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2023 VALORANT Champions Tour Pacific League)] [include(틀:2023 VALORANT Champions Tour Pacific League 정규시즌 경기 일람)] [목차] == 개요 == [[2023 VALORANT Champions Tour Pacific League]] 7주차, 5월 6일부터 5월 8일까지의 경기를 기록한 문서. ||<-11> [[파일:valorant_asia_pacific_league_심볼.png|width=25]] '''[[2023 VALORANT Champions Tour Pacific League|{{{#white 2023 VCT Pacific League}}}]]''' '''[[틀:2023 VCT Pacific League 정규시즌 순위표|{{{#white 정규시즌 7주차 순위표}}}]]''' || || '''순위''' ||<-2> '''팀''' || '''승''' || '''패''' || '''세트 득실''' || '''득실차''' ||'''라운드 득실''' || '''득실차''' || '''연속''' || '''비고''' || || {{{#000,#e5e5e5 1}}} || [[DRX VS/발로란트|[[파일:DRX 로고.svg|width=20]]]] || [[DRX VS/발로란트|DRX]] || 7 || 0 || 14-2 || +12 || 204-125 || +79 || 7승 || || || {{{#000,#e5e5e5 2}}} || [[Paper Rex|[[파일:Paper Rex 로고.svg|height=20&theme=light]][[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height=20&theme=dark]]]] || [[Paper Rex|PRX]] || 5 || 2 || 11-6 || +5 || 197-157 || +40 || 3승 || || || {{{#000,#e5e5e5 3}}} || [[T1/발로란트|[[파일:T1 로고.svg|width=32]]]] || [[T1/발로란트|T1]] || 5 || 2 || 10-6 || +4 || 162-151 || +11 || 3승 || || || {{{#000,#e5e5e5 4}}} || [[Gen.G Esports/발로란트|[[파일:Gen.G 로고 심플.svg|height=20]]]] || [[Gen.G Esports/발로란트|GEN]] || 4 || 3 || 9-7 || +2 || 163-161 || +2 || 3패 || || || {{{#000,#e5e5e5 5}}} || [[ZETA DIVISION/발로란트|[[파일:ZETA DIVISION.svg|height=20&theme=light]][[파일:ZETA DIVISION_white.svg|height=20&theme=dark]]]] || [[ZETA DIVISION/발로란트|ZETA]] || 4 || 3 || 8-9 || -1 || 182-187 || -5 || 1패 || || || {{{#000,#e5e5e5 6}}} || [[Rex Regum Qeon/발로란트|[[파일:Rex_Regum_Qeon_allmode.png|height=20]]]] || [[Rex Regum Qeon/발로란트|RRQ]] || 3 || 4 || 8-8 || 0 || 159-171 || -12 || 1승 || || || {{{#000,#e5e5e5 7}}} || [[Team Secret/발로란트|[[파일:Team Secret 아이콘.svg|height=20&theme=light]][[파일:Team Secret 아이콘 white.svg|height=20&theme=dark]]]] || [[Team Secret/발로란트|TS]] || 3 || 4 || 7-10 || -3 || 176-188 || -12 || 2패 || || || {{{#000,#e5e5e5 8}}} || [[Global Esports/발로란트|[[파일:Global_Esports_only.png|height=12]]]] || [[Global Esports/발로란트|GES]] || 2 || 5 || 7-10 || -3 || 186-188 || -2 || 1패 || || || {{{#000,#e5e5e5 9}}} || [[Talon Esports/발로란트|[[파일:Talon Esports 로고.svg|height=20]]]] || [[Talon Esports/발로란트|TLN]] || 2 || 5 || 6-10 || -4 || 147-186 || -39 || 1승 || || || {{{#000,#e5e5e5 