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3 2023 럭비 월드컵 선수단}}}''' || || '''각 선수단 정원''' ||33명 || || '''경기 출전자 수''' ||23명 || || '''이전 대회''' ||[[2019 럭비 월드컵 일본/선수단]] || || '''다음 대회''' ||[[2027 럭비 월드컵 호주/선수단]] || [목차] == 개요 == [[2023 럭비 월드컵 프랑스]] 본선 참가 대표팀 선수단 구성에 대해 서술한 문서. == 각국 대표팀 선수단 == 각 팀은 9월 1일을 기한으로 최대 33명의 선수 명단을 확정해야 한다. 9월 2일부터는 장기간 치료를 요하는 부상을 제외하고 변경이 불가하다. === 요약 === || '''국가''' || '''감독''' || '''주장''' || '''훈련 캠프'''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30]] 뉴질랜드 ||이안 포스터 ||[[샘 케인]] ||[[리옹]]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프랑스 ||[[파비앙 갈티에]] ||[[앙투안 뒤퐁]] ||뤼에유 말메종, [[오드센]]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이탈리아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키어런 크롤리]] ||[[미켈레 라마로]] ||부르구앙잘리외, [[오베르뉴론알프]]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30]] 우루과이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5]] 에스테반 메네세스 ||안드레스 빌라세카 ||[[아비뇽]] || ||[[파일:나미비아 국기.svg|width=30]] 나미비아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알리스터 코에치 ||요한 다이셀 ||엑스레방, [[샹베리]]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 남아공 ||[[자크 니에나버]] ||[[시야 콜리시]] ||[[툴롱]] || ||[[파일:IRFU 로고.png|width=30]] 아일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앤디 패럴]] ||[[조니 섹스턴]] ||[[투르]] ||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width=30]] 스코틀랜드 ||[[그리거 타운센드]] ||[[제이미 리치]] ||[[니스]] || ||[[파일:통가 국기.svg|width=30]] 통가 ||투타이 케푸 ||소나타네 타쿨루아 ||크루아시쉬르센, [[이블린]]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30]] 루마니아 ||에우겐 압조크 ||크리스티 키리카 ||리부른, [[누벨아키텐]] || ||[[파일:웨일스 국기.svg|width=30]] 웨일스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워렌 개틀랜드]] ||듀이 레이크[br]잭 모건 ||[[베르사유]] || ||[[파일:호주 국기.svg|width=30]] 호주 ||[[에디 존스(럭비)|에디 존스]] ||테이트 맥더못[br][[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윌 스켈튼 ||[[생테티엔]] || ||[[파일:피지 국기.svg|width=30]] 피지 ||사이먼 라이왈루이 ||와이세아 나야칼레부 ||로르몽, [[보르도]] || ||[[파일:조지아 국기.svg|width=30]] 조지아 ||레반 마이사시빌리 ||메랍 샤리카제 ||일드레, [[라 로셸]]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30]] 포르투갈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파트리스 라지스케 ||[[토마스 애플톤]] ||[[페르피냥]]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잉글랜드 ||[[스티브 보스윅]] ||[[오웬 패럴]] ||르 투케, [[오드프랑스]] ||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일본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제이미 조셉]] ||히메노 카즈키 ||[[툴루즈]]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 아르헨티나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마이클 체이카]] ||[[훌리안 몬토야]] ||라볼에스코블락, [[생나제르]] || ||[[파일:사모아 국기.svg|width=30]] 사모아 ||[[파일:사모아 국기.svg|width=25]] 세일랄라 마푸수아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마이클 알라알라토아[br][[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크리스 부이 ||[[몽펠리에]] || ||[[파일:칠레 국기.svg|width=30]] 칠레 ||[[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25]] 파블로 레모이네 ||[[마르틴 시그렌]] ||페로스기렉, [[브르타뉴]] || === A조 === ==== 뉴질랜드 ==== [[뉴질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은 8월 