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2024 파리 올림픽/축구(남자))] [include(틀:2024 파리 올림픽/축구(남자))] [목차] == 개요 == [[2024 파리 올림픽]] [[2024 파리 올림픽/축구(남자)|남자축구]] 대륙간 플레이오프 경기를 다루는 문서. == 플레이오프 진출팀 == ||<-3> '''{{{#000 플레이오프 진출팀}}}''' || || [[아시아 축구 연맹|[[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width=90]]]][br][[아시아 축구 연맹|{{{#000 아시아}}}]] ||<|2> VS || [[아프리카 축구 연맹|[[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width=40]]]][br][[아프리카 축구 연맹|{{{#000 아프리카}}}]] ||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30]]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인도네시아]][br]([[2024 AFC U-23 아시안컵 카타르]] 4위) || [[파일:기니 국기.svg|width=30]] [[기니 축구 국가대표팀|기니]][br]([[2023 아프리카 U-23 네이션스컵 모로코]] 4위) || 기존 출전권 배분으로 하면 개최국이 [[유럽]]인 [[프랑스]]이기 때문에, 유럽 예선의 출전권을 4장에서 3장으로 줄이고 남은 그 1장을 플레이오프에 배정하게 되었다. 플레이오프는 [[2024 AFC U-23 아시안컵]] 4위 팀과 [[2023 아프리카 U-23 네이션스컵]] 4위 팀이 진출하며, 올림픽 개최지인 프랑스 [[클레르퐁텐앙이블린]][* [[클레르퐁텐 국립 기술 단지]]가 위치한 소도시]에서 중립 단판 승부로 열리고 경기의 승자가 마지막 올림픽 티켓을 가져가며 프랑스, 미국, 뉴질랜드가 있는 A조에 배정된다. 또한 남자 축구 첫 경기까지 치른다. [[2012 런던 올림픽/축구(남자)|2012 런던 올림픽]] 대륙 플레이오프 이후 12년 만에 열리는 올림픽 대륙 플레이오프 경기이다. 당시 대륙 PO전은 세네갈이 오만에게 2:0으로 완승하여 런던행을 확정[* [[https://youtu.be/bR_oltZ11bI?si=dRwZ3i6xRt65AzNx|당시 경기 영상]]]지었다. == 역대 전적 및 최근 대결 == * 인도네시아 vs 기니 * 역대 전적: * 최근 대결: == 중계 == 중계는 [[국제축구연맹]]의 공식 스트리밍 사이트인 'FIFA+'에서 무료로 생중계될 예정이다.[[https://www.plus.fifa.com/en/content/afc-caf-play-off-olympic-football-tournaments-paris-2024-2024/a57f5d87-81d8-4819-9a01-13eeb64bafd6|파리 올림픽 남자축구 최종 대륙 플레이오프 라이브]] == 경기 진행 == ||<:><-3>[[파일:2024 파리 올림픽 로고.svg|width=70]][br]'''{{{#000,#d7c379 2024 파리 올림픽 축구 남자 대륙간 플레이오프[br]2024년 5월 9일 목요일 22:00 (UTC+9)}}}'''|| ||<-3><:>'''{{{#000 [[클레르퐁텐 국립 기술 단지|{{{#000 클레르퐁텐 국립 기술 단지}}}]] (프랑스, 클레르퐁텐앙이블린)}}}'''|| ||<-3><:> '''{{{#000 관중: 명}}}'''|| ||<-3><:>'''{{{#000 주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to right, #f0f0f0 0%, #f0f0f0 0.5%, transparent 0.5%, transparent 1%), repeating-linear-gradient(135deg, transparent 0%, transparent 6.5%, #f0f0f0 6.5%, #f0f0f0 10.5%); background-size: 525px 70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1%, #e4010b 1%, #e4010b 4%, transparent 4%, transparent 96%, #e4010b 96%, #e4010b 99%, #fff 99%, #fff 100%)" [[파일:인도네시아 올림픽 대표팀 엠블럼.svg|height=100]]}}}}}} ||<|2><:>'''{{{+5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0000 14%, #00aa00 14%, #00aa00 15%, #ff0000 15%, #ff0000 24%, #00aa00 24%, #00aa00 25%, #ff0000 25%, #ff0000 34%, #00aa00 34%, #00aa00 35%, #ff0000 