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프랑스의 주요선거(5공화국))] [목차] == 개요 == Élections législatives partielles en 2023 2023년에 실시된 프랑스 국민의회 보궐선거. == 1월 선거 == 파드칼레 8구, 마른 2구, 샤랑트 1구에서 2023년 1월 22일에 1차 투표, 1월 29일에 결선 투표가 실시되었다. === 파드칼레 8구 보궐선거 === || '''전임''' ||[include(틀:사회당(프랑스))] 베르트랑 프티(Bertrand Petit) || || '''사유''' ||선거법 위반으로 인한 당선 무효화 || || '''사유발생일''' ||2022년 12월 2일 || [[2022년 프랑스 국민의회 선거]] 당시 파드칼레 8구 선거에서 [[사회당(프랑스)|사회당]]의 베르트랑 프티(Bertrand Petit)가 당선되었으나 2022년 12월 2일 프랑스 헌법위원회에 의해 기존 선거가 무효화되었다. ==== 결선 투표 ==== ||<-4> '''{{{+1 [[파드칼레 8구|{{{#fff 파드칼레 8구}}}]]}}}''' || ||<-2> '''이름''' || '''득표수''' || '''순위''' || ||<-2> '''정당''' || '''득표율''' || '''비고''' || ||<|2><#e50040> || '''베르트랑 프티[br](Bertrand Petit)''' || '''16,190''' || '''1위''' || || [include(틀:사회당(프랑스))] || '''66.49%''' || '''당선''' || ||<|2><#254671> || 오귀스트 에브라르[br](Auguste Evrard) || 8,158 || 2위 || || [include(틀:국민연합(프랑스))] || 33.51% || 낙선 || ||<|3><:>'''계''' ||<:>'''선거인 수''' || 92,494 ||<|3><:>'''투표율'''[br]27.93% || ||<:>'''투표 수''' || 25,838 || ||<:>'''무효표 수''' || 1,462 || 1차 투표에서 여당연합의 후보가 낙선하고 뉘프 후보와 국민연합 후보 간의 대결이 되었다. 선거 결과 뉘프 후보가 승리하면서 수성했다. === 마른 2구 보궐선거 === || '''전임''' ||[include(틀:국민연합(프랑스))] 안소피 프리구(Anne-Sophie Frigout) || || '''사유''' ||투표 오류에 의한 당선 무효화 || || '''사유발생일''' ||2022년 12월 2일 || [[2022년 프랑스 국민의회 선거]] 당시 마른 2구 선거에서 [[국민연합(프랑스)|국민연합]]의 안소피 프리구(Anne-Sophie Frigout)가 당선되었으나 투표 용지에 오류가 발생하여 2022년 12월 2일 프랑스 헌법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당선이 무효화되었다. ==== 결선 투표 ==== ||<-4> '''{{{+1 [[마른 2구|{{{#fff 마른 2구}}}]]}}}''' || ||<-2> '''이름''' || '''득표수''' || '''순위''' || ||<-2> '''정당''' || '''득표율''' || '''비고''' || ||<|2><#001a5b> || '''로르 밀레[br](Laure Miller)''' || '''9,047''' || '''1위''' || || [include(틀:르네상스(정당))] || '''51.80%''' || '''당선''' || ||<|2><#254671> || 안소피 프리구[br](Anne-Sophie Frigout) || 8,418 || 2위 || || [include(틀:국민연합(프랑스))] || 48.20% || 낙선 || ||<|3><:>'''계''' ||<:>'''선거인 수''' || - ||<|3><:>'''투표율'''[br]25.17% || ||<:>'''투표 수''' || - || ||<:>'''무효표 수''' || - || 보궐선거에서 여당이 유일하게 탈환한 선거구가 되었다. === 샤랑트 1구 === || '''전임''' ||[include(틀:수평선(정당))] 토마 메니에(Thomas Mesnier) || || '''사유''' ||투표 오류에 의한 당선 무효화 || || '''사유발생일''' ||2022년 12월 2일 || [[2022년 프랑스 국민의회 선거]] 당시 샤랑트 1구 선거에서 [[수평선(정당)|수평선]] 소속의 토마 메니에(Thomas Mesnier)가 당선되었으나 [[불복하는 프랑스]]가 선거 