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2023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include(틀:2023 KDL 경기진행)] [목차] == 개요 == [[2023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의 개인전 32강 경기를 기록해 둔 문서. 각 조 1~3위는 16강으로 진출하며 4~5위는 패자부활전 진출, 6~8위는 탈락한다. || {{{#fff '''경기'''}}} || {{{#fff '''1위'''}}} || {{{#fff '''2위'''}}} || {{{#fff '''3위'''}}} || {{{#fff '''4위'''}}} || {{{#fff '''5위'''}}} || {{{#fff '''6위'''}}} || {{{#fff '''7위'''}}} || {{{#fff '''8위'''}}} || || 조별 예선 ||<-3> {{{#000 '''16강 직행'''}}} ||<-2> {{{#000 패자부활전 진출}}} ||<-3> {{{#000 탈락(21~32위)}}} || || 패자부활전 ||<-4> {{{#000 '''16강 진출'''}}} ||<-4> {{{#000 탈락(17~20위)}}} || 모든 경기는 50포인트 선취제로, '''1위가 50포인트를 획득'''하거나 '''한 선수가 3트랙 연속 1등을 차지'''하면 종료된다. 각 트랙 별 포인트 배분은 다음과 같다. 3트랙 연속 1등을 획득한 선수는 해당 지점의 포인트에 관계 없이 1위로 확정되며 나머지 선수는 해당 지점의 포인트 합계로 순위를 결정한다. ||
{{{#fff '''순위'''}}} || {{{#000 '''1st'''}}} || {{{#000 '''2nd'''}}} || {{{#000 '''3rd'''}}} || 4th || 5th || 6th || 7th || 8th || {{{#000 '''Retire'''}}} || || {{{#fff '''포인트'''}}} || {{{#000 '''10'''}}} || {{{#000 '''7'''}}} || {{{#000 '''5'''}}} || '''4''' || '''3''' || '''1''' || '''0''' || '''-1''' || {{{#000 '''-5'''}}} || 첫 트랙은 '''톱시드 옐로우 선수가 선택하며,''' 다음 트랙은 직전 트랙의 1위가 남은 트랙들 중 선택한다. 직전 트랙에서 공동 1위가 나온 경우, 해당 선수들 중 누적 포인트가 가장 높은 선수가 트랙을 선택한다. 누적 포인트 최상위도 동률일 경우, 심판이 남은 트랙 중 하나를 추첨한다. 한 번 사용되었던 트랙은 다시 선택할 수 없으며, 모든 트랙이 1번씩 사용된 후에는 리셋되어 다시 12개의 트랙에서 선택을 이어나간다.[* 트랙 목록은 [[2023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규정|규정]]을 참고] 진출 단계가 결정되는 순위에서 동률이 있는 경우 1라운드가 진행된 트랙에서 단판 타이브레이커를 진행한다. ||<-3>
{{{#fff '''팀별 본선진출자(예선→32강)'''}}} || || 팀명 || 참가 인원 || 출전 선수 명단 || || [[광동 프릭스/카트라이더: 드리프트|[[파일:광동 프릭스 로고 화이트.svg|width=20]] {{{#white '''KDF'''}}}]] || 4명 / 4명 || [[유창현|__'''SPEAR'''__]], [[노준현|'''World''']], [[이재혁|Cool]], [[배성빈|SUNGBIN]][br]'''전원 통과''' || || [[Liiv SANDBOX/카트라이더: 드리프트|[[파일:Liiv SANDBOX 로고.svg|width=20]] {{{#000 '''LSB'''}}}]] || 5명 / 5명 || [[리우창헝|__'''NEAL'''__]], [[고병수(프로게이머)|'''ByungSu''']], [[박현수|'''HyunSu''']], [[홍승민|'''Daldda''']], [[김지민(프로게이머)|JiMin]] [br]'''전원 통과''' || || [[ROX ESPORTS/카트라이더: 드리프트|[[파일:락스 이스포츠 로고.svg|width=20]] {{{#fff '''ROX'''}}}]] || 4명 / 4명 || '''[[홍성민(프로게이머)|__Luning__]], [[김주영(프로게이머)|BBoong]], [[한승민|AcidFly]], [[최승현(프로게이머)|Navi]][br]불참자 외 전원 통과''' || || [[미래엔세종/카트라이더: 드리프트|[[파일:미래엔세종 로고.svg|width=20]] {{{#fff '''MSJ'''}}}]] || 4명 / 4명 || [[김다원(프로게이머)|__'''Hero'''__]], [[최영훈|'''Guard''']], [[문호준|HoJun]], [[송용준(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Knock]][br]'''전원 통과''' || || [[파일:KDL_Always.png|width=20]] {{{#fff '''ALS'''}}} || 0명 / 3명 || --Move--[*5R 5단계 최종전 탈락], --Yumeko--[*5R], --Night--[*3R 3단계 패자조 탈락] || || [[NUTMITE/카트라이더: 드리프트|[[파일:NUTMITE.png|width=20]] {{{#000 '''NM'''}}}]] || 2명 / 5명 || WiLL, Skald, [[이진건|--VEGA--]][*5R], --Wave--[*5R], --Snoopy--[*3R] || || [[FINALE e-sports/카트라이더: 드리프트|[[파일:finale e-sports.png|width=20]] {{{#000 '''FNL'''}}}]] || 4명 / 4명 || [[이명재(프로게이머)|'''DDING''']], '''Hong''', [[김우준|WooJun]], [[김지환(2007)|Duzzi]][br]'''불참자 외 전원 통과''' || || [[파일:KDL_Desperado.png|width=20]] {{{#fff '''DES'''}}} || 2명 / 4명 || '''STRIKER''', Promise, [[정승민|--Banana--]][*5R], [[박태민(프로게이머)|--FreeSky--]][*4R 4단계 패자조 탈락] || || 무소속 || 7명 || [[김응태|'''Percent''']], [[이용현|SUIT]], Scarlet, Monster, ChelLy, Squad, SPEC || ||<-3> {{{-1 1. 볼드체는 예선 3단계 본선 직행을, 밑줄은 톱시드를 의미함.[br] 2. 취소선은 예선 탈락을 의미함.[br]3. 참가 인원은 '본선 진출자 / 예선 참가자'로, 무소속은 본선 진출자만 표기함.[br]4. 프로팀 소속이 아니면서 팀전에 불참하거나 팀전 예선에서 탈락한 선수는 무소속으로 표기함.}}}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1/개인전/32강, version=158)] == 10월 7일 (토) 32강 A조 == ||<-9>
'''32강 A조'''[br]'''R.O. 32 GROUP A''' || || '''선수''' || [[리우창헝|{{{#black '''NEAL[br]{{{-2 리우창헝}}}'''}}}]] || [[노준현|{{{#fff '''World[br]{{{-2 노준현}}}'''}}}]] || [[홍승민|{{{#fff '''Daldda[br]{{{-2 홍승민}}}'''}}}]] || {{{#black '''Hong[br]{{{-2 이홍일}}}'''}}} || {{{#fff '''Squad[br]{{{-2 정승준}}}'''}}} || {{{#fff '''Scarlet[br]{{{-2 김재훈}}}'''}}} || [[김지민(프로게이머)|{{{#white '''JiMin[br]{{{-2 김지민}}}'''}}}]] || {{{#black '''Monster[br]{{{-2 장현진}}}'''}}} || || 최종 1위[br]{{{-2 (예측)}}} || '''74.5%[br](1.34배)''' || 19.2%[br](5.18배) || 0.5%[br](173.75배) || 1.5%[br](63.18배) ||<-2> 0.5%[br](173.75배) || 2.4%[br](40.88배) || 0.4%[br](231.66배) || || 최종 8위[br]{{{-2 (예측)}}} || 2.6%[br](37.27배) || 1.6%[br](61배) || 6.8%[br](14.58배) || 3.7%[br](26.84배) || 17.8%[br](5.59배) || '''9.5%[br](10.48배)''' || 2%[br](47.92배) || 55.5%[br](1.79배) || || 많은 1위[br]{{{-2 (예측)}}} || '''80%[br](1.24배)''' || 14.8%[br](6.74배) || 0.4%[br](222.66배) || 1.6%[br](60.72배) || 0.2%[br](334배) || 0.4%[br](222.66배) || 1.7%[br](55.66배) || 0.4%[br](222.66배) || || 라운드 수[br]{{{-2 (예측)}}} ||<-2> 6라운드 이하[br]9.7% (10.28배) ||<-2> '''7~8라운드[br]71.1% (1.4배)''' ||<-2> 9~10라운드[br]15.6% (6.38배) ||<-2> 11라운드 이상[br]3.4% (28.6배) || ||<-5>
{{{#white '''사용 카트바디'''}}} || || '''선수''' || {{{#black '''NEAL[br]{{{-2 리우창헝}}}'''}}} || {{{#white '''World[br]{{{-2 노준현}}}'''}}} || {{{#white '''Daldda[br]{{{-2 홍승민}}}'''}}} || {{{#black '''Hong[br]{{{-2 이홍일}}}'''}}} || || 카트바디 ||<-4> {{{#black '''샤크 호버 (Hover Shark)'''}}} || || '''선수''' || {{{#white '''Squad[br]{{{-2 정승준}}}'''}}} || {{{#white '''Scarlet[br]{{{-2 김재훈}}}'''}}} || {{{#fff '''JiMin[br]{{{-2 김지민}}}'''}}} || {{{#black '''Monster[br]{{{-2 장현진}}}'''}}} || || 카트바디 ||<-4> {{{#black '''샤크 호버 (Hover Shark)'''}}} || ||
