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2023년 10월 경과, rd1=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경과/10월)] [include(틀:상위 문서, top1=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경과)] [include(틀: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목차] == 개요 ==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의 [[11월]]의 경과를 정리한 문서이다. == 주의 == 전쟁의 특성상 양측이 모두 [[거짓말|거짓, 과장, 오해를 담은 정보]]들을 여러 매체와 [[SNS]] 상에서 게시하고 있다. 이는 교전국 간에 벌어지고 있는 정보전의 부산물 또는 공포에 떠는 시민에 의한 잘못된 정보일 가능성이 있다.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자체도 인터넷 시대 훨씬 이전부터 진짜 전쟁 못지 않게 격렬한 여론전, 정보전을 펼쳐왔고, 심지어 메이저 국제 언론사, 국가 기관들 또한 오랜 세월 쌓인 깊은 이해관계 때문에 중립성을 보장하기 힘들다. 따라서 여기 인용된 정보들도 실제 상황과는 상당히 다른 내용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참고만 해야 한다. '''이 문서에 올라온 정보들 중에서는 출처 표시가 없는 것은 가짜뉴스일 가능성이 높다.''' 특히 [[AP통신]]이나 [[CNN]] 등 주요 언론이나 공식 기관의 SNS 및 공인된 오신트를 통해 크로스체크된 정보가 아니라면 쉽게 사실로 믿기 어려우며, 여러 근거와 교차검증으로 확인된 사안[* 검증 필요 단락이 부착되지 않은 서술]을 제외하면 신뢰성을 담보하기 어렵다. 특히 친이스라엘, 친팔레스타인 중 어느 한쪽 영향이 짙은 언론을 쉽게 믿기보다는 다른 언론사의 기사와 교차검증을 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심지어 신뢰성 있는 외신들에서도 잘못된 정보가 종종 확인되므로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해선 개개인의 꾸준한 교차검증이 필요하다. == 1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3 11 02 전선.png |width=100%]] }}} || || '''11.01.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지도''' || * 한국 시간으로 오전 5시 36분, @War_Mapper가 전황 지도를 업데이트했다.[[https://twitter.com/War_Mapper/status/1719823630777856172|#]] *이스라엘군은 가자시 남쪽 해안을 향해 계속 전진하고 있다. 가자 지구를 가로지르는 데는 800m도 남지 않았다. 또한 북쪽 해안을 따라 진전을 이루었고 베이트 하눈 내에서도 진격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3 11 01 가자지구.jpg|width=100%]] }}} || || '''11.01. 기준 가자지구 전선 지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3 11 01 위성.jpg|width=100%]] }}} || || '''11.01. 기준 가자지구 위성 전선 지도''' || * 이스라엘이 후티의 공격에 대비해 홍해에 사르급 초계함을 배치했다.[[https://m.yna.co.kr/view/AKR20231101159000099?section=international/all|#]] == 2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3 11 02 전선(2).png |width=100%]] }}} || || '''11.02.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지도''' || * 한국 시간으로 오전 6시 08분, @War_Mapper가 전황 지도를 업데이트했다.[[https://twitter.com/War_Mapper/status/1720154499619135581|#]] *이스라엘군은 가자 시 남쪽 해안에 도달하여 가자 지구 남부와 연결하는 마지막 경로를 끊었다. 이로써 이스라엘 군은 도시를 효과적으로 포위하게 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3 11 02 위성 전선.jpg|width=100%]] }}} || || '''11.02.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위성 전선 지도''' || * 이스라엘군이 가자지구의 핵심도시 가자 시티를 완전히 포위했다.