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1 {{{#ffcc00 '''2024년 유럽의회 선거'''}}}}}} || ||<-4> {{{#!wiki style="margin: -7px -12px"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2 [[2019년]][br][[5월 23일]] ~ [[5월 26일]]}}}}}}[[2019년 유럽의회 선거|2019 선거]] ||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2 [[2024년]][br][[6월 6일]] ~ [[6월 9일]]}}}}}}'''2024 선거''' ||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2 [[2029년]][br]}}}}}}2029 선거 ||}}} || || '''{{{#ffcc00 투표율}}}''' ||<-3>50.97% [[2019년 유럽의회 선거|{{{#008000 ▲0.02%p}}}]] || ||<-4> '''{{{#ffcc00 개표 현황}}}''' || || 완료 || 16개국 || 개표 중 || 11개국 || ||<-4> '''{{{#ffcc00 예측 결과 ,,(6월 12일 11:28 GMT+2 기준[[https://results.elections.europa.eu/en/|#]]),,}}}''' || || '''교섭단체명''' || '''획득 의석''' || '''총득표율''' || '''의석 증감'''[* 선거 직전 대비] || || [[유럽 인민당 그룹|{{{#fff '''EPP'''[br]{{{-2 유럽인민당}}} }}}]] || 189석 || 26.81% || - || || [[사회민주진보동맹|{{{#fff '''S&D'''[br]{{{-2 사회민주진보동맹}}} }}}]] || 135석 || 18.75% || - || || [[리뉴 유럽|{{{#00bfff '''RE'''[br]{{{-2 리뉴 유럽}}} }}}]] || 79석 || 10.97% || - || || [[유럽 보수와 개혁|{{{#fff '''ECR'''[br]{{{-2 유럽 보수와 개혁}}} }}}]] || 73석 || 10.13% || - || || [[정체성과 민주주의|{{{#fff '''ID'''[br]{{{-2 정체성과 민주주의}}} }}}]] || 58석 || 8.06% || - || || [[녹색당-유럽자유동맹|{{{#fff '''Greens-EFA'''[br]{{{-2 녹색당[br]유럽자유동맹}}} }}}]] || 53석 || 7.36% || - || || [[유럽의회 좌파-GUE/NGL|{{{#fff '''GUE-NGL'''[br]{{{-2 유럽연합좌파[br]북유럽녹색좌파}}} }}}]] || 36석 || 5.00% || - || || [[무소속(정치)|{{{#fff 비교섭의원}}}]] || 45석 || 6.25% || - || || 기타[* 기존에 의석수가 없던 정당이 신규 진출한 경우] || 52석 || 7.64% || - || ||<-4> [[https://results.elections.europa.eu/en/|2024 유럽의회 선거 결과 (EU)]] || [목차] [clearfix] == 개요 == 제10회 [[유럽의회]] 선출을 위해 2024년 6월 6일부터 6월 9일까지 실시되는[[https://www.consilium.europa.eu/en/press/press-releases/2023/05/22/council-confirms-6-to-9-june-2024-as-dates-for-next-european-parliament-elections/|#]] [[유럽의회 선거]]로, [[브렉시트]] 이후 처음으로 실시되는 유럽의회 선거이기도 하다. == 유럽의회의 교섭단체 == 유럽의회에 진출한 각 정당들은 정치적 스펙트럼에 기반하여 비슷한 성향의 구성원들끼리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다. 제9대 유럽의회에 참여하는 교섭단체는 다음과 같다. * [[유럽 인민당 그룹]](EPP): 기독교 민주주의, 자유보수주의, 친유럽주의, 중도우파 * [[사회민주진보동맹]](S&D): 사회민주주의, 진보주의, 친유럽주의, 중도좌파 * [[리뉴 유럽]](RE): 사회자유주의, 보수자유주의, 친유럽주의, 중도~중도우파 * [[유럽 보수와 개혁]](ECR): 연성 유럽회의주의, 보수주의, 중도우파~우익 * [[유럽의회 좌파-GUE/NGL]](GUE-NGL): 민주사회주의, 유럽공산주의, 좌익대중주의, 유럽회의주의, 좌익 ~ 극좌 * [[녹색당-유럽자유동맹]](Greens-EFA): 녹색 정치, 소수자 우대 정책, 지역주의, 친유럽주의, 중도좌파 ~ 좌익 * [[정체성과 민주주의]](ID): 유럽회의주의, 우익대중주의, 반이민, 정체성주의, 우익 ~ 극우 == 선출 == 2020년 브렉시트 이후 유럽의회 내 회원국들의 할당의석이 재조정되어 27석이 프랑스를 포함한 회원국들에 추가적으로 할당되었으며, 46석이 줄어들어 총 705석으로 줄어들었다. 