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 [include(틀:대구 시내버스 주요 개편)] [목차] [clearfix] == 개요 == [[2024년]] 하반기에 실시될 예정인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개편. [[군위군의 대구광역시 편입]], 구미~경산간 경부선 [[대구권 광역철도]] 개통, [[안심-하양 복선전철]] 개통, [[대구권 광역환승할인]] 시행, 신규 택지지구 개발에 따른 대중교통 여건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9년만에 실시하는 대개편이다.[* 다만 위의 표를 보면 알겠지만 원래부터 8~9년 주기로 개편해왔다.] == 개편 실시 전 정보 == * 원래 2021년부터 6억 8천만원 규모의 예산안을 준비하여 용역을 거친 뒤 2023년 하반기에 시행될 예정이었으나 대구권 광역철도의 개통이 2024년 하반기로 연기됨에 따라 시내버스 개편도 1년 늦춰졌다. * 노선 개편의 핵심 키워드 역시 2015년과 마찬가지로 '환승'이며 전기버스, 수소버스를 추가적으로 도입하기 위해 장대노선를 적정 거리 이내로 단축하는 것 역시 주요 목표다. 특히 [[대구 버스 600|600번]]은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최장거리 노선인데다 언론에서 노선을 구체적으로 언급한만큼 조정 가능성이 높다.[[http://www.idaegu.com/newsView/idg202111250023|#]] * [[대구광역시]]는 복합환승센터 및 환승 거점 설치를 검토 중이다. *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2022년 2기 신도시를 포함한 전국 128개 지구의 광역교통 현황을 조사하였는데 그 중 [[연경지구]]가 집중관리지구 중 교통서비스 하위 지구로 분류됐다. 위원회는 해당 발표에서 광역버스 운행 개선, 시내·마을버스 운행 개선, 수요응답형 교통수단 확대 등을 권고했다.[[https://news.imaeil.com/page/view/2022101214054997066|#]] * 또한 [[대구테크노폴리스]], [[이시아폴리스]], [[성서(대구)|성서지구]],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대구경북]], [[금호지구]], [[대구신서혁신도시]], 율하2지구는 비주거 또는 소규모 지구로 분류되어 광역버스 증차, 2층 전기버스 등 광역버스 중심의 대중교통 개선을 권고했다. 그러나 대구광역시는 광역버스 신설에는 그다지 의욕이 있지 않다.[[https://www.tbc.co.kr/news/view?c1=morning&c2=&pno=20221017154750AE01603&id=173236|#]] * 2022년 12월 9일 제297회대구광역시의회(정례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회의에서 권기훈 위원은 '오지 노선 배차간격이 40분~1시간이 넘어 어르신들이 많이 불편하다. 배차간격을 줄여줘야 한다'며 지적했고, 버스운영과장은 '충분히 공급하면 좋겠지만 재정여건과 버스 공급대수에 한계가 있다. 대구시 버스 대수가 다른 시도의 인구 1만명당 버스 대수에 비해 상당히 적다. 지금 현재 타 시도 평균 수준의 버스를 공급하기 위해서 한 160대 정도의 증차가 필요하다.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서 160대 분의 증차가 되어야만 타 시도 수준의 공급이 가능하다'라고 입장을 냈다. 또 권위원은 팔공산국립공원이라는 동일 생활권 내(內)임에도 능성동을 경계로 대구시내버스와 경산시내버스가 단절되어 있어 두 지자체의 시민간 교류에 어려움이 있으니 염두에 두어 달라고 주문했다.[[https://council.daegu.go.kr/record/main?uid=7692#top|#]] * 2023년 4월 17일부터 4월 30일까지 대구시 민간교통연구업체인 네오티시스(주)에서 시내버스 승하차 교통카드 단말기를 활용한 승하차 수요 조사를 진행했다. * 2023년말에 중간보고회가 실시되고 이후 주민공청회 등이 개최된다.[[https://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09916&sc_sub_section_code=S2N27|#]] * 2024년 6월 3일에 개편연구용역이 종료된다.[[http://daegu.go.kr/public//index.do?menu_id=00935060&menu_link=/icms/bbs/selectBoardArticle.do&bbsId=BBS_01996&nttId=639156&bbsTyCode=BBST03&bbsAttrbCode=BBSA03|#]] * [[금호워터폴리스공영차고지]]가 개통되며 성보교통과 경상버스의 공동입주희망으로 인해 노선간 업체 트레이드, 공차거리 해소 등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624973|#]] * [[도남지구]], [[금호워터폴리스]], [[신암뉴타운]] 등은 2015년 개편 이후 신규 조성된 지역이라 이번 개편 대상 지역이 되었다. * [[안심-하양 복선전철]]과 중복이 되는 시내버스는 조정 대상에 오를 가능성이 높다.[* 대표적으로 [[대구 버스 518-1|518-1번]]과 [[대구 버스 808|808번]] 버스가 있다. 808번은 [[영천시]] [[금호읍]]까지 가기 때문에 현행 유지가 될수도 있겠으나, [[영천 버스 55, 555]] 노선과도 겹치기 때문에 일단 지켜봐야 하며, 518-1번은 원래도 수요가 없는데 1호선 연장 이후에는 전 구간 [[안심-하양 복선전철]]과 겹치므로 폐선이 제일 유력하다. 이외의 노선들도 폐선 및 단축이 될 순 있겠으지만, 그것보다 현재 [[대구, 경산 버스 708|708번]]이 혼자 담당하고 있는 [[대구신서혁신도시]] 간선노선을 늘리기 위해 노선을 혁신도시 쪽으로 좀 더 올릴 가능성도 높다.] * 2023년 8월 [[대구교통공사]] 조례 개정으로 시내버스, 마을버스 등의 사업이 가능해졌다.[[https://council.daegu.go.kr/kr/bill/contents?reform=view&uid=1A431186AA7D3F11373F6B1756FC8ABE&page=&flag=all&keyword=%EA%B5%90%ED%86%B5%EA%B3%B5%EC%82%AC&search_code=&th_sch=&bill_sch=&prop_sch=&delg_sch=&res_sch=&sdate=&edate=&cl_sch=&th_sch=&sess_sch=&ord_sch=&cmt_sch=&mem_sch=|#]]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개편마다 649, 449, 909 등 경산시 진출입 노선에 대한 조정을 어렵게 만든 [[경산버스]]는 최근 경영난으로 운행에 차질을 겪고 있다. 또한 [[경산시]] 입장에서는 준공영제 내지는 준준공영제를 요구하고 있는데, 준공영제 또는 준준공영제가 성사될 경우 태도 변화를 기대할 수 있다.[[https://www.kb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935266|#]] * [[군위군 마을버스]]는 2024년 1월 2일 노선조정이 되었다. == 개편 내용 == === 요약 === === 상세 === == 개편 이후 현황 == === 긍정적 사례 === === 부정적 사례 === === 후속 개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