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include(틀: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대회 진행)]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272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2723.jpg|width=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준결승에 대한 문서이다. == 경기 일정[*한국시간 기준]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color: #00231a; 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 #00231a, #00231a)""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파일: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아이콘(가운데 흰색 원).svg|height=70]]]][br][[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fff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본선 준결승 대진표}}}]]'''}}} ||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D100 20%, #0085C9 20%, #0085C9 40%, #43AF2A 40%, #43AF2A 60%, #EE3340 60%, #EE3340 80%, #ffffff 80%)" }}} || ||<-2> '''1경기''' ||<-2> '''2경기''' || ||<-2> '''3월 20일 08:00 | [[론디포 파크|{{{#002d72 론디포 파크}}}]]''' ||<-2> '''3월 21일 08:00 | [[론디포 파크|{{{#002d72 론디포 파크}}}]]''' || || [[쿠바 야구 국가대표팀|[[파일:쿠바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png|width=100]]]] || [[미국 야구 국가대표팀|[[파일:미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100]]]] || [[멕시코 야구 국가대표팀|[[파일:멕시코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100]]]] ||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파일: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100]]]] || || '''[[쿠바 야구 국가대표팀|[[파일:쿠바 국기.svg|height=18]] {{{#1e3267 쿠바}}}]]''' || '''[[미국 야구 국가대표팀|[[파일:미국 국기.svg|height=18]] {{{#fff 미국}}}]]''' || '''[[멕시코 야구 국가대표팀|[[파일:멕시코 국기.svg|height=18]] {{{#fff 멕시코}}}]]''' ||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파일:일본 국기.svg|height=18]] {{{#fff 일본}}}]]''' || || '''{{{+1 2}}}''' || '''{{{+1 14}}}''' || '''{{{+1 5}}}''' || '''{{{+1 6}}}''' || == 1경기 | 쿠바 2 : 14 미국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color: #00231A; 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 #00231A, #00231A)""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파일: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아이콘(가운데 흰색 원).svg|height=70]]]][br][[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1 {{{#fff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준결승 1경기}}}}}}]][br]{{{#fff 2023년 3월 19일 일요일 19:10~22:38 (3시간 28분) (미국 마이애미 시각)}}}[br]{{{#fff 2023년 3월 20일 월요일 08:10~11:38 (3시간 28분) (한국시각)}}}''' }}} || ||<-15>{{{#!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D100 20%, #0085C9 20%, #0085C9 40%, #43AF2A 40%, #43AF2A 60%, #EE3340 60%, #EE3340 80%, #ffffff 80%)" }}} || ||<-3> '''[[론디포 파크|{{{#00231A 론디포 파크}}}]] [[마이애미|{{{#00231A (미국 마이애미)}}}]]''' || ||<-3> '''주심: John Tumpane (미국, MLB)''' || ||<-3> '''관중: 35,779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쿠바 야구 국가대표팀|[[파일:쿠바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png|height=65, width=30%]]]]}}} ||<|3>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파일: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로고.svg|height=75, width=40%]]]]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미국 야구 국가대표팀|[[파일:미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65, width=30%]]]]}}} || || [[쿠바 야구 국가대표팀|[[파일:쿠바 국기.svg|height=18]]]] '''[[쿠바 야구 국가대표팀|{{{#1e3267 쿠바}}}]]''' || [[미국 야구 국가대표팀|[[파일:미국 국기.svg|height=18]]]] '''[[미국 야구 국가대표팀|{{{#142a44 미국}}}]]''' || || '''{{{+2 2}}}''' || '''{{{+2 14}}}''' || ||<-3> '''[[https://www.mlb.com/gameday/cuba-vs-united-states/2023/03/19/719498/final/box |{{{#00231A 매치 리포트}}}]]''' | '''[[https://youtu.be/RX-1X9VM7uc |{{{#00231A 경기 하이라이트}}}]]''' || ||<-15>{{{#!