2023년 유럽연합 이사회의 합의에 따라 15석을 늘려 720명의 의원을 선출한다. || 국가 || 유럽의회 의석 || 선거일 || 선거방식 || 봉쇄조항 || || [[그리스]] || 21 || 6월 9일 || 전국단위 불구속명부 [[비례대표제]] || 3% || || [[네덜란드]] || 31 || 6월 6일 || 전국단위 불구속명부 [[비례대표제]] || 4% || || [[덴마크]] || 15 || 6월 9일 || 전국단위 불구속명부 [[비례대표제]] || 없음 || || [[독일]] || 96 || 6월 9일 || 전국단위 정당명부 [[비례대표제]] || 없음 || || [[라트비아]] || 9 || 6월 8일 || 전국단위 불구속명부 [[비례대표제]] || 5% || || [[루마니아]] || 33 || 6월 9일[* 지방선거와 같은 날에 실시된다.] || 전국단위 정당명부 [[비례대표제]] || 5% || || [[룩셈부르크]] || 6 || 6월 9일 || 전국단위 불구속명부 [[비례대표제]] || 없음 || || [[리투아니아]] || 11 || 6월 9일 || 전국단위 불구속명부 [[비례대표제]] || 5% || || [[몰타]] || 6 || 6월 8일 || 전국단위 불구속명부 [[선호투표제]] || 없음 || || [[벨기에]] || 22 || 6월 9일[* [[2024년 벨기에 연방하원 선거|연방하원 선거]]와 같은 날에 실시된다.] || 권역별 불구속명부 [[비례대표제]][* 3개 언어권(네덜란드어권, 프랑스어권, 벨기에 독일어 공동체)이 선거구인데 [[벨기에 독일어 공동체]]의 경우 1석이므로 사실상 [[소선거구제]]로 선출된다] || 5% || || [[불가리아]] || 17 || 6월 9일[* [[2024년 불가리아 국민의회 선거|국민의회 선거]]와 같은 날에 실시된다.] || 전국단위 불구속명부 [[비례대표제]] || 6% || || [[스웨덴]] || 21 || 6월 9일 || 전국단위 불구속명부 [[비례대표제]] || 4% || || [[스페인]] || 61 || 6월 9일 || 전국단위 정당명부 [[비례대표제]] || 없음 || || [[슬로바키아]] || 15 || 6월 8일 || 전국단위 불구속명부 [[비례대표제]] || 5% || || [[슬로베니아]] || 9 || 6월 9일 || 전국단위 불구속명부 [[비례대표제]] || 없음 || || [[아일랜드]] || 14 || 6월 7일 || 권역별 불구속명부 [[선호투표제]] || 없음 || || [[에스토니아]] || 7 || 6월 9일 || 전국단위 불구속명부 [[비례대표제]] || 없음 || || [[오스트리아]] || 20 || 6월 9일 || 전국단위 불구속명부 [[비례대표제]] || 4% || || [[이탈리아]] || 76 || 6월 8일 ~ 9일 || 권역별 불구속명부 [[비례대표제]] || 4% || || [[체코]] || 21 || 6월 7일 ~ 8일 || 전국단위 불구속명부 [[비례대표제]] || 5% || || [[키프로스]] || 6 || 6월 9일 || 전국단위 불구속명부 [[비례대표제]] || 1.8% || || [[크로아티아]] || 12 || 6월 9일 || 전국단위 불구속명부 [[비례대표제]] || 5% || || [[포르투갈]] || 21 || 6월 9일 || 전국단위 정당명부 [[비례대표제]] || 없음 || || [[폴란드]] || 53 || 6월 9일 || 권역별 불구속명부 [[비례대표제]] || 5% || || [[프랑스]] || 81 || 6월 9일 || 전국단위 정당명부 [[비례대표제]][* 2018년에 선거구를 개정해 전국단위로 바꾸었다.] || 5% || || [[핀란드]] || 15 || 6월 9일 || 전국단위 불구속명부 [[비례대표제]] || 없음 || || [[헝가리]] || 21 || 6월 9일 || 전국단위 정당명부 [[비례대표제]] || 5%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유럽의회, version=280, paragraph=4.2)] == 선거 결과 == ||<-9> '''2024년 유럽의회 선거 결과''' || || 국가명 || {{{#fff '''EPP'''[br]{{{-2 유럽인민당}}} }}} || {{{#fff '''S&D'''[br]{{{-2 사회민주진보동맹}}} }}} || {{{#fff '''ECR'''[br]{{{-2 유럽 보수와 개혁}}} }}} || {{{#00bfff '''RE'''[br]{{{-2 리뉴 유럽}}} }}} || {{{#fff '''GUE-NGL'''[br]{{{-2 유럽연합좌파[br]북유럽녹색좌파}}} }}} || {{{#fff '''Greens-EFA'''[br]{{{-2 녹색당[br]유럽자유동맹}}} }}} || {{{#fff '''ID'''[br]{{{-2 정체성과 민주주의}}} }}} || {{{#fff 비교섭의원}}} || || [[그리스]] || || [[네덜란드]] || || [[덴마크]] || || [[독일]] || || [[라트비아]] || || [[루마니아]] || || [[룩셈부르크]] || || [[리투아니아]] || || [[몰타]] || || [[벨기에]] || || [[불가리아]] || || [[스웨덴]] || || [[스페인]] || || [[슬로바키아]] || || [[슬로베니아]] || || [[아일랜드]] || || [[에스토니아]] || || [[오스트리아]] || || [[이탈리아]] || || [[체코]] || || [[키프로스]] || || [[크로아티아]] || || [[포르투갈]] || || [[폴란드]] || || [[프랑스]] || || [[핀란드]] || || [[헝가리]] || || 합계 || || 선거 직전 대비 || == 국가별 결과 == === 그리스 (21석) === ||<-5> '''{{{#ffcc00 개표 완료}}}''' || || '''정당''' || '''유럽의회 정당''' || '''득표율''' || '''의석수''' || '''2019년 대비 득표율 증감''' || || [[신민주주의당|ND/ΝΔ]] || {{{#fff EPP}}} || 28.31% || 7석 || {{{#FF0000 ▼}}} 5.11%p || || [[급진좌파연합|SYRΙΖΑ/ΣΥΡΙΖΑ]] || {{{#fff LEFT}}} || 14.92% || 4석 || {{{#FF0000 ▼}}} 8.79%p || || [[변화를 위한 운동(그리스)|PASOK/ΠΑΣΟΚ]] || {{{#fff S&D}}} || 12.79% || 3석 || {{{#008000 ▲}}} 5.14%p || || [[그리스 해법|EL/EΛ]] || {{{#fff ECR}}} || 9.30% || 2석 || {{{#008000 ▲}}} 5.26%p || || [[그리스 공산당|KKE]] || {{{#fff NI}}} || 9.25% || 2석 || {{{#008000 ▲}}} 3.94%p || || [[민주애국운동-승리|NIKI/NIKH]] || {{{#fff Others}}} || 4.37% || 1석 || {{{#008000 ▲}}} 4.37%p ,,(신규),, || || [[자유의 길|PE/ΠE]] || {{{#fff Others}}} || 3.40% || 1석 || {{{#008000 ▲}}} 1.81%p || || [[이성의 목소리|Foni Logikis/Φωνή λογικής]] || {{{#fff Others}}} || 3.04% || 1석 || {{{#008000 ▲}}} 3.04%p ,,(신규),, || ||<-2> '''유럽의회 정당''' ||<-2> '''의석수''' || '''2019년 대비 의석수 증감''' || ||<-2> {{{#fff EPP}}} ||<-2> 7석 || {{{#FF0000 ▼}}} 1 || ||<-2> {{{#fff LEFT}}} ||<-2> 4석 || {{{#FF0000 ▼}}} 2 || ||<-2> {{{#fff S&D}}} ||<-2> 3석 || {{{#008000 ▲}}} 1 || ||<-2> {{{#fff Others}}} ||<-2> 3석 || {{{#008000 ▲}}} 1 || ||<-2> {{{#fff ECR}}} ||<-2> 2석 || {{{#008000 ▲}}} 1 || ||<-2> {{{#fff NI}}} ||<-2> 2석 || - || ||<-2> '''이념 성향''' ||<-2> '''의석수''' || '''비고''' || ||<-2> 중도우파 ||<-2> 7석 || ND/ΝΔ || ||<-2> 좌파 ||<-2> 5석 || SYRΙΖΑ/ΣΥΡΙΖΑ, PE/ΠE || ||<-2> {{{#fff 극우}}} ||<-2> 4석 || EL/EΛ, NIKI/NIKH,[br]Foni Logikis/Φωνή λογικής || ||<-2> 중도좌파 ||<-2> 3석 || PASOK/ΠΑΣΟΚ || ||<-2> {{{#fff 극좌}}} ||<-2> 2석 || KKE || === 네덜란드 (진행 중) === ||<-4> IPSOS-I&O 출구조사 결과 || || 정당 || 유럽의회 정당 || 득표율 || 예측 의석수 || || [[녹색좌파당-노동당|GL/PvdA]] || {{{#fff