[[https://www.yna.co.kr/view/AKR20231103129400704?section=international/all|#]] * 하마스가 가자지구 의료시설 아래 대량의 연료를 저장하고 있다는 취지의 대화를 확보했다고 밝혔다.[[https://m.yna.co.kr/view/AKR20231103146600108?section=international/all|#]] * 하마스가 이스라엘의 첨단 전력에 맞서 드론 폭탄을 떨어트리기나 게릴라전으로 대항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308532?sid=104|#]] * 61대의 국제 트럭이 음식, 물, 의약품을 라파 교차로를 통해 운반했다.[[http://twitter.com/cogatonline/status/1719816601376018695|#]] == 3일 == * 백악관에 따르면 약 80명의 미국인이 가자 지구를 빠져나왔다고 한다.[[https://www.voakorea.com/a/7339302.html|#]] * 이스라엘군은 지난 3주 동안 하마스 소탕 작전을 위해 가자지구 주민들에게 남쪽으로 대피할 것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전단지, 라디오, TV 등 다양한 형태로 전달하고 있다고 밝혔다.[[https://twitter.com/IDF/status/1720213978092101955|#]] * 국제 인도적 지원 물자(의약품, 음식, 물)를 실은 트럭 68대가 가자지구로 이송되었다.[[https://twitter.com/cogatonline/status/1720178812577632575|#]] * 헤즈볼라 총수 하산 나스랄라의 공개 연설이 오늘 있을 것이라고 한다. 헤즈볼라의 확전 메시지가 나올 지 각국이 주목하고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79/0003830024?sid=104|#]] * 하산 나스랄라는 사망한 전사들을 기리기 위한 기념식의 연설에서 이스라엘군 6명을 사살했지만 우리 전사는 57명이나 사망했다며 모든 아랍과 이슬람 국가들은 이스라엘에 석유,가스,식량 수출을 중단해야하고 전 인류가 이성의 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http://aljazeera.com/news/2023/11/3/hezbollahs-hassan-nasrallah-speech-on-israel-hamas-war-key-takeaways|#]] 그러면서 이스라엘과 전면전이 가능하다며 미국 항모전단은 두렵지 않고, 레바논(헤즈볼라)을 [[적반하장|먼저 공격]]한다면 실수라고 으름장을 놨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308918?sid=104|#]] * CNN에 의하면 바그너 그룹과 시리아가 판치르-S1 방공 시스템을 헤즈볼라에 지원했다고 한다.[[https://t.me/wagnernew/11504|#]] * 미국 국무부와 국제개발처 직원 100여명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가자 주민에 대한 [[제노사이드]]의 [[공동정범|공모자]]라고 비판하는 의견서를 연명해서 제출했다.[[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america/1116222.html|#]] == 4일 == * 가자 지구 내 고속도로 통행을 3시간 허용하기로 했다.[[https://m.yna.co.kr/view/AKR20231104038500108?section=international/all|#]] * 이스라엘 시민 수천 명이 이날 [[텔아비브]]에 있는 네타냐후 총리 관저와 국방부 청사 앞에서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와 전쟁 중인 네타냐후 내각을 규탄했다. 이들은 정부가 하마스 기습 공격에 무력했고, 인질 석방 협상에 지지부진하다는 점 등에 항의하고, 네타나후를 비난하며 퇴진 시위를 벌였다.[[https://naver.me/GEIiNZ8y|#]] == 5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3 11 05 전선.png |width=100%]] }}} || || '''11.05.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지도''' || * @War_Mapper가 전황 지도를 업데이트했다.[[https://twitter.com/War_Mapper/status/1721290260364095841|#]] * 주말 동안 유럽과 미국 등 전 세계 곳곳에선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휴전을 촉구하는 시위가 벌어졌다.[[https://www.news1.kr/articles/5221242|#]] * 이스라엘 아미차이 엘리야후 장관이 가자에 핵공격을 시사하는 발언을 했다가 큰 파장이 일어났다. 