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D100 20%, #0085C9 20%, #0085C9 40%, #43AF2A 40%, #43AF2A 60%, #EE3340 60%, #EE3340 80%, #ffffff 80%)" }}}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B''' || || [[파일:쿠바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png|width=40]] [br] '''[[쿠바 야구 국가대표팀|{{{#000 쿠바}}}]]''' || [[로에니스 엘리아스]] || 1 || 0 || 0 || 0 || 1 || 0 || 0 || 0 || 0 || '''2''' || 12 || 0 || 1 || || [[파일:미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40]] [br] '''[[미국 야구 국가대표팀|{{{#142a44 미국}}}]]''' || [[애덤 웨인라이트]] || 2 || 1 || 2 || 2 || 2 || 4 || 0 || 1 || X || '''14''' || 14 || 1 || 10 || ||<-15> W: 애덤 웨인라이트 | L: 로에니스 엘리아스 | SV: - || ||<-15> {{{#000 '''경기 MVP: 폴 골드슈미트'''}}} || ||<|2> {{{#fff HR}}} || [[파일:쿠바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png|width=40]] [br] '''[[쿠바 야구 국가대표팀|{{{#1e3267 쿠바}}}]]''' ||<-13> - || || [[파일:미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40]] [br] '''[[미국 야구 국가대표팀|{{{#142a44 미국}}}]]''' ||<-13> [[폴 골드슈미트]](1회 2점, [[로에니스 엘리아스]]), [[트레이 터너]](2회 1점, [[로에니스 엘리아스]] | 6회 3점, [[엘리안 레이바]]), [[세드릭 멀린스]](8회 1점, 호세 로드리게스) || ||<-15> '''{{{#fff 양 팀 선발 라인업}}}''' || ||<-15><^|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쿠바 야구 국가대표팀|{{{#1e3267 쿠바 야구 국가대표팀}}}]]''' ||<|2> '''타순''' ||<-2> '''[[미국 야구 국가대표팀|{{{#142a44 미국 야구 국가대표팀}}}]]''' || || '''{{{#f02331 포지션}}}''' || '''{{{#f02331 선수명}}}''' || '''{{{#c7102d 선수명}}}''' || '''{{{#c7102d 포지션}}}''' || || LF || [[로엘 산토스]] || '''1''' || [[무키 베츠]] || RF || || 3B || [[요안 몬카다]] || '''2''' || [[마이크 트라웃]] || CF || || CF || [[루이스 로버트]] || '''3''' || [[폴 골드슈미트]] || 1B || || DH || [[알프레도 데스파이네]] || '''4''' || [[놀란 아레나도]] || 3B || || SS || [[에리스벨 아루에바레나]] || '''5''' || [[카일 슈와버]] || LF || || 2B || [[앤디 이바녜즈]] || '''6''' || [[윌 스미스(1995)|윌 스미스]] || C || || C || [[아리엘 마르티네스]] || '''7''' || [[피트 알론소]] || DH || || 1B || [[야디르 드레이크]] || '''8''' || [[팀 앤더슨]] || 2B || || RF || [[요엘키스 기베르트]] || '''9''' || [[트레이 터너]] || SS || [include(틀:쿠바 야구 국가대표팀의 선발 포지션, title=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lp=로에니스 엘리아스, lrp=, lc=아리엘 마르티네스, ldh=알프레도 데스파이네, l1b=야디르 드레이크, l2b=앤디 이바녜즈, l3b=요안 몬카다, lss=에리스벨 아루에바레나, llf=로엘 산토스, lcf=루이스 로버트, lrf=요엘키스 기베르트, p=엘리아스, rp=, c=마르티네스, dh=데스파이네, 1b=드레이크, 2b=이바녜즈, 3b=몬카다, ss=아루에바레나, lf=산토스, cf=로버트, rf=기베르트)] [include(틀:미국 야구 국가대표팀의 선발 포지션, title=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lp=애덤 웨인라이트, lrp=, lc=윌 스미스(1995), ldh=피트 알론소, l1b=폴 골드슈미트, l2b=팀 앤더슨, l3b=놀란 아레나도, lss=트레이 터너, llf=카일 슈와버, lcf=마이크 트라웃, lrf=무키 베츠, p=웨인라이트, rp=, c=스미스, dh=알론소, 1b=골드슈미트, 2b=앤더슨, 3b=아레나도, ss=터너, lf=슈와버, cf=트라웃, rf=베츠)] }}}}}}}}}}}} || ||<-15> '''{{{#ffffff 양팀 주요 기록}}}''' || ||<-15><^|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결승타''' || [[폴 골드슈미트]](1회 1사 2루서 좌월 홈런) || || '''홈런''' || [[폴 골드슈미트]](1회 2점, [[로에니스 엘리아스]]), [[트레이 터너]](2회 1점, [[로에니스 엘리아스]] | 6회 3점, [[엘리안 레이바]]), [[세드릭 멀린스]](8회 1점, 호세 로드리게스) || || '''3루타''' || [[놀란 아레나도]](4회) || || '''2루타''' || [[무키 베츠]](1회), [[요안 몬카다]](5회), [[윌 스미스(1995)|윌 스미스]](6회), [[마이크 트라웃]](6회) || || '''도루''' || - || || '''병살타''' || [[알프레도 데스파이네]](9회) || || '''보크''' || - || || '''심판''' || 주심: John Tumpane, 1루심: Quinn Wolcott, 2루심: Lance Barksdale, 3루심: [[박종철(야구)|Jong-Chui Park]], 좌선심: Ramiro Alfaro, 우선심: Edward Pinales || }}}}}}}}}}}} || ||<-15> '''{{{#ffffff 양팀 투수 기록}}}''' || ||<-15><^|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2> [[쿠바 야구 국가대표팀|[[파일:쿠바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png|height=35]]]] {{{#1e3267 '''쿠바 야구 국가대표팀 투수진 기록'''}}} || || '''이름''' || '''이닝''' || '''피안타''' || '''실점''' || '''자책''' || '''볼넷''' || '''탈삼진''' || '''피홈런''' || '''투구수''' || '''기록''' || || [[로에니스 엘리아스]] || 2.0 || 4 || 3 || 3 || 1 || 1 || 2 || 38 || '''{{{#red 패}}}''' || || [[미겔 로메로]] || 0.1 || 2 || 2 || 2 || 2 || 1 || 0 || 23 || || || [[카를로스 비에라]] || 1.1 || 1 || 2 || 2 || 2 || 1 || 0 || 23 || || || [[로날드 볼라뇨스]] || 0.1 || 1 || 2 || 2 || 2 || 0 || 0 || 15 || || || [[엘리안 레이바]] || 1.1 || 3 || 3 || 3 || 2 || 1 || 1 || 27 || || || [[프랑크 알바레스]] || 0.2 || 2 || 1 || 1 || 1 || 0 || 0 || 20 || || || [[호세 로드리게스]] || 2 || 1 || 1 || 1 || 0 || 1 || 1 || 24 || || ||<-12> [[미국 야구 