e69c8c20-85a2-4e98-8b6f-46b92f42871b|#]] == 13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13_183536.png|width=100%]] }}} || || '''02.13. 기준 러시아 연방군의 손실''' || *전사(戰死)한 러시아 연방군 인력이 39만 7천 명을 돌파하였다.(우크라이나 국군의 주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13_232928.jpg|width=100%]] }}} || || '''02.13.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 * 한국 시각으로 오후 6시 07분, 영국 국방부가 우크라이나 전황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했다.[[https://twitter.com/DefenceHQ/status/1757330678218162462?t=1jCts0HYu6FlcXBpo-rdpQ&s=19|#]] * 러시아가 카야 칼라스 에스토니아 총리, 타이마르 페테르코프 에스토니아 내무부장관과 시모나스 카이리스 리투아니아 문화부 장관을 수배자 명단에 올랐다.[[https://m.yna.co.kr/view/AKR20240213142400080?section=international/all|#]] * 아우디이우카에 대한 러시아군의 공세가 갈수록 거세짐에 따라, 우크라이나군은 전투를 벌이고 있는 부대를 강화하고 있으며 제110독립기계화여단의 일부 부대는 거의 2년 만에 처음으로 순환 배치를 위해 도시에서 철수했다[[https://kyivindependent.com/brigade-spokesman-ukraine-reinforcing-avdiivka-as-russia-continues-its-offensive/|#]] * 러시아 모스크바 항소심 법원은 사회학자 보리스 카가를리츠키에게 '테러 정당화' 혐의로 징역 5년을 선고했다.[[https://m.yna.co.kr/view/AKR20240214025100009?section=international/all|#]] * 올렉산드르 시르스키 우크라이나 총사령관은 2월 13일 독일 ZDF 채널과의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군이 공격에서 방어 태세로 전환했으며 진군하는 러시아군을 소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https://kyivindependent.com/syrskyi-ukraine-shifts-to-defensive-to-drain-russian-troops/|#]]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자국군에 대한 허위 정보를 고의로 유포한 사람의 자산을 몰수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에 서명했다.[[https://m.yna.co.kr/view/AKR20240214152900080?section=international/all|#]] == 14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15_004442.jpg|width=100%]] }}} || || '''02.14. 기준 우크라이나 전선 지도''' || * 한국 시간으로 오전 10시 22분, @War_Mapper가 전황 지도를 업데이트했다.[[https://twitter.com/War_Mapper/status/1757576026639552702?t=FTFdHMR5leucLqSi9MzS8Q&s=19|#]]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15_004443.jpg|width=100%]] }}} || || '''02.14. 기준 빌로호리우카 전선 지도''' || *우크라이나군은 크레미나 남쪽 숲으로 진격했고,러시아군은 빌로호리우카 외곽의 일부를 점령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15_004444.jpg|width=100%]] }}} || || '''02.14. 기준 테르니 전선 지도''' || *러시아군은 크레미나 서쪽 테르니 가장자리 부근으로 진격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15_004446.jpg|width=100%]] }}} || || '''02.14. 기준 오를랸스케 전선 지도''' || *러시아군은 하르키우 주와 루한스크 주의 접경지역에서 오를랸스케의 서쪽으로 소폭 전진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15_004449.jpg|width=100%]] }}} || || '''02.14. 기준 로보티네 전선 지도''' || *로보티네 남동쪽의 러시아군은 2023년 우크라이나의 대반격 기간동안 잃었던 곳을 재점령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15_004451.jpg|width=100%]] }}} || || '''02.14. 기준 노보미하일리우카 전선 지도''' || *러시아군은 최근 몇 달간의 공세후 노보미하일리우카로 진격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15_004453.jpg|width=100%]] }}} || || '''02.14. 기준 헤오르히이우카 전선 지도''' || *러시아군은 12월에 마린카를 점령한 후 서쪽으로 진격하여 헤오르히이우카로 진입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15_004455.jpg|width=100%]] }}} || || '''02.14. 기준 아우디이우카 전선 지도''' || *러시아군은 아우디이우카 중심지로 진격했고,우크라이나군은 남동쪽과 남쪽의 부대가 철수하지않으면 포위될 위험이 높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15_002353.jpg|width=100%]] }}} || || '''02.14. 기준 러시아 연방군의 손실''' || *전사(戰死)한 러시아 연방군 인력이 39만 8천 명을 돌파하였다.(우크라이나 국군의 주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15_002328.jpg|width=100%]] }}} || || '''02.14.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 * 한국 시각으로 오후 6시 11분, 영국 국방부가 우크라이나 전황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했다.[[https://twitter.com/DefenceHQ/status/1757694021844009192?t=zZGDvJDBNUrqB5tEXWzGUQ&s=19|#]] * 러시아 해군의 로푸카급 상륙함 체사르 쿠니코프 함이 오전 흑해에서 자폭드론에 의해 침몰했다고 우크라이나군 참모부가 확인했다.