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2022년|2022]]~[[2023년]][* [[2023년 한반도 폭우 사태]] 이전까지]에 [[대한민국]]에서 나타났던 [[가뭄]] 현상에 대한 문서. == 2022년 초~중반 == 2022년 1~2월과 5월에는 이례적으로 '''전국 모든 지역이 강수량이 기록적으로 적은''' 현상이 나타났다.[* 아무리 비가 극단적으로 적어도 전국 어딘가는 비가 많거나, 아니면 적어도 기록적이지는 않다. 그러나 이 해 1~2월 및 5월은 전국적으로 그랬다.] 동해안과 영남 지역이 특히나 더 가물어서 '''1월 강수량 0'''을 찍은 도시가 많았다. 3월에 비가 다소 많이 왔지만 이전에 강수량이 유독 적었고 4~5월도 비가 적어서 유독 심해졌다. 이로 인해 [[2022년 강릉-동해 산불]], [[2022년 울진-삼척 산불]] 등 대형 산불이 일어났다. 1~5월 전국 강수량은 160.6mm, 서울은 140.8mm[* 6월 22일까지의 강수량은 고작 185mm였다.]로 매우 건조했고, 그나마 대다수가 3월이다. 6월도 중순까지 강수량이 적어 2022년도 가뭄을 보일 것으로 예측되었다. 중부지방은 여름철에 많은 비가 내려 가뭄이 완전히 해갈되었다. 하지만 문제는 [[2022년 중부권 폭우 사태|장마가 극단적으로 중부지방, 특히 수도권에만 집중]]되면서 수도권은 아예 습한 상태를 보였지만 남부지방은 가뭄이 해갈되긴커녕 경상도 일부는 9월 초, 그 밖의 지역은 연말까지도 심각한 가뭄에 시달렸다. == 2022년 후반 == [[힌남노]]로 인해 일부 경상도의 가뭄은 해결되었다. 하지만 힌남노 이후 건조한 날씨를 보였고 10월 초를 제외하면 맑은 날씨만 이어졌으며 가뭄이 있던 지역은 심해지기 시작했다. 특히 2022년 [[11월]] 중순 기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는 [[1973년]] 전국관측 이후 최악의 가뭄을 맞이해서 주요 [[댐]] 저수율이 30% 이하로 떨어진 것으로 확인되며 [[전남]] 일부 지역은 6개월 넘게 정상적인 물 공급을 하지 못하고 있어 물 쓰는 날을 정해놓고 제한 [[급수]]나 운반 급수로 생활 중이다. 이로 인해 광주 전역과 전남 12개 시군이 생활용수 가뭄 5단계 중 4단계인 '경계' 단계에 올라 물 절약을 호소하고 있으며 비가 많이 내리지 않는다면 광주도 2023년 6월쯤 30년 만에 제한 급수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21114103200054|#1]] [[https://www.yna.co.kr/view/AKR20221114073100054|#2]] [[https://www.yna.co.kr/view/AKR20221114092800054|#3]] [[https://www.yna.co.kr/view/AKR20221114104200054|#4]] [[https://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273742|#5]] 결국 남부지방은 가뭄 일수 '''227.3일'''로 기상 관측 최장 가뭄 기록을 찍었다. 11월 26일 기준 [[변기]]에 [[페트병]]을 넣거나 넣어둘 [[벽돌]]을 나눠주고 각 [[공공기관]]과 가정집 등에서 [[수압]] 조절을 하고 있다. [[https://theqoo.net/2649655133|#1]] [[https://theqoo.net/2649407160|#2]] || [youtube(SME7i5efvf8)] || [youtube(T04IQFwBAP8)] || || [youtube(D4Bh109Ilbw)] || [youtube(HutQc76mMKk)] || || [youtube(RWWAfQnkXVw)] || [youtube(xlNzMSjd7ok)] || 11월 28일 오후부터 29일 오전까지 [[단비]]같은 [[폭우]]가 쏟아졌다. 29일 오전 8시 기준 광주·전남 지역 강수량은 최소 7.1㎜에서 최대 138.5㎜이다. [[https://www.yna.co.kr/view/AKR20221129029800054|#]] 하지만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라는 평가도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Ey19qZ9VIOA|#]] 12월 23일~24일까지 전라도에 2주간 [[2022년 한반도 폭설 사태|폭설]]이 내렸으나 동복댐 저수율은 28.4%에서 26.7%로 오히려 줄어드는 등 가뭄이 해갈되지 않고 있다. 내린 눈이 수상당량비[* 적설량을 강수량으로 나눈 값이다.]가 낮은 건조한 눈이여서 내린 눈의 5% 가량만 물로 바뀐 탓에 해갈에 별 도움이 안되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982221|#]] 결국 2022년의 남부지방, 제주도 강수량은 평년보다 매우 적었고 대구, 광주, 완도 등 하위 1위를 기록한 곳도 있다. 하지만 포항시의 경우 힌남노로 오히려 남부지방에서 유일하게 평년을 능가했다. == 2023년 == [youtube(BVBdpdCcaAg)] 그러나 [[2023년]]으로 해가 바뀌자 1월 중순에 전국이 많은 비가 와서 동복댐의 저수율이 약간 상승했지만 가뭄이 완전히 해갈되진 않았다. 와야 할 저수지나 댐에 비가 많이 온 게 아니고 산이나 해안가에 다 뿌려져서 결국 저수율이 약 1% 오르고 끝났다. 땅이 워낙 가물어서 시간이 지나면 물이 흘러들어올 거란 기대는 안 하는 게 좋다. [youtube(1csepks7zb4)] [youtube(uMT7Ob53zpw)] [youtube(QLOpY1SHtCA)] 게다가 1월 13일 경을 제외하고는 비가 거의 오지 않았다. 2월과 3월의 경우도 비가 매우 적었고, 그나마 남해안 지역과 일부 동해안만 다소 왔을 뿐 전국적으로 가뭄이 심해지기만 해서 여름이면 저수율이 바닥날 거라는 절망적인 얘기가 나왔다. 