10}}} || [[DetonatioN FocusMe/발로란트|[[파일:DFM 로고 2023.svg|height=20&theme=light]][[파일:DFM 로고 2023 화이트.svg|height=20&theme=dark]]]] || [[DetonatioN FocusMe/발로란트|DFM]] || 0 || 7 || 2-14 || -12 || 133-195 || -62 || 7패 || || ||<-11> {{{-2 {{{#cceeff,#112233 파란색}}}{{{#white : PO 2R 진출 |}}} {{{#ddffdd,#112211 초록색}}}{{{#white : PO 1R 진출 |}}} {{{#ffeeee,#331111 빨간색}}}{{{#white : 탈락 |}}} {{{#white '''볼드체'''}}}{{{#white : 순위 확정}}}}}} || ||<-4> [[2023 VALORANT Champions Tour Pacific League|[[파일:발로란트-VCT-white.svg|width=25]]]] '''{{{#white 2023 VCT Pacific / 7주차 중계 로테이션}}}''' || || '''{{{#white 요일}}}''' || '''{{{#white 토}}}''' || '''{{{#white 일}}}''' || '''{{{#white 월}}}''' || || '''{{{#white 캐스터}}}''' || [[정용검]] ||<-2> [[채민준]] || ||<|2> '''{{{#white 해설}}}''' ||<-3> [[정인호]] || || [[박동진(해설가)|박동진]] || [[박진영(게임 해설가)|박진영]] || [[박동진(해설가)|박동진]] || || '''{{{#white 인터뷰어}}}''' || 신경민 ||<-2> [[이정현(아나운서)|이정현]] || ||<|3> '''{{{#white 분석 데스크}}}''' || [[채민준]] || [[정용검]] || 최광원 || || [[윾정선|유정선]] || [[박동진(해설가)|박동진]] || [[박진영(게임 해설가)|박진영]] || ||<-3> [[빈본|김진영]] || == 대회 정보 == ||<|2> [[2023 VALORANT Champions Tour Pacific League|[[파일:발로란트-VCT-white.svg|width=25]]]][br]'''{{{#fff 7주차}}}''' || '''{{{#white 패치 버전}}}''' || {{{+3 [[https://playvalorant.com/ko-kr/news/game-updates/valorant-patch-notes-6-08/|{{{#373a3c,#dddddd '''6.08'''}}}]]}}} || || '''{{{#white 글로벌 밴}}}''' || {{{+1 '''-'''}}} || == 플레이오프권 순위 경쟁 == 6주차 경기 종료 시점에서 DRX는 플레이오프 진출, DFM은 플레이오프 탈락을 확정지었고, 나머지 팀들은 플레이오프 진출 여부가 아직 정해지지 않은 상태이다. * GEN: TLN - '''PRX''' - '''ZETA''' * T1: '''TS''' - '''ZETA''' - '''DRX''' * ZETA: '''PRX''' - '''T1''' - '''GEN''' * PRX: '''ZETA''' - '''GEN''' - '''RRQ''' * TS: '''T1''' - '''DRX''' - '''GES''' * GES: '''RRQ''' - DFM - '''TS''' * RRQ: '''GES''' - TLN - '''PRX''' * TLN: '''GEN''' - RRQ - DFM == 31경기 TLN 2 : 0 GEN == [include(틀:발로란트/맵밴픽, ateam=GEN, bteam=TLN, aban=펄, bban=스플릿, aban2=바인드, bban2=어센트, p_apic=프랙처, p_bpic=로터스, p_cpic=헤이븐, 1attack=공격, 2attack=공격, 3attack=공격)] ||<-8> [[파일:발로란트-VCT-white.svg|width=25]] '''{{{#white 정규시즌 31경기[br](2023. 5. 6. 18:00)}}}''' || ||<-3><#e30041> '''[[Talon Esports/발로란트|{{{#fff Talon Esports}}}]]''' ||<|2> '''2''' ||<|2> 0 ||<-3><#000> '''[[Gen.G Esports/발로란트|{{{#aa8a00 Gen.G}}}]]''' || || ○ || ○ || - || × || × || - || ||<-3> '''2승 5패''' ||<-2> '''{{{#fff 결과}}}''' ||<-3> 4승 3패 || ||<-3> [[파일:발로란트-VCT-white.svg|width=25]] '''{{{#white 정규시즌 31경기 MVP}}}''' || || '''[[아피왓 아피락수쿠말]][br](garnetS)''' || --GEN 승리 시: PO 1R 진출 확정-- 지난 주 동남아식 매운맛 교전을 제대로 맛본 젠지가 이번에는 동남아의 전투광 탈론을 만난다. 