7일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전원 국내파로 [[모아나 퍼시피카]]를 제외한 5개의 [[슈퍼 럭비 퍼시픽]] 구단이 골고루 섞여 있다. [include(틀:2023 럭비 월드컵 프랑스/선수단/뉴질랜드)] 9월 10일 에모니 나라와가 허리 부상으로 에단 블랙래더로 교체되었다. ==== 프랑스 ==== [[프랑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은 8월 21일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전원 국내파로 [[스타드 툴루쟁]], [[스타드 로셸레]], [[위니옹 보르도 배글]]을 중심으로 8개 구단에서 선발되었다. [include(틀:2023 럭비 월드컵 프랑스/선수단/프랑스)] 9월 1일 폴 빌렘스가 허벅지 부상으로 하차하고, [[바스티앙 샬뤼로]]가 빈자리를 채웠다. ==== 이탈리아 ==== [[이탈리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은 8월 22일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베네통 럭비]]를 중심으로 하며 10명의 해외파가 섞여 있다. [include(틀:2023 럭비 월드컵 프랑스/선수단/이탈리아)] 9월 24일 루카 비지가 다리 부상으로 제외되고 마르코 만프레디가 그를 대체했다. ==== 우루과이 ==== [[우루과이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은 8월 21일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자국 프로팀 [[페냐롤 럭비]]를 중심으로 11명의 해외파가 포함되어 있다. [include(틀:2023 럭비 월드컵 프랑스/선수단/우루과이)] ==== 나미비아 ==== [[나미비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은 8월 21일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include(틀:2023 럭비 월드컵 프랑스/선수단/나미비아)] 9월 6일 차드 플라토가 허벅지 부상으로 티씨 키스팅으로 대체되었다. 9월 17일 르루 말란이 경기 도중 심각한 발목 부상을 당해 로이드 야콥스로 대체되었다. 다행히 수술은 성공적으로 끝났다고 한다. === B조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남아프리카 공화국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은 8월 8일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국내파와 일본파를 중심으로 선수단이 구성되었다. [include(틀:2023 럭비 월드컵 프랑스/선수단/남아프리카 공화국)] 9월 14일 [[말컴 막스]]가 스코틀랜드전에서 무릎 부상을 당해 하차했다. 10월 2일 [[마카졸 마핌피]]가 안와골절을 당해 [[루카뇨 암]]으로 대체되었다. ==== 아일랜드 ==== [[아일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은 8월 27일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규정에 따라 선발된 전원이 국내파이며, 18명이 [[렌스터 럭비]] 소속이다--역시 유사 국대팀-- . [include(틀:2023 럭비 월드컵 프랑스/선수단/아일랜드)] ==== 스코틀랜드 ==== [[스코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은 8월 16일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자국 프로 구단 [[글래스고 워리어스]]와 [[에든버러 럭비]]가 주축이다. 특이점이 있다면 33명 중 무려 15명이 스코틀랜드 태생이 아니란 점이다. 해외 태생이 14명인 이탈리아보다 많다. 사모아, 통가같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가장 많은 수준. 그래서 무늬만 스코틀랜드 대표팀 소리를 듣는다--전력 상승의 비결--. [include(틀:2023 럭비 월드컵 프랑스/선수단/스코틀랜드)] 9월 14일 데이브 체리가 뇌진탕 증상을 호소해 하차하고, 스튜어트 맥키널리로 대체되었다. 9월 24일 스튜어트 맥키널리도 목 부상으로 조니 매튜스로 교체되었다. ==== 통가 ==== [[통가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은 8월 21일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모아나 퍼시피카]] 및 프랑스파가 중심이며, 많은 사람들이 뉴질랜드로 떠나는 통가의 현실을 반영하듯[* 럭비 한정이 아니라, 국가 전체의 문제다] 대부분이 통가 혈통의 뉴질랜드인으로 이루어져 있다. [include(틀:2023 럭비 월드컵 프랑스/선수단/통가)] 9월 18일 페아오 포투아이카와 오투마카 마우시아가 부상으로 제외되고, 각각 시아테 토콜라히와 패트릭 펠레그리니로 교체되었다. 9월 29일 시우아 매일과 솔로모네 푸나키가 부상으로 제외되고, 각각 시오네 앙가아엘랑기와 페니토아 피나우로 교체되었다. ==== 루마니아 ==== [[루마니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은 8월 16일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국내파 위주에 프랑스파가 섞여 있다. 의외로 백스들은 오세아니아 등 외국 태생의 선수가 많다. [include(틀:2023 럭비 월드컵 프랑스/선수단/루마니아)] 8월 28일 미하이 마코베이, 미하이 무레샨, 폴 포포아이아가 부상으로 제적되고 안드레 고린, 시오엘리 라마, 탈리아울리 시쿠에아로 각각 교체되었다. 