[[https://kyivindependent.com/media-russian-landing-ship-allegedly-sunk-by-drones-in-black-sea/|#]][[https://twitter.com/RALee85/status/1757665047650709957|#]] * 도네츠크 주의 셀리도브 마을에서 러시아군의 포격으로 어린이를 포함해 3명이 숨지고 12명이 부상당했다.[[https://kyivindependent.com/russian-attacks-in-selydove-donetsk-oblast-kill-3-injure-12/|#]] * 우크라이나군이 지대지 유도폭탄(GLSDB)을 쓰고 있다는 잔해 증거를 러시아가 발견했다.[[https://euromaidanpress.com/2024/02/15/defense-express-ukraine-uses-glsdb-for-the-first-time-in-history-shocks-russia/|#]] == 15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15_235329.png|width=100%]] }}} || || '''02.15. 기준 러시아 연방군의 손실''' || *전사(戰死)한 러시아 연방군 인력이 39만 9천 명을 돌파하였다.(우크라이나 국군의 주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15_235350.jpg|width=100%]] }}} || || '''02.15.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 * 한국 시각으로 오후 9시 07분, 영국 국방부가 우크라이나 전황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했다.[[https://twitter.com/DefenceHQ/status/1758100611252306359?t=nCJjf2U9ZoA3WedPwcAPVA&s=19|#]] * 러시아 국방부는 우크라이나가 RM-70 '뱀파이어' 다연장로켓시스템(MLRS)으로 벨고로드를 공격했으며, 이 가운데 14발의 미사일은 러시아 방공망에 격추했다고 밝혔다.[[https://m.yna.co.kr/view/AKR20240215163600080?section=international/all|#]] * 우크라이나군 제3돌격여단은 아우디이우카(Avdiivka)에 "긴급하게" 재배치되었음을 확인했으며, 그곳의 상황은 "매우 위급"하다고 덧붙였으며 러시아 대대 2개에 "치명적인 손실"을 입혔다고 주장했다.[[https://kyivindependent.com/ukraines-3rd-assault-brigade-confirms-it-was-redeployed-to-avdiivka-says-situation-extremely-critical/|#]] * 우크라이나가 웨더포드 기업을 국제 전쟁 후원자로 지정했다.[[https://kyivindependent.com/weatherford-international-sponsor-of-war/|#]] == 16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17_014802.png|width=100%]] }}} || || '''02.16. 기준 러시아 연방군의 손실''' || *전사(戰死)한 러시아 연방군 인력이 '''40만 명'''을 돌파하였다. 이는 '''러시아 연방군의 40%'''에 해당하는 수치이다.(우크라이나 국군의 주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17_014907.jpg|width=100%]] }}} || || '''02.16.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 * 한국 시각으로 17일 오전 1시 45분, 영국 국방부가 우크라이나 전황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했다.[[https://twitter.com/DefenceHQ/status/1758532943025410347?t=BQG1XGHhtzaGf4XoyVEW-g&s=19|#]] * 블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올라프 숄츠 독일연방총리와의 양자안보협정을 위해 현지시간 16일 오전, 베를린을 방문했다.베를린 연방 총리관저에서 체결된 해당 양자안보협정은 독일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장기적인 지원"을 골자로 한다.[[https://www.msn.com/de-de/nachrichten/politik/scholz-und-selenskyj-unterzeichnen-bilaterale-sicherheitsvereinbarung/ar-BB1inlnR?OCID=ansmsnnews11|#]][[https://twitter.com/Bundeskanzler/status/1758454164609192149|#]] * 벨라루스가 러시아와 벨라루스에서 파괴 행위를 저지르려는 계획의 일환으로 우크라이나 국경에서 폭발물을 소지한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 파괴 공작원 그룹이 체포됐다고 주장했다.[[https://www.reuters.com/world/europe/belarus-lukashenko-says-saboteurs-detained-border-with-ukraine-2024-02-16/|#]] * 우크라이나군이 아우디이우카 남동쪽의 제니트 거점에서 철수했다[[https://kyivindependent.com/commander-ukraine-withdraws-from-strongpoint-on-avdiivkas-outskirts/|#]] == 17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17_235345.png|width=100%]] }}} || || '''02.17. 기준 러시아 연방군의 손실''' || *전사(戰死)한 러시아 연방군 인력이 40만 1천 명을 돌파하였다.(우크라이나 국군의 주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18_235828.png|width=100%]] }}} || || '''02.17. 기준 러시아 연방군의 장교 손실''' || *총 장교손실이 3550명을 돌파했다. * 우크라이나군이 핵심지역인 아우디이우카에서 철수를 결정했다. [[https://edition.cnn.com/2024/02/16/europe/ukraine-withdraws-avdiivka-intl/index.html|#]] 이에 따라 아우디이우카는 러시아군의 손에 넘어갔다. * 뉴욕타임스의 보도에 의하면 미국 국방부는 20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후 러시아군의 사망자 수를 약 6만명으로 추산하고 있으며, 부상자는 그 3~4배에 달해 총 30만 명에 달하는 사상자가 발생했다고 추정했다고 한다. [[https://www.nytimes.com/2024/02/15/world/europe/russia-invasion-casualties-wounded.html|#]][* 나무위키 전황록에 매일 올라오는 러시아 연방군의 손실 현황(24년 2월 기준 전사자 40만 돌파)과 차이가 너무 크다. 만약 미 국방부의 러군 전사자 수 추정(6만) 쪽이 사실에 가깝다면, 'XX.XX 기준 러시아 연방군의 손실' 부분은 차후 전면 삭제될 가능성이 높다.