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LoL e스포츠 기타 국제 대회)] [[파일:2023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 타이틀.jpg|width=100%]] ||<-2>
[[파일: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 로고.svg|height=140&theme=light]][[파일: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 로고 화이트.svg|height=140&theme=dark]]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d579, #07de9c)" {{{+1 {{{#00012d '''2023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br]{{{#00012d The Second Season Asia Star Challengers Invitational}}}}}} || || {{{#fff '''대회 기간'''}}} || [[2023년]] [[9월 3일]] ~ [[9월 15일]] || || {{{#fff '''주최'''}}} || [[라이엇 게임즈|[[파일:라이엇 게임즈 로고.svg|width=120]]]] || || {{{#fff '''주관'''}}}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white; border-radius: 4px; padding: 1px" [[파일:TJ SPORTS.png|height=40]]}}} || || {{{#fff '''경기장'''}}} || 온라인 || || {{{#fff '''참가팀'''}}} || 16개 팀 || || {{{#fff '''패치 버전'''}}} || 13.16 || ||<-2> {{{#fff '''중계''' }}} || ||<-2>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 {{{#fff '''중계 플랫폼'''}}} || {{{-3 {{{#00012d '''온라인'''}}} }}} || || [[https://game.naver.com/esports/live/lck_cl/| [[파일:네이버 e스포츠 아이콘.ico|width=20]]]] [[http://afreecatv.com/afchall|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width=20]]]] [[https://twitch.tv/lckcl| [[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18]]]] [[https://www.youtube.com/lckcl|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4> {{{#fff '''중계진'''}}} || {{{-3 {{{#00012d '''캐스터'''}}}}}} || || [[김정민(게임 해설가)|김정민]], 이성훈, [[심지수]] || || {{{-3 {{{#00012d '''해설자'''}}} }}} || || [[김동준(게임 해설가)|김동준]], [[신정현]], [[허만흥]] ||}}}}}} || ||<-3> {{{#f1f1f1 '''일정''' }}} || ||<-3>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023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그룹 스테이지|{{{#fff '''그룹[br]스테이지'''}}}]] || 9월 3일 ~ 9월 8일 || ||<|4> [[틀:2023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녹아웃 스테이지|{{{#fff '''토너먼트[br]스테이지'''}}}]] || [[2023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8강|{{{-3 {{{#00012d '''8강'''}}}}}}]] || || 9월 9일 ~ 9월 12일 || || [[2023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4강|{{{-3 {{{#00012d '''4강'''}}}}}}]] || || 9월 13일 ~ 9월 14일 || ||<-2> [[2023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결승|{{{#fff '''결승'''}}}]] || ||<-2> 9월 15일 ||}}}}}} || ||<-3> {{{#fff '''결과''' }}} || ||<-3>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 '''우승'''}}} ||<-2> [[파일:DRX 로고.svg|width=25&theme=light]][[파일:DRX 로고(화이트).svg|width=25&theme=dark]] {{{+1 '''[[DRX Challengers]]''' }}} || || '''준우승''' ||<-2> [[파일:MAX_logo_square.png|width=25]] [[MAX(프로게임단)|MAX]] || || '''결승 MVP''' ||<-2> '''[[배영준(프로게이머)|배영준]] (DRX Sponge)''' ||}}}}}} || [목차] [clearfix] == 개요 == >'''THE UP AND COMER''' 2023년 9월 3일부터 9월 15일까지 진행되는 아시아 지역 2부 리그 최상위권 팀들이 참여하는 국제 대회. == 참가팀 == [include(틀:2023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그룹 스테이지/참가팀 및 풀 배정)] 지난 해 대회와 달리 대회 정보가 공지되지 않고 리그 오브 레전드 관련 해외 커뮤니티 등을 통해 참가팀이 알려졌다. 