국가대표팀|[[파일:미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35]]]] {{{#142a44 '''미국 야구 국가대표팀 투수진 기록'''}}} || || '''이름''' || '''이닝''' || '''피안타''' || '''실점''' || '''자책''' || '''볼넷''' || '''탈삼진''' || '''피홈런''' || '''투구수''' || '''기록''' || || [[애덤 웨인라이트]] || 4.0 || 5 || 1 || 1 || 1 || 1 || 0 || 64 || '''{{{#blue 승}}}''' || || [[마일스 마이콜라스]] || 4.0 || 6 || 1 || 1 || 0 || 3 || 0 || 77 || '''{{{#green 홀}}}''' || || [[애런 루프]] || 1.0 || 1 || 0 || 0 || 0 || 0 || 0 || 6 || || }}}}}}}}}}}} || ||<-15> '''{{{#fff 득점 루트}}}''' || ||<-15><^|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이닝''' || '''득점 루트''' || '''스코어''' || || '''1회초''' || '''[[알프레도 데스파이네|{{{#1e3267 알프레도 데스파이네}}}]]의 밀어내기 볼넷으로 1득점''' || '''{{{#1e3267 CUB}}} 1''' : 0 '''{{{#142a44 USA}}}''' || || '''1회말''' || '''[[폴 골드슈미트|{{{#142a44 폴 골드슈미트}}}]]의 좌월 홈런으로 2득점''' || '''{{{#1e3267 CUB}}}''' 1 : '''2 {{{#142a44 USA}}}''' || || '''2회말''' || '''[[트레이 터너|{{{#142a44 트레이 터너}}}]]의 좌월 홈런으로 1득점''' || '''{{{#1e3267 CUB}}}''' 1 : '''3 {{{#142a44 USA}}}''' || ||<|2> '''3회말''' || '''[[피트 알론소|{{{#142a44 피트 알론소}}}]]의 좌익수 앞 안타로 1득점''' || '''{{{#1e3267 CUB}}}''' 1 : '''4 {{{#142a44 USA}}}''' || || '''[[팀 앤더슨|{{{#142a44 팀 앤더슨}}}]]의 중견수 희생플라이로 1득점''' || '''{{{#1e3267 CUB}}}''' 1 : '''5 {{{#142a44 USA}}}''' || ||<|2> '''4회말''' || '''[[놀란 아레나도|{{{#142a44 놀란 아레나도}}}]]의 우익수 오른쪽 3루타로 1득점''' || '''{{{#1e3267 CUB}}}''' 1 : '''6 {{{#142a44 USA}}}''' || || '''[[카일 슈와버|{{{#142a44 카일 슈와버}}}]]의 타석에 폭투로 1득점''' || '''{{{#1e3267 CUB}}}''' 1 : '''7 {{{#142a44 USA}}}''' || || '''5회초''' || '''[[앤디 이바녜즈|{{{#1e3267 앤디 이바녜즈}}}]]의 중견수 앞 안타로 1득점''' || '''{{{#1e3267 CUB}}} 2''' : 7 '''{{{#142a44 USA}}}''' || || '''5회말''' || '''[[폴 골드슈미트|{{{#142a44 폴 골드슈미트}}}]]의 우익수 앞 안타로 2득점''' || '''{{{#1e3267 CUB}}}''' 2 : '''9 {{{#142a44 USA}}}''' || ||<|2> '''6회말''' || '''[[트레이 터너|{{{#142a44 트레이 터너}}}]]의 좌월 홈런으로 3득점''' || '''{{{#1e3267 CUB}}}''' 2 : '''12 {{{#142a44 USA}}}''' || || '''[[마이크 트라웃|{{{#142a44 마이크 트라웃}}}]]의 우익수 오른쪽 2루타로 1득점''' || '''{{{#1e3267 CUB}}}''' 2 : '''13 {{{#142a44 USA}}}''' || || '''8회말''' || '''[[세드릭 멀린스|{{{#142a44 세드릭 멀린스}}}]]의 우월 홈런으로 1득점''' || '''{{{#1e3267 CUB}}}''' 2 : '''14 {{{#142a44 USA}}}''' || }}}}}}}}}}}} || ||<-4>
'''{{{#fff 국내 중계}}}''' || || [[KBS N SPORTS|[[파일:KBS N SPORTS 로고.svg|height=16]]]] || [[이호근|{{{#373a3c,#dddddd 이호근}}}]] || [[장성호|{{{#373a3c,#dddddd 장성호}}}]] || [[https://naver.me/xEqZ0VHo |풀영상]] || || [[SBS Sports|[[파일:SBS Sports 로고.svg|height=16]]]] || [[이준혁(아나운서)|{{{#373a3c,#dddddd 이준혁}}}]] || [[이종열|{{{#373a3c,#dddddd 이종열}}}]], [[대니얼 킴|{{{#373a3c,#dddddd 대니얼 킴}}}]] || [[https://naver.me/G5QhqFAW |풀영상]] || || [[MBC SPORTS+|[[파일:MBC SPORTS+ 로고.svg|height=16]]]] || [[손우주|{{{#373a3c,#dddddd 손우주}}}]] || [[송재우|{{{#373a3c,#dddddd 송재우}}}]] || [[https://naver.me/5YwRAzrn |풀영상]] || === 경기 전망 === 두 팀의 WBC 첫 맞대결이 드디어 이뤄졌다. 일단 전체적인 전력만을 놓고 보면 미국의 압도적인 우위가 예상되고, 미국이 8강전에서 보여준 초호화 타선의 화력을 쿠바 투수진이 막아내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다만 미국은 휴식일 없이 바로 경기를 치러 불펜투수들이 연투를 해야 하는 반면, 쿠바는 이동일을 포함해서 3일의 휴식기간이 주어졌다 보니 단기전의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도 충분히 있는 상황이다. 또한 미국의 이번 대회 경기력이 퐁당퐁당인 점을 감안하면 쿠바에게 기회가 갈 가능성도 있다. 쿠바는 [[로에니스 엘리아스]], 미국은 [[애덤 웨인라이트]]가 선발 등판할 예정이다. 미국은 [[카일 터커]]가 베네수엘라전에서 발목이 살짝 비틀리는 부상을 입으면서 선발 라인업에서 제외되었고, [[카일 슈와버]]가 대신 좌익수로 나선다. 지명타자 자리에는 [[피트 알론소]]가 선발로 나선다. === 실황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NFrynfI4RA)]}}}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KMD950tf9Y)]}}}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X-1X9VM7uc)]}}} || || '''SBS 하이라이트 영상''' || '''KBS 공식 하이라이트 영상''' || '''MLB 공식 하이라이트 영상''' || 1회 초, 선두타자 [[로엘 산토스]]가 2루수 방면 내야안타로 출루했고, [[요안 몬카다]]도 내야안타로 출루, [[루이스 로버트]]도 내야안타로 출루하며, 내야안타 3개로 무사 만루 찬스를 잡았다. 이어서 [[알프레도 데스파이네]]가 밀어내기 볼넷으로 출루하며 선취점을 쿠바가 먼저 뽑았다. 