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KBS 연기대상]] ||||||||||||
<#000000> '''{{{#white 역대 KBS 연기대상}}}''' || || [[2022 KBS 연기대상]] || → || '''2023 KBS 연기대상''' || → || [[2024 KBS 연기대상]] || [목차] == 개요 == [[2023년]] [[12월 31일]] 열릴 예정인 [[KBS 연기대상]]. == 사전 예측 == === 상반기 === ||
{{{#ffffff '''분류''' }}} || {{{#ffffff '''드라마''' }}} || || '''월화 드라마''' || [[두뇌공조]], [[오아시스(드라마)|오아시스]], [[어쩌다 마주친, 그대]], [[가슴이 뛴다(드라마)|가슴이 뛴다]] || || '''일일 드라마''' || [[비밀의 여자]], [[금이야 옥이야]] || || '''주말 드라마''' || [[진짜가 나타났다!]] || 올해 상반기 상황은 전체적으로 좋지 않다. 주말극, 일일극, 심지어 미니시리즈까지 시청률이 저조하고, 일부 작품의 화제성도 저조했다. 작년 하반기에 방송됐던 [[진검승부(드라마)|진검승부]] 이후 시청률 부진으로 인해 수목드라마 부분은 잠정 휴식기에 들어가게 됐다. 2023년 첫 월화 드라마인 [[두뇌공조]]는 시청률 3~5%대를 기록하면서 부진한 양상을 보였고, 이후 후속작인 [[오아시스(드라마)|오아시스]]는 최고 시청률 9.7%를 기록하며 유종의 미를 거뒀다. [[어쩌다 마주친, 그대]]는 평균 시청률 4% 대를 기록하며 동시기 경쟁작인 [[이로운 사기]]를 제치고 월화극 1위로 선전했지만, 월요일 동시간대 경쟁 프로그램 예능 [[안싸우면 다행이야]], [[동상이몽2 - 너는 내 운명]]과 화요일 방송 시간이 겹치는 [[신발 벗고 돌싱포맨]] 등이 시청률 5%대를 기록하면서, 동시간대 1위 자리는 내어줬다. 결론적으로 '월화극 1위'라는 타이틀에 다소 아쉬움을 남기게 됐다. [[어쩌다 마주친, 그대]]의 후속작인 [[가슴이 뛴다(드라마)|가슴이 뛴다]]는 첫 방송 시청률 4%대를 기록하며 나름 선전하는 듯 보였지만, 이후 평균 시청률이 2~3%대를 기록했고, 부진한 시청률을 보이며 막을 내렸다. 일일극은 영 사정이 좋지 않은데, 먼저 [[KBS 2TV 저녁 일일 드라마|2TV 일일 드라마]]는 지난해 [[태풍의 신부]]가 13~14%를 겨우 유지하며 역사상 가장 부진한 시청률을 기록했으나 화제성은 제법 높았기 때문에 후속작으로 편성된 [[비밀의 여자]]가 시청률을 회복할 지가 관건이었는데, 결과적으로는 평균 시청률 10% 대에 그쳤다. [[KBS 1TV 일일 드라마|1TV 일일 드라마]]도 마찬가지로, [[금이야 옥이야]]는 평균 시청률 13%대를 기록하면서 부진한 모습을 보여줬다. [[금이야 옥이야/비판|작품 자체의 평도 좋지 않은]] 채 2020년대 방영된 KBS1 일일 드라마 중 최저 시청률을 기록하며 막을 내렸다. [[KBS 2TV 주말 드라마|2TV 주말 드라마]] 역시 사정이 비슷하다. [[진짜가 나타났다!|진짜가 나타났다]]는 종영까지 단 한 번도 시청률 25%의 문턱을 넘지 못하며 KBS 2TV 주말 드라마 중 역대 최저 시청률을 기록했다. 드라마 자체의 평도 중반부 이후 지나치게 답답한 전개가 계속되는 등 영 좋지 못한 상황이다. === 하반기 === ||