네타냐후 총리는 즉각 각료회의에서 영구 배제시킬 것이라고 했다. 엘리야후 장관은 정말 핵공격을 하자는 뜻이 아니라 은유적인 표현이라고 말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336165?sid=104|#]] * IDF가 가자지구에서 어린이 놀이터에 숨겨진 까삼 로켓 발사대를 발견했다.[[https://twitter.com/IDF/status/1721118911486115987|#]] * 하마스 고위간부 알리 바라케는 북한이 우리 동맹이고 미국을 공격하기 바란다는 식의 주장을 했다. 이집트는 가자지구를 잇는 [[라파 국경 검문소]]를 다시 폐쇄하면서 [[이집트인|자국민]]을 포함한 외국인, 중상자 이동까지 차단했다.[[https://youtu.be/q2sWdphhVxE|#]] * 하마스 대변인 가지 하마드는 "이스라엘은 우리 영토에서 설 자리가 없는 나라이며, 아랍과 이슬람 국가에 안보,군사,정치적 재앙을 초래하기 때문에 이를 제거해야 한다.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전쟁 범죄#s-2.1|10월 7일의 대학살]]은 단지 시작에 불과하며,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가 있을 것이다"라며 이스라엘에 또다시 테러 위협을 했다.[[http://algemeiner.com/2023/11/05/by-shattering-nuance-oct-7-has-forced-us-to-choose-sides|#]] * 주말 동안 식량, 물, 의약품을 운반하는 트럭 63대가 남부 가자로 이송되었다.[[http://twitter.com/cogatonline/status/1720885507998064751|#]] == 6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3 11 06 전선.png |width=100%]] }}} || || '''11.06.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지도''' || * @War_Mapper가 전황 지도를 업데이트했다.[[https://twitter.com/War_Mapper/status/1721646940780191941|#]] * 이스라엘군이 하마스 땅굴을 하루에 150여곳 파괴했고, 하마스 지휘관 12명을 사살했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article/052/0001956174|#]] * CIA 국장이 이스라엘 전격 방문했다.[[https://www.news1.kr/articles/5221577|#]] * 레바논 방송에서 모습을 드러낸 하마스 고위간부 알리 바라케가 "북한이 개입하는 날이 올지도 모릅니다. 결국 우리 동맹의 일부이기 때문입니다.", "미국을 적으로 하는 국가들과 협의하면서 가까워지고 있습니다."라고 북한을 언급하며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https://youtu.be/q2sWdphhVxE?si=mWMHMf503BC4fAE1|#]] * 주한 이스라엘 대사관에서 한국 언론사 기자들에게 녹음, 녹화를 하지 않는 조건으로 개전 당일에 하마스측의 액션캠, CCTV, 차량 블랙박스 등으로 촬영된 43분 분량의 학살 영상을 공개하였다. 이는 개전 초기 이스라엘이 외신들을 비공개 초청하여 공개했던 것과 같은 영상이다. 이어 한국 언론사들이 이스라엘이 벌인 공습의 희생자는 '학살(massacre) 희생자'로, 하마스가 벌인 학살 희생자는 '살해(killing) 희생자'로 표현하는 등의 편파적인 보도를 하고 있다는 주장을 펼쳤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311695?rc=N&ntype=RANKING|#]] * 하마스 대원들이 가자지구의 셰이크 하메드 병원안에서 창문밖으로 이스라엘군을 향해 총격을 가하는 적외선 찰영 영상이 공개됬다.[[http://twitter.com/NorbertElikes/status/1721198080471478678|#]] * 네타냐후 총리는 전쟁이 끝나면 가자지구의 안보는 이스라엘이 책임질 것이라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158591?sid=104|#]] == 7일 == * 네타냐후 총리는 가자지구를 군사적으로 점령은 하겠지만, 통치는 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3259986?sid=104|#]] * 국제 인도적 지원 트럭 70대가 검사를 거쳐 라파 교차로를 통해 가자지구로 이송되었다.[[http://twitter.com/cogatonline/status/1721617737552691232|#]] * 이스라엘 싱크탱크인 국가안보연구소는 하마스의 주요 지도자 4명을 지목하며 이스라엘군의 최우선 제거 대상이라고 밝혔다. 