한국 [[LCK Challengers League|LCK CL]]와 중국 [[LoL Development League|LDL]]는 4팀씩, 태평양 PCL과 VCS는 3개 팀씩[* VCS의 경우 1부 리그 플레이오프 자격을 얻지 못한 정규 시즌 7, 8위 팀과 VCS CL 한 팀이 초청될 예정이였으나, [[SBTC Esports]] 팀의 대회 규정 위반으로의 전 경기 몰수패로 1부 리그 팀이 8팀에서 7팀으로 줄어들게 되며 플레이오프 진출 실패 팀이 1팀만 남게 되었다. 이에 따라 빈 시드를 CL에 부여해 VCS CL 두 팀이 초청되었다.], 일본 LJL.A는 2개팀으로 5개 아시아 지역의 2부 리그에서 좋은 성적을 거둔 총 16팀이 출전한다. 이전 대회와 달리 한국, 중국의 스트리머 팀은 출전하지 않는다. === [[/로스터|로스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3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로스터)] == 일정 == [include(틀:2023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 경기 일정)] == 대회 진행 == || [include(틀:2023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그룹 스테이지/A조 순위표)] || [include(틀:2023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그룹 스테이지/B조 순위표)] || || [include(틀:2023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그룹 스테이지/C조 순위표)] || [include(틀:2023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그룹 스테이지/D조 순위표)] || [include(틀:2023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녹아웃 스테이지)] == [[/결산|결과 및 총평]]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3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결산)] == 여담 == * 총 상금은 32,400달러로, 우승 팀에게 20,000달러, 준우승 팀에게 7,000달러, 3-4위 팀에게 각각 2,700달러가 주어진다. 지난 대회 대비 총 상금이 절반으로 줄었으며 8강 및 그룹 스테이지 탈락 팀에게는 상금이 주어지지 않는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236&aid=0000237428|#]] * [[서대길|덕담]]의 경우 '''[[LCK|소속 리그]]의 1군에서 1st All-Pro를 수상'''하는 등 이미 1군에서도 나름 굵직한 커리어를 쌓았고, 작년 월즈에서 8강까지 진출했음에도 2군 신분으로 ASCI에 출전하는 전대미문의 상황이 벌어졌다. 물론 이건 소속팀 DRX의 내부 결정에 따라 2군으로 내려온 상황에서 ASCI가 개최되었기에 발생한 극히 특수한 케이스. * [[Dplus KIA Challengers]]는 본래 감독을 맡았던 [[박준형(e스포츠)|박준형]] 감독이 오는 [[2023 월즈]]에서 [[Dplus KIA/리그 오브 레전드|1군 팀]]의 코치로 합류하게 되어 ASCI 로스터와 중복 등록이 불가해 강범석 코치와 [[김선웅(e스포츠)|김선웅]] 코치가 팀을 지휘하게 되었다. * [[MAX(프로게임단)|MAX]] 소속의 미드라이너 메드지지는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의 '''홍콩 국가대표팀'''으로 참여하게 되면서 나름 국가대표가 참여하는 ASCI가 되었다. * 2022년 대회와 마찬가지로 온라인 경기로 진행되었는데, 이번에는 중국 팀을 포함한 모든 팀이 온라인으로 참가했다. 이 때문에 전년과 같이 다양한 지역에서 연달아 온라인 경기가 치러진 그룹스테이지에서는 네트워크 문제, [[2023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그룹 스테이지/C조#s-2.2.5|정전]] 등 갖가지 문제로 인해 진행에 차질이 있었다. [[2023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8강#s-4.4|8강 HLE vs FPB전]]에서는 한화생명 측의 네트워크 문제로 지연이 길어지며 무박 2일 중계가 진행되었고, 전체 일정은 한국 기준 오전 1시 경에 완료되었다. [[2023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4강#s-4.2|4강 DRX vs HLE전]]에서도 핑 문제가 길게 이어져 서버 교체로까지 이어졌다. * 국내 중계는 중국의 피드를 받아 송출하는데, 여러 개의 피드를 받아 버퍼링이 보이지 않도록 조정한다고 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LoL e스포츠 2023 시즌)] [[분류:2023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