애초에 '러시아 연방군의 손실'은 우크라이나군의 주장에 불과한데,미국등 서방 국가들에서는 러시아군의 전과 주장과 마찬가지로 우크라이나군의 전과 주장에 대해서도 신뢰하지 않고 있다.심지어는 우크라이나인들조차도 절반 정도가 정부의 전과발표를 믿지 않는다는 여론조사도 있었다.][* 정황상 미국 국방부의 추정이 사실일것으로 보인다. [[https://twitter.com/DefenceHQ/status/1761316030121423346|2024년 2월 24일자 영국 국방부 논평에서도 미국과 엇비슷한 수치인 35만명 정도로 추정한다고 발표했다.]]][* 또 하나의 가능성은 우크라이나군이 발표한 러시아의 병력 사망자 수가 사실 사상자 수 + 포로를 포함한 병력 손실 수일 가능성도 있다. 전과 및 공적을 부풀리기 위해 일명 사망자 수라고 과장했다는 것. 러시아군의 전사자가 40만이라면 부상자가 보통 전사자의 3배로 추정되므로 부상자만 120만정도이고 그러면 우크라이나가 주장하는 러시아군의 총사상자수는 무려 160만이라는 수치가 나온다.] * 러시아가 점령중인 도네츠크 주 마키이우카에서 폭발이 발생했다.[[https://t.me/itsdonetsk/136362|#]] * 프랑스 파리에서 우크라이나-프랑스 간 안보협정이 체결되었다.[[https://twitter.com/BFMTV/status/1758574971914268937|#]] * '''[검증 필요]''' 우크라이나 공군이 러시아군의 Su-34 2대, Su-35를 격추했다고 주장했다.[[https://t.me/MykolaOleshchuk/194|#]] 이후 우크라이나가 Su-34로 주장하는 전투기 1대가 루한스크 주 디아코보 마을근처에서 추락하는 영상이 텔레그램에 게시되었다.[[https://t.me/yigal_levin/62687|#]][[https://t.me/DniproOsintNew/2663?single|#]] * 러시아의 야권 정치인이자 푸틴의 정적으로 평가받던 알렉세이 나발니가 교도소에서 사망했다.[[https://t.me/teamnavalny/23064|#]] == 18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19_000407.png|width=100%]] }}} || || '''02.18. 기준 러시아 연방군의 손실''' || *전사(戰死)한 러시아 연방군 인력이 40만 2천 명을 돌파하였다.(우크라이나 국군의 주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19_000419.jpg|width=100%]] }}} || || '''02.18.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 * 한국 시각으로 오후 6시 20분, 영국 국방부가 우크라이나 전황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했다.[[https://twitter.com/DefenceHQ/status/1759145815946195025?t=S0BhChwYJPGDdE0vaoiLmA&s=19|#]] * 러시아군 제18 근위군 부사령관 마고메드 마고메드자노프 대령이 전투 중 부상을 입은 후 세바스토폴에 위치한 병원에서 끝내 사망했다.[[https://ria.ru/20240218/magomedzhanov-1928021760.html|#]][[https://t.me/bazabazon/25281|#]] * 미국이 압류한 러시아 자산 일부를 에스토니아 거쳐서 우크라이나로 전달한다.[[https://kyivindependent.com/us-to-transfer-confiscated-russian-funds-to-ukraine-via-estonia/|#]] * 우크라이나 의회가 전사한 군인의 부인이 남편이 남기고 간 냉동 정자를 임신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https://m.yna.co.kr/view/AKR20240218046700009?section=international/all|#]] * 몰도바에서 국경 경찰이 에툴리아 누아(Etulia Nouă) 마을 근처에서 러시아 드론 파편을 발견했다.[[https://www.digi24.ro/stiri/externe/moldova/noi-fragmente-de-drona-au-fost-gasite-in-republica-moldova-in-apropiere-de-granita-cu-ucraina-2691483|#]] * 라인메탈은 매년 수십만 개의 155mm 구경 포탄을 생산할 우크라이나 공장을 설립하기 위한 합작 투자 계약을 체결했다.[[https://www.reuters.com/world/europe/rheinmetall-open-ammo-factory-ukraine-joint-project-2024-02-17/|#]] * 러시아 해커들은 여러 우크라이나 언론 매체에 사이버 공격을 가했으며 우크라이나 프라우다는 자신의 계정이 우크라이나 군대에 관한 잘못된 정보를 퍼뜨리는 데 사용되었다고 보도했다.[[https://kyivindependent.com/cybersecurity-agency-russian-hackers-target-ukrainian-media/|#]] * 우크라이나는 도네츠크주 아브디브카와 베셀레에서 러시아군이 포로 8명을 즉결 처형하는 영상이 나온 후 조사를 시작했다.[[https://www.aljazeera.com/news/2024/2/19/ukraine-accuses-russia-of-executing-prisoners-after-fall-of-avdviivka|#]] * 덴마크 총리 메테 프레데릭센은 덴마크가 모든 포탄을 우크라이나에 기부할 것이라고 발표했다.[[https://www.telegraph.co.uk/world-news/2024/02/18/denmark-gives-all-weapons-artillery-ukraine-support-eu/|#]] == 19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02.19. 기준 우크라이나 전선 지도.jpg|width=100%]] }}} || || '''02.19. 기준 우크라이나 전선 지도''' || * 한국 시간으로 오후 3시 33분, @War_Mapper가 전황 지도를 업데이트했다.[[https://twitter.com/War_Mapper/status/1759466311325737125|#]]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02.19. 기준 아우디이우카 전선 지도.jpg|width=100%]] }}} || || '''02.19. 기준 아우디이우카 전선 지도''' || * 러시아군이 17일에 아우디이우카를 완전히 점령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02.19. 기준 바흐무트 전선 지도.jpg|width=100%]] }}} || || '''02.19. 기준 바흐무트 전선 지도''' || *러시아군은 바흐무트에서 서쪽으로 진격하여 이바니우스케 외곽의 참호를 점령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19_232656.png|width=100%]] }}} || || '''02.19. 기준 러시아 연방군의 손실''' || *전사(戰死)한 러시아 연방군 인력이 40만 3천 명을 돌파하였다.