그 명단은 가자지구 지도자이자 군사 지도자인 야히야 신와르, 하마스 총 정치국장인 [[이스마일 하니예]], [[이즈 앗딘 알카삼 여단]] 참모장 [[모하메드 데이프]], 하마스 정치부대표이자 재정 담당자 살라흐 알 아루리이다.[[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1115438.html|#]] == 8일 == * 이스라엘군이 가자지구 내 놀이공원, 가정집, 스카우트회관, 대학, 병원, 모스크 등 민간시설에서 하마스의 로켓발사대, 땅굴을 다수 발견했다.[[http://youtu.be/laUg0m_9ja4|#]] * 이스라엘군이 가자 민간인들이 하마스의 납치로부터 안전하게 남쪽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보호해주고있다.[[http://twitter.com/cogatonline/status/1722230867878375640|#]] * 국제 인도적 지원 트럭 96대가 라파 교차로를 통해 가자지구로 이송되었다.[[http://twitter.com/cogatonline/status/1721978470488571931|#]] * 3일간 인도적 휴전을 하고 인질을 석방하는 협상이 진행중이라는 외신들의 보도가 나왔다. 그러나 이스라엘 갈란트 국방장관과 네타냐후 총리는 부인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3407413?sid=104|#]] == 9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3 11 09 전선.png |width=100%]] }}} || || '''11.09.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지도''' || * @War_Mapper가 전황 지도를 업데이트했다.[[https://twitter.com/War_Mapper/status/1722700666714374284|#]] * 국제 인도적 지원 트럭 64대가 검사를 거쳐 라파 교차로를 통해 가자지구로 이송되었다.[[http://twitter.com/cogatonline/status/1722347880130793616|#]] * 이스라엘군이 무려 10시간의 교전 끝에 가자지구 북부 자발리아 서쪽에 있는 하마스의 요새를 장악했다.[[https://m.yna.co.kr/view/AKR20231109132651079?section=international/all|#]] * 이스라엘 에일라트가 예멘 반군 후티의 소행으로 추정되는 드론 및 미사일 공격을 받았다.[[https://m.yna.co.kr/view/AKR20231110003800079?section=international/all|#]] * 전쟁 초기 [[네타냐후]]가 가자지구에 잡혀있는 인질의 일부를 석방하는 대신 5일간 휴전을 하자는 제안을 거절했다.[[https://m.yna.co.kr/view/AKR20231110073200009?section=international/all|#]] == 10일 == *미 국방부가 10월 17일 이후 이라크·시리아에서 미군을 노린 공격이 46건 있었다 발표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321781|#]] *미국과 이스라엘이 시리아 내 이란 연계 군사시설을 폭격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79/0003832153|#]] *후티가 이스라엘에 미사일 공격을 감행했고, 이라크에선 미군을 겨냥한 공격이 있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321781|#]] * 네타냐후는 가자지구는 이스라엘이 통치할 것이라 발언하며 평화유지군 주둔을 거절했다.[[https://www.timesofisrael.com/netanyahu-says-idf-will-control-gaza-after-war-rejects-notion-of-international-force/|#]] == 11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3 11 11 전선.png |width=100%]] }}} || || '''11.11.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오전 전선 지도''' || * @War_Mapper가 전황 지도를 업데이트했다.[[https://twitter.com/War_Mapper/status/1723214158403899448|#]]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3 11 11 전선 -2.png |width=100%]] }}} || || '''11.11.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오후 전선 지도''' || * @War_Mapper가 전황 지도를 업데이트했다.