9월 19일 가브리엘 포프, 테일러 곤티냑, 힝클리 바오바사가 부상으로 이탈했다. 이들은 루카 니키탄, 미하이 그라우레, 알렉산드루 부쿠르로 교체되었다. === C조 === ==== 웨일스 ==== [[웨일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은 8월 21일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include(틀:2023 럭비 월드컵 프랑스/선수단/웨일스)] 10월 7일 [[타울루페 팔레타우]]가 팔이 부러져 키어런 하디로 교체되었다. ==== 호주 ==== [[호주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은 8월 10일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눈에 띄는 점은 [[테스트 매치]] 출전 경험이 전혀 없는 신인이 포워드, 하프백, 백스에 하나씩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선수들의 절반이 테스트 출장 경력이 10회 미만'''인데[* 이런 건 사모아, 통가처럼 테스트 기회가 많지 않은 팀에서나 있는 일이다.], 올해 초 취임한 [[에디 존스(럭비)|에디 존스]]의 고관이 많이 반영된 듯 하다. [include(틀:2023 럭비 월드컵 프랑스/선수단/호주)] 9월 21일 맥스 조겐슨이 다리가 부러져 방출되었다. 다행히 얼마 지나지 않아 완치되었다고 한다. ==== 피지 ==== [[피지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은 8월 8일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과거와 다르게 [[피지언 드루아]]의 존재 덕에 18명의 국내파를 주축으로 팀을 꾸릴 수 있게 되었다. 팀의 구심점이 생김으로써 더 나은 전략과 협동력을 보여줄 것이다. 개개인의 능력에 비해 팀 운영이 부족했던 섬나라들에게 매우 좋은 일[* 같은 이유로 조금씩 뒤쳐지고 있던 사모아와 통가의 기량이 회복되고 있는 것도 설명이 가능하다]. [include(틀:2023 럭비 월드컵 프랑스/선수단/피지)] 9월 1일 캘럽 먼츠가 무릎 부상을 당해 빌리모니 보티투로 교체되었다. 9월 25일 존 코로이두아두아의 부상으로 에모시 투퀴리가 그를 대체했다. 10월 11일 테모 마야나바누아가 부상을 당해 아피 라투니야라와로 교체됐다. ==== 조지아 ==== [[조지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은 8월 28일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포워드는 프랑스파, 백스는 [[블랙 라이언]]으로 간결하게 이루어져 있다[* 예로부터 조지아는 좋은 포워드를 많이 배출하는 나라였는데, 한때 '''프랑스에서 활동하는 조지아인의 40%가 프롭인 적도 있었다'''.]. [include(틀:2023 럭비 월드컵 프랑스/선수단/조지아)] 9월 27일 베카 고르가제가 발목 부상으로 이탈하였다. 그의 빈 자리는 오타르 기오르가제가 채웠다. 같은 날 루카 자파리제가 허리부상으로 이라클리 압치아우리로 대체됐다. 10월 2일 텐기즈 잠타라제, 미리안 모데바제, 라샤 자이아니도 부상으로 하차하고, 각각 바노 카르카제, 오타르 라시히, 미헤일 바부나시빌리로 교체됐다. ==== 포르투갈 ==== [[포르투갈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은 8월 28일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국내파와 프랑스파가 반반 나눠진 구성으로, 프랑스 출신이 상당히 많다. 위키피디아에 선수 문서가 등재되지 않아 확인되지 않았을 뿐, 실제 프랑스 출신은 기술한 것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 [include(틀:2023 럭비 월드컵 프랑스/선수단/포르투갈)] === D조 === ==== 잉글랜드 ==== [[잉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은 8월 7일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지금까지와 다른 점은 잉글랜드 프로 럭비가 흔들리는 것을 방증하듯 해외파(프랑스)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다. [[엑서터 치프스]][* 50회 출전의 베테랑 [[헨리 슬레이드]]도 선발 명단에 들지 못했다.]와 [[뉴캐슬 팰컨스]]에선 한 명도 선발되지 못했다. [include(틀:2023 럭비 월드컵 프랑스/선수단/잉글랜드)] 8월 14일, 스크럼하프 잭 반푸어트블리는 발목 부상을 당해 알렉스 미첼로 교체되었다. 8월 27일, 윙어 [[앤서니 왓슨(럭비)|앤서니 왓슨]]은 종아리 부상으로 [[조니 메이]]로 교체되었다. 10월 5일 [[잭 윌리스]]가 목 부상으로 샘 언더힐로 교체됐다. ==== 일본 ==== [[일본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은 8월 15일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전원 국내파이며 [[도쿄 선골리앗]], [[사이타마 와일드 나이츠]]를 중심으로 9개 구단에서 선발되었다. [include(틀:2023 럭비 월드컵 프랑스/선수단/일본)] 8월 18일 제임스 무어가 제외되고 우웨 헬루, 워너 디언스, 아마나키 사우마키, 라피스 라부샤너가 추가되었다. 8월 29일 우웨 헬루와 나카노 쇼고가 제외되고 아마토 파카타와와 시모카와 칸지로 대체되었다. 