'''경기''' || '''트랙''' || {{{#black '''NEAL[br]{{{-2 리우창헝}}}'''}}} || {{{#white '''World[br]{{{-2 노준현}}}''' }}} || {{{#white '''Daldda[br]{{{-2 홍승민}}}'''}}} || {{{#black '''Hong[br]{{{-2 이홍일}}}'''}}} || {{{#white '''Squad[br]{{{-2 정승준}}}'''}}} || {{{#white '''Scarlet[br]{{{-2 김재훈}}}'''}}} || {{{#fff '''JiMin[br]{{{-2 김지민}}}'''}}} || {{{#black '''Monster[br]{{{-2 장현진}}}'''}}} || || 01 || WKC 멕시코 투어링 랠리 || '''2nd''' 7 || 4th 4 || 5th 3 || 6th 1 || 7th 0 || 8th -1 || '''1st''' 10 || '''3rd''' 5 || || 02 || 월드 시안 병마용 || '''2nd''' 14 || '''3rd''' 9 || 7th 3 || '''1st''' 11 || 6th 1 || 5th 2 || 4th 14 || 8th 4 || || 03 || 빌리지 붐힐 터널 || 4th 18 || '''1st''' 19 || 8th 2 || 6th 12 || '''3rd''' 6 || 7th 2 || 5th 17 || '''2nd''' 11 || || 04 || 광산 꼬불꼬불 다운힐 || '''1st''' 28 || '''3rd''' 24 || 4th 6 || 8th 11 || 5th 9 || 6th 3 || '''2nd''' 24 || 7th 11 || || 05 || 팩토리 미완성 5구역 || '''1st''' 38 || 8th 23 || 5th 9 || '''3rd''' 16 || '''2nd''' 16 || 7th 3 || 4th 28 || 6th 12 || || 06 || 아이스 익스트림 경기장 || '''2nd''' 45 || '''1st''' 33 || 5th 12 || 6th 17 || '''3rd''' 21 || 7th 3 || 4th 32 || 8th 11 || || 07 || 포레스트 지그재그 || '''1st''' 55 || 7th 33 || '''2nd''' 19 || 4th 21 || '''3rd''' 26 || 8th 2 || 5th 35 || 6th 12 || ||<-4> '''32강 A조 결과''' || || '''순위''' || '''선수''' || '''포인트''' || '''결과''' || || '''1st''' || {{{#000 '''NEAL'''}}} || 55 ||<|3> '''16강 직행[br]R.O. 16''' || || '''2nd''' || {{{#fff '''JiMin'''}}} || 35 || || '''3rd''' || {{{#fff '''World'''}}} || 33 || || '''4th''' || {{{#fff '''Squad'''}}} || 26 ||<|2> '''패자부활전 진출[br]REDEMPTION MATCH''' || || '''5th''' || {{{#000 '''Hong'''}}} || 21 || || '''6th''' || {{{#fff '''Daldda'''}}} || 19 ||<|3> '''탈락[br]BE ELIMINATED''' || || '''7th''' || {{{#000 '''Monster'''}}} || 12 || || '''8th''' || {{{#fff '''Scarlet'''}}} || 2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 KDL 32-A.png|width=100%]]}}} || * 자리 배치 ||<-5><#e11> {{{#fff '''HOME SIDE'''}}} ||<|2> ||<-4><#1e90ff> {{{#000 '''AWAY SIDE'''}}} || || {{{#000 '''NEAL'''}}} || {{{#fff '''-'''}}} ||<#d13> {{{#fff '''Daldda'''}}} || {{{#fff '''Squad'''}}} ||<#1e90ff> {{{#fff '''JiMin'''}}} || {{{#000 '''Monster'''}}} || {{{#fff '''Scarlet'''}}} ||<#fff> {{{#000 '''Hong'''}}} ||<#000> {{{#fff '''World'''}}} || ||<-2> '''하이라이트 영상''' || || '''ROUND 2''' || [[https://youtu.be/3ieeqx7jtA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2> '''FULL 영상''' || ||<-2> [youtube(KqMHfZsesCc)] || * 경기 전 직전 시즌 결승 리거인 '''{{{#gold NEAL}}}, {{{#000 World}}}, {{{#1e90ff JiMin}}}'''이 16강 직행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며, 패자부활전 2자리를 두고 '''{{{#e11 Daldda}}}, {{{#silver Hong}}}, {{{#green Scarlet}}}'''이 경쟁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개인전 첫 데뷔인 '''{{{#purple Squad}}}, {{{#orange Monster}}}'''가 어느 정도의 모습을 보여주느냐에 따라 패자부활전 진출자 구도가 바뀔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경기 후 전체적으로 1위부터 3위까지의 결과는 사전 예측대로 흘러갔다. {{{#gold '''NEAL'''}}}이 1등 3회를 기록하면서 50점을 돌파했고, 그 뒤를 {{{#dodgerblue '''JiMin'''}}}, {{{#black '''World'''}}}가 추격하는 양상이었다. 반면 4~5위 싸움은 치열했는데 신예 {{{#purple '''Squad'''}}}가 4위를 차지하는 이변이 일어났고, {{{#e11 '''Daldda'''}}}가 마지막 트랙에서 5위를 노렸지만 아쉽게 탈락하였다. * 선수 별 평가 {{{#gold '''NEAL'''}}} - '''진정한 개인전의 달인.''' 3트랙 붐힐을 제외하면 전부 포디움, 그것도 1등 아니면 2등을 기록했으며 1등만 3번을 기록하며 압도적인 선두로 7트랙만에 경기를 끝내버렸다. 특히 4~5트랙 연속 1위를 기록하며 3연속 1위 종료를 노려볼 법도 했지만 그래도 마지막 트랙을 1위로 마무리하며 역시 우승후보 다운 모습을 보여줬다. {{{#dodgerblue '''JiMin'''}}} - '''안정적인 연금 메타 교과서.''' 1트랙 1위로 가볍게 출발했지만 순위가 계속해서 오락가락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4~5위권으로 마무리했으며, 6위 밑으로 한 번도 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2위로 마무리할 수 있었다. {{{#black '''World'''}}} - '''실수가 약간 있었으나 베테랑다운 모습을 보여줬다.''' 이날 감기몸살 증세를 보였지만, 그럼에도 {{{#black '''World'''}}}는 {{{#black '''World'''}}}였다. 7위 1번, 8위 1번을 기록하긴 했지만 나머지 5트랙에서 1등 2번, 3등 2번 포함 34점을 몰아서 낸 것이 주효했다. 특히 {{{#gold '''NEAL'''}}}의 '''3연속 1위를 저지'''하면서 중위권 싸움을 혼란스럽게 만들어놓았다. {{{#purple '''Squad'''}}} - '''아무도 예상 못한 패부 진출자 1.''' 첫 두 트랙은 안좋았으나 이후 5트랙에서 포디움에 4번이나 올라가면서 패자부활전에 합류했다. '''{{{#1e90ff JiMin}}}'''과 함께 안정적인 연금메타로 점수를 잘 쌓는 좋은 모습을 보여줬다.[* 점수 그래프에서 보듯이 압도적이고 경사가 급하게 치솟은 '''{{{#gold NEAL}}}'''의 '''{{{#gold 노란색}}}''' 기울기를 제외하면 '''{{{#1e90ff JiMin}}}'''과 '''{{{#purple Squad}}}'''의 '''{{{#1e90ff 파란색}}}, {{{#purple 보라색}}}''' 기울기는 매우 완만하고 안정적인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silver '''Hong'''}}} - '''아무도 예상 못한 패부 진출자 2.''' 전체적으로 포디움에 2번(1위 1번)을 기록하긴 했으나 나머지 5트랙에서 6점밖에 먹지 못하며 막판 {{{#e11 '''Daldda'''}}}에게 추격을 허용할 수도 있었지만[* 특히 7트랙에서 {{{#e11 '''Daldda'''}}}는 상위권 경쟁을 한 반면 {{{#silver '''Hong'''}}}은 7트랙 종료 3~40초 전까지 7~8위권에 묶여 있어서 역전을 허용할 수 있었다.] 마지막 트랙에서 4위를 기록하며 극적으로 패자부활전에 진출했다. {{{#e11 '''Daldda'''}}} - '''초반부 부진이 많이 뼈아팠다.''' 첫 3트랙에서 2점에 그친 것이 너무 치명타였고, 마지막 2위로 패부 막차를 노렸으나 {{{#silver '''Hong'''}}}이 4위로 들어오면서 점수 차를 크게 줄이지 못했다. 그래도 '''아이템 에이스''' 치고는 나름 준수한(?) 성적으로 마무리했다. {{{#orange '''Monster'''}}} - '''신인 선수의 멀고도 험한 개인전 원정대.''' 경기 초반 공격적인 플레이를 통해 종합 순위 4위까지 올랐으나 이후 4트랙에서 단 '''1점(...)'''에 그치며 아쉽게 이번 시즌을 마무리했다. 하지만 이번이 개인전 첫 시즌이기 때문에 발전 가능성은 높은 편이다. {{{#green '''Scarlet'''}}} - '''신인에게도 밀리는 처참한 개인전 경기력.''' 개인전에 나왔다 하면 뭔가 될 것 같으면서도 안 풀리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이번에는 {{{#purple '''Squad'''}}}, {{{#orange '''Monster'''}}}에게도 밀리며[* 지난 프리시즌2에서도 당시 신인이었던 Most, Curren에게 밀리며 8위를 기록했다.] 단 한 번도 4위 이상을 기록하지 못했고 2점에 그치며 지난 시즌보다 더 안 좋은 성적으로 마무리했다. 개인전에 나왔다 하면 조 꼴찌(...)를 기록하며 나머지 선수들의 [[승점자판기|점수자판기]] 역할을 하고 말았다. * 특이사항 - {{{#e11 '''Home Side'''}}} 소속의 리브 샌드박스 3인이 같이 앉게 되면서 '''{{{#gold NEAL}}}''', {{{#e11 '''Daldda'''}}} 사이의 한 칸 공석을 두게 된다. 그리고 정규 시즌으로 넘어가면서 선수들의 컬러가 캐릭터와 순위표에도 적용되어 가독성이 엄청나게 개선되었다. == 10월 14일 (토) 32강 B조 == ||<-9>