그러나 5번 [[에리스벨 아루에바레나]]는 5구째를 받아쳤으나 3루 주자가 포스 아웃되며 1사 만루가 만들어졌고, [[앤디 이바녜즈]]와 [[아리엘 마르티네스]]가 각각 초구와 2구째를 받아쳐 인필드프라이 아웃과 땅볼 아웃으로 물러나며 절호의 기회를 더 이상 살리지 못했다. '''쿠바 1-0 미국''' 1회 말, 선두타자 [[무키 베츠]]가 2루타로 출루했고, [[마이크 트라웃]]은 아웃되었으나 [[폴 골드슈미트]]가 좌익수 방면 투런포를 때려내며 순식간에 역전을 만들었다. 이번 대회 골드슈미트의 첫 홈런포. 이후 2사 후 [[카일 슈와버]]가 볼넷으로 출루했으나, [[윌 스미스(1995)|윌 스미스]]가 땅볼로 물러나며 추가점은 뽑아내지 못했다. '''쿠바 1-2 미국''' 2회 초, 선두타자 [[야디르 드레이크]]가 우익수 방면 안타를 치면서 출루했다. 그러나 후속타자들이 삼진-땅볼-땅볼로 물러나면서 득점에 실패했다. 2회 말, [[피트 알론소]]와 [[팀 앤더슨]]이 중견수 플라이와 2루수 땅볼로 물러나며 2사 주자없는 상황에서 전날 영웅이 된 [[트레이 터너]]가 좌월 솔로 홈런으로 이틀 연속 홈런을 터뜨렸다. 이후 [[무키 베츠]]가 안타로 출루했으나, [[마이크 트라웃]]은 중견수 플라이로 물러나며 이닝이 종료되었다. '''쿠바 1-3 미국''' 3회 초, 1사 후 [[애덤 웨인라이트]]의 송구 실책으로 [[알프레도 데스파이네]]가 2루까지 출루했으나 후속타자들의 불발로 득점에 실패했다. 3회 말, 선두타자 [[폴 골드슈미트]]는 삼진으로 물러났지만, [[놀란 아레나도]]가 안타, [[카일 슈와버]]와 [[윌 스미스(1995)|윌 스미스]]가 사사구로 출루하며 1사 만루가 만들어졌다. 그리고 [[피트 알론소]]가 초구를 받아쳐 1타점 적시타를 기록했고, 1사 만루 찬스는 이어졌다. 이어서 [[팀 앤더슨]]이 중견수 희생플라이 타점까지 뽑아내며 추가점을 올렸다. '''쿠바 1-5 미국''' 4회, 미국은 2사 주자 없는 상황에서 [[폴 골드슈미트]]가 볼넷으로 출루한데 이어 [[놀란 아레나도]]의 1타점 적시 3루타가 터지면서 6-1의 스코어를 만들어냈다. 곧이어 [[카일 슈와버]]의 볼넷때 볼이 뒤로 빠지면서 아레나도가 홈까지 파고들며 7-1이 되었다. '''쿠바 1-7 미국''' 5회 초, 쿠바는 선두타자 [[요안 몬카다]]가 미국의 바뀐 투수 [[마일스 마이콜라스]]를 상대로 2루타를 치고 출루했으나 후속타자들의 연속 삼진으로 무득점으로 끝나는 듯했다. 다행히 [[에리스벨 아루에바레나]]와 [[앤디 이바녜즈]]의 연속 안타로 1점을 만회하는 데 성공하며 스코어는 7-2가 되었다. '''쿠바 2-7 미국''' 5회 말, 미국은 선두타자 [[피트 알론소]]의 몸에 맞는 볼과 대타 [[제프 맥닐]]의 볼넷, 그리고 [[트레이 터너]]의 우전 안타로 무사 만루를 만들었다. 쿠바는 투수를 [[엘리안 레이바]]로 교체했고 레이바가 [[무키 베츠]]와 [[마이크 트라웃]]을 잡아내며 무실점으로 이닝을 막아내는 듯했으나 [[폴 골드슈미트]]가 2타점 적시타를 쳐내며 9-2의 스코어가 되었다. 다음 타자 [[놀란 아레나도]]는 오른손을 맞는 몸에 맞는 볼로 출루하면서 통증을 호소해 보호 차원으로 [[바비 위트 주니어]]로 교체됐다. 경기후 엑스레이 촬영 결과 다행히 아무 이상 없는것으로 나타났다. '''쿠바 2-9 미국''' 6회에도 미국의 화력은 여전했다. [[윌 스미스(1995)|윌 스미스]]의 2루타와 [[제프 맥닐]]의 볼넷으로 1사 1, 2루의 기회에서 [[트레이 터너]]가 또 다시 왼쪽 담장을 넘기는 쓰리런포를 터뜨리면서 12-2의 스코어를 만들었다. 이어서 [[무키 베츠]]가 다시 안타를 치고 출루한 뒤, 트라웃이 베츠를 불러들이는 1타점 적시 2루타를 쳐내며 13-2라는 엄청난 점수차이를 만들어냈다. 점수차가 완전히 벌어진 상태다 보니 미국 벤치에서는 출루에 성공한 트라웃을 체력 안배 차원에서 대주자로 [[세드릭 멀린스]]와 교체했다. '''쿠바 2-13 미국''' 7회 초, 쿠바는 2사 후 안타로 출루에 성공했으나 후속타자가 범타로 물러나며 이닝이 종료되었다. 7회 말, 미국은 [[윌 스미스(1995)|윌 스미스]]-[[피트 알론소]]-[[제프 맥닐]]이 삼자범퇴로 물러나며 이번 경기 처음이자 유일하게 득점에 실패한 이닝이 되었다. 8회, 미국은 2사 주자 없는 상황에서 [[세드릭 멀린스]]의 솔로포가 터지며 스코어는 14-2가 됐다. '''쿠바 2-14 미국''' 9회 초, 쿠바의 정규이닝 마지막 공격에서 미국은 4이닝 6피안타 1실점 호투를 펼치던 마이콜라스를 내리고 [[애런 루프]]를 등판시켰다. 이후 1사 1루 상황에서 [[알프레도 데스파이네]]를 병살로 처리해 경기를 마무리하며 미국은 두 대회 연속 결승 진출을 확정했다. === 경기 평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WBC쿠바미국.jpg|width=100%]]}}} || '''[[https://naver.me/GJFwdiN3|'홈런 4방 14안타 폭발' 우승후보 미국, 쿠바 14-2 격파 '2연속 결승행']]''' 전날 베네수엘라전에서 환상적인 역전승을 따내며 분위기가 매우 올라온 미국이 압도적인 경기력으로 승리를 거두었다. 투수진 역시 2번째 투수로 등판한 마이콜라스가 4이닝을 책임진 덕분에 단 3명만으로 경기를 끝내면서 결승전에 다 쏟아 부을 수 있게 되었다. 트레이 터너는 이틀 동안 3홈런을 뽑아내며 WBC 역대 최초로 2경기 연속 4타점 기록도 세웠다. 쿠바는 전력이 예전같지 않음에도 당초 예상보다 훨씬 좋은 성적을 거두며 준결승까지 진출했으나, 미국과의 경기에서 전력차를 여실히 드러내며 대패를 당해 4위[* 최종 전적이 3승 3패라서 4승을 확보한 멕시코에게 밀릴 수밖에 없다.]로 대회를 마치게 됐다. 투수진은 대회 동안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으나 미국 상대로는 버틸 수 없었고, 타선은 웨인라이트의 커브에 속수무책으로 당했다. === 여담 === * 6회초 경기 도중에 관중이 난입해서 잠시 경기가 중단되는 해프닝이 있었다. * 대회 창설 이래 최초로 준결승전에서 10점차 이상의 점수차가 나온 경기가 되었다. * 쿠바의 불펜포수 이반 프리에토가 출국 예정 시간이 되었음에도 나타나지 않고 잠적했다고 한다. 결국 쿠바 선수단은 그대로 떠났고, 현지 언론은 프리에토가 미국 망명을 시도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https://naver.me/FsKTgAvE|#]] == 2경기 | 멕시코 5 : 6 일본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color: #00231A; 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 #00231A, #00231A)""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파일: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아이콘(가운데 흰색 원).svg|height=70]]]][br][[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1 {{{#fff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준결승 2경기}}}}}}]][br]{{{#fff 2023년 3월 20일 월요일 19:09~22:45 (3시간 36분) (미국 마이애미 시각)}}}[br]{{{#fff 2023년 3월 21일 화요일 08:09~11:45 (3시간 36분) (한국시각)}}}''' }}} || ||<-15>{{{#!