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2023 VALORANT Champions Tour LOCK//IN São Paulo)] [include(틀:2023 VALORANT Champions Tour LOCK//IN São Paulo/일정)] [목차] == 개요 == [include(틀:2023 VALORANT Champions Tour LOCK//IN São Paulo/결승 토너먼트)] [[2023 VALORANT Champions Tour LOCK//IN São Paulo]]의 결승 토너먼트 경기 진행 중 대진 일정 및 결과에 대해 정리한 문서이다. == 준결승 == === 알파 LOUD 3 : 2 DR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4m0SkqVSVrc)]}}} || ||<#ff9933><-12> [[2023 VALORANT Champions Tour LOCK//IN São Paulo|[[파일:발로란트-VCT-white.svg|width=25]]]] '''{{{#white 준결승 알파[br](2023. 3. 3. 2:00)}}}''' || ||<-5><#00ff3c> '''[[LOUD/발로란트|{{{#000 LOUD}}}]]''' ||<|2> '''3''' ||<|2> 2 ||<-5><#1102a3> '''[[DRX VS/발로란트|{{{#FFF DRX}}}]]''' || || ○ || ○ || × || × || ○ || × || × || ○ || ○ || × || ||<-5><#ff9933> {{{#fff '''결승 진출'''}}} ||<-2><#ff9933> {{{#FFF '''결과'''}}} ||<-5><#cc1d24> {{{#FFF '''탈락'''}}} || ||<#ff9933><-5> [[2023 VALORANT Champions Tour LOCK//IN São Paulo|[[파일:발로란트-VCT-white.svg|width=25]]]] '''{{{#white 준결승 알파 MVP}}}''' || || 맵 1 || 맵 2 || 맵 3 || 맵 4 || 맵 5 || ||<-2> '''[[LOUD/발로란트|에릭 산토스]][br](aspas)''' || '''[[유병철(프로게이머)|유병철]][br](BuZz)''' || '''[[김명관(프로게이머)|김명관]][br](MaKo)''' || '''[[LOUD/발로란트|카우안 페레이라]][br](cauanzin)''' || 작년의 로스터를 동일하게 유지함과 더불어 추가 선수 영입에 성공한 DRX와 그 DRX가 세계 대회에서 꺾지 못한 많지 않은 팀 중 하나인 디펜딩 챔피언 LOUD[* 그 많지 않은 팀 중 하나가 지금은 공중 분해된 Optic Gaming.]의 [[발로란트 2022 챔피언스 이스탄불/상위 브라켓#s-3.1|22 챔피언스]] 리벤지 매치. DRX는 물론 LOUD 역시 로스터를 어느정도 유지하며 두 팀 모두 각 리그에서 최고의 팀이라고 평가받고 있다. 에임도 세계 탑급이고, 팀 전술과 택틱도 견주어 볼 팀이 없을 수준이라 순간 순간의 실수가 게임을 좌지우지하는 게임이 될 것으로 보인다. ==== 경기 내용 ==== [include(틀:발로란트/맵밴픽5, ateam=LOUD, bteam=DRX, aban=헤이븐, bban=로터스, p_apic=펄, p_bpic=아이스박스, p_apic2=스플릿, p_bpic2=프랙처, p_cpic=어센트, 1attack=공격, 2attack=공격, 3attack=수비, 4attack=공격, 5attack=수비)] ===== 1세트 =====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펄, set=1, teamD=LOUD, teamA=DRX, dpic1=제트, dpic2=스카이, dpic3=킬조이, dpic4=바이퍼, dpic5=하버, apic1=킬조이, apic2=제트, apic3=하버, apic4=바이퍼, apic5=스카이, dplayer1=aspas, dplayer2=cauanzin, dplayer3=saadhak, dplayer4=Less, dplayer5=tuyz, aplayer1=Zest, aplayer2=BuZz, aplayer3=stax, aplayer4=MaKo, aplayer5=Rb, dScore=13, aScore=5 )] ===== 2세트 =====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아이스박스, set=2, teamD=DRX, teamA=LOUD, dpic1=소바, dpic2=제트, dpic3=하버, dpic4=바이퍼, dpic5=킬조이, apic1=제트, apic2=스카이, apic3=킬조이, apic4=바이퍼, apic5=하버, dplayer1=Zest, dplayer2=BuZz, dplayer3=stax, dplayer4=Mako, dplayer5=Rb, aplayer1=aspas, aplayer2=cauanzin, aplayer3=saadhak, aplayer4=Less, aplayer5=tuyz, dScore=8, aScore=13 )] ===== 3세트 =====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스플릿, set=3, teamD=DRX, teamA=LOUD, dpic1=케이/오, dpic2=레이즈, dpic3=스카이, dpic4=바이퍼, dpic5=아스트라, apic1=제트, apic2=스카이, apic3=레이즈, apic4=바이퍼, apic5=아스트라, dplayer1=Zest, dplayer2=BuZz, dplayer3=stax, dplayer4=Mako, dplayer5=Rb, aplayer1=aspas, aplayer2=cauanzin, aplayer3=saadhak, aplayer4=Less, aplayer5=tuyz, dScore=13, aScore=7 )] ===== 4세트 =====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프랙처, set=4, teamD=DRX, teamA=LOUD, dpic1=페이드, dpic2=킬조이, dpic3=브리치, dpic4=브림스톤, dpic5=네온, apic1=제트, apic2=브리치, apic3=레이즈, apic4=킬조이, apic5=브림스톤, dplayer1=Zest, dplayer2=BuZz, dplayer3=stax, dplayer4=Mako, dplayer5=Rb, aplayer1=aspas, aplayer2=cauanzin, aplayer3=saadhak, aplayer4=Less, aplayer5=tuyz, dScore=13, aScore=7 )] ===== 5세트 =====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어센트, set=5, teamD=DRX, teamA=LOUD, dpic1=소바, dpic2=제트, dpic3=케이/오, dpic4=오멘, dpic5=킬조이, apic1=제트, apic2=스카이, apic3=바이퍼, apic4=킬조이, apic5=오멘, dplayer1=Zest, dplayer2=BuZz, dplayer3=stax, dplayer4=Mako, dplayer5=Rb, aplayer1=aspas, aplayer2=cauanzin, aplayer3=saadhak, aplayer4=Less, aplayer5=tuyz, dScore=8, aScore=13 )] ===== 총평 ===== 왜 DRX가 퍼시픽 리그의 우승후보인지 입증한 경기였다. 하지만 마지막 세트에서 어센트의 택틱들이 완벽하게 분석당했다는 점이 드러났기에 이 점을 보완하는 것이 향후 숙제로 떠올랐다. LOUD는 자신들이 왜 강력한 우승후보이며 리핏 확률을 높게 쳐주는지 보여주는 경기력을 선보이며 결승에 올라갔다. === 오메가 NAVI 0 : 3 FN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aoVE1dNkz0)]}}} || ||<#ff9933><-12> [[2023 VALORANT Champions Tour LOCK//IN São Paulo|[[파일:발로란트-VCT-white.svg|width=25]]]] '''{{{#white 준결승 오메가[br](2023. 3. 4. 2:00)}}}''' || ||<-5><#ffef00> '''[[Natus Vincere/발로란트|{{{#000 Natus Vincere}}}]]''' ||<|2> 0 ||<|2> '''3''' ||<-5><#ff5900> '''[[Fnatic/발로란트|{{{#fff Fnatic}}}]]''' || || × || × || × || - || - || ○ || ○ || ○ || - || - || ||<-5><#cc1d24> {{{#FFF '''탈락'''}}} ||<-2><#ff9933> {{{#FFF '''결과'''}}} ||<-5><#ff9933> {{{#FFF '''결승 진출'''}}} || ||<#ff9933><-5> [[2023 VALORANT Champions Tour LOCK//IN São Paulo|[[파일:발로란트-VCT-white.svg|width=25]]]] '''{{{#white 준결승 오메가 MVP}}}''' || || 맵 1 || 맵 2 || 맵 3 || || '''[[Fnatic/발로란트|리오 얀네손]][br](Leo)''' || '''[[Fnatic/발로란트|니키타 시르미테프]][br](Derke)''' || '''[[Fnatic/발로란트|리오 얀네손]][br](Leo)''' || 작년 마스터스 코펜하겐에서 우승한 FPX의 주전 멤버 중 아디스를 제외한 네 명과 씨네드의 영입에 성공하며 LOUD와 함께 강력한 우승 후보로 손꼽히는 NAVI와 보스터, 알파예르, 더크 등 이미 실력이 입증된 유망주들을 영입하며 성공적인 포스트시즌을 보냈다고 평가받는 Fnatic의 대결. 