다행히 4월 5일에 꽤 많은 비가 와서 저수율이 상승해서 어느 정도 한숨은 돌렸지만 땅이 워낙 가물어서 물이 흘러들지도 않았고 그 이후로 많은 비가 내리지 않아 다시 심해지려고 했으나... == [[2023년 한반도 폭우 사태]] 이후 == [youtube(t6KRcfeZPjg)] [youtube(olzBu6hGVHg)] [youtube(5oD8x7UQxvU)] [youtube(i25YxEVeMus)] 이후 2023년 5월 4일부터 5월 6일까지 [[2023년 한반도 폭우 사태|남부 지방에 300mm 넘는 폭우]]가 내렸다. 그 덕에 주요 댐들의 저수율이 높아졌으며 [[완도]] 5개 섬지역(완도 노화·보길·금일·소안·넙도)은 5월 8일부터 9일까지 단계적으로 제한급수가 해제하고 정상 급수를 실시하는 등 가뭄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 폭우로 전라도에 가뭄이 완전히 해결된 것은 아니다. [[https://imnews.imbc.com/replay/2023/nwdesk/article/6480895_36199.html|#1]] [[https://imnews.imbc.com/replay/2023/nwdesk/article/6481068_36199.html|#2]]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669257|#3]] [[http://www.ikbc.co.kr/article/view/kbc202305070003|#4]] [[https://imnews.imbc.com/replay/2023/nwdesk/article/6481631_36199.html|#5]] [youtube(qcx5b2zySL8)] [youtube(N_9JywT2y0Q)] [youtube(e0Gl-jdbzsg)] 5월 4일부터 강원도 동해안 지역을 제외한 많은 비가 내려 거의 모든 지역에서 가뭄 현상으로 인한 수자원 부족 문제가 완벽히 해결됐다. 그러나 [[6월 25일]]부터 매일 감당할 수 없는 강수량으로 인해 재난 상황이 발생했다. [[2023년 여름 한반도 폭우 사태]]와 [[2023년 여름 한반도 폭우 사태/7월]] 참조. 반면 강릉 등 북부 동해안은 8월 5일까지 강수량이 저조해서 가뭄 위기에 있었다가 8월 6일부터 비가 많이 내려서 이런 문제에서 벗어났으며 [[카눈(태풍)]]의 영향으로 전국적으로 큰 비가 내렸다. == 원인 == == 기타 == * [[2023년]] [[1월 16일]] [[더불어민주당]] 광주광역시당 1차 자치분권정책협의회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이병훈(정치인)|이병훈]] 시당위원장과 민주당 소속 광주지역 국회의원, 5개 구청장, 광역·기초의회 의장단 등 40여 명의 당연직 위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었다. 현안은 모두 9개로 ▲[[2022년 한반도 가뭄]] 위기 극복을 위한 대체수원 확보 ▲[[광주과학기술원]] 산하 AI 영재고 설립과 모빌리티 선도도시 조성 ▲국가 주도 [[광주공항/공항 이전|광주 군공항 이전]] ▲[[무등산]] 정상 개방 ▲복합쇼핑몰 유치 국가 지원 ▲지역요양요원 처우 개선·노동권 증진 방안 ▲[[전남대병원]] 새병원 건립과 의료특구 활성화 방안 ▲우리밀산업 현황·소비 촉진 방안 ▲도시가스 취약지[* [[녹동역]] 인근 녹동마을 등] 공급시설 설치지원이 언급되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645635?sid=100|민주당 광주시당, 첫 자치분권 협의…"9대 현안 힘모으자"]] * 가뭄이 한창인 와중 2023년 2월 12일 오전 6시경 [[광주광역시]] 식수를 담당하는 [[남구(광주광역시)|남구]] 덕남정수장 밸브가 고장 나 오후 1시까지 일대에 물난리가 났다. [youtube(u9Bcs2rPazs)] 이로 인해 낮 시간대부터 남구, [[서구(광주광역시)|서구]], [[광산구]], [[북구(광주광역시)|북구]]가 [[단수]]돼 광주시민의 40%에 달하는 60만여명이 큰 불편을 겪었다. 30년 가까이 된 밸브의 노후화 등이 사고 원인으로 추정되는데 고장 시 임시로 사용할 보조밸브조차 없었다. 단수는 당초 2~3시간이면 복구된다고 했으나 고장 12시간이 지나서야 복구가 마무리 됐으며 일반 가정과 사업장에서는 자정쯤 수돗물이 정상 공급됐다. [[https://imnews.imbc.com/replay/2023/nwdesk/article/6454478_36199.html|#1]]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077353|#2]]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603254|#3]] * 2023년의 경우 지구 반대쪽의 [[남아메리카]]에서도 가뭄이 일어났으며 이로인해 낙농국가인 [[아르헨티나]]가 농작물 수확량이 크게 감소하는 등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https://www.yna.co.kr/view/AKR20230311034500009|#]] == 관련 문서 == * [[2022년 중부권 폭우 사태]] * [[2022년 폭염]] * [[2022-2023년 한반도 한파 및 폭설 사태]] * [[2023년 3월 한반도 이상 고온]] * [[2023년 한반도 폭우 사태]]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가뭄, version=261, paragraph=6)] [[분류:2022년 재난]][[분류:2023년 재난]][[분류:대한민국의 재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