35%, #ff0000 44%, #00aa00 44%, #00aa00 45% , #ff0000 45%, #ff0000 54%, #00aa00 54%, #00aa00 55%, #ff0000 55%, #ff0000 64%, #00aa00 64%, #00aa00 65%, #ff0000 65%, #ff0000 74%, #00aa00 74%, #00aa00 75%, #ff0000 75%, #ff0000 85%, #00aa00 85%, #00aa00 86%, #ff0000 86%)" [[파일:기니 올림픽 대표팀 엠블럼.png|height=100]]}}} || ||<:><#fff> '''{{{#e4010b 인도네시아}}}'''||<:>'''{{{#00aa00 기니}}}'''||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3><:>'''[[https://olympics.com/|{{{#000 매치 리포트}}}]] | [[https://youtu.be/|{{{#000 경기 하이라이트}}}]] | [[https://www.plus.fifa.com/en/content/afc-caf-play-off-olympic-football-tournaments-paris-2024-2024/a57f5d87-81d8-4819-9a01-13eeb64bafd6?gl=kr|{{{#000 경기 풀영상}}}]]'''|| ||<-3><:>'''{{{#000 Man of the Match: [[|{{{#000 미정}}}]]}}}'''|| 두 팀 모두에게 이번 경기는 '''최후의 기회다.''' 아프리카 대회에서 4강에 진출해 올림픽 본선까지 3번의 기회를 부여받은 기니는 첫 번째 기회인 이집트전에서 0-1 패배, 두 번째 기회인 말리와의 3-4위전에선 0-0으로 비기고 승부차기 끝에 4-5로 지면서 결국 여기까지 왔다. 그래도 대회가 종료된 후 약 10개월간의 재정비 기간을 가질 수 있었다. 문제는 인도네시아인데, 인도네시아 역시 바로 직전에 펼쳐진 대회예선 조별리그에서 호주와 요르단을, 8강에선 대한민국을 각각 격파하고 첫 대회진출에 무려 4강까지 진출해 총 3번의 본선 진출 기회를 부여받았으나 준결승에서 우즈베키스탄에게 0-2 패배, 3-4위전에선 이라크에게 연장 접전 끝에 1-2 역전패를 당하며 대륙간 플레이오프로 결국 밀려났다. 심지어 인도네시아는 3-4위전 패배 후 '''불과 1주일 만에''' 이 중요한 경기를 치러야 하므로 아시아 대회 6경기를 모두 소화하면서 이미 녹초가 된 선수단을 이끌고 겨우 일주일이란 텀을 가진채 사실상 7경기째 연속으로, 그것도 마지막 대륙간 플레이오프는 프랑스까지 다시 날아가서 치러야 올림픽 본선행 티켓을 딸 수 있는 부담스런 상황인 셈이 되었다. 이 때문에 인도네시아는 이전아시아 대회에서 차출이 불발되었던 영국계 중앙 수비수 [[엘칸 바곳]]을 긴급히 추가로 차출하려는 등 시도를 하였다. 그래도 두 팀 모두에게 올림픽 본선은 다시 오기 힘든 기회가 될 수 있다. 그도 그럴 것이, 기니의 처음이자 마지막 본선 진출 시기는 [[1968 멕시코시티 올림픽/축구|1968년]]이고, 인도네시아는 그보다 더 오래 전인 [[1956 멜버른 올림픽/축구|1956년]]으로 두 팀 모두 짧게는 56년, 길게는 68년만에 온 올림픽 본선 진출의 기회이며, 대회가 U-23 대회로 개편된 이후로는 아예 첫 본선행이 될 예정으로 그렇기에 단판으로 치러질 이 경기 또한 양팀 모두 매우 치열한 혈전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전력 상으로는 객관적으로 기니가 우위를 점할 것으로 보였는데 이미 프랑스, 스위스, 벨기에, 스페인, 그리스 등 유럽 각지에서 뛰고 있는 선수들이 즐비하며 A대표팀 경력을 가진 선수도 꽤나 된다. 다만 최근 네덜란드계 혼혈 선수들을 대거 끌어온 인도네시아 역시 유럽파가 다수 있으며, 신체 조건도 동남아시아 팀 보다는 유럽에 가까운 선수들이 많다. 체력에서 열세인 것이 확실한 상황이라 인도네시아에게는 유럽계 선수들의 활약이 그 어느때보다도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니가 이전 3월 평가전에서 미국에게 0-3 대패를 당한 것도[* 물론 미국 U-23팀이 (후에 열린)[[2024 AFC U-23 아시안컵 카타르|2024 U-23 아시안컵]]에서 우승을 하며 올림픽에 진출한 일본과의 평가전에서 무려 4:1로 일본을 털정도로 전력이 강한 것도 있긴했다.] 의외로 이 경기가 백중세가 될 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점이다. == 총평 == == 관련 문서 == * [[2024 파리 올림픽/축구(남자)]] * [[2024 AFC U-23 아시안컵 카타르]] * [[2023 아프리카 U-23 네이션스컵 모로코]] [[분류:2024 파리 올림픽/축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