(우크라이나 국군의 주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19_232733.jpg|width=100%]] }}} || || '''02.19.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 * 한국 시각으로 오후 6시 14분, 영국 국방부가 우크라이나 전황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했다.[[https://twitter.com/DefenceHQ/status/1759506709553271279?t=N5AUL3H8CzLAMiSvtg7sDA&s=19|#]] * '''[검증 필요]''' 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군의 Su-34와 Su-35 각 1대의 격추를 주장했다.[[https://twitter.com/Archer83Able/status/1759536316453195894|#]] * 젤렌스키 대통령이 쿠퍈스크 북동부 지역에 투입된 제14기계화여단의 지휘소를 방문했다.[[https://kyivindependent.com/zelensky-visits-front-line-troops-in-kupiansk-sector/|#]] * 캐나다가 우크라이나에 군사용 드론 800여대를 무상으로 지원키로 했다.[[https://m.yna.co.kr/view/AKR20240220045600009?section=international/all|#]] == 20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20_221939.png|width=100%]] }}} || || '''02.20. 기준 러시아 연방군의 손실''' || *전사(戰死)한 러시아 연방군 인력이 40만 4천 명을 돌파하였다.(우크라이나 국군의 주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20_221948.jpg|width=100%]] }}} || || '''02.20.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 * 한국 시각으로 오후 6시 15분, 영국 국방부가 우크라이나 전황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했다.[[https://twitter.com/DefenceHQ/status/1759869322648752558?t=-vShTfezeDDHJh4CcdL5RA&s=19|#]] * 2023년 8월 우크라이나로 망명한 러시아 헬기 조종사 막심 쿠즈미노프 대위가 스페인에서 총에 맞아 사망한 채로 발견됐다.[[https://www.pravda.com.ua/eng/news/2024/02/19/7442591/|#]] * 스웨덴 국방장관에 따르면 스웨덴이 71억 크로네 규모의 우크라이나로의 군사 지원을 발표했다.[[https://twitter.com/PlJonson/status/1759851055825797140|#]] * 러시아에서 미국-러시아의 이중국적을 가진 한 여성이 우크라이나군을 위해 러시아 내 모금 활동을 벌인 혐의로 체포됐다.[[https://edition.cnn.com/europe/live-news/russia-ukraine-war-news-02-20-24/h_ccf1d01d9145fc489fbc31142fd99b6b|#]] * 폴란드 농민들이 우크라이나-폴란드 간 국경 봉쇄 시위를 재개했다.[[https://www.reuters.com/world/europe/polish-farmers-step-up-protests-with-total-blockade-ukrainian-border-2024-02-20/|#]] * 키이우 인디펜던트에 의하면 영국의 BBC는 미확인 소식통을 인용해 도네츠크주의 볼노바하에 위치한 러시아군 훈련장을 우크라이나가 하이마스(HIMARS) 2발로 공격해 최소 60명의 러시아 군인이 사망한 것으로 보도했다고 한다. [[https://kyivindependent.com/bbc-ukrainian-himars-strike-in-donetsk-oblast-possibly-killed-over-60-russian-troops/|#]] == 21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22_002341.png|width=100%]] }}} || || '''02.21. 기준 러시아 연방군의 손실''' || *전사(戰死)한 러시아 연방군 인력이 40만 6천 명을 돌파하였다.(우크라이나 국군의 주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22_002430.jpg|width=100%]] }}} || || '''02.21.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 * 한국 시각으로 오후 6시 01분, 영국 국방부가 우크라이나 전황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했다.[[https://twitter.com/DefenceHQ/status/1760228270291755405?t=dxG0T6EYXUgHC542xgSVVQ&s=19|#]] * 유럽연합(EU)이 13차 대러시아 경제제재를 의결해 명문화 작업을 거친 후 24일 발표할 예정이다.[[https://twitter.com/EU2024BE/status/1760232103218741297|#]] * 러시아의 군인이자 러시아군을 다루는 밀블로거인 안드레이 모로조프(활동명 murz)가 사망했다. 사인은 극단적 선택으로 추정되며 그는 최근 아우디이우카에서 러시아군이 입은 손실을 비판한 뒤 계정 삭제 등 불이익을 당한 것으로 전해졌다.[[https://istories.media/news/2024/02/21/rossiiskii-voenkor-i-voennosluzhashchii-andrei-murz-morozov-pokonchil-s-soboi/|#]] * 지난 24시간 동안 러시아의 샤헤드 드론 공습과 포격 등으로 우크라이나 전역에서 3명이 사망하고 18명이 부상을 입었다.[[https://edition.cnn.com/europe/live-news/russia-ukraine-war-news-02-21-24/h_84a9673089ef412195626a1e7695c1e8|#]] * 알랭 베르세 전 스위스 대통령이 전쟁 발발 2년에 맞춰 우크라이나를 방문했다.[[https://m.yna.co.kr/view/AKR20240221153200088?section=international/all|#]] * 우크라이나 보안국(SBU)은 1월 23일 러시아의 미사일 공격을 도운 혐의로 하르키우 주민을 체포했다.[[https://kyivindependent.com/sbu-detains-suspected-spy-accused-of-aiding-russian-strikes-on-kharkiv/|#]] *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루한스크주의 완전 장악을 위해 러시아군에 약 3주의 시한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https://m.yna.co.kr/view/AKR20240222143100009?section=international/all|#]] == 22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22_231346.png|width=100%]] }}} || || '''02.22. 