Greens/EFA, S&D}}} || 21.6% || 8석[* GL 4석, PvdA 4석] || || [[자유당(네덜란드)|PVV]] || {{{#fff ID}}} || 17.7% || 7석 || || [[자유민주인민당|VVD]] || RE || 11.6% || 4석 || || [[기독민주애원당|CDA]] || {{{#fff EPP}}} || 9.7% || 3석 || || [[민주66|D66]] || RE || 8.6% || 3석 || || [[농민-시민운동|BBB]] || {{{#fff EPP}}} || 5.3% || 2석 || || [[Volt 유로파|Volt]] || {{{#fff Greens/EFA}}} || 4.9% || 1석 || || [[동물당|PvdD]] || {{{#fff LEFT}}} || 4.4% || 1석 || || [[신사회계약|NSC]] || {{{#fff EPP}}} || 3.8% || 1석 || || [[개혁정치당|SGP]] || {{{#fff ECR}}} || 3.4% || 1석 || ||<-2> 유럽의회 정당 ||<-2> 예측 의석수 || ||<-2> {{{#fff ID}}} ||<-2> 7석 || ||<-2> RE ||<-2> 7석 || ||<-2> {{{#fff EPP}}} ||<-2> 6석 || ||<-2> {{{#fff Greens/EFA}}} ||<-2> 5석 || ||<-2> {{{#fff S&D}}} ||<-2> 4석 || ||<-2> {{{#fff LEFT}}} ||<-2> 1석 || ||<-2> {{{#fff ECR}}} ||<-2> 1석 || ||<-2> 이념 성향 ||<-2> 예측 의석수 || ||<-2> 중도우파 ||<-2> 10석[* VVD, CDA, BBB, NSC] || ||<-2> 중도좌파 ||<-2> 9석[* GL, PvdA, Volt] || ||<-2> 우파 ||<-2> 8석[* PVV, SGP] || ||<-2> 중도 ||<-2> 3석[* D66] || ||<-2> 좌파 ||<-2> 1석[* PvdD] || === 덴마크 (15석) === ||<-5> '''{{{#ffcc00 개표 완료}}}''' || || '''정당''' || '''유럽의회 정당''' || '''득표율''' || '''의석수''' || '''2019년 대비 득표율 증감''' || || [[사회주의인민당|SF (F)]] || {{{#fff Greens/EFA}}} || 17.42% || 3석 || {{{#008000 ▲}}} 4.19%p || || [[사회민주당(덴마크)|S (A)]] || {{{#fff S&D}}} || 15.57% || 3석 || {{{#FF0000 ▼}}} 5.91%p || || [[좌파당(덴마크)|V]] || RE || 14.72% || 2석 || {{{#FF0000 ▼}}} 8.78%p || || [[보수인민당|KF (C)]] || {{{#fff EPP}}} || 8.84% || 1석 || {{{#008000 ▲}}} 2.66%p || || [[덴마크 민주당|DD (Æ)]] || {{{#fff Others}}} || 7.39% || 1석 || {{{#008000 ▲}}} 7.39%p ,,(신규),, || || [[급진좌파당|RV (B)]] || RE || 7.08% || 1석 || {{{#FF0000 ▼}}} 2.99%p || || [[적록동맹|EL (ø)]] || {{{#fff LEFT}}} || 7.04% || 1석 || {{{#008000 ▲}}} 1.53%p || || [[자유동맹|LA (I)]] || {{{#fff EPP}}} || 6.95% || 1석 || {{{#008000 ▲}}} 4.80%p || || [[덴마크 인민당|DF (O)]] || {{{#fff ID}}} || 6.37% || 1석 || {{{#FF0000 ▼}}} 4.39%p || || [[온건당(덴마크)|M]] || RE || 5.95% || 1석 || {{{#008000 ▲}}} 5.95%p ,,(신규),, || ||<-2> '''유럽의회 정당''' ||<-2> '''의석수''' || '''2019년 대비 의석수 증감''' || ||<-2> RE ||<-2> 4석 || {{{#FF0000 ▼}}} 1 || ||<-2> {{{#fff S&D}}} ||<-2> 3석 || - || ||<-2> {{{#fff Greens/EFA}}} ||<-2> 3석 || {{{#008000 ▲}}} 1 || ||<-2> {{{#fff EPP}}} ||<-2> 2석 || {{{#008000 ▲}}} 1 || ||<-2> {{{#fff Others}}} ||<-2> 1석 || {{{#008000 ▲}}} 1 || ||<-2> {{{#fff LEFT}}} ||<-2> 1석 || - || ||<-2> {{{#fff