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D100 20%, #0085C9 20%, #0085C9 40%, #43AF2A 40%, #43AF2A 60%, #EE3340 60%, #EE3340 80%, #ffffff 80%)" }}} || ||<-3> '''[[론디포 파크|{{{#00231A 론디포 파크}}}]] [[마이애미|{{{#00231A (미국 마이애미)}}}]]''' || ||<-3> '''주심: Quinn Wolcott (미국, MLB)''' || ||<-3> '''관중: 35,933명''' || || [[멕시코 야구 국가대표팀|[[파일:멕시코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65, width=30%]]]] ||<|3>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파일: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로고.svg|height=75, width=40%]]]]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파일: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120, width=30%]]]]}}} || || [[멕시코 야구 국가대표팀|[[파일:멕시코 국기.svg|height=18]]]] '''[[멕시코 야구 국가대표팀|{{{#058036 멕시코}}}]]''' ||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파일:일본 국기.svg|height=18]]]]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fff 일본}}}]]''' || || '''{{{+2 5}}}''' || '''{{{+2 6}}}''' || ||<-3> '''[[https://www.mlb.com/gameday/mexico-vs-japan/2023/03/20/719499 |{{{#00231A 매치 리포트}}}]]''' | '''[[ |{{{#00231A 경기 하이라이트}}}]]''' || ||<-15>{{{#!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D100 20%, #0085C9 20%, #0085C9 40%, #43AF2A 40%, #43AF2A 60%, #EE3340 60%, #EE3340 80%, #ffffff 80%)" }}}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B''' || || [[파일:멕시코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40]] [br] '''[[멕시코 야구 국가대표팀|{{{#058036 멕시코}}}]]''' || [[패트릭 산도발]] || 0 || 0 || 0 || 3 || 0 || 0 || 0 || 2 || 0 || '''5''' || 9 || 0 || 3 || || [[파일: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40]] [br]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fff 일본}}}]]''' || [[사사키 로키]] || 0 || 0 || 0 || 0 || 0 || 0 || 3 || 1 || 2X || '''6''' || 10 || 0 || 8 || ||<-15> W: [[오타 타이세이|{{{#fff 오타 타이세이}}}]] | L: [[지오바니 가예고스|{{{#fff 지오바니 가예고스}}}]] || ||<-15> '''{{{#000 경기 MVP: [[요시다 마사타카|{{{#000 요시다 마사타카}}}]]}}}''' || ||<|2> {{{#fff HR}}} || [[파일:멕시코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40]] [br] '''[[멕시코 야구 국가대표팀|{{{#058036 멕시코}}}]]''' ||<-13> [[루이스 유리아스]](4회 3점, [[사사키 로키]]) || || [[파일: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40]] [br]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fff 일본}}}]]''' ||<-13> [[요시다 마사타카]](7회 3점, [[조조 로메로]]) || ||<-15> '''{{{#fff 양 팀 선발 라인업}}}''' || ||<-15><^|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멕시코 야구 국가대표팀|{{{#058036 멕시코 야구 국가대표팀}}}]]''' ||<|2> '''타순''' ||<-2>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fff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 || '''{{{#ce1126 포지션}}}''' || '''{{{#ce1126 선수명}}}''' || '''{{{#1c2841 선수명}}}''' || '''{{{#1c2841 포지션}}}''' || || LF || [[랜디 아로자레나]] || '''1''' || [[라스 눗바]] || CF || || RF || [[알렉스 버두고]] || '''2''' || [[콘도 켄스케]] || RF || || 1B || [[조이 메네시스]] || '''3''' || [[오타니 쇼헤이]] || DH || || DH || [[로우디 텔레즈]] || '''4''' || [[요시다 마사타카]] || LF || || 3B || [[이사크 파레데스]] || '''5''' || [[무라카미 무네타카]] || 3B || || 2B || [[루이스 유리아스]] || '''6''' || [[오카모토 카즈마]] || 1B || || SS || [[앨런 트레호]] || '''7''' || [[야마다 테츠토]] || 2B || || CF || [[알렉 토마스]] || '''8''' || [[겐다 소스케]] || SS || || C || [[오스틴 반스]] || '''9''' || [[나카무라 유헤이]] || C || [include(틀:멕시코 야구 국가대표팀의 선발 포지션, title=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lp=패트릭 산도발, lrp=, lc=오스틴 반스, ldh=로우디 텔레즈, l1b=조이 메네시스, l2b=루이스 유리아스, l3b=이사크 파레데스, lss=앨런 트레호, llf=랜디 아로자레나, lcf=알렉 토마스, lrf=알렉스 버두고, p=산도발, rp=, c=반스, dh=텔레즈, 1b=메네시스, 2b=유리아스, 3b=파레데스, ss=트레호, lf=아로자레나, cf=토마스, rf=버두고)] [include(틀:일본 야구 국가대표팀의 선발 포지션, title=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lp=사사키 로키, lrp=, lc=나카무라 유헤이, ldh=오타니 쇼헤이, l1b=오카모토 카즈마, l2b=야마다 테츠토, l3b=무라카미 무네타카, lss=겐다 소스케, llf=요시다 마사타카, lcf=라스 눗바, lrf=콘도 켄스케, p=사사키, rp=, c=나카무라, dh=오타니, 1b=오카모토, 2b=야마다, 3b=무라카미, ss=겐다, lf=요시다, cf=눗바, rf=콘도)] }}}}}}}}}}}} || ||<-15> '''{{{#ffffff 양팀 주요 기록}}}''' || ||<-15><^|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결승타''' || [[무라카미 무네타카]](9회 무사 1, 2루에서 중월 2루타) || || '''홈런''' || [[루이스 유리아스]](4회 