기준 러시아 연방군의 손실''' || *전사(戰死)한 러시아 연방군 인력이 40만 7천 명을 돌파하였다.(우크라이나 국군의 주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22_231450.jpg|width=100%]] }}} || || '''02.22.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 * 한국 시각으로 오후 6시 07분, 영국 국방부가 우크라이나 전황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했다.[[https://twitter.com/DefenceHQ/status/1760592231533089161?t=cDWAx9a-vl0H6mX_dk-JZA&s=19|#]] * 뉴질랜드는 군인 훈련, 무기 및 탄약 조달 등을 포함하여 우크라이나에 2,600만 달러의 군사 및 인도적 지원을 약속했다.[[https://kyivindependent.com/new-zealand-announces-26-million-aid-package-for-ukraine/|#]] * 우크라이나 육군 남부작전사령부 대변인 나탈리아 후메니크는 헤르손주의 러시아군 훈련장을 공격해 러시아군 약 60명이 사망했다고 밝혔다.[[https://kyivindependent.com/military-ukrainian-strike-in-occupied-kherson-oblast-kills-around-60-russian-soldiers/|#]] * 덴마크는 우크라이나에 17억 크로네(약 2억 4700만 달러)의 군사 지원을 약속했다.[[https://kyivindependent.com/denmark-announces-247-million-military-aid-package-for-ukraine/|#]] 또, 10년 안보조약을 체결했다.[[https://kyivindependent.com/denmark-signs-10-year-security-agreement-with-ukraine/|#]] == 23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23_234755.jpg|width=100%]] }}} || || '''02.23.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선 지도''' || * 한국 시간으로 오후 10시 16분, 영국 국방부가 전황 지도를 업데이트했다.[[https://twitter.com/DefenceHQ/status/1761017210774917128?t=H3rh5z_0rtv1S_-Mr5b3xw&s=19|#]]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23_234657.png|width=100%]] }}} || || '''02.23. 기준 러시아 연방군의 손실''' || *전사(戰死)한 러시아 연방군 인력이 40만 8천 명을 돌파하였다.(우크라이나 국군의 주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23_234944.jpg|width=100%]] }}} || || '''02.23.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 * 한국 시각으로 오후 6시 11분, 영국 국방부가 우크라이나 전황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했다.[[https://twitter.com/DefenceHQ/status/1760955449174552993?t=ZaX5o3H3yna-gzssJC61ig&s=19|#]] * 닛케이신문이 러시아 군수기업이 벨라루스 업체를 통해 일본과 대만에서 제작된 정밀기계 부품을 우회 조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https://m.yna.co.kr/view/AKR20240223158500073?section=international/all|#]] * 미국 산업안보국(BIS)이 우크라이나 침공 2주년을 맞아 발표한, 러시아 관련 대규모 제재 대상에 한국의 대성국제무역이 포함해서 올랐다.[[https://m.yna.co.kr/view/AKR20240223160100071?section=international/all|#]] * 미국 재무부가 홈페이지를 통해 러시아의 석유 판매 수입을 책임있게 줄이기 위해 소브콤플로트를 제재 대상으로 지정하고, 원유를 수송하는 유조선 14척에 대해 소브콤플로트의 지분이 있는 자산으로 규정했다.[[https://m.yna.co.kr/view/AKR20240224010900071?section=international/all|#]] * 우크라이나 정보기관은 체코가 남부 아프리카 국가와 한국으로부터 우크라이나를 위한 포탄을 구매하기 위해 약 20억 달러의 자금을 조직하고 있음을 확인했다.[[https://www.msn.com/en-us/news/world/security-source-reveals-czech-president-pavel-found-artillery-stockpile-critical-to-ukraine-s-defense/ar-BB1iHZjo?ocid=msedgdhp&pc=U531&cvid=1cb0cdd0871845ad868b9540f7ce9843&ei=12|#]] == 24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24_231146.png|width=100%]] }}} || || '''02.24. 기준 러시아 연방군의 손실''' || *전사(戰死)한 러시아 연방군 인력이 40만 9천 명을 돌파하였다.(우크라이나 국군의 주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24_231214.png|width=100%]] }}} || || '''02.24. 기준 러시아 연방군의 장교 손실''' || *총 장교 손실이 3600명을 돌파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24_231321.jpg|width=100%]] }}} || || '''02.24.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 * 한국 시각으로 오후 6시 03분, 영국 국방부가 우크라이나 전황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했다.[[https://twitter.com/DefenceHQ/status/1761316030121423346?t=lmazUZKRB2wfYY93ysUfGQ&s=19|#]] * '''전쟁 발발 후 2년이 경과한다.''' * 러시아 리페츠크에 위치한 노보리페츠크 제철소에서 우크라이나 자폭드론의 공습이 발생했다.[[https://twitter.com/IntelCrab/status/1761193854697402389|#]] * 러시아군의 A-50U 조기경보기가 아조프 해 주변 상공에서 격추됐다. 잔해가 확인된 첫 손실이다.[[https://twitter.com/RALee85/status/1761095552941387955|#]] * 영국이 내년 우크라이나의 포탄 지원 관련 예산으로 2억 4500만 파운드를 할당했다.