결과에 대해 항의했고 2022년 12월 2일 [[프랑스 헌법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당선이 무효화되었다. ==== 결선 투표 ==== ||<-4> '''{{{+1 [[샤랑트 1구|{{{#fff 샤랑트 1구}}}]]}}}''' || ||<-2> '''이름''' || '''득표수''' || '''순위''' || ||<-2> '''정당''' || '''득표율''' || '''비고''' || ||<|2><#e83e3f> || '''르네 필라토[br](René Pilato)''' || '''12,200''' || '''1위''' || || [include(틀:불복하는 프랑스)] || '''51.80%''' || '''당선''' || ||<|2><#0000b9> || 토마 메니에[br](Thomas Mesnier) || 11,726 || 2위 || || [include(틀:수평선(정당))] || 48.20% || 낙선 || ||<|3><:>'''계''' ||<:>'''선거인 수''' || 83,962 ||<|3><:>'''투표율'''[br]30.21% || ||<:>'''투표 수''' || 25,362 || ||<:>'''무효표 수''' || 1,436 || 선거 결과 여당연합인 [[수평선(정당)|수평선]] 소속 후보가 낙선했고 [[불복하는 프랑스]] 후보가 선거구를 탈환했다. == 3월 선거 == 아리에주 1구에서만 보궐선거가 실시되었다. === 아리에주 1구 === || '''전임''' ||[include(틀:불복하는 프랑스)] 베네딕트 토린(Bénédicte Taurine) || || '''사유''' ||개표 오류에 의한 당선 무효화 || || '''사유발생일''' ||2023년 1월 27일 || [[2022년 프랑스 국민의회 선거]] 당시 아리에주 1구 선거에서는 [[불복하는 프랑스]] 소속의 베네딕트 토린(Bénédicte Taurine)이 당선되었으나, 무더기 투표 정황이 발견되어 1월 27일 당선이 무효화되었다. 3월 26일에 1차 투표가 실시되었고 4월 2일에 결선 투표가 실시된다. ==== 결선 투표 ==== 결선 투표는 불복하는 프랑스의 베네딕트 토린[* [[신민중생태사회연합|NUPES]] 단일후보]과 [[사회당(프랑스)|사회당]] 당적으로 독자 출마한 마르틴 프로제르의 대결이 되었고 사회당의 마르틴 프로제르가 당선되었다. ||<-4> '''{{{+1 [[아리에주 1구|{{{#fff 아리에주 1구}}}]]}}}''' || ||<-2> '''이름''' || '''득표수''' || '''순위''' || ||<-2> '''정당''' || '''득표율''' || '''비고''' || ||<|2><#e50040> || '''마르틴 프로제르[br](Martine Froger)'''[* 독자 출마] || '''11,758''' || '''1위''' || || [include(틀:사회당(프랑스))] || '''60.19%''' || '''당선''' || ||<|2><#e83e3f> || 베네딕트 토린[br](Bénédicte Taurine) || 7,776 || 2위 || || [include(틀:불복하는 프랑스)] || 39.81% || 낙선 || ||<|3><:>'''계''' ||<:>'''선거인 수''' || 57,274 ||<|3><:>'''투표율'''[br]37.87% || ||<:>'''투표 수''' || 21,690 || ||<:>'''무효표 수''' || 2,157 || == 4월 선거 == 해외프랑스인 제2,8,9선거구에서 보궐선거가 실시되었다. 선거 결과 변동 없이 헌법위원회에 의한 당선 무효 선언 이전 당선인들이 모두 다시 당선되었다. === [[해외프랑스인 제2선거구]] === || '''전임''' ||[include(틀:르네상스(정당))] 엘레오노르 카루아(Éléonore Caroit) || || '''사유''' ||개표 오류에 의한 당선 무효화 || || '''사유발생일''' ||2023년 1월 20일 || [[2022년 프랑스 국민의회 선거]] 당시 중남미 선거구에서 [[르네상스(정당)|르네상스]]의 엘레오노르 카루아(Éléonore Caroit)가 당선되었으나 개표 오류로 인해 프랑스 헌법위원회에서 당선을 무효화했다. 전자투표는 1차가 3월 24일부터 3월 29일까지 실시되었고 결선이 4월 7일부터 4월 12일까지 실시된다. 