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war-20220912-112105-002-resize.gif|width=100%]] }}} || || '''9월 7일부터 9월 12일까지의 동부 우크라이나 공세 지도.'''[br]9월 10일 쿠퍈스크를 우크라이나에게 빼앗긴 후 하루 만에 이지움 전선이 붕괴되었다. || 2022년 우크라이나 동부 역공세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2022년 [[9월]]부터 2022년 말까지 [[우크라이나군]]이 동부 우크라이나에서 벌였던 공세이다. 이 공세로 우크라이나군은 [[이지움(우크라이나)|이지움]], [[쿠퍈스크]] 등 [[하르키우주]]에 위치한 주요 거점 도시를 거의 모두 탈환하며 동부전선에서의 주도권을 차지했었다. 그리고 [[리시찬스크]], [[세베로도네츠크]] 등 [[루한스크주]]에 위치한 도시를 위협하였으며, 루한스크주 역시 모두 상실한 지 두 달 만에 반격으로 일부 수복하였다. 하르키우주에서 러시아군이 장악한 지역은 이미 동쪽 끝 일부 지역만 남았다. 2022년 10월 2일 [[스바토베-크레민나 전선 전투]]로 이행하면서 여전히 공세를 이어갔으나, 차츰 둔화되었고 [[2022년 우크라이나 남부 역공세]]가 끝날 무렵 더더욱 진격 속도가 느려졌다. 그래도 2022년 12월 까지는 동부 전선 전체에서 영토를 회복하고 있었으나, 2023년 1월 1일 러시아가 [[바흐무트 전투]]에서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경과/23년 1월|선전을 거두기 시작]]하면서 동부 전선 전체적으로는 오히려 밀리기 시작했다. 하지만 스바토베-크레민나 전선 한정으로는 1월 25일까지 우세한 흐름을 가져갔다. 하지만 1월 27일 스바토베-크레민나 전선에서 러시아가 역습을 시작해 밀리기 시작하면서 공세가 완전히 끝나게 되었다. 또한 [[바흐무트 전투]]에서도 시가지를 잃는 등 고전중이다. 2023년 8월 현재 러시아 군의 역습으로 쿠퍈스크와 리만이 재차 전장이 되고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2022년-2023년 우크라이나 역공세, version=2042)] [[분류: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전투]][[분류:2022년 전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