{{{#white '''32강 B조'''[br]'''R.O. 32 GROUP B'''}}} || || '''선수''' || [[김다원(프로게이머)|{{{#000 '''Hero[br]{{{-2 김다원}}}'''}}}]] || [[최승현(프로게이머)|{{{#fff '''Navi[br]{{{-2 최승현}}}'''}}}]] || [[김주영(프로게이머)|{{{#white '''BBoong[br]{{{-2 김주영}}}'''}}}]] || [[한승민|{{{#black '''AcidFly[br]{{{-2 한승민}}}'''}}}]] || [[배성빈|{{{#white '''SUNGBIN[br]{{{-2 배성빈}}}'''}}}]] || {{{#white '''Skald[br]{{{-2 최지혁}}}'''}}} || {{{#white '''ChelLy[br]{{{-2 노진우}}}'''}}} || {{{#black '''SPEC[br]{{{-2 곽태우}}}'''}}} || || 최종 1위[br]{{{-2 (예측)}}} || 42.4%[br](2.35배) || 1.7%[br](58.33배) || 1.6%[br](62.5배) || 1.2%[br](79.54배) || '''49.7%[br](2.01배)''' || 1.2%[br](79.54배) || 1.4%[br](67.3배) || 0.5%[br](175배) || || 최종 8위[br]{{{-2 (예측)}}} || 2.4%[br](40.76배) || 3.5%[br](28.53배) || 2.6%[br](37.21배) || 2.9%[br](34.24배) || 2.2%[br](45.05배) || 8.7%[br](11.41배) || 56.5%[br](1.76배) || '''20.9%[br](4.78배)''' || || 많은 1위[br]{{{-2 (예측)}}} || 40.8%[br](2.44배) || 0.9%[br](106.75배) || 1.8%[br](53.37배) || 1.4%[br](71.16배) || '''51.9%[br](1.92배)''' || 1%[br](94.88배) || 1.2%[br](77.63배) || 0.5%[br](170.8배) || || 라운드 수[br]{{{-2 (예측)}}} ||<-2> 6라운드 이하[br]8.2% (12.05배) ||<-2> '''7~8라운드[br]70.7% (1.41배)''' ||<-2> 9~10라운드[br]17.7% (5.62배) ||<-2> 11라운드 이상[br]3.1% (31.25배) || ||<-5>
{{{#white '''사용 카트바디'''}}} || || '''선수''' || {{{#black '''Hero[br]{{{-2 김다원}}}'''}}} || {{{#white '''Navi[br]{{{-2 최승현}}}'''}}} || {{{#white '''BBoong[br]{{{-2 김주영}}}'''}}} || {{{#black '''AcidFly[br]{{{-2 한승민}}}'''}}} || || 카트바디 || {{{#black '''샤크 호버 (Hover Shark)'''}}} || {{{#black '''버스트 (Burst)'''}}} ||<-2> {{{#black '''샤크 호버 (Hover Shark)'''}}} || || '''선수''' || {{{#white '''SUNGBIN[br]{{{-2 배성빈}}}'''}}} || {{{#white '''Skald[br]{{{-2 최지혁}}}'''}}} || {{{#fff '''ChelLy[br]{{{-2 노진우}}}'''}}} || {{{#black '''SPEC[br]{{{-2 곽태우}}}'''}}} || || 카트바디 ||<-4> {{{#black '''샤크 호버 (Hover Shark)'''}}} || ||
{{{#fff '''경기'''}}} || {{{#fff '''트랙'''}}} || {{{#black '''Hero[br]{{{-2 김다원}}}'''}}} || {{{#white '''Navi[br]{{{-2 최승현}}}''' }}} || {{{#white '''BBoong[br]{{{-2 김주영}}}'''}}} || {{{#black '''AcidFly[br]{{{-2 한승민}}}'''}}} || {{{#white '''SUNGBIN[br]{{{-2 배성빈}}}'''}}} || {{{#white '''Skald[br]{{{-2 최지혁}}}'''}}} || {{{#fff '''ChelLy[br]{{{-2 노진우}}}'''}}} || {{{#black '''SPEC[br]{{{-2 곽태우}}}'''}}} || || 01 || 아이스 설산 다운힐 || 7th 0 || 6th 1 || 5th 3 || '''2nd''' 7 || '''1st''' 10 || 8th -1 || 4th 4 || '''3rd''' 5 || || 02 || 아이스 익스트림 경기장 || 6th 1 || '''2nd''' 8 || 5th 6 || 8th 6 || '''1st''' 20 || '''3rd''' 4 || 4th 8 || 7th 5 || || 03 || 포레스트 지그재그 || 4th 5 || 8th 7 || 7th 6 || 5th 9 || '''2nd''' 27 || 6th 5 || '''3rd''' 13 || '''1st''' 15 || || 04 || 광산 골드러쉬 || 6th 6 || 8th 6 || '''2nd''' 13 || 4th 13 || '''3rd''' 32 || '''1st''' 15 || 5th 16 || 7th 15 || || 05 || WKC 브라질 서킷 || 7th 6 || 5th 9 || '''1st''' 23 || '''3rd''' 18 || '''2nd''' 39 || 4th 19 || 8th 15 || 6th 16 || || 06 || 빌리지 붐힐 터널 || '''1st''' 16 || 4th 13 || '''2nd''' 30 || '''3rd''' 23 || 5th 42 || 7th 19 || 8th 14 || 6th 17 || || 07 || WKC 멕시코 투어링 랠리 || '''1st''' 26 || 4th 17 || 6th 31 || 5th 26 || '''3rd''' 47 || '''2nd''' 26 || 7th 14 || 8th 16 || || 08 || 광산 꼬불꼬불 다운힐 || 5th 29 || '''2nd''' 24 || 7th 31 || '''3rd''' 31 || '''1st''' 57 || 6th 27 || 4th 18 || 8th 15 || ||<-5> '''32강 B조 결과''' || || '''순위''' || '''선수''' || '''포인트''' || '''비고''' || '''결과''' || || '''1st''' || {{{#fff '''SUNGBIN'''}}} || 57 || ||<|3> '''16강 진출[br]R.O. 16 Final Match''' || || '''2nd''' || {{{#000 '''AcidFly'''}}} ||<|2> 31 || 마지막 트랙 3위 || || '''3rd''' || {{{#fff '''BBoong'''}}} || 마지막 트랙 7위 || || '''4th''' || {{{#000 '''Hero'''}}} || 29 || ||<|2> '''패자부활전 진출[br]REDEMPTION MATCH''' || || '''5th''' || {{{#fff '''Skald'''}}} || 27 || || || '''6th''' || {{{#fff '''Navi'''}}} || 24 || ||<|3> '''탈락[br]BE ELIMINATED''' || || '''7th''' || {{{#fff '''ChelLy'''}}} || 18 || || || '''8th''' || {{{#000 '''SPEC'''}}} || 15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 KDL 32-B.png|width=100%]]}}} || * 자리 배치 ||<-4><#e11> {{{#fff '''HOME SIDE'''}}} ||<|2> ||<-5><#1e90ff> {{{#000 '''AWAY SIDE'''}}} || || {{{#000 '''Hero'''}}} ||<#d13> {{{#fff '''BBoong'''}}} || {{{#fff '''SUNGBIN'''}}} ||<#1e90ff> {{{#fff '''ChelLy'''}}} || {{{#000 '''SPEC'''}}} ||<#fff> {{{#000 '''AcidFly'''}}} || {{{#fff '''Skald'''}}} ||<#000> {{{#fff '''Navi'''}}} || ||<-2> '''하이라이트 영상''' || || '''ROUND 3''' || [[https://youtu.be/peJSrD2gzi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2> '''FULL 영상''' || ||<-2> [youtube(At-acT2CfSQ)] || * 경기 전 이번 시즌에서 가장 꿀조에 가까운 조로 평가된다. 저번 시즌 결승 리거인 '''{{{#purple SUNGBIN}}}'''과 결승엔 가지 못했지만 결승리거들과 타이브레이크를 치뤘던 '''{{{#gold Hero}}}'''가 16강 직행 자리를 우선 가져갈 것으로 보이고, 남은 한자리와 패자부활전 진출을 두고 '''{{{#e11 BBoong}}}, {{{#000 Navi}}}, {{{#silver AcidFly}}}'''가 경쟁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e11 BBoong}}}'''은 저번 시즌 다소 저하된 폼을 보여주었고, '''{{{#silver AcidFly}}}'''는 프로팀인 락스 소속이긴 하나 아직 16강 경험이 없으며 개인전 진출 역시 2번째라 경험이 부족하다. 마찬가지로 두번째 본선인 '''{{{#green Skald}}}''' 역시 개인전에만 집중하는 데뷔 신인 '''{{{#1e90ff ChelLy}}}, {{{#orange SPEC}}}'''에게 뒤집힐 가능성도 없지는 않다. * 경기 후 경기 흐름은 반전에 반전을 거듭했으나 최종 결과는 예상 그대로였다. 다만 원작 리그 로열로더 '''{{{#gold Hero}}}'''가 하위권에서 집을 짓다가 막판 뒷심으로 간신히 패부에 진출한 것을 보면 여정은 생각보다 험난한 조였다고 보면 된다. * 선수 별 평가 '''{{{#purple SUNGBIN}}}''' - '''프릭스의 배상아리는 결코 죽지 않는다.''' 초반에 2연속 1등 후 2등으로 3연속 1등 경기 종료에는 실패했지만 점수는 상당히 많이 쌓아갔으며 붐힐터널 5등을 제외하고는 모두 포디움으로 완주하면서 2위와 '''26점 차이'''라는 큰 점수 차로 1위에 성공했다. '''{{{#silver AcidFly}}}, {{{#e11 BBoong}}}''' - '''나날이 적응하면서 드리프트에서의 실력을 끌어올리는 2인.''' 