3점, [[사사키 로키]]) || || '''3루타''' || - || || '''2루타''' || [[랜디 아로자레나]](8회), [[알렉스 버두고]](8회), [[오타니 쇼헤이]](9회), [[무라카미 무네타카]](9회) || || '''도루''' || [[조이 메네시스]](8회) || || '''병살타''' || [[앨런 트레호]](2회), [[오카모토 카즈마]](2회) || || '''보크''' || - || || '''심판''' || 주심: Quinn Wolcott, 1루심: Ramiro Alfaro, 2루심: [[박종철(야구)|Jong-Chui Park]], 3루심: Lance Barksdale, 좌선심: Edward Pinales, 우선심: John Tumpane || }}}}}}}}}}}} || ||<-15> '''{{{#ffffff 양팀 투수 기록}}}''' || ||<-15><^|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2> [[멕시코 야구 국가대표팀|[[파일:멕시코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35]]]] {{{#058036 '''멕시코 야구 국가대표팀 투수진 기록'''}}} || || '''이름''' || '''이닝''' || '''피안타''' || '''실점''' || '''자책''' || '''볼넷''' || '''탈삼진''' || '''피홈런''' || '''투구수''' || '''기록''' || || [[패트릭 산도발]] || 4.1 || 4 || 0 || 0 || 1 || 6 || 0 || 66 || || || [[호세 우르퀴디]] || 2.1 || 2 || 1 || 1 || 3 || 2 || 0 || 47 || '''{{{#green 홀}}}''' || || [[조조 로메로]] || 0.1 || 1 || 2 || 2 || 1 || 0 || 1 || 16 || '''{{{#red BS}}}''' || || [[헤수스 크루즈]] || 0.2 || 1 || 1 || 1 || 0 || 0 || 0 || 11 || '''{{{#green 홀}}}''' || || [[헤라르도 레예스]] || 0.1 || 0 || 0 || 0 || 1 || 1 || 0 || 9 || '''{{{#green 홀}}}''' || || [[지오바니 가예고스]] || 0.0 || 2 || 2 || 2 || 1 || 0 || 0 || 9 || '''{{{#red 패, BS}}}''' || ||<-12>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파일: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35]]]] {{{#fff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투수진 기록'''}}} || || '''이름''' || '''이닝''' || '''피안타''' || '''실점''' || '''자책''' || '''볼넷''' || '''탈삼진''' || '''피홈런''' || '''투구수''' || '''기록''' || || [[사사키 로키]] || 4.0 || 5 || 3 || 3 || 0 || 3 || 1 || 64 || || || [[야마모토 요시노부]] || 3.1 || 3 || 2 || 2 || 2 || 4 || 0 || 52 || || || [[유아사 아츠키]] || 0.2 || 1 || 0 || 0 || 0 || 1 || 0 || 8 || || || [[오타 타이세이]] || 1.0 || 0 || 0 || 0 || 0 || 1 || 0 || 12 || '''{{{#blue 승}}}''' || }}}}}}}}}}}} || ||<-15> '''{{{#fff 득점 루트}}}''' || ||<-15><^|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이닝''' || '''득점 루트''' || '''스코어''' || || '''4회초''' || '''[[루이스 유리아스|{{{#058036 루이스 유리아스}}}]]의 좌월 홈런으로 3득점''' || '''{{{#058036 MEX}}} 3''' : 0 '''{{{#142a44 JPN}}}''' || || '''7회말''' || '''[[요시다 마사타카|{{{#1c2841 요시다 마사타카}}}]]의 우월 홈런으로 3득점''' || '''{{{#058036 MEX}}}''' 3 : '''3 {{{#142a44 JPN}}}''' || ||<|2> '''8회초''' || '''[[알렉스 버두고|{{{#058036 알렉스 버두고}}}]]의 좌중간 2루타로 1득점''' || '''{{{#058036 MEX}}} 4''' : 3 '''{{{#142a44 JPN}}}''' || || '''[[이사크 파레데스|{{{#058036 이사크 파레데스}}}]]의 1득점''' || '''{{{#058036 MEX}}} 5''' : 3 '''{{{#142a44 JPN}}}''' || || '''8회말''' || '''[[야마카와 호타카|{{{#1c2841 야마카와 호타카}}}]]의 좌익수 희생플라이로 1득점''' || '''{{{#058036 MEX}}}''' 5 : '''4 {{{#142a44 JPN}}}''' || || '''9회말''' || '''[[무라카미 무네타카|{{{#1c2841 무라카미 무네타카}}}]]의 중견수 뒤 2루타로 2득점''' || '''{{{#058036 MEX}}}''' 5 : '''6 {{{#142a44 JPN}}}''' || }}}}}}}}}}}} || ||<-4>
'''{{{#fff 국내 중계}}}''' || || [[KBS N SPORTS|[[파일:KBS N SPORTS 로고.svg|height=16]]]] || [[이호근|{{{#373a3c,#dddddd 이호근}}}]] || [[김태균|{{{#373a3c,#dddddd 김태균}}}]] || [[https://tv.naver.com/v/34175062|풀영상]] || || [[SBS Sports|[[파일:SBS Sports 로고.svg|height=16]]]] || [[정우영(아나운서)|{{{#373a3c,#dddddd 정우영}}}]] || [[이종열|{{{#373a3c,#dddddd 이종열}}}]], {{{#373a3c,#dddddd 이창섭}}} || [[https://tv.naver.com/v/34174764|풀영상]] || || [[MBC SPORTS+|[[파일:MBC SPORTS+ 로고.svg|height=16]]]] || [[김수환(아나운서)|{{{#373a3c,#dddddd 김수환}}}]] || [[송재우|{{{#373a3c,#dddddd 송재우}}}]] || [[https://tv.naver.com/v/34175313|풀영상]] || === 경기 전망 === 2006년 초대 대회 이후 17년 만에 두 팀이 만났다.[* 당시에는 선발 [[마쓰자카 다이스케]]의 호투와 [[사토자키 토모야]]의 2점 홈런을 앞세워 일본이 6:1로 승리했다.] 전체적인 전력상 일본의 우위가 점쳐지지만, 멕시코는 일본이 지금까지 만났던 팀들보다 훨씬 더 강한 상대이다. 멕시코는 지난 몇 대회와는 달리 이번 대회에서는 빅 네임은 상대적으로 많이 보이지 않지만 메이저리그 로스터에 이름을 올리고 있는 선수들이 다수 포진하고 있으면서도 투타 밸런스가 그 전의 대회와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좋다고 볼 수 있는데, 이를 증명하듯 1라운드에서 미국을 상대로 대승을 거두기도 했으며 직전 8강에서도 전력상 우위로 평가받는 푸에르토리코에게 1회 4실점을 하고도 남은 8이닝 동안 무실점으로 틀어막고서 경기를 뒤집은 저력을 보여주기도 했다. 