9월 19일 세미시 마시레와의 다리 부상으로 인해 야마나카 료헤이가 그를 대체했다. ==== 아르헨티나 ==== [[아르헨티나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은 8월 7일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마땅한 프로 구단이 없는 아르헨티나라 모든 선수가 해외파다. 총 7개국에 진출해 있는데, 8개국인 통가 다음으로 많다.[* 사모아, 나미비아도 7개국에서 선수들을 소집했다. 다만 이 둘은 2티어고, 프로 구단이 없어도 1티어 전력을 유지하는 아르헨티나가 신기할 따름이다.] 그러면서도 전원이 아르헨티나 태생이다. --불가사의한 인력풀-- 한가지 특이점은, 스크럼하프 라우타로 바산이 세미프로 구단인 [[로비고 델타]] 소속이다. 이번 대회에서 1티어 국가의 대표 선수가 프로급 구단에서 뛰지 않는 유일한 사례다. [include(틀:2023 럭비 월드컵 프랑스/선수단/아르헨티나)] 8월 22일 나우엘 테타스 차파로가 부상을 당해 마이코 비바스로 교체되었다. 8월 27일 산티아고 그론도나가 스페인과의 경기에서 부상을 당해 제외되고 호아킨 오비에도가 그 자리를 대신했다. 10월 9일 [[파블로 마테라]]가 햄스트링 부상을 입었다. 그는 루카스 파울로스로 교체됐다. ==== 사모아 ==== [[사모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은 8월 6일 32명의 명단을 발표했으며, 24일 제임스 레이까지 33명을 완성했다. 33명 중 사모아 태생은 8명뿐이라 해외 출신 선수 비율은 20개 팀 중 으뜸이며, 통가와도 비교를 불허한다. [include(틀:2023 럭비 월드컵 프랑스/선수단/사모아)] 9월 18일, 루테루 톨라이가 무릎을 다쳐 레이 니우이아로 교체됐다. ==== 칠레 ==== [[칠레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은 8월 14일 30명의 명단을 발표했으며, 28일 니콜라스 에레로스, 비토리오 라스트라, 토마스 오르차르드까지 선발하며 33명을 완성했다. 33명 중 28명이 자국 유일의 프로팀 [[셀크남 럭비]] 소속이다. [include(틀:2023 럭비 월드컵 프랑스/선수단/칠레)] 9월 8일 니콜라스 가라풀릭이 부상으로 크리스토발 가메 히메네스로 교체되었다. == 통계 == 9월 8일을 기준으로 작성된 통계이다. 선수들은 모두 142개의 클럽에 소속되어 있으며, 선수단이 전원 국내파인 팀은 아일랜드, 프랑스, 뉴질랜드, 일본 4개다. 반대로 통가는 유일하게 모든 인원이 해외파인 팀이다.[* 아르헨티나와 사모아는 자국 협회 소속으로 출전시킨 선수가 있기 때문에 제외.] === 리그별 인원수 === || '''리그''' || '''인원수''' || '''비율''' || ||[[파일:URC.png|width=25]] [[유나이티드 럭비 챔피언십]] || 132명 || 20%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TOP 14]] || 106명 || 16.0% || ||[[파일:슈퍼 럭비 퍼시픽 로고.svg|width=25]] [[슈퍼 럭비 퍼시픽]] || 106명 || 16.0%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프리미어십 럭비]] || 64명 || 9.6%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재팬 럭비 리그 원]] || 50명 || 7.6% || ||[[파일:슈퍼 럭비 아메리카스.png|width=25]] [[슈퍼 럭비 아메리카스]][* 우루과이, 칠레] || 49명 || 7.4%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로 D2]] || 32명 || 4.8%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25]] [[리가 나치오날라 데 럭비]] || 24명 || 3.6% || ||[[파일:럭비 유럽 슈퍼 컵 로고.png|width=25]] [[럭비 유럽 슈퍼 컵]][* 조지아, 이스라엘] || 17명 || 2.6%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5]] [[캄페오나투 포르투게스 드 럭비]] || 16명 || 2.4%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샹피오나 페데랄 나시오날|3부]] ~ 8부 || 14명 || 2.1%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메이저 리그 럭비]] || 10명 || 1.5%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25]] [[캄페오나토 우루과이오 데 럭비]] || 4명 || 0.6% || ||[[파일:칠레 국기.svg|width=25]] [[프리메라 나시오날]] || 3명 || 0.5%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TOP 10]] || 2명 || 0.3%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RFU 챔피언십]] || 1명 || 0.2%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내셔널 프로빈셜 챔피언십]] || 1명 || 0.2% || ||[[파일:조지아 국기.svg|width=25]] [[디디 10]] || 1명 || 0.2%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챔피오나트 로시 포 럭비]] || 1명 || 0.2% || ||기타[* 남아공 7, 나미비아 10, 호주 시드니 1] || 18명 || 2.7% || ||무소속 || 9명 || 1.4% || 프랑스 리그의 영향력이 크게 늘었고, 잉글랜드는 반대로 