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16강)] [include(틀: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목차] == 개요 == ||<-3> [[파일: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로고_좌우_White.svg|height=70]][br]'''{{{#A3D930 AFC 아시안컵}}} {{{#A3D930 카타르 2023}}} {{{#A3D930 16강 2경기}}}[br]{{{#A3D930 2024년 1월 29일 (월) 01:00 (UTC+9)}}}''' || ||<-3> '''[[아흐마드 빈 알리 스타디움|{{{#A3D930 아흐마드 빈 알리 스타디움}}}]] (알라이얀, 카타르)''' || ||<-3> '''{{{#A3D930 주심: 아라키 유스케 (일본)}}}''' || ||<-3> '''{{{#A3D930 관중: 33,584명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71112 2%, transparent 2%, transparent 98%, #d71112 98%), repeating-linear-gradient(135deg, #fff 6%, #fff 12%, #eee 12%, #eee 18%)" [[파일:Tajikistan_FA.png|height=100]]}}} ||<|2> {{{+5 '''1 : 1[br](5 PSO 3)'''}}} || [[파일: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100]] || || '''[[타지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d71112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width=30]] 타지키스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2%, #fff 2%, #fff 98%, #000 98%)" '''[[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30]] {{{#e61e19 아랍에미리트}}}]]'''}}} || || '''30' 바흐다트 하노노프 (A. [[조이르 주라보예프|{{{#373a3c,#ddd 조이르 주라보예프}}}]])'''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90+5' 할리파 알함마디 (A. 알리 살레)''' || ||<-3> '''[[https://www.the-afc.com/en/matches/afc-asian-cup/2023/2363560|{{{#260259,#8066FB 경기 보고서}}}]] | [[https://youtu.be/|{{{#260259,#8066FB 경기 하이라이트}}}]] | [[https://youtu.be/|{{{#260259,#8066FB 경기 풀영상}}}]]''' || ||<-3> '''{{{#A3D930 Man of the Match: }}}''' || ||<-3> '''국내 중계''' || || [[tvN SPORTS|[[파일:tvN SPORTS 로고 가로형.svg|height=16]]]]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60259; color: #A3D930; font-size: .8em" 캐스터}}}[br][[이인환|{{{#373a3c,#dddddd 이인환}}}]]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60259; color: #A3D930; font-size: .8em" 해설자}}}[br][[김오성|{{{#373a3c,#dddddd 김오성}}}]] || || [[쿠팡플레이|[[파일:쿠팡플레이(2024)2.png|width=100%&theme=light]][[파일:쿠팡플레이로고(2024).webp|width=100%&theme=dark]]]]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60259; color: #A3D930; font-size: .8em" 캐스터}}}[br][[소준일|{{{#373a3c,#dddddd 소준일}}}]]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60259; color: #A3D930; font-size: .8em" 해설자}}}[br][[이상윤(축구인)|{{{#373a3c,#dddddd 이상윤}}}]] ||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16강 2경기 [[타지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타지키스탄]]과 [[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아랍에미리트]]와의 경기 기록에 대해 서술한 문서. == 경기 전 전망 == 이란 vs 시리아와 함께 가장 먼저 대진이 확정된 경기로, A조와 C조 최종전에서 각각 쫄깃한 혈투 끝에 드라마를 작성한 두 팀이 격돌한다.[* 엄밀히 말하면 타지키스탄은 16강 탈락에서 진출로 올라온 것이고, UAE는 조 3위를 해도 대진표가 어려워질 뿐 16강 자체는 유력했기 때문에 동일한 상황은 아니긴 하다. 다만 UAE 입장에서는 팔레스타인과 자리가 바뀌면 타지키스탄이 아닌 '''개최국 카타르'''를 16강부터 만나야 했다.] 전문가들이 UAE의 우세를 보고 있듯 객관적인 전력은 당연히 2대회 연속 아시안컵 4강을 기록한[* 심지어 1996년 아시안컵에서 '''준우승'''을 한 전적도 있다.] UAE가 첫 출전인 타지키스탄을 압도한다. 다만 조별리그 3경기에서 UAE의 경기력이 그다지 좋지 못했으며[* 이란전은 후반 추가시간 단 한 번의 롱볼로 만회골을 넣었을 뿐 경기 내내 이란에게 일방적으로 털렸고, 팔레스타인전은 1명이 퇴장당했다고는 하나 객관적인 전력에서 한 수 아래인 팔레스타인에게 60분 동안 두들겨 맞았다. 그나마 대승한 홍콩전도 PK골만 2개였다.] 반대로 타지키스탄은 골 결정력이 별로였을 뿐 경기력 자체는 나쁘지 않았기에 양팀의 준비성 여부에 따라 충분히 타지키스탄이 이변을 만들어낼 가능성도 있다. 