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전주시의 교통)] [include(틀:전주시의 시내버스 개편)] [목차] == 개요 == 2024년 상반기에 시행될 예정인 전주 시내버스 지간선제 3단계 개편. 지간선제 마지막 지역인 [[봉동읍]], [[용진읍]]에 [[완주군 마을버스]]가 투입되며, 이와 동시에 전주 시내버스 일부 노선이 변경될 예정이다. 본래 2022년 9월 개편이 진행될 전망이었으나 여러 문제로 무산되었다. [[https://cafe.naver.com/jbusstory/1282|#]]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미뤄지다가 우선 2024년 2월에 기존의 전주시 면허로 운행하던 삼례지선 노선들부터 완주군 직영 마을버스로 전환하고, 봉동읍과 용진읍 일대 노선의 경우 이후에 마을버스로 전환할 것으로 보인다. [[https://www.jjan.kr/article/20240125580238|#]] == 변경되는 내용 == * 봉동(500번대), 용진(50번대) 방면 시내버스 또한 통폐합되고 완주군 직영 마을버스가 신설될 계획이다. 구체적인 일정은 확정되지 않았으나 일단 2023년 6월 21일에 나온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015824?sid=102|기사]]에 따르면 마을버스 구입 절차가 진행 중이며 2024년 상반기 중에 시행된다고 밝혔다. * 완주군 고산면 북부지역을 운행하는 [[전주 버스 300|300번]] 또한 완주군에서 노선권 매입을 완료했기에, 이 노선 또한 완주군 직영 마을버스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 그동안 시민여객과 완주군 사이의 보조금에 대해 입장 차이가 있었지만, 버스 이용시 마을버스 운임인 500원을 받는 다른 읍면지역과 달리 고산 이북 지역만 시내버스 운임인 1500원을 받아 형펑성에 어긋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기 때문. [[https://www.news1.kr/articles/?5280744|#]] * 봉동읍 신성리 봉동교 인근 만경강변에 환승거점지가 조성될 계획이다. == 이 개편으로 개선해야 할 점 == === 혁신도시 === 2월 개편으로 혁신도시 노선이 대폭 감차되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6월에 110번과 200번을 신설하였지만 애매한 배차간격은 여전하였고[* 가장 짧은 간격의 165번조차 23~24분 간격이며 굴곡이 심해 노송동이나 전북대 등 구도심으로 가려면 간격이 더 긴 110번을 타고 가야 한다.] 노선마다 혁신 내 경유지가 달라 여전히 탈 수 있는 버스가 20분 중반 간격의 노선 한두 개인 지역이 대다수이다. [[2023년 8월 전주 시내버스 개편]]으로 혁신도시 진입 노선에 총 10대가 증차되어 배차간격은 소폭 개편되었으나, 간선노선이 없다는 문제는 여전히 해결이 필요하다. === 봉동, 인후동 ===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핵심적으로 필요한 것은 30번대와 500번대 노선의 벽지구간을 자름으로 차량을 확보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로 인해 전주 시내의 공통구간에서도 감차가 이루어져야 할 수도 있고[* 전주시외 지역중 이미 지간선제가 시행된 이서, 금구, 관촌, 소양, 구이 중 이서면을 제외하면 모두 공통구간 운행횟수가 줄었던 것으로 보아 50번대와 500번대 배차간격도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그렇다면 전주대-시내, 시내-전주역, 평화동-전주역, 전북대 신정문-호성동 이 구간들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간선노선으로 대체되는 구간[* 2000번대 평화동-전북대 신정문-전주역-호성동 구간, 5000번대 전주대-시내 구간]은 문제가 없겠지만, 인후동 지역은 간선노선이 없기 때문에 평화동-시내-전주역 구간의 경우 대체노선이 애매하다. 108번, 119번으로 승객이 몰릴 가능성이 있으며 이럴 경우 이 노선들의 혼잡도가 늘어날 수도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전주시 시내버스)] [include(틀:완주군 버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2024년 2월 전주 시내버스 개편, version=174)] [[분류:전주시의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