줄었다. [[RFU 챔피언십]]은 오직 1명으로 영문위키상 '''기타'''로 분류되는 실정이다. === 클럽별 인원수 === 1위부터 10위까지만을 작성하였다. || '''클럽''' || '''인원수''' || ||[[파일:칠레 국기.svg|width=25]] [[셀크남 럭비|셀크남]] || 28명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25]] [[페냐롤 럭비|페냐롤]] || 21명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베네통 럭비|베네통]] || 20명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모아나 퍼시피카]] || 19명 || ||[[파일:IRFU 로고.png|width=25]] [[렌스터 럭비|렌스터]] || 18명 || ||[[파일:피지 국기.svg|width=25]] [[피지언 드루아]][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스타드 툴루쟁]] || 17명 ||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width=25]] [[에든버러 럭비|에든버러]] || 16명 || ||[[파일:조지아 국기.svg|width=25]] [[블랙 라이언]][br][[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width=25]] [[글래스고 워리어스]] || 15명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사라센스]][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사이타마 와일드 나이츠]] || 13명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스타드 로셸레]][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RC 툴로네|툴롱]] || 11명 || === 클럽 국가별 인원수 === 각 리그에서 배출한 자국 선수 및 외국인 선수 인원 수다. 예를 들어 본 대회에 선발된 선수 중 155명이 프랑스 클럽 소속인데, 아래 표에 따르면 그 중 33명은 프랑스 대표팀, 122명은 다른 나라 대표팀 소속이라는 뜻. 선수단 전원이 국내파인 팀은 '''볼드체'''. 본선에 진출하지 못한 나라는 --취소선--. || '''국가''' || '''총원''' || '''자국 대표팀''' || '''타국 대표팀'''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155명 || '''33명''' || 122명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잉글랜드 || 64명 || 28명 || 36명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뉴질랜드 || 57명 || '''33명''' || 24명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일본 || 50명 || '''33명''' || 17명 || ||[[파일:IRFU 로고.png|width=25]] 아일랜드 || 37명 || '''32명'''[* 이 대회가 프로 경력의 마지막인 [[조니 섹스턴]]은 무소속이다] || 5명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호주 || 32명 || 29명 || 3명 ||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width=25]] 스코틀랜드 || 31명 || 28명 || 3명 || ||[[파일:칠레 국기.svg|width=25]] 칠레 || 30명 || 30명 ||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28명 || 22명 || 6명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25]] 우루과이 || 25명 || 25명 || -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25]] 루마니아 || 24명 || 23명 || 1명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남아공 || 24명 || 17명 || 7명 || ||[[파일:웨일스 국기.svg|width=25]] 웨일스 || 23명 || 20명 || 3명 || ||[[파일:피지 국기.svg|width=25]] 피지 || 17명 || 17명 || - || ||[[파일:조지아 국기.svg|width=25]] 조지아 || 16명 || 16명 || -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5]] 포르투갈 || 16명 || 16명 || - || ||[[파일:나미비아 국기.svg|width=25]] 나미비아 || 9명 || 9명 ||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10명 || - || 10명 || ||[[파일:사모아 국기.svg|width=25]] 사모아 || 2명 || 2명 ||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25]] --이스라엘-- || 2명 || - || 2명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5]] 아르헨티나 || 1명 || 1명 || -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러시아-- || 1명 || - || 1명 || ||무소속 || 7명 || - || - || === 연령 === || '''국가''' || '''평균 