[[https://www.gov.uk/government/news/uk-to-boost-ukraines-artillery-reserves-with-245-million-munitions-package|#]] *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 집행위원장이 키이우에 방문했다.[[https://twitter.com/vonderleyen/status/1761265905420452082|#]] * 우크라이나는 이탈리아 및 캐나다와 각각 양자 안보 협정을 체결했다.[[https://m.yna.co.kr/view/AKR20240225001100108?section=international/all|#]] * 러시아의 독립 언론인 메두자(Meduza) 와 메디아조나(Mediazona)는 24일에 발표한 공동 보고서에서 러시아 상속 사건 등록부(RND)와 러시아 연방 통계청(Rosstat)의 사망률 데이터를 통해 2022년 2월-2024년 2월까지 2년동안의 러시아군 전사자수를 약 83,000명으로 추정했다.[[https://meduza.io/feature/2024/02/24/75-tysyach-pogibshih-rossiyskih-soldat|#]][* 부상자가 전사자의 3배라고 추정하면 24만 5천명이므로,2년동안의 러시아군 사상자수는 약 34만명으로 미국과 영국의 국방부가 추정한 러시아군 사상자수와 비슷해진다.] == 25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26_003057.png|width=100%]] }}} || || '''02.25. 기준 러시아 연방군의 손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26_003643.jpg|width=100%]] }}} || || '''02.25. 기준 영국 국방부의 흑해 지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26_003835 (1).jpg|width=100%]] }}} || || '''02.25.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 * 한국 시각으로 오후 7시 48분, 영국 국방부가 우크라이나 전황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했다.[[https://twitter.com/DefenceHQ/status/1761704757645791422?t=WnT8qZx7NxuodIQAFR8L5g&s=19|#]] * 대한민국 법무부가 발간한 자료에 따르면 작년 한국에 난민 보호를 신청한 러시아인이 재작년(1,038명)보다 5배 늘어난 5,750명(전체 18,038명 중 약 32%)이며 올해 1월에도 신청자 중 가장 많은 것(총 1,509명 중 376명, 약 25%)으로 집계됐다.[[https://viewer.moj.go.kr/skin/doc.html?rs=/result/bbs/227&fn=temp_1708566761902100|#]] * 도네츠크주의 코스탼티니우카 기차역이 러시아 공격으로 파괴되었다.[[https://kyivindependent.com/russian-attack-destroys-kostiantynivka-central-station-in-donetsk-oblast/|#]][[https://www.reuters.com/world/europe/russian-attack-shatters-train-station-other-buildings-eastern-ukrainian-town-2024-02-25/|#]] * 젤렌스키 대통령이 그간 2년간 전사자가 3만 1천명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그러나 서방이나 러시아가 주장한 것과 많이 동떨어지기 때문에 축소발표한 것이라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3432908|#]] 당장 우크라이나 시민단체가 신원을 확인한 전사자만 4만 2천 명을 초과한다.[* 만약 젤렌스키 대통령의 발표가 사실이라면, 역으로 우크라이나가 이제껏 발표하던 사상자수가 거짓이라는 소리가 된다. 우크라이나군이 주장하는 2월 25일 러시아군 전사자가 40만 9천8백2십명이고,젤렌스키는 18만 명이라고 주장했는데 당장 대통령이라는 젤렌스키와 우크라이나군의 주장이 23만명이나 차이가 나고 있다. 어쨌든 젤렌스키나 우크라이나군의 주장 중 하나라도 사실이라면 우크라이나군은 러시아군을 상대로 무려 1대 6이나 1대 13의 압도적인 교전비를 자랑하고 있다는 소리인데, 우크라이나의 주장대로라면 이미 전쟁은 우크라이나의 승리로 종결되었어야 정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작 현실은 [[2023년 우크라이나 대반격#s-3.3|우크라이나의 대반격은 대실패로 끝나서]] 전쟁의 주도권이 러시아에게 넘어갔으며, 우크라이나는 군 병력 부족으로 전 전선에서 패퇴하고 있고, 이 때문에 50만 추가 징집을 고민하고 있는 형국이다. 부상자를 빼고 전사자만 부풀렸다고 주장해도 그럼 러시아는 부상자 없이 모조리 전사했고, 우크라이나는 전사자와 부상자가 혼재했다는 소리인데, 이건 이거대로 말이 안 된다.] * 한편 젤렌스키 대통령은 새로운 반격을 준비하고 있다고 한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526501?sid=104|#]] 또한 러시아가 5월 달에 새로운 공격을 할 것이라는 발표도 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79/0003867675|#]] == 26일 == * 한국 시간으로 2월 27일 오전 7시 17분, @War_Mapper가 전황 지도를 업데이트했다.[[https://twitter.com/War_Mapper/status/1762240498029167085|#]]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02.26. 기준 바흐무트 지도.jpg|width=100%]] }}} || || '''02.26. 기준 바흐무트 지도''' || * 러시아군은 바흐무트 서쪽의 차시우 야르 및 보흐다니우카 동쪽지역으로 진격해 점령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02.26. 기준 아우디이우카 전선 지도.jpg|width=100%]] }}} || || '''02.26. 기준 아우디이우카 전선 지도''' || * 러시아군은 지난 주에 아우디이우카를 점령한후 서쪽으로 진격하여 라스토치네와 시베르네를 점령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02.26. 기준 마린카 전선 지도.jpg|width=100%]] }}} || || '''02.26. 기준 마린카 전선 지도''' || * 러시아군은 마린카 남쪽의 포바에다를 점령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02.26. 기준 로보티네 전선 지도.jpg|width=100%]] }}} || || '''02.26. 기준 로보티네 전선 지도''' || * 러시아군은 로보티네의 중심지로 진격했다. 