[[https://twitter.com/War_Mapper/status/1723386229675208739|#]] * 하마스의 나세르 라드완 중대 지휘관 아흐메드 시암이 알란티시 아동병원에서 1천여명의 민간인을 총으로 위협해서 대피못하게막고 인간방패 삼아 저항하다가 부하들을 놔두고 몰래 피난민으로 위장해 도주하다 발각되어 인근 학교에 숨었지만 이스라엘군의 공습으로 사살되었다.[[http://instagram.com/p/CzgRx_Ktvbi|#]][[http://twitter.com/IDF/status/1723303967197724958|#]] == 12일 == * 이스라엘군이 하마스 전초기지 11곳을 장악했다고 발표했다. 또한 민간인 시설에서 대규모 무기를 발견했다고 말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324925?sid=104|#]] * 인도주의적 위기 악화에 팔레스타인 민간인들이 [[하마스]]에 대한 불만이 커지고 있다고 한다. 그렇지만 그 불만이 이스라엘을 향한 동정심은 아니라고 한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325294?rc=N&ntype=RANKING|#]] == 13일 == * 친헤즈볼라 성향의 레바논 위성방송 알마야딘의 이스라엘 내 방송과 운영을 중단하라는 명령을 승인했다.[[https://m.yna.co.kr/view/AKR20231113144100099?section=international/all|#]] * 지난 5주 동안 '''사망한 유엔 직원이 100명을 넘어섰다'''. 78년 유엔 역사상 단일 사건에서 발생한 가장 많은 순직자 수다.[[https://m.khan.co.kr/world/mideast-africa/article/202311142140025|#]],[[https://imnews.imbc.com/news/2023/world/article/6542954_36133.html|#]],[[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16227|#]],[[https://www.yna.co.kr/view/AKR20231113063900009|#]] == 14일 == * 하마스 주력이 가자지구 남쪽으로 도주하였고 하마스 의사당이 이스라엘 군에 점령됐다는 글이 SNS에 올라오고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328427?rc=N&ntype=RANKING|#]] * 이스라엘군이 하마스 헌병대 본부도 장악했다는 보도가 나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330473?sid=104|#]] * 이스라엘군이 알란티시 어린이 병원에서 하마스 소탕작전을 끝내고 외신 기자들을 불러 현장을 공개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iSk0yTcj55o&t=5s|#]] 병원 지하에는 소총과 수류탄, 자살 폭탄 조끼 등 하마스의 무기는 물론 인질의 흔적으로 추정되는 물품들이 다량 발견됐다고 군은 밝혔다. * 이스라엘 재무장관이 “가자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다른 나라들로 이주하는 것이야말로 인도주의적 해법”이라고 발언했다.[[https://twitter.com/spectatorindex/status/1724330934856720417|#]] * 이스라엘 조정국과 알시파 병원장 간의 통화로 이스라엘 병원에서 가자지구의 알시파 병원으로 이동식 인큐베이터를 지원하기로 했다.[[http://twitter.com/AvichayAdraee/status/1724342513085874178|#]] * 이란이 하마스의 자체 무기생산을 도왔다는 증거 문서가 발견되었다고 이스라엘 관료들이 주장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333677?sid=104|#]] == 15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3.11.15.이스라엘하마스지도.jpg|width=100%]] }}} || || '''11.15.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오전 전선 지도''' || * @War_Mapper가 전황 지도를 업데이트 했다.[[https://x.com/War_Mapper/status/1724582338099569071?s=20|#]] * 이스라엘 군이 가자지구 최대 병원인 알시파 병원을 심야에 급습해 작전을 펼치고 있다고 한다.[[https://www.youtube.com/watch?v=CBzKBefZHGI|#]] 이 병원은 이스라엘이 줄곧 하마스의 근거지로 지목해 왔던 곳이다. * 이스라엘군이 알 샤티 난민촌에 대해 완전한 통제권을 얻었다.[[https://x.com/War_Mapper/status/1724582338099569071?s=20|#]] * 하마스에 인질로 붙잡힌 이스라엘인 가족들이 이스라엘 정부에 인질 석방 노력을 촉구하는 행진에 나섰다.