물론 현재의 리그제가 도입된지 얼마 되진 않았지만 국제 대회에서 처음으로 성사되는 '''리그 집안 내전'''이다. EMEA 리그 내에서 누가 가장 강력한지를 다루는 경기라고 볼 수 있겠다. NAVI와 Fnatic 모두 이전 경기들에서 상대를 2:0으로 완전히 제압하며 올라왔기에 경기력 면에서 매우 기대되는 경기이다. ==== 경기 내용 ==== [include(틀:발로란트/맵밴픽5, ateam=FNC, bteam=NAVI, aban=펄, bban=아이스박스, p_apic=헤이븐, p_bpic=로터스, p_apic2=프랙처, p_bpic2=스플릿, p_cpic=어센트, 1attack=공격, 2attack=공격, 3attack=수비, 4attack=수비, 5attack=수비)] ===== 1세트 =====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헤이븐, set=1, teamD=Fnatic, teamA=Natus Vincere, dpic1=브리치, dpic2=제트, dpic3=아스트라, dpic4=킬조이, dpic5=소바, apic1=페이드, apic2=제트, apic3=브리치, apic4=오멘, apic5=킬조이, dplayer1=Chronicle, dplayer2=Derke, dplayer3=Boaster, dplayer4=Alfajer, dplayer5=Leo, aplayer1=Zyppan, aplayer2=cNed, aplayer3=ANGE1, aplayer4=Shao, aplayer5=SUYGETSU, dScore=13, aScore=11)] ===== 2세트 =====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로터스, set=2, teamD=Natus Vincere, teamA=Fnatic, dpic1=케이/오, dpic2=레이즈, dpic3=오멘, dpic4=페이드, dpic5=킬조이, apic1=바이퍼, apic2=레이즈, apic3=아스트라, apic4=킬조이, apic5=페이드, dplayer1=Zyppan, dplayer2=cNed, dplayer3=ANGE1, dplayer4=Shao, dplayer5=SUYGETSU, aplayer1=Chronicle, aplayer2=Derke, aplayer3=Boaster, aplayer4=Alfajer, aplayer5=Leo, dScore=4, aScore=13)] ===== 3세트 =====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프랙처, set=3, teamD=Natus Vincere, teamA=Fnatic, dpic1=케이/오, dpic2=레이즈, dpic3=사이퍼, dpic4=오멘, dpic5=바이퍼, apic1=브리치, apic2=레이즈, apic3=브림스톤, apic4=킬조이, apic5=페이드, dplayer1=Zyppan, dplayer2=cNed, dplayer3=ANGE1, dplayer4=Shao, dplayer5=SUYGETSU, aplayer1=Chronicle, aplayer2=Derke, aplayer3=Boaster, aplayer4=Alfajer, aplayer5=Leo, dScore=11, aScore=13)] ===== 총평 ===== 전승으로 올라온 두 팀의 맞대결은 의외로 프나틱의 셧아웃으로 끝났다. 로터스에 대한 준비가 완벽했던 프나틱이 2세트를 압도적으로 가져온 것이 유효했다. 동유럽 올스타로 불렸던 나비는 1,3세트 프나틱의 간담을 서늘하게 했지만 거기까지였다. == 결승 LOUD 2 : 3 FN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Jfa8SMqbtA)]}}} || ||<#ff9933><-12> [[2023 VALORANT Champions Tour LOCK//IN São Paulo|[[파일:발로란트-VCT-white.svg|width=25]]]] '''{{{#white 결승[br](2023. 3. 5. 2:00)}}}''' || ||<-5><#00ff3c> '''[[LOUD/발로란트|{{{#000 LOUD}}}]]''' ||<|2> 2 ||<|2> '''3''' ||<-5><#ff5900> '''[[Fnatic/발로란트|{{{#fff Fnatic}}}]]''' || || × || × || ○ || ○ || × || ○ || ○ || × || × || ○ || ||<-5><#c0c0c0> {{{#000 '''준우승'''}}} ||<-2><#ff9933> {{{#FFF '''결과'''}}} ||<-5><#ffd700> {{{#000 '''우승'''}}} || ||<#ff9933><-5> [[2023 VALORANT Champions Tour LOCK//IN São Paulo|[[파일:발로란트-VCT-white.svg|width=25]]]] '''{{{#white 파이널 MVP}}}''' || || 맵 1 || 맵 2 || 맵 3 || 맵 4 || 맵 5 || ||<-2> '''[[Fnatic/발로란트|리오 얀네손]][br](Leo)''' ||<-2> '''[[LOUD/발로란트|펠리페 바소]][br](Less)''' || '''[[Fnatic/발로란트|니키타 시르미테프]][br](Derke)''' || === 경기 내용 === [include(틀:발로란트/맵밴픽5, ateam=LOUD, bteam=FNC, aban=헤이븐, bban=펄, p_apic=어센트, p_bpic=프랙처, p_apic2=스플릿, p_bpic2=로터스, p_cpic=아이스박스, 1attack=수비, 2attack=수비, 3attack=수비, 4attack=공격, 5attack=수비)] ==== 1세트 ====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어센트, set=1, teamD=Fnatic, teamA=LOUD, dpic1=케이/오, dpic2=제트, dpic3=오멘, dpic4=킬조이, dpic5=소바, apic1=제트, apic2=스카이, apic3=바이퍼, apic4=킬조이, apic5=오멘, dplayer1=Chronicle, dplayer2=Derke, dplayer3=Boaster, dplayer4=Alfajer, dplayer5=Leo, aplayer1=aspas, aplayer2=cauanzin, aplayer3=saadhak, aplayer4=Less, aplayer5=tuyz, dScore=13, aScore=8)] ==== 2세트 ====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프랙처, set=2, teamD=LOUD, teamA=Fnatic, dpic1=제트, dpic2=브리치, dpic3=레이즈, dpic4=킬조이, dpic5=브림스톤, apic1=브리치, apic2=레이즈, apic3=브림스톤, apic4=킬조이, apic5=페이드, dplayer1=aspas, dplayer2=cauanzin, dplayer3=saadhak, dplayer4=Less, dplayer5=tuyz, aplayer1=Chronicle, aplayer2=Derke, aplayer3=Boaster, aplayer4=Alfajer, aplayer5=Leo, dScore=7, aScore=13)] ==== 3세트 ====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스플릿, set=3, teamD=Fnatic, teamA=LOUD, dpic1=레이즈, dpic2=제트, dpic3=오멘, dpic4=사이퍼, dpic5=세이지, apic1=제트, apic2=스카이, apic3=레이즈, apic4=바이퍼, apic5=아스트라, dplayer1=Chronicle, dplayer2=Derke, dplayer3=Boaster, dplayer4=Alfajer, dplayer5=Leo, aplayer1=aspas, aplayer2=cauanzin, aplayer3=saadhak, aplayer4=Less, aplayer5=tuyz, dScore=9, aScore=13)] ==== 4세트 ====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로터스, set=4, teamD=Fnatic, teamA=LOUD, dpic1=바이퍼, dpic2=레이즈, dpic3=아스트라, dpic4=킬조이, dpic5=페이드, apic1=제트, apic2=스카이, apic3=바이퍼, apic4=킬조이, apic5=하버, dplayer1=Chronicle, dplayer2=Derke, dplayer3=Boaster, dplayer4=Alfajer, dplayer5=Leo, aplayer1=aspas, aplayer2=cauanzin, aplayer3=saadhak, aplayer4=Less, aplayer5=tuyz, dScore=8, aScore=13)] ==== 5세트 ====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아이스박스, set=5, teamD=Fnatic, teamA=LOUD, dpic1=세이지, dpic2=제트, dpic3=바이퍼, dpic4=킬조이, dpic5=소바, apic1=제트, apic2=스카이, apic3=킬조이, apic4=바이퍼, apic5=하버, dplayer1=Chronicle, dplayer2=Derke, dplayer3=Boaster, dplayer4=Alfajer, dplayer5=Leo, aplayer1=aspas, aplayer2=cauanzin, aplayer3=saadhak, aplayer4=Less, aplayer5=tuyz, dScore=14, aScore=12)] == 총평 == [[분류:2023 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 '''발로란트 역사상 최고의 결승전.''' 세트 스코어를 차치하고 각 세트별 두 팀의 경기력은 그야말로 최고점을 향해 있었기 때문에 사소한 판단 몇 개로 라운드 득실이 갈려 승패가 좌지우지 되는 상황이 연출되었다. 그속에서 선취를 해낸 프나틱과 그에 밀리지 않고 후속으로 2연 세트승을 달성하고 마지막 세트 초중반, 어쩌면 그대로 리버스 스윕까지도 가능케끔[* 농담이 아니라 '''11:3'''에 프나틱은 포스바이를 강요당하는 상황에서 심지어 해당 라운드 메인 AR이 단 한자루도 뽑히지 않는 절망적인 상황이었다.] 몰아치던 LOUD의 저력이 눈부시게 빛났지만, 결국 꺾이지 않은 프나틱의 2선 자원과 되살아난 더크 그리고 클러치 압박속에서 침착하게 판을 읽고 받아치는 보스터까지 마지막 집중력이 그들을 우승으로 이끌었다. 또한, 크로니클은 이 대회 우승으로 M3C 시절에 이어 현 시점 유일하게 '''국제대회 2관왕'''에 이르는 성과를 올렸다.[* 또 하나 재밌는 기록을 달성했는데, 국제대회 5판 3선 경기중에서 최초로 5경기 모두 다른 요원을 쓴 첫번째 선수로 기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