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중교통]][[분류:파업]][[분류:목포시의 사건사고]] [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22년 12월 12일부터 2023년 2월 13일까지 가스비 미납으로 인한 운행중단, rd1=2022년 목포 버스 운행중단 사태)] [include(틀:사건사고)] [목차] == 개요 == 2022년 10월 18일에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태원유진 지부 소속의 조합원들과 [[전국공공운수노동조합]] 태원유진 지회 소속의 조합원이 총파업에 들어가면서 오전 5시 첫차부터 156대의 버스가 운행이 중단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목포시]]의 인구는 약 21만명으로 10% 이상에 해당하는 하루 평균 2~3만명의 시민들이 버스를 이용하는데 파업이 4주 가량 이어지면서 시민들의 불편함이 가중되었다. 시청에서는 [[전세버스]]는 물론 교회나 기업에서 운영하는 자가용 버스들까지 차출하여 비상수송차량을 운행하였다. 2022년 11월 15일에 마침내 파업이 종료되었다. 그런데 파업이 종료된 지 한 달이 채 안 되어 [[2022년 목포 버스 운행중단 사태]]가 터져서 시민들이 한동안 계속 불편을 겪었다. == 비상수송차량 == || 운행일자 || 2022년 10월 18일 ~ 2022년 11월 15일 || || 운행노선 || 5개 노선[* [[목포 버스 1|1번]], [[목포 버스 1A, 1-2|1A번]], [[목포 버스 9|9번]], [[목포 버스 13|13번]], [[목포 버스 33|33번]]] || || 운행시간 || 06:40 ~ 21:30[* 노선별 일부 상이, 점심시간 중단 없이 운행] || || 운임 || 무료 || || 배차실 || 3개소(실내체육관, 김대중기념관, 옥암대학부지) || == 경과 == === 10월 18일 === 태원여객, 유진운수 노조가 본격적으로 파업을 시작하였다. 이로인해 시민들의 큰 피해가 일어났다. === 10월 19일 === ||<-2> [youtube(q5TDPAgWoKU)] || [[박홍률]] 시장이 버스파업에 대한 입장문을 발표하였다. === 10월 24일 === ||<-2> [youtube(yAu0hoLvyRk)] || 파업 1주일을 맞이하였으며, [[목포시]]의 2차 입장문이 발표되었다. === 10월 31일 === 파업 2주차를 맞이하였다. === 11월 1일 === 태원여객, 유진운수 대표인 이한철은 "목포시의 재정지원이 없으면 휴업 신청 이후 폐업할것"이라고 밝혔다. === 11월 2일 === ||<-2> [youtube(-hTh-lNGWIc)] || 목포시의 3차 입장문이 발표되었다. === 11월 5일 === '''파업 3주차를 맞이하였다.''' === 11월 12일 === '''파업 4주차를 맞이하였다.''' === 11월 15일 === 파업 30일 만에 파업이 철회되면서 11월 16일부터 운행을 재개하였다. == 반응 == === 목포시 === [[목포시]]는 임시로 교회버스와 관용버스를 포함한 20대를 차출하여 [[목포 버스 1|1번]]과 [[목포 버스 9|9번]]만 운행하고 [[무안군]]에 요청하여 공공형버스인 [[무안 버스 50|50번]]과 [[무안 버스 55|55번]]을 임시로 [[목포종합버스터미널]]까지 연장하였다. 또한 [[목포 버스 1A, 1-2|1-2번]], [[목포 버스 800|800번]]은 [[무안군]]에서 임시로 운행한다. 공무원들의 시민 탑승 카풀제 운영, 전세버스와 관용버스를 20대 이상으로 투입하는 방식으로 비상수송차량을 마련하여 운영하는 중이었으나 한계를 이기지 못하고 1000원 택시 서비스를 추가로 시작하였다. === 목포시민 === 4주동안 계속되는 버스 파업으로 목포시민들은 [[목포시청]]의 교통행정에 불만을 나타냈다. === 태원여객, 유진운수 === 태원여객, 유진운수 대표인 이한철은 '''목포시의 재정지원이 없으면 휴업 신청 이후 폐업할 것''' 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