탈론은 플옵 탈락이 눈앞까지 왔기 때문에 평소보다 더욱 뒤가 없는 전술을 펼칠 가능성이 높고, 젠지는 다음 주 있을 PRX전에 대비해 이번 경기에서 최대한 전략을 완성해야한다. === 1세트 ===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프랙처, set=1, teamD=GEN, teamA=TLN, dpic1=케이/오, dpic2=레이즈, dpic3=오멘, dpic4=브리치, dpic5=바이퍼, apic1=브리치, apic2=레이즈, apic3=브림스톤, apic4=사이퍼, apic5=스카이, dplayer1=GodDead, dplayer2=Meteor, dplayer3=TS, dplayer4=eKo, dplayer5=k1Ng, aplayer1=patt, aplayer2=garnetS, aplayer3=Crws, aplayer4=JitboyS, aplayer5=foxz, dScore=8, aScore=13)] === 2세트 ===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로터스, set=2, teamD=TLN, teamA=GEN, dpic1=브리치, dpic2=레이즈, dpic3=오멘, dpic4=킬조이, dpic5=소바, apic1=케이/오, apic2=제트, apic3=오멘, apic4=페이드, apic5=킬조이, dplayer1=patt, dplayer2=garnetS, dplayer3=Crws, dplayer4=JitboyS, dplayer5=foxz, aplayer1=GodDead, aplayer2=Meteor, aplayer3=TS, aplayer4=Sylvan, aplayer5=K1Ng, dScore=13, aScore=7)] ||<-4> [[파일:valorant_asia_pacific_league_심볼.png|width=30]] {{{#fff '''2023 VCT Pacific League Match 31[br]2세트 교체 출전'''}}} || ||<|2> [[Gen.G Esports/발로란트|[[파일:Gen.G 로고 심플.svg|width=70]]]] ||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height=12px]] || '''[[고영섭]]'''[br](Sylvan) || ||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height=12px]] || '''[[염왕룡(프로게이머)|염왕룡]]'''[br](eKo) || ||<-4>
[[VALORANT Champions Tour Pacific League|[[파일:valorant_asia_pacific_league_심볼.png|width=25]]]] '''[[2023 VALORANT Champions Tour Pacific League|{{{#FFFFFF 2023 VCT Pacific}}}]] {{{#fff 에이스}}}''' || || [[Gen.G Esports/발로란트|[[파일:Gen.G 로고 심플.svg|height=60]]]] || [[레이즈(발로란트)|[[파일:제트 초상화.png|height=60]]]][br]{{{-3 제트}}} || '''{{{#000 {{{+2 [[김태오(프로게이머)|{{{#000 김태오}}}]]}}}[br](Meteor)[br]{{{+2 시즌 17호 에이스}}}[br](퍼시픽 통산 17호 에이스)}}}''' || === 총평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0506_TLN_vs_GEN.jpg|width=100%]]}}} || 지난 주와 비슷한 양상으로 탈론이 탑독인 젠지를 압살하며 2승에 성공, 플레이오프에 대한 실낱같은 희망을 유지하는데 성공했다. 반면 젠지는 4연승 후 3연패를 당하며 일시적으로 5위까지 떨어진데다 남은 대진이 지난 주 같은 4승 2패 라인이었던 PRX와 제타고, 이 중 PRX가 GES - 탈론 이상으로 난전에 강한 팀인 걸 생각하면 최악의 경우 플레이오프 진출 실패까지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 32경기 ZETA 0 : 2 PRX == [include(틀:발로란트/맵밴픽, ateam=PRX, bteam=ZETA, aban=헤이븐, bban=펄, aban2=프랙처, bban2=바인드, p_apic=스플릿, p_bpic=어센트, p_cpic=로터스, 1attack=수비, 2attack=공격, 3attack=공격)] ||<-8>