{{{#ffffff '''분류''' }}} || {{{#ffffff '''드라마''' }}} || || '''월화 드라마''' || [[순정복서]], [[혼례대첩]][* 10월 방영 예정.] || || '''일일 드라마''' || [[우아한 제국]], [[우당탕탕 패밀리]] || || '''주말 드라마''' || [[효심이네 각자도생]] || || '''대하 드라마''' || [[고려거란전쟁]][* 11월 방영 예정.] || || '''드라마 스페셜[br]TV시네마''' || 극야, 우리들이 있었다, 반쪽짜리 거짓말, 도현의 고백, 폭염주의보, 마님은 왜 마당쇠에게 고기를 주었나, 고백공격, 오버랩 나이프, 나이프, 그림자 고백, 수운잡방 || 하반기에는 KBS 드라마가 전체적으로 시청률 부진, 화제성 저하를 겪는 등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상반기보다 상황이 더욱 심각하다. [[가슴이 뛴다(드라마)|가슴이 뛴다]]의 후속작인 [[순정복서]]는 2화 이후 전작보다도 낮은 평균 1%대의 시청률을 기록했으며,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중계방송 편성에 밀려 지연 방송된 회차에서는 0%대의 시청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이는 월화 드라마 기준으로 암흑기로 대표되던 2018년과 2020년 시기로 되돌아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주말 드라마 [[효심이네 각자도생]]은 [[진짜가 나타났다!|전작]]의 여파인지 10%대 중후반의 시청률을 기록하고 있다. 게다가 2화가 방영된 이후, 강진범 역할로 출연하던 [[노영국]]이 갑작스레 심장마비로 사망하면서 전작과 마찬가지로 배우 교체 등 전개 변경이 불가피해졌다.[* 전작에서도 [[공찬식(진짜가 나타났다!)|공찬식]] 역으로 출연하던 [[홍요섭]]이 건강 문제로 하차하면서 17화부터 [[선우재덕]]으로 캐스팅이 변경되기도 했다.] 2021년과 2022년에 이어 올해 역시 [[KBS 드라마 스페셜/2023년|드라마 스페셜·TV 시네마 2023]]의 편성이 확정됐으며, 연말까지 방송된다. 편성은 단막극 8편, 영화 2편으로 이뤄졌으며, 방송될 작품 가운데 단막극 4편과 영화 2편은 [[OTT]]에서 먼저 공개될 예정이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139073?sid=103|#]] 일일드라마 [[우아한 제국]]의 경우 [[비밀의 여자|전작]]의 부진한 시청률 여파로 방송 초반 시청률이 8~9%에 그쳤다. 하지만 화제성이 점점 높아지는 추세며, 무엇보다 주연 배우들의 연기력은 좋은 편이다. == 전체 예측 == [[2022 KBS 연기대상|작년]] 못지않게 드라마들이 평작 혹은 흉작인 상황이라 앞으로 별다른 이변이 나오지 않는다면, 전통적으로 대하 드라마를 예우하는 방송사인 만큼 [[고려거란전쟁]]에서 주인공 중 한 명을 맡은 [[최수종]]이 올해 대상 후보 중 1명으로 오르내리고 있다. 만약 최수종이 대상을 받게 되면 [[유동근]]과 더불어 한 방송사에서 4번 이상 연기대상을 받는 2명 중 1명이 된다.[* 두 사람은 1997년과 1998년, 2001년과 2002년에 각각 전년도 수상자와 당해 수상자로서 상을 주고받는 인연이 있었다.] 다만, 해당 드라마가 11월 11일부터 방영될 예정이라 위에 언급된 드라마에서 열연한 배우들을 제치고 대상을 받는 것이 합당한지 논란이 분분하다. == 수상자 및 후보 == === 대상 === === 최우수상 여자 === === 최우수상 남자 === === 우수상 미니시리즈 여자 === === 우수상 미니시리즈 남자 === === 우수상 장편드라마 여자 === === 우수상 장편드라마 남자 === === 우수상 일일드라마 여자 === === 우수상 일일드라마 남자 === === 조연상 여자 === === 조연상 남자 === === 드라마 스페셜·TV 시네마상 여자 === === 드라마 스페셜·TV 시네마상 남자 === === 신인상 여자 === === 신인상 남자 === === 청소년 연기상 여자 === === 청소년 연기상 남자 === === 인기상 여자 === === 인기상 남자 === === 베스트 커플상 === == 평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