연령''' || '''최고령 선수''' || '''최연소 선수'''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남아공 || 30세 ||[[두아니 베르묄렌]] (37세 67일) ||캐넌 무디 (20세 307일) || ||[[파일:IRFU 로고.png|width=25]] 아일랜드 ||<|4> 29세 ||[[조니 섹스턴]] (38세 59일) ||조 맥카티 (22세 166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일본 ||호리에 쇼타 (37세 230일) ||워너 디언스 (21세 150일) || ||[[파일:사모아 국기.svg|width=25]] 사모아 ||[[찰리 파뮤이나]] (36세 258일) ||미라클 파이일라기 (24세 8일) || ||[[파일:통가 국기.svg|width=25]] 통가 ||시즈프리드 피시이호이 (36세 92일) ||카이렌 타우모에폴라우 (20세 123일)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5]] 아르헨티나 ||<|5> 28세 ||아구스틴 크레비 (38세 177일) ||페드로 루비올로 (20세 270일)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잉글랜드 ||대니 케어 (36세 249일) ||[[헨리 아룬델]] (20세 304일) || ||[[파일:나미비아 국기.svg|width=25]] 나미비아 ||피제이 반릴 (39세 278일) ||오일라 블라우 (21세 326일) ||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width=25]] 스코틀랜드 ||비피 넬 (37세 131일) ||올리 스미스 (23세 32일) || ||[[파일:웨일스 국기.svg|width=25]] 웨일스 ||댄 리디엇 (34세 264일) ||다피드 젠킨스 (20세 277일) || ||[[파일:칠레 국기.svg|width=25]] 칠레 ||<|8> 27세 ||파블로 우에테 (34세 240일) ||루카스 카르바쇼 (22세 64일) || ||[[파일:피지 국기.svg|width=25]] 피지 ||레바니 보티아 (34세 178일) ||시렐리 마콸라 (23세 171일)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위니 아토니오]] (33세 166일) ||루이 비엘비아레이 (20세 84일) || ||[[파일:조지아 국기.svg|width=25]] 조지아 ||알렉산데르 토두아 (35세 310일) ||토르니케 카호이제 (20세 23일)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페데리코 자니 (34세 152일) ||로렌조 파니 (21세 66일)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뉴질랜드 ||데인 콜스 (36세 272일) ||캠 로이가드 (22세 296일)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5]] 포르투갈 ||프랑시스코 페르난데스 (38세 2일) ||시망 벤투 (22세 79일)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25]] 루마니아 ||플로린 수루쥬 (38세 272일) ||미하이 무레샨 (20세 341일)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25]] 우루과이 || 26세 ||마티아스 베니테스 (35세 115일) ||산티아고 알바레스 (21세 258일)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호주 || 25세 ||제임스 슬리퍼 (34세 94일) ||맥스 조겐슨 (19세 6일) || 9월 8일 기준 최고령 선수는 나미비아의 피제이 반릴(39세 278일), 최연소 선수는 호주의 맥스 조겐슨(19세 6일)으로 둘의 나이 차이는 '''20년 272일'''이다. 최고령 선수가 최연소 선수보다 2배 이상 살아온 것. 경기에 출전한 선수로 한정하면 최고령은 역시 피제이 반릴(39세 297일, vs 우루과이), 최연소는 조지아의 토르니케 카코이제(20세 45일, vs 피지)다. 전체적으로 호주 선수들은 연령대가 매우 낮다. 평균 연령이 25세인 월드컵 대표팀 보기가 쉽지 않은데, 10대 선수까지도 데려왔다. === 출전 횟수 === 대표팀 별 [[테스트 매치]] 출전 횟수를 비교한 자료. || '''국가''' || '''출전 횟수 합계''' || '''최다 출전자''' || '''최소 출전자'''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뉴질랜드 || 1,524회 ||[[샘 화이트락]] (146회) ||에모니 나라와 (1회)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잉글랜드 || 1,476회 ||[[벤 영스]] (124회) ||테오 댄 (3회)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5]] 아르헨티나 || 1,454회 ||아구스틴 크레비 (101회) ||로드리고 이스그로 (2회)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남아공 || 1,369회 ||[[이븐 에체베스]] (113회) ||장 클레인 (3회) || ||[[파일:IRFU 로고.png|width=25]] 아일랜드 || 1,332회 ||[[조니 섹스턴]] (113회) ||제레미 러프만 (3회) || ||[[파일:웨일스 국기.svg|width=25]] 웨일스 || 1,297회 ||[[조지 노스]] (114회) ||코리 도마초스키, 헨리 토마스 (2회) || ||[[파일:조지아 국기.svg|width=25]] 조지아 || 1,246회 ||알렉산데르 토두아 (108회) ||루카 