또한 로보티네와 베르보베 사이에서 더 동쪽으로 진격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02.26. 기준 크린키 전선 지도.jpg|width=100%]] }}} || || '''02.26. 기준 크린키 전선 지도''' || * 러시아군은 크린키에서 진격하여 우크라이나군의 교두보가 줄어들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02.26. 기준 테르니 전선 지도.jpg|width=100%]] }}} || || '''02.26. 기준 테르니 전선 지도''' || * 우크라이나군은 테르니 남쪽에서 소폭 진격하였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26_235750.png|width=100%]] }}} || || '''02.26. 기준 러시아 연방군의 손실''' || *전사(戰死)한 러시아 연방군 인력이 41만 명을 돌파하였다.(우크라이나 국군의 주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26_235836.jpg|width=100%]] }}} || || '''02.26.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 * 한국 시각으로 오후 6시 32분, 영국 국방부가 우크라이나 전황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했다.[[https://twitter.com/DefenceHQ/status/1762048072320688408?t=B5JhJYVfBj4Op3YJEvyTWA&s=19|#]]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26_235838.jpg|width=100%]] }}} || || '''02.26. 기준 영국 국방부의 러시아의 에너지 수급의 무기화 시도 정리 표''' || * 키릴로 부다노우 우크라이나군 정보국장이 [[알렉세이 나발니]]가 혈전으로 자연사했다는 주장을 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680642|#]] 그는 불행히도 나발니가 자연스러운 죽음이라며, 이는 인터넷에서 가져온 것이 아니며 어느정도 확인된 사실이라고 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3281064|#]] * 뉴욕타임스의 보도에 의하면 미국 CIA가 돈바스 전쟁 시기 즈음부터 우크라이나에 여러 비밀 지부들을 개설해 정보전 업무와 더불어 우크라이나의 정보원 양성에 도움을 줬다고 한다.[[https://www.nytimes.com/2024/02/25/world/europe/cia-ukraine-intelligence-russia-war.html|#]] * 수미와 헤르손 등에 러시아군이 공습과 포격을 가해 4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https://edition.cnn.com/europe/live-news/russia-ukraine-war-news-02-26-24/h_21a02503818223501b371a38f72c5307|#]] * 자포리자주 말리쉬우카 인근에서 우크라이나군의 나삼스(NASAMS) 발사대가 러시아군의 타격으로 파괴됐다. 집계된 첫 손실이다.[[https://twitter.com/Archer83Able/status/1762081990700851209|#]] * 2월 26일경 아우디이우카 인근에서 러시아군의 자폭드론과 대전차화기의 협공으로 우크라이나군의 전차 M1 에이브럼스(M1A1 SA) 1대가 격파되었다.[* [[파일:M1UkraineDes.jpg|width=300]] ] * 젤렌스키 대통령이 징집병 동원 해제 조건을 개정하는 법률에 서명했다.[[https://kyivindependent.com/zelensky-signs-bill-on-conditions-for-demobilization-of-conscripts/|#]] * 우크라이나군은 아우디이우카 서쪽의 라스토치네 마을에서 철수했다고 발표했다.[[https://apnews.com/article/russia-ukraine-war-village-withdrawal-lastochkyne-ae2da8175d4307eb65090efecc7aa7c0|#]] * 헝가리 의회에서 스웨덴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가입이 의결되면서 스웨덴이 곧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에 가입하게 된다.[[https://www.theguardian.com/world/2024/feb/26/hungary-parliament-vote-ratify-sweden-nato-membership|#]] == 27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27_234039.png|width=100%]] }}} || || '''02.27. 기준 러시아 연방군의 손실''' || *전사(戰死)한 러시아 연방군 인력이 41만 1천 명을 돌파하였다.(우크라이나 국군의 주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27_233451.jpg|width=100%]] }}} || || '''02.27.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 * 한국 시각으로 오후 7시 08분, 영국 국방부가 우크라이나 전황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했다.[[https://twitter.com/DefenceHQ/status/1762419530356146576?t=3aAZ41YMMQV0otT3SrGB9A&s=19|#]] * 현지시간 26일 오전 슬로바키아 총리 로베르트 피초를 통해 EU에서 지상군 파병도 검토를 하고 있다고 인터뷰하였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529775?sid=104|#]] * 우크라이나군은 러시아의 샤헤드 드론이 우크라이나로 향하던 중 몰도바 국경지대의 공역을 수십 킬로미터 상공에서 비행했고 영공에 들어오자 요격했다고 밝혔다.[[https://kyivindependent.com/military-russian-drone-flew-across-moldovan-border/|#]] * 네덜란드 정부는 우크라이나를 위한 포병 탄약 구매를 위한 체코 계획에 1억 유로 이상을 기부하기로 했다.[[https://odessa-journal.com/the-netherlands-will-allocate-100-million-to-ukraine-for-artillery-shells|#]] * 우크라이나 저항군이 노바 카호우카에 있는 통합 러시아당 사무실을 폭파했다고 주장했다[[https://kyivindependent.com/national-resistance-center-putins-party-hq-in-occupied-nova-kakhovka-blown-up/|#]] * 러시아의 인권운동가 올레크 오를로프에게 징역 2년 6개월을 선고했다.