공동 2위를 차지했으나 '''{{{#e11 BBoong}}}'''보다 상위 순위로 들어온 '''{{{#silver AcidFly}}}'''가 2위를 확정지었다. '''{{{#silver AcidFly}}}'''는 첫 트랙 2위 후 다소 불안정하게 점수를 쌓았으나 후반에 3번의 3등으로 직행권에 들어왔고, '''{{{#e11 BBoong}}}'''은 초반과 극후반에는 점수를 거의 못 쌓았으나 중간 1-2-1위로 큰 추진력을 받고 직행에 성공했다. '''{{{#gold Hero}}}''' - '''후반부 뒷심이 {{{#gold Hero}}}를 살려냈다만 결국 {{{#gold Hero}}}의 {{{#gold 옐로우}}}의 저주를 완전히 떨쳐내지는 못했다.''' 5트랙까지 한자릿수 점수대로 '''종합순위 꼴찌'''까지 밀렸었으나, 이후 2연속 1위로 급격히 점수를 쌓는데 성공, 3연속 1위는 실패했지만 마지막 5등 완주로 패자부활전에는 진출하는 데 성공하였다. '''{{{#green Skald}}}''' - '''아무도 예상 못했던 패부 진출자.''' 프로팀 선수가 5명이라 아마추어 선수들의 가능성이 높지는 않았다고 보였으나, 예상 외로 '''{{{#000 Navi}}}'''가 부진했고 본인도 1위 한 번을 포함하여 3번 포디움에 들면서 점수를 필요할 때 적절히 쌓아 생존 막차를 타는데 성공하였다. '''{{{#000 Navi}}}''' - '''이번 조에서 가장 존재감이 미미했던 선수.''' 저번 시즌에는 4위까지 경쟁하는 방식에서 타이브레이크 끝에 탈락하여 생존이 가능할 것이라는 예측이 있었으나, 오히려 점수를 생각보다 잘 쌓지 못하면서 일찌감치 탈락권에 들어섰다. 마지막에 2위로 완주는 했으나 5위권과의 점수 격차가 너무 커서 좁히기엔 역부족이었다. '''{{{#dodgerblue ChelLy}}}''' - '''뒷심이 부족한 첫 출전 선수의 한계를 드러냈다.''' 4-4-3-5라는 신인 선수치고는 훌륭한 초반 경기력을 보여줬으나 갈수록 힘이 떨어지면서 하위권을 자주 기록, 종합순위가 밀려났고 결국 7위로 탈락하며 이번 경기의 폭탄이 되었다. '''{{{#orange SPEC}}}''' - '''{{{#1e90ff ChelLy}}}와 함께 예상치 못한 스노우볼을 만들어내고 산화했다.''' 첫 트랙 3등과 더불어 '''{{{#purple SUNGBIN}}}'''의 3연속 1등을 본인의 손으로 1위를 뺏어내며 막아내는 데에는 성공했으나, 그 이후로 상위권으로 완주하지 못하며 최하위로 탈락했다. 만일 '''{{{#purple SUNGBIN}}}'''이 1등으로 완주했을 시 본인이 직행하는 것은 물론, 다른 선수들의 결과도 상당히 많이 뒤집어지는 상황이었는데[* 3트랙에서 '''{{{#purple SUNGBIN}}}, {{{#orange SPEC}}}'''의 순위만 바뀌었을 시 '''{{{#purple SUNGBIN}}}''' 1위, '''{{{#1e90ff ChelLy}}}''' 13점 2위, '''{{{#orange SPEC}}}''' 12점 3위, '''{{{#silver AcidFly}}}''' 9점 4위, '''{{{#000 Navi}}}''' 7점 5위, '''{{{#e11 BBoong}}}''' 6점 6위, '''{{{#gold Hero}}}, {{{#green Skald}}}''' 5점 공동 7위로, 최종 결과와 비교할 시 16강 직행, 패부 진출, 탈락 여부가 같은 선수가 '''{{{#purple SUNGBIN}}}'''을 제외하고 '''단 한 명도 없다.'''] 그 트랙에서의 스노우볼이 B조의 결과를 다시 만들어낸 셈. * 특이사항 - {{{#1e90ff '''Away Side'''}}} 소속의 락스 2인이 붙어 앉게 되면서 '''{{{#green Skald}}}''', '''{{{#silver AcidFly}}}'''가 서로의 자리를 바꿀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2연속 1위가 2명이 나왔지만 두 사람 다 3연속까지는 가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이번 시즌 개인전 최초로 버스트 카트바디가 등장했고 탑승자는 '''{{{#000 Navi}}}'''였으며 나머지 선수들은 샤크 호버를 탑승했다. == 10월 21일 (토) 32강 C조 == ||<-9>
{{{#white '''32강 C조'''[br]'''R.O. 32 GROUP C'''}}} || || '''선수''' || [[유창현|{{{#black '''SPEAR[br]{{{-2 유창현}}}'''}}}]] || {{{#fff '''STRIKER[br]{{{-2 안정환}}}'''}}} || [[최영훈|{{{#white '''Guard[br]{{{-2 최영훈}}}'''}}}]] || [[고병수(프로게이머)|{{{#black '''ByungSu[br]{{{-2 고병수}}}'''}}}]] || [[송용준(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white '''Knock[br]{{{-2 송용준}}}'''}}}]] || {{{#white '''WiLL[br]{{{-2 김의지}}}'''}}} || [[이재혁|{{{#white '''Cool[br]{{{-2 이재혁}}}'''}}}]] || [[이용현|{{{#black '''SUIT[br]{{{-2 이용현}}}'''}}}]] || || 최종 1위[br]{{{-2 (예측)}}} || 18.3%[br](5.45배) ||<-2> 1.4%[br](69.61배) || 3.6%[br](27.42배) || 2.9%[br](33.51배) || 1.1%[br](90.5배) || '''70%[br](1.42배)''' || 0.9%[br](100.55배) || || 최종 8위[br]{{{-2 (예측)}}} || 1.3%[br](74.25배) || 3.7%[br](27배) || '''11.3%[br](8.82배)''' || 2.2%[br](44.55배) || 2.9%[br](34.26배) || 15.3%[br](6.5배) || 2.2%[br](44.55배) || 60.8%[br](1.64배) || || 많은 1위[br]{{{-2 (예측)}}} || 14.9%[br](6.69배) ||<-2> 1.3%[br](73.66배) || 3.3%[br](29.46배) || 2.1%[br](46.52배) || 0.9%[br](110.5배) || '''75.2%[br](1.32배)''' || 0.6%[br](147.33배) || || 라운드 수[br]{{{-2 (예측)}}} ||<-2> 6라운드 이하[br]13.6% (7.3배) ||<-2> '''7~8라운드[br]61.3% (1.63배)''' ||<-2> 9~10라운드[br]21.9% (4.56배) ||<-2> 11라운드 이상[br]3% (32.44배) || ||<-5>
{{{#white '''사용 카트바디'''}}} || || '''선수''' || {{{#black '''SPEAR[br]{{{-2 유창현}}}'''}}} || {{{#white '''STRIKER[br]{{{-2 안정환}}}'''}}} || {{{#white '''Guard[br]{{{-2 최영훈}}}'''}}} || {{{#black '''ByungSu[br]{{{-2 고병수}}}'''}}} || || 카트바디 ||<-4> '''샤크 호버 {{{-2 (Hover Shark)}}}''' || || '''선수''' || {{{#white '''Knock[br]{{{-2 송용준}}}'''}}} || {{{#white '''WiLL[br]{{{-2 김의지}}}'''}}} || {{{#fff '''Cool[br]{{{-2 이재혁}}}'''}}} || {{{#black '''SUIT[br]{{{-2 이용현}}}'''}}} || || 카트바디 ||<-4> '''샤크 호버 {{{-2 (Hover Shark)}}}''' || ||
{{{#fff '''경기'''}}} || {{{#fff '''트랙'''}}} || {{{#black '''SPEAR[br]{{{-2 유창현}}}'''}}} || {{{#white '''STRIKER[br]{{{-2 안정환}}}''' }}} || {{{#white '''Guard[br]{{{-2 최영훈}}}'''}}} || {{{#black '''ByungSu[br]{{{-2 고병수}}}'''}}} || {{{#white '''Knock[br]{{{-2 송용준}}}'''}}} || {{{#white '''WiLL[br]{{{-2 김의지}}}'''}}} || {{{#fff '''Cool[br]{{{-2 이재혁}}}'''}}} || {{{#black '''SUIT[br]{{{-2 이용현}}}'''}}} || || 01 || WKC 멕시코 투어링 랠리 || 7th 0 || '''3rd''' 5 || 4th 4 || 5th 3 || 6th 1 || '''2nd''' 7 || '''1st''' 10 || 8th -1 || || 02 || 빌리지 붐힐 터널 || '''3rd''' 5 || 8th 4 || 4th 8 || 5th 6 || 6th 2 || 7th 7 || '''1st''' 20 || '''2nd''' 6 || || 03 || 광산 꼬불꼬불 다운힐 || 5th 8 || '''1st''' 14 || 7th 8 || '''2nd''' 13 || 8th 1 || 4th 11 || '''3rd''' 25 || 6th 7 || || 04 || 월드 마이애미 드라이브 || 4th 12 || '''3rd''' 19 || 5th 11 || '''2nd''' 20 || '''1st''' 11 || 8th 10 || 6th 26 || 7th 7 || || 05 || 광산 골드러쉬 || 6th 13 || 5th 22 || 8th 10 || '''1st''' 30 || 4th 15 || '''2nd''' 17 || '''3rd''' 31 || 7th 7 || || 06 || 아이스 익스트림 경기장 || 6th 14 || '''3rd''' 27 || '''2nd''' 17 || 7th 30 || 4th 19 || 8th 16 || '''1st''' 41 || 5th 10 || || 07 || WKC 상하이 서킷 || '''3rd''' 19 || 6th 28 || 8th 16 || '''2nd''' 37 || '''1st''' 29 || 7th 16 || 4th 45 || 5th 13 || || 08 || 월드 시안 병마용 || 7th 19 || 6th 29 || 8th 15 || 5th 40 || 4th 33 || '''1st''' 26 || '''2nd''' 52 || '''3rd''' 18 || ||<-4> '''32강 C조 결과''' || || '''순위''' || '''선수''' || '''포인트''' || '''결과''' || || '''1st''' || {{{#fff '''Cool'''}}} || 52 ||<|3> '''16강 직행[br]R.O. 16''' || || '''2nd''' || {{{#000 '''ByungSu'''}}} || 40 || || '''3rd''' || {{{#fff '''Knock'''}}} || 33 || || '''4th''' || {{{#fff '''STRIKER'''}}} || 29 ||<|2> '''패자부활전 진출[br]REDEMPTION MATCH''' || || '''5th''' || {{{#fff '''WiLL'''}}} || 26 || || '''6th''' || {{{#000 '''SPEAR'''}}} || 19 ||<|3> '''탈락[br]BE ELIMINATED''' || || '''7th''' || {{{#000 '''SUIT'''}}} || 18 || || '''8th''' || {{{#fff '''Guard'''}}} || 15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DL 32-C.png|width=100%]]}}} || * 자리 배치 ||<-4><#e11> {{{#fff '''HOME SIDE'''}}} ||<|2> ||<-4><#1e90ff> {{{#000 '''AWAY SIDE'''}}} || || {{{#000 '''SPEAR'''}}} ||<#d13> {{{#fff '''Guard'''}}} ||<#1e90ff> {{{#fff '''Cool'''}}} || {{{#fff '''Knock'''}}} || {{{#000 '''SUIT'''}}} || {{{#fff '''WiLL'''}}} ||<#fff> {{{#000 '''ByungSu'''}}} ||<#000> {{{#fff '''STRIKER'''}}} || ||<-2> '''하이라이트 영상''' || || '''ROUND 6''' || [[https://youtu.be/Bj3XyWQSl9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2> '''FULL 영상''' || ||<-2> [youtube(w3bkX_Jct5c)] || * 경기 전 A, B조와는 다르게 꽤나 빡빡한 조가 나왔다. 원작 포함 '''16강에 진출해본 선수가 6명에''' 그 중 KDL에서 결승을 가본 선수도 3명으로, '''16강 경험이 있는 선수 중 한 명이 반드시 탈락하는 조'''다. '''{{{#1e90ff Cool}}}, {{{#gold SPEAR}}}'''가 16강 직행에 그나마 가까워보이고, '''{{{#purple Knock}}}, {{{#silver ByungSu}}}, {{{#e11 Guard}}}, {{{#000 STRIKER}}}, {{{#orange SUIT}}}'''가 16강 직행 한 자리와 패자부활전 진출을 두고 경쟁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green WiLL}}}''' 역시 유망주로 오랜 기간 주목받아온 만큼 포텐이 터질 시 경쟁에 합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16강 직행권으로 예상해둔 선수들 역시 누구든 뒤집히고 뒤집을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이는, 결과를 예상하기 힘든 조다. * 경기 후 '''{{{#1e90ff 쿨}}}{{{#purple 녹}}}'''듀오를 제외한 나머지 6인의 경기 전 예상이 크게 뒤집어지는 결과를 낳았다. 원작 신 빅3 일원인 '''{{{#gold SPEAR}}}가 광탈'''하는 대이변이 일어났고 중위권 싸움이 한치 앞을 알 수 없을 만큼 치열했다. 결국 패부 티켓은 '''{{{#000 STRIKER}}}, {{{#green WiLL}}}'''이 가져가며 베테랑 선수들인 '''{{{#gold SPEAR}}}, {{{#e11 Guard}}}'''를 자기 발 밑에 두는 성과도 거두는데 성공했다. * 선수 별 평가 '''{{{#dodgerblue Cool}}}''' - '''우여곡절이 있었으나 [[파란색|{{{#1e90ff 컬러}}}]]에 맞게 {{{#dodgerblue 쿨}}}한 주행을 뽐내며 {{{#1e90ff 쿨}}}하게 1등했다.''' [[HoJun]] 다음으로 우승 횟수가 제일 많았던 만큼 초반부터 2연속 1위를 기록하면서 최초의 3연속 1위를 기록하는가 싶었으나, 결국 안타깝게도 눈물을 머금을 수밖에 없었다. 그래도 전반적으로 1위를 잘 사수했고 여유롭게 16강 직행에 성공했다. 여담으로 개인전에서 공식적으로 처음 '''{{{#1e90ff 블루 시드}}}'''를 받았는데[* '''{{{#1e90ff Cool}}}'''은 원작 리그에서부터 '''{{{#1e90ff 블루라이더}}}'''로 달려본 적이 거의 없었으며 그나마 있다고 해도 결승전 2세트 1:1 당시 2번 우승을 기록한 시즌(19-2, 21-S)과 팀전 결승(20-1, 22-2, 22-S) 딱 5번이 전부였다. 개인전에서 공식적으로 추첨받은 '''{{{#1e90ff 블루레이서}}}'''로서는 이번이 처음. 물론 프리시즌2 결승 우승 당시 팀전 '''{{{#1e90ff 블루레이서}}}'''로 뛴 것이 '''{{{#1e90ff Cool}}}'''의 KDL 최초 공식 '''{{{#1e90ff 블루레이서}}}''' 기록이었다.] 컬러가 '''{{{#1e90ff 파랑색}}}'''인만큼 색깔값 하며 시원시원하게 달려 훌륭하게 경기를 마무리지었다. '''{{{#silver ByungSu}}}''' - '''인생 최초 첫 직행에 성공했다.''' 주행 면에서 큰 임팩트를 준 건 아니었지만 2021 S2 개인전에서 보여준 '''{{{#silver ByungSu}}}''' 특유의 센스로 순위권을 잘 먹는 데 성공했고, 또 많은 리그에서의 경험과 샌드박스에서의 성장까지 3개의 시너지가 잘 어우러진 플레이를 보여주었다. 이것이 크게 효과를 발휘해 조 2위로 16강에 올라갈 수 있었다. '''{{{#purple Knock}}}''' - '''후반부 뒷심이 {{{#purple Knock}}}에게 큰 도움을 주었다.''' 초반까지만 해도 점수를 못 채우며 광탈의 희생양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었으나 그 우려가 우습다는 듯 중반 이후부터 점수를 많이 쌓아가기 시작했고 그 결과 친구 '''{{{#1e90ff Cool}}}'''과 함께 16강 막차에 타는 데 성공했다. 3라운드가 가장 위기였는데, '''{{{#dodgerblue Cool}}}'''이 3연속 1위를 했으면 바로 8위로 경기 종료였지만, 다행히 '''{{{#green WiLL}}}'''을 비롯한 선수들이 '''{{{#1e90ff Cool}}}'''을 막으면서 겨우 생존할 수 있었다. '''{{{#000 STRIKER}}}''' - '''뒷심은 약간 부족했지만 오른 폼을 잘 보여주었다.''' 포디움에 제법 들긴 했지만 하위권도 3번이나 하면서 16강 직행권 점수를 쌓는데 제동이 걸려버렸고 뒤따라온 '''{{{#purple Knock}}}'''에게 따라잡히며 불과 4점 차로 패부에 내려가게 되었다. 다가오는 패부에서는 부족한 뒷심을 잘 고쳐내야 2021-2, 2022-1 당시 16강에 진출한 폼을 다시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green WiLL}}}''' - '''포텐을 제대로 터뜨리며 성공한 데뷔 신인의 생존.''' 가장 어린 선수이자 16강 또는 결승 리거가 많아 탈락 후보로 점쳐졌던 편견을 {{{#green '''WiLL'''}}}(의지)라는 이름값으로 날려버렸다. 공격적인 주행을 바탕으로 초반에 높은 점수를 여러번 따내다가 중후반 신인 특유의 뒷심 부족으로 인해 이대로 탈락하는가 싶었지만 마지막 트랙에서 집중력을 끌어올리며 1위를 기록, 기적적으로 생존에 성공하였다. 넘쳐나는 공격성과 신인답지 않은 안정성을 고루 겸비한 임팩트 있는 주행으로 팀전에 이어 개인전에서까지 리그 팬들의 눈도장을 받게 되었다. '''{{{#gold SPEAR}}}''' - '''이번 경기에서의 최대 이변의 피해자며 원작 리그에서의 개인전 결승 단골손님의 처참한 몰락.''' 상위권에 치고 올라가더라도 텐션을 유지 못 하고 고꾸라지는 모습만 카메라에 포착되었다. 이미 프리시즌 1에서 32강 광탈의 전적이 있음에도 전 시즌에서 개인전 최종 4위를 하면서 걱정을 씻어내나 했는데, 첫 정규시즌에서 다시 32강 탈락의 고배를 마시게 되면서 개인전 기량 저하에 대한 팬들의 걱정이 큰 상황이다. 아쉽지만 팀전에 집중해야 한다.[* 본인 소속 팀 선배였던 [[유영혁|Perfect]] 선수처럼 지금 개인전에 대한 행보를 따라가고 있는 상황이다. 퍼펙트 선수도 개인전에서 광탈한 경기들을 보면 사고에 휘말렸다가 탈락한 그림들이 매우 유사하다.] '''{{{#orange SUIT}}}''' - '''개인전 경험 부족이 큰 발목을 잡았다.''' 포디움에 딱 2번 든 것 제외하면 나머지 트랙들에서 별다른 두각을 드러내지 못했다. 원작 리그에서 경험이 그리 많지는 않았었으며, 복귀 텀이 길었던 탓인지 잦은 실수와 삽질을 일으키며 다른 선수들이 사고에 휘말려들게 만든 장본인이 되었다. '''{{{#e11 Guard}}}''' - '''2022년 이후 퇴보된 개인전 실력, 결국 조 꼴등으로 굴욕까지 당했다.''' 중반까지만 해도 점수를 조금만 더 쌓아서 2022-1 패부 진출 이후 오랜만에 생존에 성공할 수 있는 기대를 가져오나 싶었지만 최후반 2트랙에서 -2점밖에 먹지 못 해 감점을 당하고 끝내 꼴등이 되었다. 사실 '''{{{#e11 Guard}}}'''도 현재 --세는나이 기준으로-- 26살이고, 내년이면 27살이라 [[에이징 커브]]를 넘어서 이제 선수 생명으로 따져 보면 황혼기에 다다를 시기이기 때문에 개인전 실력 퇴보가 온 것은 당연하다는 의견이 많다. * 특이사항 - {{{#e11 '''Home Side'''}}} 내의 미래엔세종 2인, 광동 프릭스 2인이 붙어 앉게 되어 {{{#e11 '''Guard'''}}}와 '''{{{#purple Knock}}}'''이 나란히 옆자리에 앉기 때문에 '''{{{#1e90ff 쿨}}}{{{#purple 녹}}}''' 듀오가 서로의 자리를 바꾸게 된다. 또한 A조처럼 8명 전원 샤크호버를 탑승했다. == 10월 28일 (토) 32강 D조 == ||<-9>