[[파일:발로란트-VCT-white.svg|width=25]] '''{{{#white 정규시즌 32경기[br](2023. 5. 6. 21:00)}}}''' || ||<-3><#040000> '''[[ZETA DIVISION/발로란트|{{{#fff ZETA DIVISION}}}]]''' ||<|2> 0 ||<|2> '''2''' ||<-3><#000> '''[[Paper Rex|{{{#fff Paper Rex}}}]]''' || || × || × || - || ○ || ○ || - || ||<-3> 4승 3패 ||<-2> '''{{{#fff 결과}}}''' ||<-3> '''5승 2패''' || || [[파일:발로란트-VCT-white.svg|width=25]] '''{{{#white 정규시즌 32경기 MVP}}}''' || || '''[[제이슨 수산토]][br](f0rsaken)''' || 2022 마스터스 레이캬비크 3위팀 제타와 마스터스 코펜하겐 준우승팀 PRX의 빅 매치가 성사되었다. 두 팀 모두 현재 4승 2패로 이번 경기를 승리하면 플옵 진출이 매우 유력해진다. 제타는 5주차에 PRX와 비슷한 스타일의 탈론에게 완패를 당했었는데, 탈론의 상위 호환으로 꼽히는 PRX를 상대로 약점을 얼마나 보완했을지가 관전 포인트. 가장 최근 맞대결인 마스터스 레이캬비크에서는 제타가 2:1로 승리했었다. === 1세트 ===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스플릿, set=2, teamD=ZETA, teamA=PRX, dpic1=레이즈, dpic2=케이/오, dpic3=아스트라, dpic4=바이퍼, dpic5=스카이, apic1=스카이, apic2=아스트라, apic3=바이퍼, apic4=제트, apic5=레이즈, dplayer1=Dep, dplayer2=crow, dplayer3=SugarZ3ro, dplayer4=TENNN, dplayer5=Laz, aplayer1=f0rsaken, aplayer2=mindfreak, aplayer3=d4v41, aplayer4=something, aplayer5=Jinggg, dScore=6, aScore=13)] ||<-4>
[[VALORANT Champions Tour Pacific League|[[파일:valorant_asia_pacific_league_심볼.png|width=25]]]] '''[[2023 VALORANT Champions Tour Pacific League|{{{#FFFFFF 2023 VCT Pacific}}}]] {{{#fff 에이스}}}''' || || [[ZETA DIVISION/발로란트|[[파일:ZETA DIVISION.svg|height=60]]]] || [[레이즈(발로란트)|[[파일:스카이 초상화.png|height=60]]]][br]{{{-3 스카이}}} || '''{{{#fff {{{+2 [[우시다 코지|{{{#fff 우시다 코지}}}]]}}}[br](Laz)[br]{{{+2 시즌 18호 에이스}}}[br](퍼시픽 통산 18호 에이스)}}}''' || === 2세트 ===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어센트, set=2, teamD=ZETA, teamA=PRX, dpic1=제트, dpic2=케이/오, dpic3=오멘, dpic4=킬조이, dpic5=소바, apic1=페이드, apic2=오멘, apic3=케이/오, apic4=제트, apic5=세이지, dplayer1=Dep, dplayer2=crow, dplayer3=SugarZ3ro, dplayer4=TENNN, dplayer5=Laz, aplayer1=f0rsaken, aplayer2=mindfreak, aplayer3=d4v41, aplayer4=something, aplayer5=Jinggg, dScore=10, aScore=13)] === 총평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0506_ZETA_vs_PRX.jpg|width=100%]]}}} || PRX가 제타를 몰아쳐 순식간에 경기를 끝내버렸다. PRX는 5승으로 앞서나가며 플옵 확정이 코앞까지 온 반면 제타는 다음 주 있을 2번의 한일전에 팀의 운명이 달렸다. 하필 젠지 - T1 역시 순위 경쟁권 팀이라 더욱 철저히 준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33경기 RRQ 2 : 0 GES == [include(틀:발로란트/맵밴픽, ateam=RRQ, bteam=GES, aban=로터스, bban=헤이븐, aban2=스플릿, bban2=어센트, p_apic=프랙처, p_bpic=펄, p_cpic=바인드, 1attack=공격, 2attack=공격, 3attack=공격)] ||<-8>