[[https://m.yna.co.kr/view/AKR20231115123200009?section=international/all|#]] * '''[[벨리즈]]가 이스라엘과 [[단교]]했다.'''[[https://www.cnn.com/2023/11/14/world/belize-suspends-diplomatic-ties-israel-ceasefire/index.html|#]] * [[튀르키예]] 에르도안 대통령이 이스라엘을 테러국가로 지칭하며 네타냐후에게 핵무기 보유를 인정하라고 말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333669?sid=104|#]] * 미국이 우크라이나에게 갈 물량까지 회수하며 이스라엘에 군수물자를 지원하고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586/0000067736?sid=104|#]] * 가자지구에 우기가 찾아와서 식수 부족은 해결됐지만 전염병이 창궐하고 유엔 구호트럭도 끊겼다고 한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4/0001312211?sid=104|#]] * 미 행정부 직원 500명이 바이든 정부의 이스라엘 지지에 항의하는 서한에 서명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178273?sid=104|#]] * 러시아 언론 스푸트니크는 미국이 이스라엘의 디모나 핵시설 등 핵 기지를 보호하기 위해 특공대를 배치하면서 이스라엘의 핵보유가 사실상 확인됐다고 주장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23/0002320761?sid=104|#]] * 이스라엘군이 가자북부를 완전히 장악하고 남부로 진격하려고 한다는 보도가 나왔다. 또한 이스라엘 북부에서 [[헤즈볼라]]와의 충돌도 점점 격화되고 있다고 한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3261513?sid=104|#]] * 이스라엘군은 이스라엘 병원에서 알시파 병원으로 의료 장비, 인큐베이터, 유아용 조제분유를 전달했다.[[http://twitter.com/AvichayAdraee/status/1724680656901275719|#]][[http://twitter.com/AvichayAdraee/status/1724707703543534000|#]] == 16일 == * 이스라엘군이 하마스 지도자 이스마엘 하니예 자택을 공습했다.[[https://www.yna.co.kr/view/AKR20231116133400079?section=international/all|#]] * [[알자지라(방송국)|알 자지라]] 방송이 병원 환자들을 인터뷰 하는 도중 하마스 대원이 여기 숨어있다란 발언을 듣자 황급히 인터뷰를 도중에 끊는 모습이 나왔다.[[https://www.youtube.com/watch?v=3Fe5t-DN-QI|#]] * 이스라엘군이 알시파 병원에 하마스 무기들이 숨겨져 있다는 것을 공개했다. 하마스는 즉각 이스라엘군이 가져다 놓고 언론플레이를 한다고 반박했다. BBC 같은 주요 언론은 대규모 무기고가 없다는 데 주목하며 지휘본부로는 충분하지 않고 어떤 언론도 접근할 수 없어서 이스라엘군의 주장을 확인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한편 미국은 알시파 병원에 대한 작전은 이스라엘군 단독으로 한 것이며 미국하고는 상관이 없다고 주장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FJ8IeL0KAFw|#]] * 가자지구 남부까지 공략하겠다는 발언을 했다.[[https://youtu.be/ecR0BUeC_4I?si=sccPoW1NsaANE3bQ|#]] * 알시파 병원에서 이스라엘 인질 시신 1구가 발견됐다고 한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337145?rc=N&ntype=RANKING|#]] * 서안지구 검문소에서 하마스 대원들이 검문소를 습격했다가 이스라엘군 1명을 죽이고 모두 사살됐다.[[https://www.youtube.com/watch?v=a15Q2RnDvT4|#]] * 이란이 하마스를 정신적, 정치적으로 계속 지원하겠지만 직접 개입하지는 않겠다고 밝혔다. 한편 인질 석방을 두고 며칠간 하마스와 이스라엘이 휴전할 가능성이 제기됐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102098?sid=104|#]] == 17일 == * 필립 라차리니 유엔구호사업국 국장이 “우리의 작전을 고의적으로 방해하려는 시도가 있다”고 밝혔다.