[[https://m.yna.co.kr/view/AKR20240228023600009?section=international/all|#]] * 여러 군사 분석가와 군사 블로거, 우크라이나 당국자들의 추정치에 따르면 아우디이우카를 점령하기 위해 1980년대 아프가니스탄전 때보다 더 많은 병력 손실을 입은 것으로 파악된다.[[https://m.yna.co.kr/view/AKR20240228075500009?section=international/all|#]] *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사무총장 옌스 스톨텐베르그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군의 파병 계획이 없다면서, 유럽연합(EU)의 파병 계획에 대해 일축했다. 프랑스의 마크롱 대통령 또한 파병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https://www.voakorea.com/a/7504455.html|#]] * 러시아 크렘린에 따르면 헝가리 총리 오르반이 러시아와 국경을 맞대는 것에 대해 두려워하고 있다는 정보는 근거없는 것이라 말했다.[[https://t.me/bbbreaking/176271|#]] * 신원식 국방장관이 간담회에서 북한이 4천 6백 개 이상의 컨테이너를 러시아로 보낸 것으로 추정되며 152mm 포탄만으로 환산해도 3백만 발 이상에 달하는 양이라고 밝혔다.[[https://www.yna.co.kr/view/AKR20240227070700504?section=nk/news/all|#]] == 28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28_233949.png|width=100%]] }}} || || '''02.28. 기준 러시아 연방군의 손실''' || *전사(戰死)한 러시아 연방군 인력이 41만 2천 명을 돌파하였다.(우크라이나 국군의 주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28_234000.jpg|width=100%]] }}} || || '''02.28.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 * 한국 시각으로 오후 6시 21분, 영국 국방부가 우크라이나 전황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했다.[[https://twitter.com/DefenceHQ/status/1762770093967040760?t=dK-IFmBe6ig_JNp_ukxVeg&s=19|#]] * 젤렌스키 대통령이 알바니아에 방문했다.[[https://m.yna.co.kr/view/AKR20240228166800109?section=international/all|#]] * 몰도바의 친러지역 트란스니스트리아가 몰도바 정부로부터 경제적인 압박으로 인해 러시아의 개입을 요청했다.[[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2287653Y|#]] * 벨기에는 유럽연합(EU) 외부에서 우크라이나를 위해 포병 탄약을 구매하려는 체코 계획에 2억 유로를 기부할 것이라고 발표했다.[[https://kyivindependent.com/belgium-pledges-216-million-to-czech-ammunition-initiative-for-ukraine/|#]] *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프랑스 마크롱 대통령의 파병 발언에 대해 러시아 수뇌부가 연일 반발하고 있다. 뱌체슬라프 블로딘 국가두마 의장은 나폴레옹과 60만 명이 넘는 병사들의 최후를 기억하는 게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국가안보회의 부의장도 나폴레옹식 복수를 열망하고 있다며 마크롱을 맹비난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382203|#]] * 한편 미국과 여러 나라가 파병설을 진화하는 가운데, 라트비아가 나토 합의를 전제로 파병한다면 참여를 고려하겠다고 파병설에 다시 불씨를 붙였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69/0000788022|#]] *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몰도바의 산두 대통령과 몰도바의 친러지역 트란스니스트리아에 대해 논의했다.[[https://twitter.com/UKRINFORM/status/1762926895900069981|#]] == 29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29_212802.png|width=100%]] }}} || || '''02.29. 기준 러시아 연방군의 손실''' || *전사(戰死)한 러시아 연방군 인력이 41만 3천 명을 돌파하였다.(우크라이나 국군의 주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40229_212902.jpg|width=100%]] }}} || || '''02.29.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 * 한국 시각으로 오후 6시 58분, 영국 국방부가 우크라이나 전황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했다.[[https://twitter.com/DefenceHQ/status/1763141771859571110?t=rA3lFLNxZTj-MdurA1NzZg&s=19|#]] * 우크라이나군이 최근 10일간 10대의 전투기를 격추하였다고 주장했다고 영국의 BBC가 전했다[[https://www.bbc.com/news/world-europe-68423990|#]]. 주장에 따르면 Su-34 7대, Su-35 2대, 그리고 A-50 1대를 격추했다. * 위의 기사 발표 수시간 후에 Su-34 1대를 더 격추하였다고 우크라이나군이 주장했다. [[https://www.facebook.com/photo?fbid=807849124716371&set=a.293720452795910|#]] * 러시아군은 크림반도 해안 근처에서 매복 공격을 가해 우크라이나 특공대원 20명 이상을 사살했다고 주장했다.[[https://www.kyivpost.com/post/28822|#]] * 올레 훌랴크 우크라이나 군수군 사령관직에서 해임하고 그 자리에 볼로디미르 카르펜코가 임명됐다고 밝혔다.[[https://kyivindependent.com/zelensky-replaces-logistics-forces-commander/|#]]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경과/24년 3월|{{{#!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align: center; border: 1px solid #ddd; border-radius: .5em; font-size:1.5em;background-color: rgba(128, 128, 128, .8); color: white" ⇒ 이어서 보기}}}]] [각주] [[분류: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경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