ID}}} ||<-2> 1석 || - || ||<-2> '''이념 성향''' ||<-2> '''의석수''' || '''비고''' || ||<-2> 중도우파 ||<-2> 6석 || V, KF (C), RV (B), LA (I), M || ||<-2> 중도좌파 ||<-2> 6석 || SF (F), S (A) || ||<-2> 우파 ||<-2> 2석 || DD (Æ), DF (O) || ||<-2> 좌파 ||<-2> 1석 || EL (ø) || === 독일 (96석) === ||<-5> '''{{{#ffcc00 개표 완료}}}''' || || '''정당''' || '''유럽의회 정당''' || '''득표율''' || '''의석수''' || '''2019년 대비 득표율 증감''' || || [[CDU/CSU]] || {{{#fff EPP}}} || 30.00% || 29석 || {{{#008000 ▲}}} 1.10%p || || [[독일을 위한 대안|AfD]] || {{{#fff NI}}} || 15.90% || 15석 || {{{#008000 ▲}}} 4.90%p || || [[독일 사회민주당|SPD]] || {{{#fff S&D}}} || 13.90% || 14석 || {{{#FF0000 ▼}}} 1.90%p || || [[동맹 90/녹색당|Die Grünen]] || {{{#fff Greens/EFA}}} || 11.90% || 12석 || {{{#FF0000 ▼}}} 8.60%p || || [[자라 바겐크네히트 동맹|BSW]] || {{{#fff Others}}} || 6.20% || 6석 || {{{#008000 ▲}}} 6.20%p ,,(신규),, || || [[자유민주당(독일)|FDP]] || RE || 5.20% || 5석 || {{{#FF0000 ▼}}} 0.29%p || || [[Volt 유로파|Volt]] || {{{#fff Greens/EFA}}} || 2.70% || 3석 || {{{#008000 ▲}}} 2.00%p || || [[독일 좌파당|Die Linke]] || {{{#fff LEFT}}} || 2.70% || 3석 || {{{#FF0000 ▼}}} 2.80%p || || [[자유 유권자|FW]] || RE || 2.60% || 3석 || {{{#008000 ▲}}} 0.40%p || || [[당(독일)|Die Partei]] || {{{#fff NI}}} || 1.90% || 2석 || {{{#FF0000 ▼}}} 0.50%p || || [[동물보호당|Tierschutzpartei]] || {{{#fff LEFT}}} || 1.40% || 1석 || - || || [[독일 가족당|Familie]] || {{{#fff EPP}}} || 0.60% || 1석 || {{{#FF0000 ▼}}} 0.80%p || || [[생태주의 민주당|ÖDP]] || {{{#fff Greens/EFA}}} || 0.60% || 1석 || {{{#FF0000 ▼}}} 0.48%p || || [[독일 진보당|PdF]] || {{{#fff Others}}} || 0.60% || 1석 || {{{#008000 ▲}}} 0.60%p ,,(신규),, || ||<-2> '''유럽의회 정당''' ||<-2> '''의석수''' || '''2019년 대비 의석수 증감''' || ||<-2> {{{#fff EPP}}} ||<-2> 30석 || {{{#008000 ▲}}} 1 || ||<-2> {{{#fff NI}}} ||<-2> 17석 || {{{#008000 ▲}}} 4 || ||<-2> {{{#fff Greens/EFA}}} ||<-2> 16석 || {{{#FF0000 ▼}}} 5 || ||<-2> {{{#fff S&D}}} ||<-2> 14석 || {{{#FF0000 ▼}}} 2 || ||<-2> RE ||<-2> 8석 || {{{#008000 ▲}}} 1 || ||<-2> {{{#fff Others}}} ||<-2> 7석 || {{{#008000 ▲}}} 4 || ||<-2> {{{#fff LEFT}}} ||<-2> 4석 || {{{#FF0000 ▼}}} 2 || ||<-2> '''이념 성향''' ||<-2> '''의석수''' || '''비고''' || ||<-2> 중도우파 ||<-2> 37석 || CDU/CSU, FDP, FW || ||<-2> 중도좌파 ||<-2> 30석 || SPD, Die Grünen, Volt, PdF || ||<-2> {{{#fff 극우}}} ||<-2> 15석 || AfD || ||<-2> 좌파 ||<-2> 12석 || BSW, Die Partie, Tierschutzpartei, Die Linke || ||<-2> 우파 ||<-2> 1석 || Familie || ||<-2> 중도 ||<-2> 1석 || ÖDP || === 라트비아 (진행 중) === ||<-4> LETA/LTV 출구조사 결과 || || 정당 || 유럽의회 정당 || 득표율 || 예측 의석수 || || JV || {{{#fff EPP}}} || - || 2석 || || NA || {{{#fff ECR}}} || - || 2석 || || AS || {{{#fff EPP}}} || - || 1석 || || LPV || {{{#fff ECR}}} || - || 1석 || || S || {{{#fff S&D}}} || - || 1석 || || LA || RE || - || 1석 || || P || {{{#fff Greens/EFA}}} || - || 1석 || ||<-2> 유럽의회 정당 ||<-2> 예측 의석수 || ||<-2> {{{#fff EPP}}} ||<-2> 3석 || ||<-2> {{{#fff ECR}}} ||<-2> 3석 || ||<-2> RE ||<-2> 1석 || ||<-2> {{{#fff Greens/EFA}}} ||<-2> 1석 || ||<-2> {{{#fff S&D}}} ||<-2> 1석 || ||<-2> 이념 성향 ||<-2> 예측 의석수 || ||<-2> 중도우파 ||<-2> 3석[* JV, AS] || ||<-2> 우파 ||<-2> 3석[* NA, LPV] || ||<-2> 중도좌파 ||<-2> 2석[* S, P] || ||<-2> 중도 ||<-2> 1석[* LA] || === 루마니아 (진행 중) === === 룩셈부르크 (6석) === ||<-5> '''{{{#ffcc00 개표 완료}}}''' || || '''정당''' || '''유럽의회 정당''' || '''득표율''' || '''의석수''' || '''2019년 대비 득표율 증감''' || || [[기독사회인민당|CSV/PCS]] || {{{#fff EPP}}} || 22.91% || 2석 || {{{#008000 ▲}}} 1.90%p || || [[룩셈부르크 사회주의노동자당|LSAP/POSL]] || {{{#fff S&D}}} || 21.72% || 1석 || {{{#008000 ▲}}} 9.52%p || || [[민주당(룩셈부르크)|DP/PD]] || RE || 18.29% || 1석 || {{{#FF0000 ▼}}} 3.11%p || || [[녹색당(룩셈부르크)|Déi Gréng/Les Verts]] || {{{#fff Greens/EFA}}} || 11.76% || 1석 || {{{#FF0000 ▼}}} 7.14%p || || [[대안민주개혁당|ADR/PADR]] || {{{#fff ECR}}} || 11.76% || 1석 || {{{#008000 ▲}}} 1.72%p || ||<-2> '''유럽의회 정당''' ||<-2> '''의석수''' || '''2019년 대비 의석수 증감''' || ||<-2> {{{#fff EPP}}} ||<-2> 2석 || - || ||<-2> {{{#fff S&D}}} ||<-2> 1석 || - || ||<-2> RE ||<-2> 1석 || {{{#FF0000 ▼}}} 1 || ||<-2> {{{#fff Greens/EFA}}} ||<-2> 1석 || - || ||<-2> {{{#fff ECR}}} ||<-2> 1석 || {{{#008000 ▲}}} 1 ,,(신규),, || ||<-2> '''이념 성향''' ||<-2> '''의석수''' || '''비고''' || ||<-2> 중도우파 ||<-2> 3석 || CSV, DP || ||<-2> 중도좌파 ||<-2> 2석 || LSAP, DG || ||<-2> 우파 ||<-2> 1석 || ADR || === 리투아니아 (11석) === ||<-5> '''{{{#ffcc00 개표 완료}}}''' || || '''정당''' || '''유럽의회 정당''' || '''득표율''' || '''의석수''' || '''2019년 대비 득표율 증감''' || || [[조국연합-리투아니아 기독교민주당|TS-LKD]] || {{{#fff EPP}}} || 21.33% || 3석 || {{{#008000 ▲}}} 1.59%p || || [[리투아니아 사회민주당|LSDP]] || {{{#fff S&D}}} || 17.98% || 2석 || {{{#008000 ▲}}} 2.10%p || || [[리투아니아 농민녹색연합|LVŽS]] || {{{#fff Greens/EFA}}} || 9.13% || 1석 || {{{#FF0000 ▼}}} 3.43%p || || [[자유당(리투아니아)|LP]] || RE || 8.09% || 1석 || {{{#008000 ▲}}} 8.09%p ,,(신규),, || || [[민주연합 "리투아니아를 위하여"|DSVL]] || {{{#fff Greens/EFA}}} || 5.95% || 1석 || {{{#008000 ▲}}} 5.95%p ,,(신규),, || || [[리투아니아 폴란드인 선거활동-기독교 가족 연합|LLRA-KŠS]] || {{{#fff ECR}}} || 5.78% || 1석 || {{{#008000 ▲}}} 0.45%p || || [[https://en.wikipedia.org/wiki/People_and_Justice_Union|LCP]] || {{{#fff Others}}} || 5.45% || 1석 || {{{#008000 ▲}}} 0.32%p || || [[자유운동(리투아니아)|LS]] || RE || 5.41% || 1석 || {{{#FF0000 ▼}}} 1.18%p || ||<-2> '''유럽의회 정당''' ||<-2> '''의석수''' || '''2019년 대비 의석수 증감''' || ||<-2> {{{#fff EPP}}} ||<-2> 3석 || {{{#FF0000 ▼}}} 1 || ||<-2> {{{#fff S&D}}} ||<-2> 2석 || - || ||<-2> {{{#fff Greens/EFA}}} ||<-2> 2석 || - || ||<-2> RE ||<-2> 2석 || - || ||<-2> {{{#fff ECR}}} ||<-2> 1석 || - || ||<-2> {{{#fff Others}}} ||<-2> 1석 || {{{#008000 ▲}}} 1 || ||<-2> '''이념 성향''' ||<-2> '''의석수''' || '''비고''' || ||<-2> 중도우파 ||<-2> 6석 || TS-LKD, LVŽS, LS, LCP || ||<-2> 중도좌파 ||<-2> 3석 || LSDP, LP || ||<-2> 중도 ||<-2> 1석 || DSVL || ||<-2> 우파 ||<-2> 1석 || LLRA-KŠS || === 몰타 (6석) === ||<-5> '''{{{#ffcc00 개표 완료}}}''' || || '''정당''' || '''유럽의회 정당''' || '''득표율''' || '''의석수''' || '''2019년 대비 득표율 증감''' || || [[노동당(몰타)|PL/LP]] || {{{#fff S&D}}} || 45.26% || 3석 || {{{#FF0000 ▼}}} 9.03%p || || [[국민당(몰타)|PN/NP]] || {{{#fff EPP}}} || 42.02% || 3석 || {{{#008000 ▲}}} 4.12%p || ||<-2> '''유럽의회 정당''' ||<-2> '''의석수''' || '''2019년 대비 의석수 증감''' || ||<-2> {{{#fff S&D}}} ||<-2> 3석 || {{{#FF0000 ▼}}} 1 || ||<-2> {{{#fff EPP}}} ||<-2> 3석 || {{{#008000 ▲}}} 1 || ||<-2> '''이념 성향''' ||<-2> '''의석수''' || '''비고''' || ||<-2> 중도좌파 ||<-2> 3석 || PL/LP || ||<-2> 중도우파 ||<-2> 3석 || PN/NP || === 벨기에 (22석) === ||<-5> '''{{{#ffcc00 개표 완료}}}''' || || '''정당''' || '''유럽의회 정당''' || '''득표율''' || '''의석수''' || '''2019년 대비 득표율 증감''' || ||<-2> '''네덜란드어권 선거인단''' ||<-3> 13석 || || [[플람스의 이익|VB]] || {{{#fff ID}}} || 14.50% || 3석 || {{{#008000 ▲}}} 2.45%p || || [[신플람스 연맹|N-VA]] || {{{#fff ECR}}} || 13.97% || 3석 || {{{#FF0000 ▼}}} 0.21%p || || [[기독교 민주당과 플람스|CD&V]] || {{{#fff EPP}}} || 8.34% || 2석 || {{{#FF0000 ▼}}} 0.83%p || || [[앞으로(벨기에)|Vooruit]] || {{{#fff S&D}}} || 7.99% || 2석 || {{{#008000 ▲}}} 1.54%p || || [[녹색당(벨기에)|Groen]] || {{{#fff Greens/EFA}}} || 6.32% || 1석 || {{{#FF0000 ▼}}} 1.49%p || || [[Open VLD|Open VLD]] || RE || 5.76% || 1석 || {{{#FF0000 ▼}}} 4.31%p || || [[벨기에 노동당|PVDA]] || {{{#fff LEFT}}} || 5.13% || 1석 || {{{#008000 ▲}}} 2.00%p || ||<-2> '''프랑스어권 선거인단''' ||<-3> 8석 || || [[개혁 운동(벨기에)|MR]] || RE || 12.62% || 3석 || {{{#008000 ▲}}} 5.63%p || || [[사회당(벨기에)|PS]] || {{{#fff