[[파일:발로란트-VCT-white.svg|width=25]] '''{{{#white 정규시즌 33경기[br](2023. 5. 7. 18:00)}}}''' || ||<-3><#f3aa36> '''[[Rex Regum Qeon/발로란트|{{{#fff Rex Regum Qeon}}}]]''' ||<|2> '''2''' ||<|2> 0 ||<-3><#ed1c24> '''[[Global Esports/발로란트|{{{#fff Global Esports}}}]]''' || || ○ || ○ || - || × || × || - || ||<-3> '''3승 4패''' ||<-2> '''{{{#fff 결과}}}''' ||<-3> 2승 5패 || || [[파일:발로란트-VCT-white.svg|width=25]] '''{{{#white 정규시즌 33경기 MVP}}}''' || || '''[[사이바니 라흐마드]][br](fl1pzjder)''' || DRX를 상대로 세트를 따냈지만 끝내 승리로 이어내지 못한 RRQ와 GEN을 상대로 2:0 승리를 거둔 GES의 대결. 시즌 초에 비해 경기력이 우상향을 그리고 있는 두 팀이 플옵 진출의 막차를 두고 만났다. RRQ와 GES 모두 현재 2승 4패로, 플레이오프 진출을 위해 반드시 이겨야 할 매치다. 퍼시픽 처음으로 바인드가 디사이더 맵으로 결정되었다. 6주차에는 모든 경기에서 밴을 당했었으나 이제 점점 준비가 되고 있는 듯 하다. === 1세트 ===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프랙처, set=1, teamD=RRQ, teamA=GES, dpic1=브림스톤, dpic2=킬조이, dpic3=브리치, dpic4=레이즈, dpic5=스카이, apic1=킬조이, apic2=제트, apic3=브림스톤, apic4=브리치, apic5=레이즈, dplayer1=xffero, dplayer2=Lmemore, dplayer3=fl1pzjder, dplayer4=EJAY, dplayer5=Emman, aplayer1=t3xture, aplayer2=SkRossi, aplayer3=AYRIN, aplayer4=Bazzi, aplayer5=Monyet, dScore=13, aScore=10)] ||<-4>
[[VALORANT Champions Tour Pacific League|[[파일:valorant_asia_pacific_league_심볼.png|width=25]]]] '''[[2023 VALORANT Champions Tour Pacific League|{{{#FFFFFF 2023 VCT Pacific}}}]] {{{#fff 에이스}}}''' || || [[Rex Regum Qeon/발로란트|[[파일:Rex_Regum_Qeon_allmode.png|height=60]]]] || [[레이즈(발로란트)|[[파일:레이즈 초상화.png|height=60]]]][br]{{{-3 레이즈}}} || '''{{{#000 {{{+2 [[에롤 쥴 델핀|{{{#000 에롤 쥴 델핀}}}]]}}}[br](EJAY)[br]{{{+2 시즌 19호 에이스}}}[br](퍼시픽 통산 19호 에이스)}}}''' || === 2세트 ===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펄, set=2, teamD=GES, teamA=RRQ, dpic1=킬조이, dpic2=제트, dpic3=케이/오, dpic4=페이드, dpic5=아스트라, apic1=아스트라, apic2=킬조이, apic3=스카이, apic4=제트, apic5=하버, dplayer1=t3xture, dplayer2=SkRossi, dplayer3=AYRIN, dplayer4=Bazzi, dplayer5=Monyet, aplayer1=xffero, aplayer2=Lmemore, aplayer3=fl1pzjder, aplayer4=EJAY, aplayer5=2GE, dScore=11, aScore=13)] ||<-4> [[파일:valorant_asia_pacific_league_심볼.png|width=30]] {{{#fff '''2023 VCT Pacific League Match 33[br]2세트 교체 출전'''}}} || ||<|2> [[Rex Regum