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23년 지진]][[분류:네팔의 재난]][[분류:나무위키 지진 프로젝트]] [include(틀:사건사고)] [include(틀:지진)] ||<-2> {{{#fff {{{+1 '''2023년 11월 네팔 지진'''}}}}}} || ||<-3> [[파일:us7000l8p5_ciim_geo.jpg|width=100%]] || || {{{#fff 발생일시[br]^^(UTC+5:45)^^}}} ||[[2023년]] [[11월 3일]] 23시 47분 54초 || || {{{#fff 진앙}}} ||[[네팔]] Jumla 남쪽 약 42km 지역 || || {{{#fff 진원의 깊이}}} ||[[천발지진|'''17.9km''']][* USGS 기준] || || [[지진#s-1.2|{{{#fff 규모}}}]] ||M,,b,, '''6.4''' / M,,w,, 5.6 || || [[진도(지진)|{{{#fff 최대 진도}}}]] ||{{{#fff '''Ⅶ''' }}}[* [[진도(지진)|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 || [[지진#s-1.2|{{{#fff 해일 경보/주의보}}}]] ||미발령 || || {{{#fff 여진 횟수[br](M 4.0 이상)}}} ||1회: M,,,w,,, 4.0, 진도 V || ||<|5> {{{#fff 피해상황[br]}}} ||사망자 '''157명''' || ||부상자 '''140명''' || ||이재민 집계 중 || ||건물 다수 파괴 [br]건물 최소 -채 손상 || ||피해총액 -달러 || || [[지진#s-1.2|{{{#fff 지진의 유형}}}]] ||[[천발지진]] || [목차] [clearfix] == 개요 == || [youtube(nX-rZlPQOG4)] || || '''{{{#fff 네팔, 규모 6.4 지진‥최소 24명 사망 (2023.11.04/뉴스투데이/MBC)}}}''' || [[2023년]] [[11월 3일]] 네팔 현지시각 23시 47분 경 [[네팔]] [[카트만두]]에서 약 500km 가량 서쪽으로 떨어진 지역인 카르날리 주 자자르콧 일대에서 네팔국립지진센터 기준 규모 '''6.4''', 최대진도 Ⅶ의 강한 지진이 발생했다. 모멘트 규모 기준으로는 5.6에 불과하지만, 깊이가 10km 내외로 매우 얕아 상대적으로 강한 진동이 관측되었고, 많은 사람들이 자고 있는 자정 시간대인 것과 조적식 벽돌, 돌로만 지어진 집 등 다수가 내진설계가 되어있지 않았다는 점 등의 악재가 겹쳐 피해가 커졌다. 독일지구과학연구소(GFZ)는 규모를 6.2로 분석하였으나, 이후 5.7로 하향조정 하였다. == 전개 및 대응 == 지진 발생 직후 한밤중에 취침을 취하던 다수의 인근 주민들이 놀라 집밖으로 뛰쳐나왔고, 다수의 건물 붕괴나 파손이 확인되었다. 또한, 지진동은 인도 뉴델리에서도 감지될 정도로 넓은 범위에서 감지되었다. 지진이 발생한 자자르콧 지역은 약 19만명이 거주하는 산악지역이다. 4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자자르콧에서 주민 92명이 사망하고 55명이 다쳤으며, 인근 루쿰 지역에서도 36명이 사망하고 85명이 다쳐 총 '''사망 128명, 부상 150명'''으로 집계되었으며, 피해는 더욱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 관련 기사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410475&plink=ORI&cooper=NAVER|네팔 지진 사망자 최소 128명으로 늘어… "사망자 더 증가할 것"]]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311040009&t=NN|네팔에서 규모 6.2 지진…뉴델리까지 흔들렸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지진/202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