[[https://twitter.com/spectatorindexk/status/1725224181690929489|#]] * [[노르웨이]] 의회가 [[팔레스타인]]을 독립국가로 승인할 준비를 갖추도록 요청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https://twitter.com/spectatorindexk/status/1725231425367261349|#]] * 알아흘리 병원이 이스라엘 탱크에 포위당하기 시작했다.[[https://twitter.com/spectatorindexk/status/1725226171217166713|#]] * [[프랑스]] 외무장관이 이스라엘의 서안지구 [[정착촌]]을 비난했다.[[https://twitter.com/spectatorindexk/status/1725228878153859441|#]] * [[남아공]] 여당 [[아프리카 국민회의]]가 이스라엘과의 [[단교]]를 요구하는 국회 동의안을 지지한다고 밝혔다.[[https://twitter.com/spectatorindexk/status/1725235325700882738|#]] == 18일 == * 알시파 병원장이 “우리는 몰살당하고 있다”고 호소했다.[[https://twitter.com/spectatorindexk/status/1725752024103563354|#]] * [[남아공]], [[방글라데시]], [[볼리비아]], [[코모로]], [[지부티]] 5개국이 [[국제형사재판소]]에 팔레스타인 사태의 수사를 의뢰했다.[[https://twitter.com/spectatorindexk/status/1725758886593146903|#]] * [[국경없는의사회]] 직원들이 알시파 병원에서 대피하지 못하고 고립된 것으로 알려졌다.[[https://twitter.com/spectatorindexk/status/1725759444678767067|#]] * [[브루나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가 무조건 휴전을 요구했다.[[https://twitter.com/spectatorindexk/status/1725765090312601967|#]] == 19일 == * 후티가 홍해 남부에서 화물선 1척을 나포했다. 단 이스라엘 선박이 아닌데다가 이스라엘 선원이 없는 외국화물선이다. [[https://www.yna.co.kr/view/AKR20231119052151009#mobile|#]] == 20일 == * 이스라엘 언론 하레츠가 익명의 경찰관을 인용해 10월 7일 음악 축제 당시 이스라엘 헬기가 이스라엘 시민을 오폭했다고 보도했다. 이를 아랍권 언론들이 일제히 인용하고 하마스도 이스라엘이 거짓말을 한다고 주장하자 네타냐후 총리가 즉각 터무니 없다며 발끈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oPyDGUydoHY|#]] == 21일 == * 이스라엘군은 가자지구 북부 자발리아를 포위했다.[[https://www.yna.co.kr/view/AKR20231121139500079?section=international/all|#]] == 22일 == * 이스라엘 총리실이 하마스에게 잡혀간 여성·어린이 인질 50명 석방을 조건으로 4일간 휴전하기로 발표했다. 또한, 이스라엘은 하마스가 추가로 인질 10명을 풀어줄 때마다 휴전 기간을 하루씩 연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다만 이날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회의 중 모두발언을 통해 "우리는 휴전 이후에도 전쟁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112213402913913|#]] * 이스라엘군이 하마스 대원 100명 이상을 생포했으며 심문을 통해 터널과 무기고 위치 등의 정보를 얻었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article/123/0002321049|#]] * 이스라엘군이 가자지구 내 자발리아 난민 캠프를 공격해 최소 80명 이상이 사망했다.[[http://www.joseilbo.com/news/htmls/2023/11/20231118503135.html|#]] * 이스라엘군이 하마스 본진으로 의심되는 가자지구의 알시파 병원에서 하마스 지휘본부와 무기를 발견했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article/123/0002320802l|#]] * 사브리나 싱 미 국방부 부대변인이 미군의 이라크 알 아사드 공군기지가 단거리 탄도 미사일 공격을 받은 것에 대응해 이란의 지원을 받는 이라크 민병대를 다수 사살했다고 밝혔다.[[https://www.moneys.co.kr/news/mwView.php?no=2023112209442268706|#]] == 23일 == [anchor(오늘)]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경과, version=842)][[분류: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