Qeon/발로란트|[[파일:Rex_Regum_Qeon_allmode.png|width=75]]]] ||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height=12px]] || '''[[제임스 구피오|제임스 구피오]]'''[br](2GE) || ||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height=12px]] || '''[[엠마누엘 모랄레스|엠마누엘 모랄레스]]'''[br](Emman) || === 총평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0507_RRQ_vs_GES.jpg|width=100%]]}}} || 결국 뒷심이 먼저 꺾인 쪽은 GES였다. RRQ가 엘미모어의 압도적인 클러치 능력을 앞세워 GES를 2:0으로 쓰러뜨리고 플레이오프의 희망을 이어가는 반면 GES는 팀 에이스 로씨가 아쉬운 모습을 보이며 패배, 플레이오프 진출에 적신호가 제대로 켜져버렸다. 3세트 바인드의 등장을 많은 사람들이 기대했으나 2:0으로 끝남에 따라 바인드에서의 경기는 나중을 기약하게 되었다. == 34경기 TS 0 : 2 T1 == [include(틀:발로란트/맵밴픽, ateam=TS, bteam=T1, aban=펄, bban=헤이븐, aban2=어센트, bban2=스플릿, p_apic=로터스, p_bpic=바인드, p_cpic=프랙처, 1attack=수비, 2attack=수비, 3attack=수비)] ||<-8>
[[파일:발로란트-VCT-white.svg|width=25]] '''{{{#white 정규시즌 34경기[br](2023. 5. 7. 21:00)}}}''' || ||<-3><#FFF> '''[[Team Secret/발로란트|{{{#000 Team Secret}}}]]''' ||<|2> 0 ||<|2> '''2''' ||<-3><#e4002b> '''[[T1/발로란트|{{{#fff T1}}}]]''' || || × || × || - || ○ || ○ || - || ||<-3> 3승 4패 ||<-2> '''{{{#fff 결과}}}''' ||<-3> '''5승 2패''' || || [[파일:발로란트-VCT-white.svg|width=25]] '''{{{#white 정규시즌 34경기 MVP}}}''' || || '''[[이재혁(1998)|이재혁]][br](carpe)''' || '''T1 승리 시: PO 1R 진출 확정''' 시즌 초에 비해 경기력이 상당히 불안해진 두 팀의 대결. 이번에도 바인드가 밴 되지 않고 풀렸고, 3세트 맵이었으나 2:0으로 끝나 불발된 직전 경기와 달리 이번에는 T1이 2세트 맵으로 픽하면서 이번 시즌 처음으로 바인드에서의 경기가 확정되었다. === 1세트 ===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로터스, set=1, teamD=T1, teamA=TS, dpic1=스카이, dpic2=제트, dpic3=하버, dpic4=바이퍼, dpic5=킬조이, apic1=브리치, apic2=킬조이, apic3=소바, apic4=제트, apic5=오멘, dplayer1=carpe, dplayer2=Sayaplayer, dplayer3=xeta, dplayer4=ban, dplayer5=Munchkin, aplayer1=invy, aplayer2=Jremy, aplayer3=JessieVash, aplayer4=DubsteP, aplayer5=BORKUM, dScore=13, aScore=4)] T1이 일방적인 경기력으로 33분 만에 세트를 끝냈다. === 2세트 ===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바인드, set=2, teamD=TS, teamA=T1, dpic1=스카이, dpic2=레이즈, dpic3=하버, dpic4=세이지, dpic5=바이퍼, apic1=게코, apic2=레이즈, apic3=바이퍼, apic4=하버, apic5=스카이, dplayer1=invy, dplayer2=Jremy, dplayer3=JessieVash, dplayer4=DubsteP, dplayer5=BORKUM, aplayer1=carpe, aplayer2=Sayaplayer, aplayer3=xeta, aplayer4=iNTRO, aplayer5=Munchkin, dScore=8, aScore=13)] ||<-4> [[파일:valorant_asia_pacific_league_심볼.png|width=30]] {{{#fff '''2023 VCT Pacific League Match 34[br]2세트 교체 출전'''}}} || ||<|2> [[T1/발로란트|[[파일:T1 로고.svg|width=70]]]] ||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height=12px]] || '''[[강승균]]'''[br](iNTRO) || ||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height=12px]] || '''[[조셉 승민 오]]'''[br](Ban) || 이번 리그 처음으로 바인드 맵이 등장했다. 