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전주시의 교통)] [include(틀:전주시의 시내버스 개편)] [목차] == 개요 == * 2023년 하반기 개편안 중 마지막 3단계 개편내용이다. * 개편 시기는 2023년 가을이 예상된다.[* 2022년 9월 개편이 불가능해졌다. [[https://cafe.naver.com/jbusstory/1282|#]]] * 이 개편으로 완주군 외곽노선이 [[완주군 버스|완주군 마을버스]]로 바뀌고, 전주시 일부 지역에 간선노선이 추가될 예정이다. * 이 개편은 새로운 전주시장과 완주군수 의견이 중요해서 의견대로 할지 안 할지 결정이 난다. == 변경되는 내용 == * 삼례(30번대), 봉동(500번대), 용진(50번대) 방면 시내버스가 폐지되고 완주군 직영 마을버스가 신설될 계획이다. 구체적인 일정은 확정되지 않았으나 일단 2023년 6월 21일에 나온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015824?sid=102|기사]]에 따르면 마을버스 구입 절차가 진행 중이며 2023년 하반기 중에 시행된다고 밝혔다. * [[2022년 2월 전주 시내버스 개편]] 중 민원이 많이 들어온 것을 다시 수정할 예정이다. 예시로 101번의 경우 배차가 줄고 노선이 줄어서 민원이 많이 들어와서 일부 복구할 예정이다.[* 이건 6월 4일 부분개편으로 수정되었다.] * 완주군 고산면 북부지역을 운행하는 [[전주 버스 300|300번]]이 완주군 직영 마을버스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다. == 이 개편으로 개선해야 할 점 == === 혁신도시 === 2월 개편으로 혁신도시 노선이 대폭 감차되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6월에 110번과 200번을 신설하였지만 애매한 배차간격은 여전하였고[* 가장 짧은 간격의 165번조차 23~24분 간격이며 굴곡이 심해 노송동이나 전북대 등 구도심으로 가려면 간격이 더 긴 110번을 타고 가야 한다.] 노선마다 혁신 내 경유지가 달라 여전히 탈 수 있는 버스가 20분 중반 간격의 노선 한두 개인 지역이 대다수이다. [[2023년 8월 전주 시내버스 개편]]으로 혁신도시 진입 노선에 총 10대가 증차되어 배차간격은 소폭 개편되었으나, 간선노선이 없다는 문제는 여전히 해결이 필요하다. === 봉동, 인후동 ===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핵심적으로 필요한 것은 30번대와 500번대 노선의 벽지구간을 자름으로 차량을 확보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로 인해 전주 시내의 공통구간에서도 감차가 이루어져야 할 수도 있고[* 전주시외 지역중 이미 지간선제가 시행된 이서, 금구, 관촌, 소양, 구이 중 이서면을 제외하면 모두 공통구간 운행횟수가 줄었던 것으로 보아 50번대와 500번대 배차간격도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그렇다면 전주대-시내, 시내-전주역, 평화동-전주역, 전북대 신정문-호성동 이 구간들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간선노선으로 대체되는 구간[* 2000번대 평화동-전북대 신정문-전주역-호성동 구간, 5000번대 전주대-시내 구간]은 문제가 없겠지만, 인후동 지역은 간선노선이 없기 때문에 평화동-시내-전주역 구간의 경우 대체노선이 애매하다. 108번, 119번으로 승객이 몰릴 가능성이 있으며 이럴 경우 이 노선들의 혼잡도가 늘어날 수도 있다. == 특징 == * 이 개편은 다른 개편들에 묻혀서 인지도가 '''전혀''' 없다. * 이 개편에 관한 정보들은 모두 노선개편과 관련 있는 전주시 버스정책과 버스노선 관계자와 통화를 통해 알아낸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추후 정보를 더 알아낼 예정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전주시 시내버스)] [include(틀:완주군 버스)] [[분류:전주시의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