니오라제 (1회) ||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width=25]] 스코틀랜드 || 1,037회 ||리치 그레이 (75회) ||벤 힐리 (3회)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25]] 우루과이 || 1,019회 ||가스톤 미에레스 (82회) ||이그나시오 파시올로 (1회)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5]] 포르투갈 || 840회 ||[[토마스 애플톤]] (62회) ||주리스 모라 (1회)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835회 ||[[가엘 피쿠]] (81회) ||폴 보두앙 (3회)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746회 ||[[토마소 알란]] (75회) ||쟈코모 다 레, 마르탱 파주렐로 (2회)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25]] 루마니아 || 681회 ||미하이 마코베이 (104회) ||테비타 마누무아 (2회)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호주 || 668회 ||제임스 슬리퍼 (131회) ||맥스 조겐슨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일본 || 660회 ||마이클 리치 (80회) ||후쿠다 켄타, 시오네 할라실리 (-) || ||[[파일:칠레 국기.svg|width=25]] 칠레 || 575회 ||이그나시오 라레나스 (47회) ||벤하민 비델라 (-) || ||[[파일:나미비아 국기.svg|width=25]] 나미비아 || 563회 ||피제이 반릴 (60회) ||오일라 블라우 (-) || ||[[파일:통가 국기.svg|width=25]] 통가 || 407회 ||소나타네 타쿨루아 (52회) ||애덤 콜먼 (-)[* 신인은 아니고 [[월러비스]] 출신인데 전향한 것이다.] || ||[[파일:피지 국기.svg|width=25]] 피지 || 374회 ||페니 라바이 (39회) ||빌리베 미라미라 (1회) || ||[[파일:사모아 국기.svg|width=25]] 사모아 || 297회 ||조던 레이 (26회) ||벤 람 (-) || === 과거 월드컵 경험 === * '''경기 출전 횟수''' || '''이름''' || '''횟수'''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샘 화이트락]] || 19회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제임스 슬리퍼 || 18회 || ||[[파일:웨일스 국기.svg|width=25]] [[조지 노스]] || 16회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댄 콜]] ||<|2> 15회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5]] 아구스틴 크레비 || ||[[파일:IRFU 로고.png|width=25]] 키스 얼스 ||<|2> 14회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벤 영스]]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데미언 드알렌드]] ||<|5> 13회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이븐 에체베스]]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한드레 폴라드]] || ||[[파일:IRFU 로고.png|width=25]] [[코너 머리]]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마이클 리치 || * '''대회 출전 횟수''' || '''이름''' || '''횟수'''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댄 콜]] ||<|16> 4회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코트니 로우스]]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벤 영스]]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5]] 아구스틴 크레비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5]] [[니콜라스 산체스]] || ||[[파일:IRFU 로고.png|width=25]] 키스 얼스 || ||[[파일:IRFU 로고.png|width=25]] [[조니 섹스턴]] || ||[[파일:IRFU 로고.png|width=25]] [[코너 머리]]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호리에 쇼타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마이클 리치 || ||[[파일:조지아 국기.svg|width=25]] 라샤 흐말라제 || ||[[파일:조지아 국기.svg|width=25]] 알렉산데르 토두아 || ||[[파일:웨일스 국기.svg|width=25]] [[조지 노스]]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제임스 슬리퍼 || ||[[파일:나미비아 국기.svg|width=25]] 피제이 반릴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샘 화이트락]] || [[분류:2023 럭비 월드컵 프랑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