{{{#white '''32강 D조'''[br]'''R.O. 32 GROUP D'''}}} || || '''선수''' || [[홍성민(프로게이머)|{{{#black '''Luning[br]{{{-2 홍성민}}}'''}}}]] || [[이명재(프로게이머)|{{{#fff '''DDING[br]{{{-2 이명재}}}'''}}}]] || [[박현수|{{{#white '''HyunSu[br]{{{-2 박현수}}}'''}}}]] || [[김응태|{{{#black '''Percent[br]{{{-2 김응태}}}'''}}}]] || [[김우준|{{{#fff '''WooJun[br]{{{-2 김우준}}}'''}}}]] || {{{#fff '''Promise[br]{{{-2 김진욱}}}'''}}} || [[김지환(2007)|{{{#fff '''Duzzi[br]{{{-2 김지환}}}'''}}}]] || [[문호준|{{{#black '''HoJun[br]{{{-2 문호준}}}'''}}}]] || || 최종 1위[br]{{{-2 (예측)}}} || 48.1%[br](2.07배) || 8%[br](12.45배) || 11.6%[br](8.55배) || 1%[br](98.4배) || 1.2%[br](82배) || 0.1%[br](984배) || 0.9%[br](109.33배) || '''28.8%[br]3.46배''' || || 최종 8위[br]{{{-2 (예측)}}} || 1.6%[br](60.31배) || 1.3%[br](74.23배) || 1.7%[br](56.76배) || '''7.5%[br](13.21배)''' || 9.8%[br](10.15배) || 66.9%[br](1.49배) || 7.2%[br](13.78배) || 3.6%[br](27.57배) || || 많은 1위[br]{{{-2 (예측)}}} || '''56.1%[br](1.78배)''' || 7.9%[br](12.57배) || 10%[br](9.95배) || 0.3%[br](318.66배) || 0.9%[br](106.22배) || 0.2%[br](478배) || 0.5%[br](191.2배) || '''23.8%[br](4.19배)''' || || 라운드 수[br]{{{-2 (예측)}}} ||<-2> 6라운드 이하[br]8.7% (11.46배) ||<-2> 7~8라운드[br]62.4% (1.6배) ||<-2> '''9~10라운드[br]25.3% (3.94배)''' ||<-2> 11라운드 이상[br]3.5% (28.48배) || ||<-5>
{{{#white '''사용 카트바디'''}}} || || '''선수''' || {{{#black '''Luning[br]{{{-2 홍성민}}}'''}}} || {{{#white '''DDING[br]{{{-2 이명재}}}'''}}} || {{{#white '''HyunSu[br]{{{-2 박현수}}}'''}}} || {{{#black '''Percent[br]{{{-2 김응태}}}'''}}} || || 카트바디 ||<-4> {{{#black '''샤크 호버 {{{-2 (Hover Shark)}}}'''}}} || || '''선수''' || {{{#white '''WooJun[br]{{{-2 김우준}}}'''}}} || {{{#white '''Promise[br]{{{-2 김진욱}}}'''}}} || {{{#fff '''Duzzi[br]{{{-2 김지환}}}'''}}} || {{{#black '''HoJun[br]{{{-2 문호준}}}'''}}} || ||<|2> 카트바디 || {{{#black '''이클립스 알파[br]{{{-2 (Eclipse Alpha)}}}'''}}} ||<|2><-3> {{{#black '''샤크 호버 {{{-2 (Hover Shark)}}}'''}}} || || {{{#black '''샤크 호버 {{{-2 (Hover Shark)}}}'''}}} || ||
{{{#fff '''경기'''}}} || {{{#fff '''트랙'''}}} || {{{#black '''Luning[br]{{{-2 홍성민}}}'''}}} || {{{#white '''DDING[br]{{{-2 이명재}}}''' }}} || {{{#white '''HyunSu[br]{{{-2 박현수}}}'''}}} || {{{#black '''Percent[br]{{{-2 김응태}}}'''}}} || {{{#white '''WooJun[br]{{{-2 김우준}}}'''}}} || {{{#white '''Promise[br]{{{-2 김진욱}}}'''}}} || {{{#fff '''Duzzi[br]{{{-2 김지환}}}'''}}} || {{{#black '''HoJun[br]{{{-2 문호준}}}'''}}} || || 01 || WKC 상하이 서킷 || 7th 0 || '''2nd''' 7 || '''3rd''' 5 || 6th 1 || 8th -1 || 5th 3 || 4th 4 || '''1st''' 10 || || 02 || 포레스트 지그재그 || '''2nd''' 7 || 5th 10 || '''3rd''' 10 || 4th 5 || 7th -1 || 6th 4 || 8th 3 || '''1st''' 20 || || 03 || 월드 시안 병마용 || 7th 7 || 4th 14 || '''1st''' 20 || 8th 4 || '''3rd''' 4 || 5th 7 || 6th 4 || '''2nd''' 27 || || 04 || WKC 멕시코 투어링 랠리 || '''1st''' 17 || '''3rd''' 19 || '''1st''' 30 || 8th 3 || 4th 8 || 6th 8 || 5th 7 || 7th 27 || || 05 || 팩토리 미완성 5구역 || 8th 16 || '''2nd''' 26 || 4th 34 || '''1st''' 13 || 7th 8 || 5th 11 || 6th 8 || '''3rd''' 32 || || 06 || 광산 골드러쉬 || 4th 20 || '''2nd''' 33 || '''3rd''' 39 || 6th 14 || 8th 7 || '''1st''' 21 || 7th 8 || 5th 35 || || 07 || 월드 마이애미 드라이브 || '''3rd''' 25 || 8th 32 || 6th 40 || 7th 14 || '''1st''' 17 || 4th 25 || 5th 11 || '''2nd''' 42 || || 08 || 아이스 익스트림 경기장 || '''1st''' 35 || '''3rd''' 37 || 5th 43 || 8th 13 || 6th 18 || 7th 25 || '''2nd''' 18 || 4th 46 || || 09 || 아이스 설산 다운힐 || '''1st''' 45 || 8th 36 || 7th 43 || '''3rd''' 18 || '''2nd''' 25 || 6th 26 || 4th 22 || 5th 49 || || 10 || 빌리지 붐힐 터널 || 6th 46 || '''2nd''' 43 || '''3rd''' 48 || 4th 22 || 7th 25 || 8th 25 || 5th 25 || '''1st''' 59 || ||<-10> 5위 결정 타이브레이커 {{{#purple '''WooJun'''}}} vs {{{#green '''Promise'''}}} vs {{{#dodgerblue '''Duzzi'''}}} || || TB || WKC 상하이 서킷 ||<-4> X || {{{#fff '''승'''}}} || {{{#green '''패 (3위)'''}}} || {{{#dodgerblue '''패 (2위)'''}}} || X || ||<-5> '''32강 D조 결과''' || || '''순위''' || '''선수''' || '''포인트''' || '''비고''' || '''결과''' || || '''1st''' || {{{#000 '''HoJun'''}}} || 59 || 50점제 최고 점수 ||<|3> '''16강 직행[br]R.O. 16''' || || '''2nd''' || {{{#fff '''HyunSu'''}}} || 48 || || || '''3rd''' || {{{#000 '''Luning'''}}} || 46 || || || '''4th''' || {{{#fff '''DDING'''}}} || 43 || ||<|2> '''패자부활전 진출[br]REDEMPTION MATCH''' || || '''5th''' || {{{#fff '''WooJun'''}}} ||<|3> 25 || TIE-BREAK 승 || || '''6th''' || {{{#fff '''Duzzi'''}}} ||<|2> TIE-BREAK 패 ||<|3> '''탈락[br]BE ELIMINATED''' || || '''7th''' || {{{#fff '''Promise'''}}} || || '''8th''' || {{{#000 '''Percent'''}}} || 22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 KDL 32-D.png|width=100%]]}}} || * 자리 배치 ||<-4><#e11> {{{#fff '''HOME SIDE'''}}} ||<|2> ||<-4><#1e90ff> {{{#000 '''AWAY SIDE'''}}} || || {{{#000 '''Luning'''}}} || {{{#fff '''WooJun'''}}} ||<#d13> {{{#fff '''HyunSu'''}}} ||<#1e90ff> {{{#fff '''Duzzi'''}}} || {{{#000 '''HoJun'''}}} || {{{#fff '''Promise'''}}} ||<#fff> {{{#000 '''Percent'''}}} ||<#000> {{{#fff '''DDING'''}}} || ||<-2> '''하이라이트 영상''' || || '''ROUND 2''' || [[https://youtu.be/WqBJxivy2V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 '''TIE-BREAK''' || [[https://youtu.be/6DLG8gBjog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2> '''FULL 영상''' || ||<-2> [youtube(OcxltyQ1pmc)] || * 경기 전 '''C조를 능가하는 이번 시즌 최악의 헬조'''로, 이 조에서는 '''저번 시즌의 16강 리거 중 한 명이 반드시 탈락'''한다. 저번 시즌 우승자인 '''{{{#gold Luning}}}'''과 결승리거인 '''{{{#000 DDING}}}''', 16강 리거인 '''{{{#orange HoJun}}}, {{{#e11 HyunSu}}}, {{{#1e90ff Duzzi}}}, {{{#purple WooJun}}}'''이 16강 직행과 패자부활전 진출을 두고 경쟁할 것으로 보인다. 결승리거 두 명이 조금 더 직행권에 가까워보이지만 언제든 뒤집힐 수 있으며, 이번 시즌 개인전에만 출전하는 '''{{{#silver Percent}}}''' 역시 원작에서 결승 경험이 있는 만큼 저력이 있다고 보인다. 상대적으로 개인전 데뷔인 {{{#green '''Promise'''}}} 선수가 힘을 쓰기에는 힘들어보이나 첫 데뷔하자마자 상위 라운드에 진출한 사례도 드문드문 있어서 어떤 반전이 있을지 예측이 쉽지 않다.[* 당장 '''직전 C조'''에서 첫 출전의 WiLL이 패자부활전에 진출하고 '''원작리그 우승경험'''과 직전 프리시즌2 4위를 기록했던 '''[[유창현|SPEAR]]가 탈락'''하는 이변이 성사되었다. 멀리 갈 것 없이 프리시즌1만 보더라도, 무려 '''{{{#orange HoJun}}}'''이 탈락하는 이변이 벌어지기도 했다. 그것도 '''조 7위로!'''][* 절대 1약으로 평가받던 사람이 오히려 날뛰어 조를 혼란스럽게 만들면 죽음의 조를 넘어 '''지옥의 조'''가 되는데, 원작리그에서도 이런 사례가 있었다. 22-2 C조에서 절대 1약, 탈락 1순위로 여겨졌던 [[최승현(프로게이머)|Navi]]가 무려 '''조 2위'''로 패자부활전도 아니고 '''16강 직행'''을 해 버렸다. 