카르페가 '''게코'''를 픽했다. 탈론의 patt과 Foxz, PRX의 cgrs에 이은 이번 퍼시픽 리그 4번째 게코 픽으로, 이 경기 전까지 게코의 퍼시픽 전적은 3전 전패였으나 T1이 승리하며 마침내 퍼시픽 첫 승을 올렸다. === 총평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0507_TS_vs_T1.jpg|width=100%]]}}} || T1이 이번 주에는 준비해온 모든 전략이 다 통하며 압도적으로 TS를 잡고 5승 라인에 올랐다. 또한 플레이오프 진출도 퍼시픽에서 DRX에 이어 2번째로 확정지었다.[* T1이 앞으로 남은 2경기를 전부 지면 5승 4패인데, 현재 3승 4패팀인 RRQ와 TS가 남은 경기를 전승해 5승 4패로 3자동률이 되더라도 T1은 두 팀 모두에게 상대전적이 우위에 있어 최소 5위가 확정이다.] TS는 이 경기까지 지면서 이제 벼랑 끝에 몰리게 되었다. 하필 남은 대진에 DRX가 있고, 그 뒤에 있을 GES전도 승리를 장담할 수 없을 정도로 팀 자체가 무색무취의 평범한 하위권 팀으로 추락한 상태다. == 35경기 DRX 2 : 0 DFM == [include(틀:발로란트/맵밴픽, ateam=DFM, bteam=DRX, aban=헤이븐, bban=로터스, aban2=스플릿, bban2=바인드, p_apic=프랙처, p_bpic=어센트, p_cpic=펄, 1attack=공격, 2attack=수비, 3attack=수비)] ||<-8>
[[파일:발로란트-VCT-white.svg|width=25]] '''{{{#white 정규시즌 35경기[br](2023. 5. 8. 18:00)}}}''' || ||<-3><#1102a3> '''[[DRX VS/발로란트|{{{#fff DRX}}}]]''' ||<|2> '''2''' ||<|2> 0 ||<-3><#000> '''[[DetonatioN FocusMe/발로란트|{{{#2462ff DetonatioN FocusMe}}}]]''' || || ○ || ○ || - || × || × || - || ||<-3> '''7승 0패''' ||<-2> '''{{{#fff 결과}}}''' ||<-3> 0승 7패 || || [[파일:발로란트-VCT-white.svg|width=25]] '''{{{#white 정규시즌 35경기 MVP}}}''' || || '''[[유병철(프로게이머)|유병철]][br](BuZz)''' || '''DRX 승리 시: PO 2R 진출 확정''' 이번 시즌 전력차가 가장 큰 두 팀의 대결. 냉정하게 DFM이 한 세트를 따내는 것만으로도 엄청난 기적이 될 것이다. DRX는 이 경기를 승리한다면 플레이오프 2라운드 진출을 확정짓는다. === 1세트 ===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프랙처, set=1, teamD=DFM, teamA=DRX, dpic1=스카이, dpic2=킬조이, dpic3=제트, dpic4=브리치, dpic5=브림스톤, apic1=레이즈, apic2=킬조이, apic3=브리치, apic4=브림스톤, apic5=페이드, dplayer1=xnfri, dplayer2=Anthem, dplayer3=Seoldam, dplayer4=Reita, dplayer5=takej, aplayer1=Foxy9, aplayer2=BuZz, aplayer3=stax, aplayer4=MaKo, aplayer5=Rb, dScore=8, aScore=13)] DFM이 서제스트 없는 라인업을 출전시킨 가운데, 설담이 미쳐날뛰며 전반전만 해도 DFM이 7:5로 앞서나갔지만 후반전이 되자 거짓말같이 힘이 빠지며 DRX가 가뿐하게 역전승을 거두었다. Rb가 페이드를 선택하며 이번 시즌 요원 폭이 9명째가 되었다. === 2세트 ===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어센트, set=2, teamD=DFM, teamA=DRX, dpic1=케이/오, dpic2=킬조이, dpic3=제트, dpic4=소바, dpic5=오멘, apic1=제트, apic2=킬조이, apic3=케이/오, apic4=오멘, apic5=소바, dplayer1=xnfri, dplayer2=Anthem, dplayer3=Seoldam, dplayer4=Reita, dplayer5=takej, aplayer1=Foxy9, aplayer2=BuZz, aplayer3=stax, aplayer4=MaKo, aplayer5=Rb, dScore=4, aScore=13)] === 총평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0508_DRX_vs_DFM.jpg|width=100%]]}}} || 1세트 초 잠깐 위기도 있었으나 결국 언제나 그랬듯 DRX가 압승으로 마무리했다. DRX는 다음 주에 1승만 추가해도 자력으로 1위를 확정지을 수 있다. 여담으로 이번 주 모든 경기가 2:0으로 끝났다. == 7주차 결산 == == 팀별 리뷰 == === DRX === '''1위 / 7승 0패 / +12''' '''다음 주 대진 : TS - T1''' DFM을 상대로도 이변없이 승리하며 7연승을 기록했다. 플레이오프는 진작에 확정됐고[* 8주차 DRX 2패 후 T1 - PRX 2승으로 인한 3자동률에서의 맵 득실이라는 마지막 경우의 수가 있어 2R 직행은 아직 아니다. 하지만 하나라도 반대로 되면 즉시 직행이 확정되고, DRX가 득실차 관리가 워낙 잘 돼서 설령 저 시나리오가 현실이 되어도 유리할 가능성이 크다.], DRX가 1승 이상 거두거나 T1이 1패라도 더 하면 정규시즌 1위까지 확정지을 수 있게 됐다. === Paper Rex === '''2위 / 5승 2패 / +5''' '''다음 주 대진 : GEN - RRQ''' 제타에게 2022 마스터즈 레이캬비크의 복수를 성공시킴과 동시에 플레이오프 진출이 매우 유력해졌다.[* PRX가 2패를 하고 RRQ - TS - 제타가 나란히 2승을 하면 탈락하게 되는 ~~가능성이 0에 가까운~~ 마지막 경우의 수가 남아있어 아직 확정은 아니다.] 만약 다음 주 2경기를 모두 이길 경우 자력으로 2위까지 올라갈 수 있다. === T1 === '''3위 / 5승 2패 / +4''' '''다음 주 대진 : ZETA - DRX''' 우여곡절 끝에 플레이오프 진출은 확정지었다. 마스터스를 향해 나아가려면 이번 주 같은 고점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 Gen.G === '''4위 / 4승 3패 / +2''' '''다음 주 대진 : PRX - ZETA''' 지난주에 이어 상대적 약팀으로 판단되었던 팀에게 오히려 압살당하며 플레이오프 2라운드 직행은 힘들어졌다. 남은 대진이 PRX와 제타라 결코 쉽지 않은데, 1승이라도 거두면 플레이오프 진출이 확정이지만 만약 2패를 당할 경우 탈락의 가능성이 아직 남아있다. === ZETA DIVISION === '''5위 / 4승 3패 / -1''' '''다음 주 대진 : T1 - GEN''' 초반 경기력이 약하다는 단점이 아직도 이어지고 있다. 세트가 진행될수록 경기력이 오르긴 하지만 이번 주는 2:0으로 맥이 끊기며 플옵 진출을 아직 안심할 수 없게 됐다. === Rex Regum Qeon === '''6위 / 3승 4패 / 0''' '''다음 주 대진 : TLN - PRX''' 무색무취한 팀이라는 시즌 초 평가와 달리 갈수록 경기력이 날카로워지며 어느덧 퍼시픽의 기대주가 되었다. === Team Secret === '''7위 / 3승 4패 / -3''' '''다음 주 대진 : DRX - GE''' 갈수록 경기력이 안 좋아지고 있다. 가장 문제는 경기 운영 자체가 너무 평범해져 상대팀의 대처가 쉬워졌다는 점으로, 실제로 이번 주 경기를 보면 T1에게 완전히 읽힌 듯 무기력하게 쓸려갔다. === Global Esports === '''8위 / 2승 5패 / -3''' '''다음 주 대진 : DFM - TS''' RRQ에게 일격을 맞으며 기껏 올리던 기세가 꺾여버렸다. 남은 대진이 쉬운 편이라곤 하지만 자력으로 플옵을 가기엔 쉽지 않아졌다. === Talon Esports === '''9위 / 2승 5패 / -4''' '''다음 주 대진 : RRQ - DFM''' 또 한번 업셋에 성공하며 플옵 진출의 한 줄기 희망을 지켜냈다. === DetonatioN FocusMe === '''10위 / 0승 7패 / -12''' '''다음 주 대진 : GE - TLN''' 이제 플레이오프는 커녕 전패를 끊어낼 기회조차 얼마 남지 않게 됐다. [[분류:2023 VALORANT Champions Tour Pacific Leag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