때문에 일본이 앞서 홈에서 치른 5경기와는 전혀 다른 양상의 팽팽한 경기가 예상되며, 일본에게는 시차적응이, 멕시코에게는 짧은 휴식기간이 컨디션 측면에서의 변수가 될 수 있다. 이날 일본의 선발은 [[사사키 로키]]가 유력하며, 단판 승부인 만큼 [[야마모토 요시노부]]도 불펜에 대기시키며 총력전을 예고했다. 멕시코는 사실상 실질적인 대표팀의 에이스라고 볼 수 있는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소속의 [[패트릭 산도발]]을 예고했다. === 실황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cNiG3BEmEg)]}}}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_QiAatKSW_E)]}}}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Ro-JHPwbow)]}}} || || '''SBS 하이라이트 영상''' || '''KBS 공식 하이라이트 영상''' || '''MLB 공식 하이라이트 영상''' || 1회 초, [[사사키 로키]]의 투구에 [[랜디 아로자레나]]-[[알렉스 버두고]]-[[조이 메네시스]]가 삼진-좌익수 플라이-포수 스트라이크 낫 아웃으로 삼자범퇴로 물러났다. 1회 말, [[패트릭 산도발]]도 이에 질세라 [[라스 눗바]], [[콘도 켄스케]], [[오타니 쇼헤이]]를 모두 삼진으로 처리하며 삼자범퇴로 이닝을 끝냈다. 2회 초, 멕시코의 공격에서 1사 후 [[이사크 파레데스]]가 좌중간 안타로 출루했고, [[루이스 유리아스]]가 친 타구가 투수 맞고 내야안타로 연결되면서 1사 1, 2루 득점권 찬스를 잡았다. 그러나 [[앨런 트레호]]의 타구는 유겨수 정면을 향했고, 병살타로 이어지면서 득점에 실패했다. 2회 말, 선두타자 [[요시다 마사타카]]가 안타로 출루했으나, [[무라카미 무네타카]]가 삼진으로 물러났고, [[오카모토 카즈마]]는 초구를 건드렸다가 병살타로 물러나면서 순식간에 이닝이 종료되었다. 3회에는 양팀 모두 삼자범퇴로 물러났고, 4회 초 멕시코의 공격에서 2사 후 [[로우디 텔레즈]]와 [[이사크 파레데스]]가 빗맞은 안타로 연속 출루에 성공하며 1, 2루 득점권 찬스를 잡았다. 이어서 [[루이스 유리아스]]가 [[사사키 로키]]의 2구째를 받아쳐 좌측 담장을 훌쩍 넘어가는 쓰리런포를 터뜨리면서 멕시코가 먼저 앞서나가게 된다. '''멕시코 3-0 일본''' 4회 말, [[콘도 켄스케]]와 [[요시다 마사타카]]의 안타로 2사 1, 3루 득점 찬스를 잡았으나, [[무라카미 무네타카]]가 힘없이 루킹 삼진으로 물러나며 득점에 실패했다. 5회 초, 일본은 선발 [[사사키 로키]]를 내리고 결승 진출 시 선발 등판 가능성이 있던 [[야마모토 요시노부]]를 투입했고, 2사 후 [[랜디 아로자레나]]가 볼넷으로 출루했으나, [[알렉스 버두고]]가 땅볼로 물러나면서 이닝이 종료되었다. 5회 말, 선두타자 [[오카모토 카즈마]]가 홈런성 타구를 보냈으나, 좌익수 [[랜디 아로자레나]]가 점핑 캐치로 잡아내는 호수비로 아웃 카운트를 만들었다. 1사 후 [[야마다 테츠토]]가 초구를 받아쳐 안타로 출루했고, [[겐다 소스케]]는 볼넷으로 출루하며 1, 2루 찬스를 만들었다. 그러자 멕시코는 [[패트릭 산도발]]에서 [[호세 우르퀴디]]로 투수를 교체했다. 이후 [[라스 눗바]]의 볼넷으로 2사 만루 찬스가 찾아왔고, [[콘도 켄스케]]가 초구를 받아쳐 외야로 타구를 보냈으나 아로자레나가 잡아내며 득점 없이 이닝이 종료되었다. 6회에는 멕시코가 삼자범퇴로 물러났고, 일본은 다시 득점 기회를 만들었다. 선두타자 [[오타니 쇼헤이]]가 안타로 출루했고, 2사 후 [[오카모토 카즈마]]와 [[야마다 테츠토]]가 연속 볼넷으로 출루하며 다시 만루 찬스를 만들었다. 그러나 [[겐다 소스케]]의 타구가 좌익수 방면을 향해 뜬공으로 물러나면서, 일본은 또 다시 득점 기회를 살리지 못했다. 7회 초, 1사 1루 상황에서 [[알렉 토마스]]가 풀카운트 승부 끝에 헛스윙 삼진으로 물러났고, 동시에 뛰었던 1루 주자가 타이밍이 상당히 늦었음에도 기지를 발휘해 세이프 판정을 받아냈다. 그렇게 2사 2루가 되는 듯했으나 일본 덕아웃에서 비디오 판독을 요청했고, 오랜 시간이 지난 후 아웃으로 번복되면서 이닝이 종료되었다. 그리고 7회 말, 본격적으로 경기가 뜨거워지기 시작한다. 2사 후, [[콘도 켄스케]]가 안타, [[오타니 쇼헤이]]가 볼넷으로 출루하며 1, 2루 찬스가 만들어졌고, 타석에는 [[요시다 마사타카]]가 들어섰다. 이에 멕시코는 투수를 [[조조 로메로]]로 교체했다. 볼카운트 2-2 상황에서 로메로의 잘 떨어진 변화구를 요시다가 받아쳤는데, 이것이 생각보다 멀리 뻗어나갔고 우측 펜스 폴대 안쪽으로 타구가 떨어지면서 3점 홈런으로 연결되었다. 이 극적인 홈런으로 일본은 순식간에 동점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또한 이 홈런으로 요시다는 WBC 단일대회 타자의 최다 타점을 13점으로 경신했다.] '''멕시코 3-3 일본''' 8회 초, 멕시코의 공격에서 1사 후 [[랜디 아로자레나]]가 2루타로 출루에 성공했고, [[알렉스 버두고]]가 초구를 받아쳐 2루타로 연결하며 다시 리드를 잡았다. 이어서 [[조이 메네시스]]가 연속 안타를 기록하며 1사 1, 3루 찬스까지 연결되었다. 그러자 일본은 [[야마모토 요시노부]]를 내리고 [[유아사 아츠키]]를 등판시켰고, [[로우디 텔레즈]]를 삼진으로 처리하며 2사가 되었으나 1루 주자가 무관심 도루를 기록하며 주자는 2, 3루가 되었다. 이후 [[이사크 파레데스]]의 타구는 안타로 이어지며 3루 주자가 홈으로 들어왔으나, 2루 주자는 홈에서 태그 아웃되면서 이닝이 종료되었다. 그래도 멕시코는 2점을 추가하며 다시 리드를 잡게 되었다. '''멕시코 5-3 일본''' 8회 말, 일본도 가만히 있지 않았다. 선두타자 [[오카모토 카즈마]]가 몸에 맞는 공으로 출루했고, [[야마다 테츠토]]가 안타로 출루해 1, 2루 찬스를 만들었다. 이후 희생번트로 1사 2, 3루가 된 상황에서 대타 [[야마카와 호타카]]가 좌익수 희생플라이로 1득점을 올리며 점수는 1점차가 되었다. 이후 [[라스 눗바]]가 좋은 선구안으로 볼넷을 골라나가며 다시 1, 2루가 되었으나, [[콘도 켄스케]]는 삼구 삼진으로 물러나며 동점을 만드는 데는 실패한 일본이었다. '''멕시코 5-4 일본''' 9회 초, 멕시코의 정규이닝 마지막 공격에서 2사 후 몸에 맞는 볼로 출루했으나 [[오스틴 반스]]가 헛스윙 삼진으로 물러나며 득점에 실패했다. 9회 말, 일본은 [[오타니 쇼헤이]]부터 시작되는 타선을 통해 반드시 득점을 내야하는 상황이 되었고, 멕시코는 어떻게 해서든 실점을 내주지 않아야하는 상황이 되면서 마무리 [[지오바니 가예고스]]를 투입했다. 그런데 오타니가 초구를 받아쳐 우중간을 향하는 2루타로 일본이 순식간에 득점권 찬스를 잡았고, [[요시다 마사타카]]까지 볼넷으로 출루하며 무사 1, 2루 찬스를 잡았다. 일본은 연장 없이 9회말에 경기를 끝내겠다는 듯, 요시다를 지난 시즌 도루 2위의 빠른 발을 가진 [[슈토 우쿄]]로 교체했다. 마무리 가예고스의 컨트롤이 심하게 흔들렸고, 그 상황에서 일본의 타석에는 심각한 부진을 겪고 있던 [[무라카미 무네타카]]가 들어섰다. 초구 파울, 2구 볼로 볼카운트는 1-1이 되었고, 가예고스는 무라카미의 타격감이 좋지 않다는 것 때문인지 너무 안일하게 스트라이크를 잡으려 했고, 이것을 놓치지 않은 무라카미가 좌중간 펜스 상단을 맞히는 장타성 타구를 만들어냈다. 이에 2루 주자 오타니는 홈에 쉽게 들어왔고, 1루에 있던 [[슈토 우쿄]]까지 홈에 들어오면서[* 슈토가 워낙 빨라서 2루 주자 오타니와 별 차이 없이 홈에 들어올 정도였다.] 