이로 인해 탈락했던 선수는 [[강다훈]], [[전대웅]], [[최영훈|Guard]]였는데 이 세 선수 모두 원작리그 결승 경험이 있는 베테랑이다. 그리고 해당 리그에서 Navi는 '''16강 최종전'''까지 진출했다.] * 경기 후 4트랙 멕시코 투어링 랠리에서 '''{{{#gold Luning}}}'''과 '''{{{#e11 HyunSu}}}'''가 '''동타 기록'''으로 들어왔고, 여기에 '''{{{#000 DDING}}}'''이 0.001초 차이로 들어왔을 만큼 치열한 경기였음을 보여주었다. 여기다 이번 시즌 최초, 그것도 '''5위 결정전 3자 타이브레이크'''까지 펼쳐지는 등 보는 이들의 눈을 즐겁게 해줬다. * 선수 별 평가 '''{{{#orange HoJun}}}''' - '''다시 돌아온 황제, 2020-1 D조 이후 간만에 조 1위 차지, 2020-1 결승전 1세트 1위 이후 1253일만에 8인전 1위를 달성했다.''' 프리시즌 동안 개인전에서 비웃음만 자아내고 무릎을 꿇었던 굴욕을 떨쳐내고 드디어 모처럼 조 1위로 여유롭게 16강으로 직행했다. 팀전에서도 데스페라도를 6-0으로 압살하고 개인전까지 장악해버리며 이제야 '''{{{#orange HoJun}}}'''다운 경기력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e11 HyunSu}}}''' - '''샌드박스 주장의 지켜진 자존심.''' 무난하게 연금메타로 점수를 쌓으며 [[박인수|InSoo]]에 뒤이어 "16강 직행하는 멋넴주" 타이틀을 지켜내는데 성공했다. 중간에 2연속 1위까지 노려볼만 했지만 아쉽게 저지되기도 하였다. '''{{{#gold Luning}}}''' - '''역시 프리시즌2 개인전 1위다운 포스로 개인전의 달인급 주행을 보여줬다.''' 기복이 약간 보이긴 했어도 상위권을 잘 수성해냈으며 '''{{{#gold Luning}}}''' 본인 스스로도 만족할만한 좋은 경기력을 뽐내는데 성공했다. 여담으로 '''{{{#orange HoJun}}}'''과 함께 1위를 3번이나 해내며 이번 경기 최다 1위를 수성한 2인 선수 중 하나가 되었다. '''{{{#000 DDING}}}''' - '''팀전과는 다른 개인전 실력, 그러나 프리시즌만큼의 폼은 보여주지 못 했다.''' 조금 전 에결패의 충격이 컸음에도 불구하고 2-3위를 잘 먹긴 했고, 43점이라는 고득점에도 성공했으나 다른 선수들이 더 점수를 많이 쌓으면서 패부로 떨어졌다. 프리시즌에서 16강 직행 성공을 생각하면 마지막 붐힐터널 2위 등은 아쉬울 법하고, 이전 21-2 시즌에도 40점대의 고득점으로 16강 패자조로 떨어진 후 그대로 탈락했던 것을 생각했을 때 다가오는 패부에서는 멘탈을 좀 더 잡을 필요가 있어보인다. '''{{{#purple WooJun}}}''' - '''타이브레이크가 살려낸 {{{#purple WooJun}}}의 운명.''' 점수를 쌓는 방식이 다소 극단적이었기에 중반부까지는 탈락 위기까지도 갔었는데 후반에 1위와 2위를 한번씩 기록하며 점수를 쌓아 결국 타이브레이크가 진입하는 점수대까지 올리는 것에 성공하였고, 타이브레이크에서 '''{{{#1e90ff Duzzi}}}, {{{#green Promise}}}'''를 근소한 차이로 물리치고 패부 막차를 타게 되었다. '''{{{#dodgerblue Duzzi}}}''', '''{{{#green Promise}}}''' - '''타이브레이크의 안타까운 희생양.''' 둘 다 각자 포디움 한번씩을 제외하면 다소 지지부진하게 점수를 쌓느라 크게 치고 올라가지 못했다. 특히 '''{{{#green Promise}}}'''는 함께 타이브레이크를 간 다른 두 명과 7점 차이로 안정적 5등이었던 것을 7-6-8이라는 순위로 깎아먹으면서 타이브레이크에 끌려가버린 상황이라 첫 개인전 출전임을 감안하더라도 아쉬운 부분. '''{{{#silver Percent}}}''' - '''원작 리그 결승리거의 무너진 자존심.''' 5구역 1위, 설산 3위 한번씩 하며 15점을 쌓기는 했으나 나머지 트랙에서 고작 '''7점'''을 쌓으며 혹시나 하는 기대감을 충족하지는 못했다. 다만 두 번의 프리시즌에서 16강 진출에 성공한 적이 없었기 때문에 아주 예상 외의 탈락은 아니었고, 대신 승리 포즈로 웃음과 재미는 강렬하게 남긴 채 개인전에서 임팩트 있게 경기를 마무리지었다. * 특이사항 - '''{{{#e11 Home Side}}}''' 내의 피날레 2인이 붙어 앉게 되어 '''{{{#purple WooJun}}}, {{{#e11 HyunSu}}}'''가 서로의 자리를 바꾼다. 또한 '''{{{#orange HoJun}}} 선수가 최초로 {{{#orange 오렌지 시드}}}를 받고''' 경기에 참여한다.[* '''{{{#orange HoJun}}}''' 선수는 지금까지 '''{{{#silver 화이트}}}''' 이상 급으로 시드를 받고 시작하였지만 최하위 '''{{{#orange 오렌지}}}''' 시드로 받고 레이서에 참가하는 경우는 이번 경기가 최초이다.] 그리고 '''KDL 정규리그 최초 타이브레이크가, 그것도 3자 타이브레이크가 오랜만에 성립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번 개인전에서 처음으로 이클립스 알파 카트가 등장했는데 '''{{{#purple WooJun}}}''' 선수가 탑승했다. == 11월 4일 (토) 32강 패자부활전 == ||<-9>
{{{#white '''32강 패자부활전'''[br]'''R.O. 32 REDEMPTION MATCH'''}}} || || '''선수''' || [[이명재(프로게이머)|{{{#black '''DDING[br]{{{-2 이명재}}}'''}}}]] || {{{#white '''Squad[br]{{{-2 정승준}}}'''}}} || [[김다원(프로게이머)|{{{#white '''Hero[br]{{{-2 김다원}}}'''}}}]] || [[안정환(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black '''STRIKER[br]{{{-2 안정환}}}'''}}}]] || {{{#white '''Skald[br]{{{-2 최지혁}}}'''}}} || {{{#white '''WiLL[br]{{{-2 김의지}}}'''}}} || {{{#white '''Hong[br]{{{-2 이홍일}}}'''}}} || [[김우준|{{{#black '''WooJun[br]{{{-2 김우준}}}'''}}}]] || || '''32강[br]평균 점수''' || 4.30점[br](43/10) || 3.71점[br](26/7) || 3.63점[br](29/8)[* 마지막 트랙 5위] || 3.63점[br](29/8)[* 마지막 트랙 6위] || 3.38점[br](27/8) || 3.25점[br](26/8) || 3.00점[br](21/7) || 2.50점[br](25/10) || || '''32강 순위''' || D조 4위 || A조 4위 || B조 4위 || C조 4위 || B조 5위 || C조 5위 || A조 5위 || D조 5위 || || '''16강 조 선택''' ||<-3> 1경기 ||<-2> 2경기 ||<-2> 1경기 || 2경기 || || '''최종 1위[br]{{{-2 (예측)}}}''' || 14.7%[br](6.79배) || 0.4%[br](244.5배) || 76.4%[br](1.3배) || '''4.6%[br](21.73배)''' || 0.4%[br](244.5배) || 2%[br](48.9배) || 0.3%[br](326배) || 1%[br](97.8배) || || '''최종 3위[br]{{{-2 (예측)}}}''' || '''21.2%[br](4.71배)''' || 1.5%[br](64.4배) || 6.4%[br](15.58배) || 44.9%[br](2.22배) || 2.6%[br](37.15배) || 8.9%[br](11.23배) || 2.8%[br](34.5배) || 11.3%[br](8.78배) || || '''많은 1위[br]{{{-2 (예측)}}}''' || 14.3%[br](6.99배) || 0.4%[br](241.25배) || '''77.9%[br](1.28배)''' || 4%[br](24.74배) || 0.2%[br](482.5배) || 1.3%[br](74.23배) || 0.5%[br](193배) || 1.2%[br](80.41배) || || '''라운드 수[br]{{{-2 (예측)}}}''' ||<-2> 6라운드 이하[br]8.4% (11.76배) ||<-2> '''7~8라운드[br]58.9% (1.69배)''' ||<-2> 9~10라운드[br]27.7% (3.6배) ||<-2> 11라운드 이상[br]4.7% (20.97배) || ||<-5>
{{{#white '''사용 카트바디'''}}} || || '''선수''' || {{{#black '''DDING[br]{{{-2 이명재}}}'''}}} || {{{#white '''Squad[br]{{{-2 정승준}}}'''}}} || {{{#white '''Hero[br]{{{-2 김다원}}}'''}}} || {{{#black '''STRIKER[br]{{{-2 안정환}}}'''}}} || || 카트바디 ||<-4> {{{#black '''샤크 호버 {{{-2 (Hover Shark)}}}'''}}} || || '''선수''' || {{{#white '''Skald[br]{{{-2 최지혁}}}'''}}} || {{{#white '''WiLL[br]{{{-2 김의지}}}'''}}} || {{{#white '''Hong[br]{{{-2 이홍일}}}'''}}} || {{{#black '''WooJun[br]{{{-2 김우준}}}'''}}} || || 카트바디 ||<-4> {{{#black '''샤크 호버 {{{-2 (Hover Shark)}}}'''}}} || ||
