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 ---- ||<-4> {{{+1 {{{#ffffff '''2024년 미국 공화당 전당대회'''}}}}}}[br]{{{#fff '''2024 Republican National Convention'''}}} || ||<-4><#fff>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4> {{{#!wiki style="margin: -7px -12px" || {{{-2 [[2020년]] [[8월 24일]]}}}[br][[2020년 미국 공화당 대통령 후보 경선|2020 RNC]] || → || {{{-2 [[2024년]] [[7월 16일]][* 대의원 개표(roll call)일 ]}}}[br]'''2024 RNC''' || → || {{{-2 [[2028년]] [[미정]]}}}[br][[2028년 미국 공화당 대통령 후보 경선|2028 RNC]] || }}} || || '''기간''' ||<-3>'''경선 기간:''' [[2024년]] [[1월 15일]] ~ [[2024년]] [[6월 11일]][br]'''전당대회 기간: '''[[2024년]] [[7월 15일]] ~ [[2024년]] [[7월 18일]] || || '''대회 장소''' ||<-3>[[위스콘신|위스콘신주]] [[밀워키]] [[파이서브 포럼]] || || '''선거 방식''' ||<-3>주별 배분 방식 혼용(총 2,467표, 1,234표 과반)[br]구속 대의원: 2,392명 + 불구속 대의원: 75명 || ||<-4> '''선거 결과''' || ||<-4> {{{#!wiki style="margin: -5px -5px;"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wiki style="margin:-10px 0px;" {{{-3 ▼}}}}}} || || {{{+1 {{{#white '''2024년 공화당 대선 경선 당일까지'''}}}}}} || || '''{{{+5 D[dday(2024-01-15)]}}}''' || || {{{+1 {{{#white '''2024년 공화당 대선 전당대회 당일까지'''}}}}}} || || '''{{{+5 D[dday(2024-07-15)]}}}'''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의 [[공화당(미국)|공화당]] 경선 과정. == 후보 == [include(틀:공화당(미국) 2024년 대통령 선거 경선 후보)] * [[도널드 트럼프]] - 전 대통령 * [[론 디샌티스]] - 현 [[플로리다]] 주지사 * [[니키 헤일리]] - 전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지사, 전 [[유엔]] 주재 대사 * [[비벡 라마스와미]] - 기업인 * [[크리스 크리스티]] - 전 [[뉴저지]] 주지사 * [[에이사 허친슨]] - 전 [[아칸소]] 주지사 * 사퇴 * [[더그 버검]] - 현 [[노스다코타]] 주지사. 2023년 12월 4일 사퇴를 선언했다.[[https://www.nytimes.com/2023/12/04/us/politics/doug-burgum-2024-campaign.html|#]] * [[팀 스콧]] - 현 [[사우스캐롤라이나]] 연방 상원의원. 2023년 11월 12일 사퇴를 선언했다.[[https://www.npr.org/2023/11/12/1212578976/tim-scott-ends-campaign-on-fox-news|#]] [[https://www.theguardian.com/us-news/2023/nov/13/tim-scott-suspends-presidential-bid|#]] [[https://www.cbsnews.com/news/tim-scott-drops-out-2024-presidential-race-fox-trey-gowdy/|#]] * [[마이크 펜스]] - 전 부통령, 전 [[인디애나]] 주지사. 2023년 10월 28일 사퇴를 선언했다.[[https://naver.me/GHVVHXZ6|#]] [[https://naver.me/5kkkiriw|#]] 후원금 부진으로 3차 토론회에서 배제될 위기에 처하자 선수를 쳤다. [[https://www.cnn.com/2023/10/28/politics/pence-suspends-white-house-bid/index.html|#]][* 한편 [[도널드 트럼프]] [[전직 대통령|전 대통령]]은 펜스의 사퇴 소식을 듣고 "내 부통령이었으니 응당 날 지지해야 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https://naver.me/F2iilfc2|#]] [[https://naver.me/5buu9eqX|#]]] * [[코리 스테이플턴]] - 전 [[몬태나]] 총무처 장관. 2023년 10월 13일 사퇴를 선언했다.