일단 양 팀의 축구 컨셉 자체가 비슷하기 때문에[* 두 팀 모두 후방에서부터 만들어가는 축구를 기본 컨셉으로 하고 있다.] 어느 한 쪽이 상대 맞춤 전략을 들고 나올 가능성도 충분하다. == 경기 내용 == ||<-4> '''타지키스탄 선발 명단 4-4-2[br]감독: [[페타르 셰그르트|{{{#d71112 페타르 셰그르트}}}]]''' || ||<-4> GK[br]1. 루스탐 야티노프 || || RB[br]5. 마누체흐르 사파로프 || CB[br]6. 바흐다트 하노노프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30' || CB[br]2. [[조이르 주라보예프]] || LB[br]19. 아흐탐 나자로프 || || RM[br]15. 셰르보니 마바초에프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height=15px]] 85'[br]11. 무함마존 라히모프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height=15px]] 85' || CM[br]14. [[알리셰르 슈쿠로프]] || CM[br]7. [[파르비존 우마르바예프]] [[파일:주장 아이콘.svg|height=15]]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height=15px]] 85'[br]3. 타브레지 다블라트미르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height=15px]] 85' || LM[br]17. 에흐손 판즈샨베 || ||<-2> CF[br]10. 알리셰르 잘릴로프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height=15px]] 72'[br]25. [[누리딘 함로쿨로프]]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height=15px]] 72'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20]] 116' ||<-2> CF[br]22. 샤롬 사미예프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height=15px]] 72'[br]9. [[루스탐 소이로프]]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height=15px]] 72' || ||<-4> || ||<-4> CF[br]11. 카이우 카네두 || ||<-4> {{{#!wiki style="margin: -16px -11px;" || LAM[br]20. 야히아 알가사니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20]] 69' || CAM[br]8. 타눈 알자비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height=20]] 84'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height=15px]] 90'[br]5. 알리 살민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height=15px]] 90' || RAM[br]10. [[파비우 리마]] ||}}} || ||<-2> CDM[br]18. 압둘라 라마단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height=15px]] 16'[br]14. 압둘라 하마드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height=15px]] 16'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height=15px]] 61'[br]9. 알리 살레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height=15px]] 61' ||<-2> CDM[br]15. 야히아 나데르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height=15px]] 73'[br]6. 마지드 라시드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height=15px]] 73' || || LB[br]26. 바데르 나세르 || CB[br]4. [[할리드 알하셰미]]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height=15px]] HT'[br]2. 압둘라 이드리스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height=15px]] HT' || CB[br]12. 할리파 알함마디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90+5' || RB[br]3. [[자예드 술탄]]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height=15px]] 61'[br]19. 할레드 이브라힘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height=15px]] 61' || ||<-4> GK[br]17. [[칼리드 에이사]] [[파일:주장 아이콘.svg|height=15]] || ||<-4> '''아랍에미리트 선발 명단 4-2-3-1[br]감독: [[파울루 벤투|{{{#e61e19 파울루 벤투}}}]]''' || ||