일본이 무라카미의 2루타로 6-5 끝내기 역전승을 따내며 결승에 진출하게 되었다. '''멕시코 5-6 일본''' === 경기 평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WBC멕시코일본.jpg|width=100%]]}}} || '''[[https://naver.me/xl19JNv3|무라카미 9회말 대역전 끝내기! 일본, 멕시코 잡고 결승 진출]]''' 2023 WBC 최고의 명승부로, 일본 최고의 선발 투수들을 공략해내는 멕시코 타자들의 저력과 일본 타자들을 압도한 산도발, 그리고 그런 멕시코를 상대로 끝까지 따라붙어 결국 대회 내내 부진하던 무라카미 무네타카의 역전 끝내기까지 나온 최고의 경기로 평가받는다. 미국과 베네수엘라 경기에 이어 토너먼트에서 또다시 역대급 명승부가 펼쳐지면서 각 선수들의 수준은 물론이고 경기 내용까지도 완벽해서 이보다 더 재밌는 야구가 없을 정도라는 평가도 아깝지 않다. 멕시코는 경기 중반까지 한 수 위로 평가받던 일본에게 우세한 경기를 펼치며 패배 직전까지 몰아 넣으며 일본의 간담을 서늘하게 만들었으나, 8회초 더 달아날 수 있는 상황에서 무리한 주루로 인한 홈 보살과 경기 막판 믿었던 필승조 불펜들의 부진이 아쉽게 되었다. 비록 불펜싸움에서 지면서 마지막에 역전패하긴 했지만, 우승후보 일본을 상대로 경기력에서 전혀 밀리지 않으며 3위로 당당하게 대회를 마감했다. 조별리그 대진운이 더 좋았다면, 우승까지 노려볼 수 있었고, 준결승 상대가 미국이었다면 결승전에도 충분히 올라갈 실력이었다. 일본은 지금까지 만났던 A, B조의 약팀들과는 수준이 다른 멕시코를 상대로 경기 내내 고전하다가 패배 직전까지 몰렸다. 경기 초반 불안하긴했지만 3회까지 위기를 잘 넘겼던 [[사사키 로키]]가 4회초 불운한 2피안타 이후 [[루이스 유리아스]]에게 통한의 실투를 하여 3점 홈런을 내주고, 좌타자 위주의 일본 타선은 멕시코의 좌완 선발 [[패트릭 산도발]]에게 틀어막혀 제대로 된 공격을 하지 못하며 7회말 2사까지 계속 끌려갔다. 기회도 여러 번 왔지만 [[무라카미 무네타카]]의 극심한 부진과 상대 좌익수 [[랜디 아로자레나]]의 엄청난 수비과 함께 잔루만 쌓이며 좀처럼 따라가지 못했다. [[경기는 삼성쪽으로 기울고|이렇게 경기는 멕시코 쪽으로 기울고]], 일본은 예고한대로 추가 실점을 하지않고 추격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5회초 최고의 선발 투수 [[야마모토 요시노부]]까지 투입했다. 야마모토가 8회 1사까지 긴 이닝을 끌어주고 [[유아사 아츠키]]-[[오타 타이세이]]로 이어지는 불펜진이 추가실점을 최소화하며 대역전의 발판을 마련했고, 경기 내내 일본 팬들에게 욕을 먹으면서도 무라카미를 교체하지 않고 고집스럽게 밀어붙였던 [[쿠리야마 히데키]] 감독의 믿음의 야구와 9회말 찬스를 잡은순간 연장까지 생각하지 않고 한번에 끝내기 위해 이 날 맹타를 기록하던 [[요시다 마사타카]]를 과감하게 빼고 [[슈토 우쿄]]를 대주자로 넣은 승부수가 끝내 빛을 발해 역전에 성공했다. 이렇게 장장 3시간 36분의 혈투 끝에 일본은 무서운 뒷심으로 멕시코를 꺾고 14년만에 WBC 결승 진출에 성공했다. === 여담 === * [[CC 사바시아]]가 경기장을 방문했는데, 언급된 대로 살을 상당히 뺀 모습으로 나타났다. * 5회초 [[랜디 아로자레나]]가 홈런성 타구를 잡아냈을 때, 한국어로 '오리올스' 라고 마킹된 구단 티셔츠를 입고 있는 멕시코 관중이 포착되었다.[* [[김현수(1988)|김현수]]가 한창 오리올스에서 활약할 당시였던 2016 시즌에 증정된 것으로, 당시 9월 23일자 홈 경기를 관람하러 [[오리올 파크 앳 캠든 야즈]]를 방문한 관객들에게 증정된 티셔츠였다. 당시 멕시코의 간판 투수였던 요바니 가야르도가 오리올스 소속이었기 때문에 멕시코와 접점이 꽤 있었는데 관중석에 포착된 것이 바로 이 티셔츠. 실제로 각 구단마다 이러한 프로모션들이 자주 열리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도 유니폼뿐만 아니라 전면에는 구단 로고, 후면에서는 선수의 네임셋을 프린팅한 티셔츠를 함께 판매하고 있다. 참고로 저 당시에 증정된 저 한국어 '오리올스' 티셔츠의 뒷면에는 한글로 [[김현수(1988)|김현수]]의 네임셋이 새겨져 있다.[[https://twitter.com/Orioles/status/779075174683533312?s=20|#]]] * [[랜디 아로자레나]]는 5회말에 [[오카모토 카즈마]]의 홈런성 타구를 건져낸 뒤에 경기 중 팬들에게 싸인을 해주는 팬 서비스를 선보이는 여유를 보여주면서 엄청난 스타성을 보였다. 하지만 아로자레나의 이러한 기행은 결국에는 2021년에 이어 또 패배 플래그가 되고 말았는데, [[2021 ALDS]]에서도 1차전의 승리가 임박한 상황에서 더그아웃 앞에서 팝콘을 까먹는 기행을 선보이다가 1승 뒤 3연패로 디비전 시리즈에서 탈락했었고, 이번에도 결국에는 끝내기로 패배했기 때문.[* 물론 이번 경기에서 아로자레나는 맹활약을 펼쳤다.] * 일본 대표팀의 [[무라카미 무네타카]]는 2000년 시드니 올림픽의 [[이승엽/선수 경력/국가대표#s-2.2|이승엽]]과 데칼코마니처럼 겹쳐지는 모습이었다. 대회 직전 시즌에 국내 타자 기준 시즌 최다 홈런 신기록[* 1999년 이승엽 54개, 2022년 무라카미 무네타카 56개]을 갈아치운 국가대표 홈런타자가 대회 내내 1할대 타율을 기록하며 부진했다. 경기 당일에도 3타석 삼진까지 당할 정도로 타격감을 되찾지 못했지만, 팀의 명운이 걸린 결정적인 순간에 2타점 2루타 결승타를 때려내서 팀을 구해냈다라는 모습마저 완벽하게 일치했다. [[https://m.dcinside.com/board/baseball_ab2/5057049|무승엽 인터뷰]] == 총평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WBC미국결승행.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WBC일본결승행.jpg|width=100%]]}}} || ||<-2> '''결승 진출국: [[파일:미국 국기.svg|height=18]] 미국, [[파일:일본 국기.svg|height=18]] 일본''' || ---- 결과적으로 두 대진 모두 이변이 발생하지 않고 예상대로 미국과 일본이 결승 진출에 성공했다. 1라운드와 2라운드에서는 업셋이 자주 발생하며 이변이 연출되는 경우가 많았으나, 준결승에서는 그러한 일이 발생하지 않았다. 미국은 압도적인 선수단을 바탕으로 엄청난 타격 화력과 투수진의 호투로 10점 차 이상으로 승리를 따냈으며, 1라운드였으면 콜드 게임 승리를 거둘 수 있었다. 일본은 경기 초반에 3점을 내주고 중반까지 점수를 뽑지 못하면서 결승 진출에 먹구름이 끼는 듯했으나 후반부 7~9회에만 6점을 뽑아내는 엄청난 집중력을 보여주며 2009년 이후 오랜만에 결승 진출에 성공했다. 쿠바는 다소 좋은 대진과 끈끈한 모습을 바탕으로 2006년 이후 오랜만에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예전에 비해 약해진 라인업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준결승에서 짐을 싸야 했다. 멕시코는 1라운드에서 미국을 꺾고, 2라운드에서는 푸에르토리코를 꺾는 저력을 보이면서 처음으로 준결승에 진출했으며 일본 상대로 전혀 밀리지 않는 경기력을 보이면서 결승까지 노려볼 수 있었으나 후반부 불펜진의 방화로 인해 아쉽게 여정을 마무리해야 했다. [각주] [[분류: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