또한 중남미와 프랑스의 시차를 고려하여 4월 1일에 1차 투표가, 4월 15일에 결선 투표가 실시된다. ==== 결선 투표 ==== ||<-4> '''{{{+1 [[해외프랑스인 제2선거구|{{{#fff 해외프랑스인 제2선거구}}}]]}}}''' || ||<-2> '''이름''' || '''득표수''' || '''순위''' || ||<-2> '''정당''' || '''득표율''' || '''비고''' || ||<|2><#001a5b> || '''엘레오노르 카루아[br](Éléonore Caroit)''' || '''5,816''' || '''1위''' || || [include(틀:르네상스(정당))] || '''62.44%''' || '''당선''' || ||<|2><#e83e3f> || 크리스티앙 로드리게스[br](Christian Rodriguez) || 3,499 || 2위 || || [include(틀:불복하는 프랑스)] || 37.56% || 낙선 || ||<|3><:>'''계''' ||<:>'''선거인 수''' || - ||<|3><:>'''투표율'''[br]-% || ||<:>'''투표 수''' || - || ||<:>'''무효표 수''' || - || === [[해외프랑스인 제8선거구]] === || '''전임''' ||[include(틀:민주독립연합)] 메예르 아비브(Meyer Habib) || || '''사유''' ||전임자의 공금 횡령 혐의 || || '''사유발생일''' ||2023년 2월 3일 || 전임자인 메예르 아비브의 공금 횡령 혐의로 수사가 들어가면서 프랑스 헌법위원회에서 2월 3일에 메예르 아비브의 당선을 무효화했다. 전자투표는 1차가 3월 24일부터 3월 29일까지 실시되었고 결선이 4월 7일부터 4월 12일까지 실시된다. 1차 투표는 4월 2일에, 결선 투표는 4월 16일에 실시된다. ==== 결선 투표 ==== ||<-4> '''{{{+1 [[해외프랑스인 제8선거구|{{{#fff 해외프랑스인 제8선거구}}}]]}}}''' || ||<-2> '''이름''' || '''득표수''' || '''순위''' || ||<-2> '''정당''' || '''득표율''' || '''비고''' || ||<|2><#61468f> || '''메예르 아비브[br](Meyer Habib)''' || '''8,075''' || '''1위''' || || [include(틀:민주독립연합)] || '''53.99%''' || '''당선''' || ||<|2><#001a5b> || 드보라 아비스로르드리엠[br](Deborah Abisror-de Lieme) || 6,882 || 2위 || || [include(틀:르네상스(정당))] || 46.01% || 낙선 || ||<|3><:>'''계''' ||<:>'''선거인 수''' || - ||<|3><:>'''투표율'''[br]-% || ||<:>'''투표 수''' || - || ||<:>'''무효표 수''' || - || === [[해외프랑스인 제9선거구]] === || '''전임''' ||[include(틀:운동세대)] 카림 벤 셰이크(Karim Ben Cheïkh) || || '''사유''' ||개표 오류에 의한 당선 무효화 || || '''사유발생일''' ||2023년 1월 20일 || [[2022년 프랑스 국민의회 선거]] 당시 아프리카 선거구에서 [[운동세대]]의 카림 벤 셰이크가 당선되었으나 개표 오류로 카림 벤 셰이크의 [[프랑스 헌법위원회]]에서 당선을 무효화되었다. 해외프랑스인 제8선거구와 같은 날에 전자투표와 결선 투표가 실시된다. ==== 결선 투표 ==== ||<-4> '''{{{+1 [[해외프랑스인 제9선거구|{{{#fff 해외프랑스인 제9선거구}}}]]}}}''' || ||<-2> '''이름''' || '''득표수''' || '''순위''' || ||<-2> '''정당''' || '''득표율''' || '''비고''' || ||<|2><#d81e5d> || '''카림 벤 셰이크[br](Karim Ben Cheïkh)''' || '''8,059''' || '''1위''' || || [include(틀:운동세대)] || '''67.65%''' || '''당선''' || ||<|2><#001a5b> || 카롤린 트라베르스[br](Caroline Traverse) || 3,853 || 2위 || || [include(틀:르네상스(정당))] || 32.35% || 낙선 || ||<|3><:>'''계''' ||<:>'''선거인 수''' || - ||<|3><:>'''투표율'''[br]25.17% || ||<:>'''투표 수''' || - || ||<:>'''무효표 수''' || - || [[분류:2023년 선거]][[분류:프랑스의 선거]][[분류:프랑스 제5공화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