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include(틀:2023년 대한민국 서부 산불)] ||<-3> {{{#fff {{{+1 '''2023년 함평 산불'''}}}}}}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함평대동면산불.jpg|width=100%]]}}} || ||<-2> '''산불 대응 최고 단계''' || {{{+1 3단계}}} || ||<-2> '''발화 시각''' || [[2023년]] [[4월 3일]] 12시 19분[* 최초 신고 시각] || ||<-2> '''발생 위치''' || '''[[전라남도]] [[함평군]] [[대동면]] 연암리 497-2''' || ||<-2> '''피해 지역''' || '''[[전라남도]] [[함평군]] [[대동면]], [[신광면]] 산 일대''' || ||<-2> '''유형''' || '''[[산불]]''' || ||<-2> '''원인''' || '''양봉장 불씨 비화''' || ||<-2> '''대피 인원''' || '''42 명''' || ||<|2> {{{#!wiki style="margin: 0 -10px" '''인명[br]피해'''}}} || '''사망''' || '''?''' || || '''부상''' || '''?''' || ||<-2> '''재산 피해''' || '''공장 4개 동 전소, 570억원 이상'''[* 임야 1ha당 1억 2,000만원 가량의 재산 피해가 발생한다.] || ||<-2> '''소실 면적''' || '''475ha''' || ||<|3> {{{#!wiki style="margin: 0 -10px" '''동원'''}}} || '''인원''' || '''728명''' || ||<|2> '''장비''' || '''47대'''[* 소방차 27대 등] || || '''산불 진화 헬기 7대''' || ||<-2> '''진화율''' || '''주불 진화 완료'''[* [[https://d.kbs.co.kr/now/forestFires|KBS 재난포털]] 참조.] || [목차] [clearfix] == 개요 == || [youtube(626yps1N3uY)] || ||<-2> {{{#ffffff '''실시간 속보 영상(KBS)'''}}} || [[2023년]] [[4월 3일]] 12시 19분 [[전라남도]] [[함평군]] [[대동면]] 연암리 야산에 원인을 알 수 없는 대형 산불이 발생했다. == 대응 == === [[4월 3일]] === 산불의 규모가 커지자, 소방당국이 대응 1단계를 발령해 진화 중이다. 그러나, 계속되는 강풍에 규모가 커지자 소방당국은 오후 2시 40분을 기해 대응 2단계를 발령했다. 산불이 빠른 바람으로 불갑산 산맥을 타고 빠르게 번지는 상황이라 대응 3단계가 발령될 수도 있는 상황이다. 산림당국 또한 오후 3시 10분부로 산불대응 2단계를 발령한 상태이다. 함평군은 긴급재난문자를 통해 불이 캠핑장 인근가지 확산하자 인근 주민은 산에서 멀리 떨어져 대피하고 대동면 주민은 덕산교회, 산불이 신광면까지 퍼지니 신광면 주민은 백운리 게이트볼장으로 대피하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16시 기준 진화율은 20%이다. 20시 30분 기준 진화율이 60%이며, 산불영향구역은 97ha이다. 22시 30분 산불 대응 3단계가 발령됐다. 그러나, 강한 바람에 산불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어 22시 50분 기준 진화율이 29%로 뚝 떨어졌으며, 산불영향구역은 280ha이다. === [[4월 4일]] === 06시 기준 진화율이 60%이며, 산불영향구역은 382ha이다. 10시 기준 진화율은 65%이며, 산불영향구역은 475ha이다. 산불 발생 약 25시간 만에 주불 진화 완료를 선언했다. == 안전안내문자 == || {{{+1 ⚠️ '''안전안내문자'''}}} ---- [[행정안전부|[[파일:행정안전부 MI_가로.svg|width=100]]]]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안전안내문자 모두 보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함평군] 오늘 대동면 연암리 497-2 산불 발생. 인근 주민과 등산객은 산에서 멀리 떨어진 안전한 곳으로 즉시 대피하시기 바랍니다. ||}}}}}}}}} || == 상황도 == ||<-3> {{{#fff {{{+1 '''[[4월 3일]] 15시 24분'''}}}}}}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함평산불상황도.jpg|width=100%]]}}} || ||<-2> {{{#ffffff '''산불은 남서풍을 타고 불갑산 북쪽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불길을 잡지 못했다.''' }}} || ||<-3> {{{#fff {{{+1 '''[[4월 3일]] 20시 37분'''}}}}}}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함평 산불 20:37.jpg|width=100%]]}}} || ||<-2> {{{#ffffff '''산불이 바람을 타고 강을 넘어 비화하였다.''' }}} || ||<-3> {{{#fff {{{+1 '''[[4월 4일]] 05시 11분'''}}}}}}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함평 산불 05:11.jpg|width=100%]]}}} || ||<-2> {{{#ffffff '''산불을 밤 동안 확산하지 못하도록 성공적으로 진화했다.''' }}} || == 여담 == 이날 오후 1시 40분쯤 전남 순천시 송광면 봉산리 산 188에서도 산불이 발생해 2시 20분쯤 산불 1단계가 발령되었고, 헬기 5대와 진화대원 115명이 투입되었다.[* 지금은 3단계가 발령된 상태다. 자세한 내용은 [[2023년 순천 송광면 산불]] 참조]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광주공항/공항 이전)] [[2023년]] [[4월 4일]], 함평군 관계자는 "대동면에서 발생한 산불이 진화 중이어서 내일과 모레 개최하려던 군 공항 이전 읍·면 권역별 설명회를 연기한다"며 "산불 진화와 피해 조사에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857459?sid=102|함평군, '광주 군 공항 설명회' 연기…"산불 진화 집중"]] == 둘러보기 == [include(틀:화재/한국)] [[분류:2023년 대한민국 서부 산불]][[분류:함평군의 사건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