{{{#!folding 승부차기 [ 펼치기 · 접기 ] ||<-5> '''승부차기''' || ||<-2> '''선축'''[br]{{{-1 (GK: 루스탐 야티노프)}}} ||<|2> '''{{{+5 {{{#A3D930 5 : 3}}}}}}''' ||<-2> '''후축'''[br]{{{-1 (GK: [[칼리드 에이사|{{{#000 칼리드 에이사}}}]])}}} || ||<-2> '''{{{#d71112 타지키스탄}}}''' ||<-2> '''{{{#e61e19 아랍에미리트}}}''' || || 아흐탐 나자로프 ||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height=20]] || '''1''' ||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height=20]] || 압둘라 이드리스 || || 바흐다트 하노노프 ||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height=20]] || '''2''' || [[파일:승부차기 실패 아이콘.svg|height=20]] || 카이우 카네두 || || 에흐손 판즈샨베 ||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height=20]] || '''3''' ||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height=20]] || [[파비우 리마]] || || [[루스탐 소이로프]] ||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height=20]] || '''4''' ||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height=20]] || 알리 살레 || || [[알리셰르 슈쿠로프]] ||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height=20]] || '''5''' ||<-2> ||}}} || 경기전 객관적인 전력차로 인한 UAE측의 우세 예상과 달리 경기 내용은 시종일관 타지키스탄이 UAE를 몰아 붙이고 압도했고 선제골을 넣은 타지키스탄의 승리가 코앞으로 다가왔으나, 후반 추가시간에 UAE가 극장골을 넣어 첫 연장전이 펼쳐졌다. 결국 연장전에서도 골이 터지지 않아 이 대회 첫 승부차기가 시행되었다. == 경기 평가 == '''[[https://naver.me/FDjLz6RR|알라이얀의 이변, 벤투 충격 탈락...UAE, '첫 아시안컵' 타지키스탄과 승부차기 끝 패배]]''' 타지키스탄이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A조/타지키스탄 vs 레바논|전 경기]]에 이어 또다시 명승부를 만들어 내며 승부차기끝에 8강에 진출하는 대이변을 만들어냈다. 피파 랭킹으로 봐도 106위인 팀이 64위 팀을 실력으로 잡아낸 것으로 자이언트 킬링에 속하며 UAE는 지난 두 아시안컵에서 4강까지 간 강호 중 하나다. 조별리그 내내 극악의 결정력에 고생하던 타지키스탄은 오늘 이른 시간에 선제골을 날리며 상쾌한 스타트를 끊었다. 그리고 선제골 이후에도 시종일관 엄청난 속도와 연계의 카운터를 날렸지만, 아니나다를까 선제골에 가려진 저질스런 결정력이 다시 조별리그때 수준으로 돌아갔고, 잘릴로프가 [[로멜루 루카쿠|무려 3번의 완벽한 찬스를 다 날려먹는]] 등 마침표를 찍을 무수한 기회를 날린 결과 후반전 막판에 동점골을 허용했다. 연장전은 체력문제와 소극적인 경기운영 때문에 정규시간보다 덜 공격적이었지만, 승부차기로 가서 마침내 상대를 꺾어버렸다. 16강 진출도 어려웠던 와중에 8강까지 갔으니 결과는 너무나도 환상적이나, 욕심을 부리자면 체력을 불필요하게 다 깎아 먹은 게 매우 아쉬운 부분이다. 아시안컵과 월드컵 최종예선에서 1시드 바로 아래의 성적을 꾸준히 내는 UAE로서는 이보다 더 충격적일 수 없는 패배로, 조별리그 3차전에서 로테이션을 돌려서 돌렸는데도 불구하고 혈투를 치르고 올라온 타지키스탄을 누르지 못했다. 게다가 대회 경험이 풍부한 UAE에 비해 타지키스탄은 이번이 역사상 첫출전이다. UAE는 이런 타지키스탄에게 경기내내 밀렸다. UAE가 가져간 우위는 점유율과 근소한 차이의 슈팅 횟수라는 몇몇 통계였을 뿐, 효율적인 빌드업과 가장 위협적인 장면은 타지키스탄이 모두 가져갔고, 그나마 타지키스탄 공격진의 연이은 미스로 승부차기까지는 살아남았다. 더욱이 연장전에 들어서 유독 잔실수가 많아졌는데 이를 두고 뜻대로 안 풀리는 벤투 감독의 모습이 카메라에 잡히기도 했다. 또한 승부차기에서 2번째 키커로 나섰다가 실축 해버린 카이우 카네두는 이 경기가 악몽으로 남을 것이다. 타지키스탄은 모든 키커가 골을 넣으면서 UAE를 잡고 8강에 올랐다. 야티노프 골키퍼가 카네두의 슛을 잘 막기도 했으나 키커들 역시 사전에 승부차기를 생각한 것인지 키퍼가 막기 어렵게 잘 찼다. 국내에선 돌풍을 일으키며 8강에 진출한 언더독 팀인 타지키스탄의 승리를 축하하는 한편 전 국가대표 감독이었던 파울루 벤투의 패배를 안타까워하거나 혹은 비웃는 반응이 나왔다.[* 한국을 떠난 지 오래됐지만 국내 여러 축구커뮤니티에서 아직까지도 그의 평가에 대한 논쟁이 치열한데, 이번 경기로 인해 또다시 제대로 불이 붙여졌다.] 타지키스탄은 8강에서 이라크 혹은 요르단과 맞붙게 된다. == 여담 == * 아직 대회가 진행중이지만 겨우 16강밖에 안된 시점에서 타지키스탄이 단독 문서를 '''두 개나''' 생성케 했다. 팀의 인지도와 전력을 고려하면 매우 이례적인 케이스. * 이 경기에서 UAE가 패배하자 국내 축구팬들 일각에서는 차라리 벤투가 경질된 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다시 복귀하면 좋겠다는 반응들이 나오기도 했는데, 사실 이때까지 [[클린스만호]]의 무전술에 가까운 지휘 탓에[* 감독의 지휘보다는 선수들의 '''개인적 플레이에 좀 더 치우쳐진 양상'''을 보였다.] 2023 아시안컵 조별리그 성적이 1승 '''2무'''로 축구 강국이라고 자부하던 대한민국 대표팀 치고는 상당히 처참한 성적을 냈기 때문에 나온 것으로 보였다. 다만 이에 맞서 아시안컵에서 결승-4강을 다투던 대한민국과 UAE를 8강-16강에 탈락시킨 벤투를 왜 데려오냐는 반응들도 나왔다. * 자국의 메이저 대회 첫 출전에 아시아 강팀인 UAE마저 꺾고 첫 8강까지 진출해버린 대표팀 상황에 타지키스탄 현지에서는 말 그대로 '''난리가 났는데, ''' [[두스티 광장]]에서는 광란의 파티가 벌어졌고 수도인 [[두샨베]]를 포함한 전국이 아시안컵 열기에 들썩이면서, 거의 모든 타지키스탄 국민들이 이번 아시안컵에서의 타지키스탄 대표팀의 돌풍을 주목하게 되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16강, version=717)] [[분류: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분류:2024년 축구 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