{{{#fff '''경기'''}}} || {{{#fff '''트랙'''}}} || [[이명재(프로게이머)|{{{#black '''DDING[br]{{{-2 이명재}}}'''}}}]] || {{{#white '''Squad[br]{{{-2 정승준}}}'''}}} || [[김다원(프로게이머)|{{{#white '''Hero[br]{{{-2 김다원}}}'''}}}]] || [[안정환(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black '''STRIKER[br]{{{-2 안정환}}}'''}}}]] || {{{#white '''Skald[br]{{{-2 최지혁}}}'''}}} || {{{#white '''WiLL[br]{{{-2 김의지}}}'''}}} || {{{#white '''Hong[br]{{{-2 이홍일}}}'''}}} || [[김우준|{{{#black '''WooJun[br]{{{-2 김우준}}}'''}}}]] || || 01 || 아이스 익스트림 경기장 || '''1st''' 10 || 6th 1 || 5th 3 || '''2nd''' 7 || 7th 0 || 8th -1 || 4th 4 || '''3rd''' 5 || || 02 || 빌리지 붐힐 터널 || '''3rd''' 15 || 8th 0 || '''1st''' 13 || 4th 11 || '''2nd''' 7 || 7th -1 || 6th 5 || 5th 8 || || 03 || 월드 시안 병마용 || 6th 16 || 5th 3 || '''1st''' 23 || '''2nd''' 18 || 4th 11 || '''3rd''' 4 || 8th 4 || 7th 8 || || 04 || WKC 멕시코 투어링 랠리 || '''1st''' 26 || 6th 4 || 5th 26 || 4th 22 || 8th 10 || '''2nd''' 11 || 7th 4 || '''3rd''' 13 || || 05 || 광산 꼬불꼬불 다운힐 || 5th 29 || 8th 3 || '''1st''' 36 || '''2nd''' 29 || 4th 14 || 7th 11 || 6th 5 || '''3rd''' 18 || || 06 || 광산 골드러쉬 || 4th 33 || 7th 3 || '''3rd''' 41 || '''2nd''' 36 || 6th 15 || '''1st''' 21 || 8th 4 || 5th 21 || || 07 || 아이스 설산 다운힐 || 8th 32 || 7th 3 || 4th 45 || '''3rd''' 41 || 6th 16 || '''1st''' 31 || '''2nd''' 11 || 5th 24 || || 08 || 포레스트 지그재그 || '''2nd''' 39 || 8th 2 || '''3rd''' 50 || '''1st''' 51 || 7th 16 || 4th 35 || 6th 12 || 5th 27 || ||<-5> '''32강 패자부활전 결과''' || || '''순위''' || '''선수''' || '''포인트''' || '''비고''' || '''결과''' || || '''1st''' || {{{#000 '''STRIKER'''}}} || 51 || 16강 2경기 진출 ||<|4> '''16강 진출[br]R.O. 16''' || || '''2nd''' || {{{#fff '''Hero'''}}} || 50 || 16강 1경기 진출 || || '''3rd''' || {{{#000 '''DDING'''}}} || 39 || 16강 1경기 진출 || || '''4th''' || {{{#fff '''WiLL'''}}} || 35 || 16강 2경기~~1경기~~ 진출[* 1경기를 선택했으나 순위상 '''{{{#gold DDING}}}'''에게 밀려나며 2경기로 자동 배정되었다.] || || '''5th''' || {{{#000 '''WooJun'''}}} || 27 || ||<|4> '''탈락[br]BE ELIMINATED''' || || '''6th''' || {{{#fff '''Skald'''}}} || 16 || || || '''7th''' || {{{#fff '''Hong'''}}} || 12 || || || '''8th''' || {{{#fff '''Squad'''}}} || 2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 KDL 32-RM.png|width=100%]]}}} || * 자리 배치 ||<-4><#e11> {{{#fff '''HOME SIDE'''}}} ||<|2> ||<-4><#1e90ff> {{{#000 '''AWAY SIDE'''}}} || || {{{#000 '''DDING'''}}} ||<#d13> {{{#fff '''Hero'''}}} || {{{#fff '''Skald'''}}} ||<#1e90ff> {{{#fff '''Hong'''}}} || {{{#000 '''WooJun'''}}} || {{{#fff '''WiLL'''}}} ||<#fff> {{{#000 '''STRIKER'''}}} ||<#000> {{{#fff '''Sqaud'''}}} || ||<-2> '''하이라이트 영상''' || || '''ROUND 8''' || [[https://youtu.be/GlcZ6vWS5v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2> '''FULL 영상''' || ||<-2> [youtube(iSa3dDHMz4I)] || * 경기 전 예상을 뚫고 신인 선수들 위주[* 이번 시즌 데뷔한 '''{{{#000 Squad}}}''', '''{{{#green WiLL}}}'''은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패부에 진출했고, 프리시즌2때 데뷔한 '''{{{#purple Skald}}}''' 또한 패자부활전에 진출했다.]로 구성된 패자부활전으로 32강에서 모두가 좋은 쪽이든 나쁜 쪽이든 이변을 일으켰다고 봐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그래도 '''{{{#gold DDING}}}, {{{#e11 Hero}}}''' 2인이 패부 1위를 두고 다툴 것으로 예상되고 나머지 6인이 16강 막차 티켓을 가져가기 위해 경합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패자부활전이 원작리그 때 '''이변의 장'''이었던 걸 생각하면, 언제든 '''이변은 일어날 수 있다.'''[* 20-2 시즌에서는 당시 결승리거 3명인 [[신종민|Bob]], [[박도현(2001)|박도현]], [[전대웅]]이 탈락하는 충격을 선사했고, 21-1 시즌은 팀전에서도 커리어 로우를 찍던 '''[[유영혁|Perfect]]'''가 커리어 사상 최초로 32강에서 탈락하였다. 21-2 시즌은 탈락 후보로 여겨지던 '''{{{#silver STRIKER}}}'''가 깜짝 1등을 차지하였고 당시 프로팀 소속 선수 3명([[임재원(프로게이머)|Seize]](당시 광동 소속),[[신종민|Bob]](당시 ROX 소속),[[한승철|Iron]](당시 SGA 소속))이 탈락하였다. 또한 22-1 패부는 '''[[유창현|SPEAR]]''', [[최영훈|Guard]], '''[[유영혁|Perfect]]''', [[임재원(프로게이머)|Seize]] 등 리그 터줏대감들이 몇몇 껴있었고 그 중 Guard는 패부에서 강다훈에게 1점 차이로 떨어졌고 Seize는 아예 18위 징크스(…)를 재림시키기도 했다. 이 경기 전까지 최후의 패자부활전인 22-2 패부에서는 '''{{{#gold DDING}}}'''이 승부예측 '''1%'''를 뚫어내고 1위를 차지했다.] * 경기 후 '''결과는 예상 외로, 과정은 예상대로.''' 초반부터 상위권 3인 / 중위권 3인 / 하위권 2인 3그룹으로 나뉘더니 중후반부터 '''{{{#green WiLL}}}'''이 치고 올라가며 사실상 패부 4인이 결정되었고 이후 경기는 인터뷰 차지 싸움으로 경기 양상이 흘러갔다. * 선수 별 평가 '''{{{#silver STRIKER}}}''' - '''그 누구도 예상 못한 다크호스이자 2021-2 패부의 재림.''' 2424223이라는 극한의 연금술을 시전하며 1등 없이도 종합순위 안정권에 꾸준히 들었고 마지막 1위로 방점을 찍으며 4.8%의 예측을 뚫고 종합 순위 1위를 차지하는 데에 성공했다. 본인도 인터뷰에서 그랬듯 2년 전 이맘때 패부에서 [[안정환]]을 연상시키듯 이름값 했던 그때의 데자뷰였다고 소감을 말하기도. '''{{{#e11 Hero}}}''' - '''1점 차이의 아쉬운 2위지만 충분한 실력을 보여주었다.''' 1위를 가장 많이 했으나 다른 그 이외의 트랙에서는 5위를 기록하기도 하는 등, 높은 1위 예측과 달리 다소 아슬아슬한 순위싸움을 보여주었다. 그럼에도 개인 점수로는 50점을 찍는 등 아주 넉넉하게 패부를 통과하는 데에 성공하며 '곡예사'라는 별명이 무색하지 않았다. '''{{{#gold DDING}}}''' - '''약간의 잔실수가 있긴 했지만 노련함으로 이겨냈다.''' 초반 좋은 흐름에 비해 힘이 떨어지면서 7트랙에서 8위를 기록하기도 하였으나, 점수 격차가 넉넉히 벌어져있었고 마지막 트랙에서 2위로 마무리하면서 3위로 통과하는 데에 성공하였다. '''{{{#green WiLL}}}''' - '''중후반 뒷심이 {{{#green WiLL}}}의 운명을 좌우했다.''' 첫 스타트를 8-7로 하면서 어린 신인의 아쉬운 모습을 보여주나 했으나, 3트랙부터 3-2-7-1-1로 급격하게 포인트를 쌓으며 순위를 상승시켜 결승리거로 유명한 '''{{{#orange WooJun}}}'''을 밀어내고 16강행을 확정지었다. '''{{{#orange WooJun}}}''' - '''16강 리거 답지 않게 패부에서 작별 인사를 해야만 했다.''' 3위도 많이 했고 5위도 많이 하는 등, 연금을 나름대로 쌓으며 안정적이었으나 '''정말 5위만 많이 한 것'''이 문제가 되었다. 어느 정도 포디움을 독식하는 것이 아닌 중위권에서 집을 짓는 연금메타는 한계가 있다는 것. 크게 점수가 치고 나가지 못하면서 결국 중후반부에 '''{{{#green WiLL}}}'''에게 역전당해 아쉽게 개인전을 마감지었다. '''{{{#purple Skald}}}''' - '''경기 내에서 존재감을 보여주지 못하고 무난하게 탈락했다.''' 주로 상위권에 올라와도 그 순위를 오래 유지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2트랙의 2위를 제외하고는 포디움 진입에 실패, 점수를 크게 쌓지 못하면서 이번 시즌 개인전을 마감지었다. '''{{{#dodgerblue Hong}}}''' - '''패부 경기 최고 폭탄.''' 무난하게 주행하는 듯 싶다가도 과감한 싸움을 시도하다가 오히려 사고를 내거나 혼자 죽기도 하고 심지어 다른 선수들이 '''{{{#1e90ff Hong}}}'''의 삽에 휘말려드는 등 폭탄의 장본인이 되며 다소 아쉬운 경기력을 보여주고 말았다. '''{{{#000 Squad}}}''' - '''존재감이 많이 부족했던 아쉬운 신인의 모습.''' 경기 내내 상위권에 좀처럼 모습을 드러내지 못하고 계속 하위권에만 묶이면서 4위 이상의 상위권을 한번도 기록하지 못하고 일찌감치 생존 싸움에서 멀어지고 말았다. 끝내 조 꼴등으로 개인전을 마치게 되었다. * 특이사항 - 패부 진출에 성공한 4인 전원이 최소 1번씩 1위를 가져가는데 성공했다. 그리고 A,C조처럼 8인 전원이 샤크호버를 탑승했다. 마지막으로 라인입이 상위권 시드(1-4번)가 각 조 4위를, 하위권 시드(5-8번)가 각 조 5위를 차지한 선수들로 배정되었다. == 32강 정리표 == [include(틀:2023 KDL 개인전 32강 정리표)] [[분류:2023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