[[https://www.newswire.com/news/u-s-presidential-candidate-corey-stapleton-bows-out-of-race-22148886|#]] * [[윌 허드|윌리엄 허드]] - 전 [[텍사스]] 연방 하원의원. 2023년 10월 10일 사퇴하고 [[니키 헤일리]] 지지를 선언했다.[[https://www.cnbc.com/2023/10/09/will-hurd-suspends-2024-presidential-campaign.html|#]] * [[스티브 래피]] - 전 [[로드아일랜드]] 크랜스턴 시장. 2023년 10월 6일 사퇴를 선언했으며, 동시에 공화당을 탈당했다.[[https://abcnews.go.com/Politics/abc-steve-laffey-leaves-2024-race-reflects-longshot/story?id=103736277| ]]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이 해임당하는 모습을 보고 당이 트럼프와 그의 측근들에게 휘둘리는 모습이 환멸나서 경선 참여 의욕을 상실했다고 밝혔다. * [[프랜시스 수아레즈]] - 현 [[플로리다]] [[마이애미]] 시장. 1차 토론회 초청 조건을 충족하지 못함에 따라 경쟁력 부족을 인정한다며 2023년 8월 29일 사퇴를 선언했다.[[https://www.theguardian.com/us-news/2023/aug/29/francis-suarez-republican-mayor-drops-out|#]] {{{#!folding 기타 군소 후보 [ 펼치기 · 접기 ] ## 비제도권 후보들에 한합니다. 언론의 주목도나 여론조사 지지율로는 군소 후보에 해당하는 인물도 선출직 공직이나 주요한 임명직 공직을 맡은 경험이 있는 등 제도권 정치인이라 볼 수 있는 경우는 일반 후보들과 함께 기재합니다. * 얼 워커 잭슨 시니어 - 목사[* 2013년 버지니아 지방선거에서 공화당 부지사 후보로 선출된 바 있다.] * [[라이언 빙클리]] - 목사 * 존 앤서니 카스트로 - 세무사 * 스콧 앨런 에이어스 - 자영업자 * 밥 카니 - 컨설턴트 * [[래리 엘더]] - 변호사. 2023년 10월 26일 사퇴하고 [[도널드 트럼프]] 지지를 선언했다.[[https://thehill.com/homenews/campaign/4248455-larry-elder-2024-gop-primary-donald-trump|#]] * 히스 펄커슨 * 피터 제딕 - 작가 * [[페리 존슨]] - 기업인. 2023년 10월 20일 사퇴하고 [[도널드 트럼프]] 지지를 선언했다.[[https://www.nbcnews.com/meet-the-press/meetthepressblog/perry-johnson-drops-2024-presidential-race-rcna121476|#]] * 도널드 조네스 - 부동산중개인 * 메리 맥스웰 - 정치학 박사 * 글렌 J. 피터스 * 스콧 피터슨 메렐 * 샘 슬론 - 전직 주식 브로커 * 데이비드 스터큰버그 - [[텍사스]] 주방위군 장교 * 레이첼 스위프트 * 허시 싱 - 코로나 백신 반대 운동가. 2023년 10월 31일 사퇴하고 [[도널드 트럼프]] 지지를 선언했다.}}} == 토론 == * [[2023년]] [[8월 23일]] 1차 토론회 (방송사: [[폭스뉴스]]) - 여론조사상 지지율 1% 이상을 기록하고 경선 승복 서약서에 서명했으며 일정 수준 이상의 후원금을 확보한 후보들만 초청되었다. 이에 따라 디샌티스, 라마스와미, 크리스티, 펜스, 헤일리, 허친슨, 스콧, 버검 등 8명이 토론에 참석했다. 앞으로 토론회마다 지지율 및 후원금 기준을 올려가는 식으로 진행한다. 참고로 [[도널드 트럼프]]는 지지율과 후원금 조건은 너끈히 충족했으나, 승복 서약서에는 서명을 거부해 배제됐다.[* 그는 입장문을 내고 "압도적 1위인 내가 한 자릿수 지지율의 후보들과 상대해줄 이유가 없다"며 어차피 토론회에 참석하고 싶지 않다는 뜻을 밝혔다.[[https://apnews.com/article/donald-trump-republican-primary-debate-9b6c7e74c7ce908cd082df3bb192535f|#]]] 라마스와미가 펜스, 크리스티 등의 反트럼프 행보를 원색적으로 조롱하고, 펜스와 크리스티도 강경한 단어를 써가며 역공하는 등 진흙탕 싸움이 자주 연출되었다. 방청석에서도 反트럼프 성향 후보들에 대한 과도한 야유가 나와 사회자들이 후보들과 방청석에 모두 수차례 자중을 촉구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방송 이후 디샌티스와 라마스와미의 후원금이 급등하긴 했으나[[https://www.foxnews.com/politics/desantis-ramaswamy-experience-fundraising-surge-republican-debate|#]] 여전히 트럼프의 독주가 굳건한 것으로 조사됐다.[[https://pro.morningconsult.com/analysis/first-gop-primary-debate-poll|#]] 시청자 수는 1200만여 가구로 트럼프의 불참에도 불구하고 선방했다.[[https://www.cnn.com/2023/08/24/media/fox-news-gop-debate-ratings/index.html|#]][* 한편 트럼프는 토론회에 참석하지 않은 대신 [[터커 칼슨]]과 대담을 했으며, 해당 대담은 사전녹화 형식으로 진행된 뒤 토론회와 같은 시간대에 [[X(SNS)|X]]를 통해 방영되었다. 이 대담 영상은 최소 2억 명에게 노출되었으나, 이는 영상을 클릭하지 않은 사람도 모두 포함된 수치여서 TV 시청률과 직접 비교는 불가능하다.] * [[9월 27일]] 2차 토론회 ([[폭스뉴스|폭스 비즈니스]], [[텔레비사(멕시코)|유니비전]]) - 허친슨이 후원자 증가율 부진으로 빠지고 디샌티스, 라마스와미, 크리스티, 펜스, 헤일리, 스콧, 버검 등 7명이 참석했다. 도널드 트럼프는 이번에도 불참하고 별도의 유세 일정을 소화했다.[[https://www.usatoday.com/story/news/politics/elections/2023/09/27/gop-republican-debate-live-updates/70982273007/|#]] 토론 도중 몇몇 후보들은 트럼프가 토론에 참석하지 않는 것은 유권자를 무시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후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항마로 여겨지던 [[론 드샌티스]] 플로리다 주지사의 지지도가 하락하고 [[니키 헤일리]] 후보의 지지율이 상승하면서 공화당에서 최초의 여성 대통령 후보가 등장하고 [[조 바이든]] 대통령에게서 국정 주도권을 가져오는 시나리오가 거론되기 시작했다.[* 다만 여전히 트럼프 전 대통령의 지지율은 압도적인 편이다.] * [[11월 8일]] 3차 토론회 ([[NBC(미국 방송)|NBC]], [[피콕(스트리밍)|Peacock]]) - 펜스가 사퇴하고 버검이 여론조사 지지율 조건을 충족하지 못해 디샌티스, 라마스와미, 크리스티, 헤일리, 스콧 등 5명이 참석했다. 라마스와미는 이번에도 "사회자들이 너무 좌익이다" "[[터커 칼슨]], [[조 로건]], [[일론 머스크]]가 사회를 봐야 한다" "언론이 2020 대선을 조작했다"와 같은 극단적인 발언을 쏟아냈다. 헤일리는 디샌티스, 라마스와미를 상대로 낙태법, 환경 문제 등을 놓고 치열한 언쟁을 벌였으며, 특히 라마스와미가 자신의 딸을 건드리자 "내 딸을 언급하지 말라"며 "scum"이라고 욕하기도 했다. * [[12월 6일]] 4차 토론회 ([[Nexstar|뉴스네이션]], [[The CW]]) - 경선 전에 열리는 마지막 토론회로, [[앨라배마|앨러배마 주]] [[터스컬루사]]에 위치한 [[앨라배마 대학교]]에서 진행된다. 스콧이 사퇴하였기에 별다른 이변이 없다면 디샌티스, 라마스와미, 크리스티, 헤일리만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https://www.axios.com/2023/12/05/fourth-republican-debate-qualifiers-rnc-trump|#]] [[https://www.nbcnews.com/politics/2024-election/gop-debate-stage-shrinks-four-candidates-rcna128017|#]] 디샌티스보다 헤일리가 집중 포화를 맞았는데, [[뉴햄프셔]]를 비롯한 핵심 주 일부에서 지지율이 디샌티스를 추월한 2위를 기록하는 등 다크호스로 부상하고 있기 때문이다.[[https://www.foxnews.com/politics/haley-celebrates-momentum-gop-rivals-ramp-attacks-guys-know-surging.amp#amp_tf=From%20%251%24s&aoh=17016287077613&referrer=https%3A%2F%2Fwww.google.com| ]] 언론 일각에서는 디샌티스와 헤일리의 양자 토론을 해야 한다는 평이 나오기도 했다. 공화당은 1위 후보인 트럼프가 참석을 거부하고 있는 만큼 더 이상 토론회를 주최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대신 앞으로 방송사, 단체 등에서 자체적으로 토론회를 열 예정이다. * [[1월 10일]] 5차 토론회 ([[CNN]]) * [[1월 18일]] 6차 토론회 ([[ABC(미국)|ABC]]) * [[1월 21일]] 7차 토론회 ([[CNN]]) == 결과 == === 경선 === [include(틀:2024년 미국 공화당 대통령 후보 경선/경선 결과)] === 전당대회 === [[분류: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분류:전당대회]][[분류:미국 공화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