S&D}}} || 7.43% || 2석 || {{{#FF0000 ▼}}} 2.24%p || || [[벨기에 노동당|PTB]] || {{{#fff LEFT}}} || 5.57% || 1석 || {{{#008000 ▲}}} 0.28%p || || [[참여(벨기에 정당)|Les Engagés]] || {{{#fff EPP}}} || 5.17% || 1석 || {{{#008000 ▲}}} 1.93%p || || [[생태당(벨기에)|ECOLO]] || {{{#fff Greens/EFA}}} || 3.64% || 1석 || {{{#FF0000 ▼}}} 3.57%p || ||<-2> '''독일어권 선거인단''' ||<-3> 1석 || || [[기독사회당(벨기에)|CSP]] || {{{#fff EPP}}} || 0.21% || 1석 || - || ||<-2> '''유럽의회 정당''' ||<-2> '''의석수''' || '''2019년 대비 의석수 증감''' || ||<-2> {{{#fff EPP}}} ||<-2> 4석 || - || ||<-2> RE ||<-2> 4석 || - || ||<-2> {{{#fff S&D}}} ||<-2> 4석 || {{{#008000 ▲}}} 1 || ||<-2> {{{#fff ECR}}} ||<-2> 3석 || - || ||<-2> {{{#fff ID}}} ||<-2> 3석 || - || ||<-2> {{{#fff LEFT}}} ||<-2> 2석 || {{{#008000 ▲}}} 1 || ||<-2> {{{#fff Greens/EFA}}} ||<-2> 2석 || {{{#FF0000 ▼}}} 1 || ||<-2> '''이념 성향''' ||<-2> '''의석수''' || '''비고''' || ||<-2> 중도우파 ||<-2> 7석 || MR, CD&V, Open VLD, Les Engagés || ||<-2> 중도좌파 ||<-2> 6석 || Vooruit, PS, Groen, ECOLO || ||<-2> {{{#fff 극우}}} ||<-2> 3석 || VB || ||<-2> 우파 ||<-2> 3석 || N-VA || ||<-2> 좌파 ||<-2> 2석 || PTB/PVDA || ||<-2> 중도 ||<-2> 1석 || CSP || === 불가리아 (17석) === ||<-5> '''{{{#ffcc00 개표 완료}}}''' || || '''정당''' || '''유럽의회 정당''' || '''득표율''' || '''의석수''' || '''2019년 대비 득표율 증감''' || || GERB–SDS[* [[유럽 발전을 위한 불가리아 시민]], [[민주세력동맹]] 선거연합] || {{{#fff EPP}}} || 23.54% || 5석 || {{{#FF0000 ▼}}} 6.87%p || || [[권리자유운동|DPS]] || RE || 14.66% || 3석 || {{{#FF0000 ▼}}} 1.89%p || ||<|2> [[우리는 변화를 계속한다|PP]]-[[민주불가리아|DB]][* 선거연합] || RE ||<|2> 14.44% || 2석 ||<|2> {{{#008000 ▲}}} 7.99%p || || {{{#fff EPP}}} || 1석 || || [[부흥(정당)|Възраждане]] || {{{#fff Others}}} || 13.98% || 3석 || {{{#008000 ▲}}} 12.94%p || || [[불가리아 사회당|BSP]] || {{{#fff S&D}}} || 7.01% || 2석 || {{{#FF0000 ▼}}} 17.25%p || || [[이런 국민도 있다|ITN]] || {{{#fff Others}}} || 6.04% || 1석 || {{{#008000 ▲}}} 6.04%p ,,(신규),, || ||<-2> '''유럽의회 정당''' ||<-2> '''의석수''' || '''2019년 대비 의석수 증감''' || ||<-2> {{{#fff EPP}}} ||<-2> 6석 || {{{#FF0000 ▼}}} 1 || ||<-2> RE ||<-2> 5석 || {{{#008000 ▲}}} 2 || ||<-2> {{{#fff Others}}} ||<-2> 4석 || {{{#008000 ▲}}} 4 ,,(신규),, || ||<-2> {{{#fff S&D}}} ||<-2> 2석 || {{{#FF0000 ▼}}} 3 || ||<-2> '''이념 성향''' ||<-2> '''의석수''' || '''비고''' || ||<-2> 중도우파 ||<-2> 6석 || GERB–SDS,DP || ||<-2> 중도 ||<-2> 5석 || DPS,PP || ||<-2> {{{#fff 극우}}} ||<-2> 3석 || Възраждане || ||<-2> 중도좌파 ||<-2> 2석 || BSP || ||<-2> 우파 ||<-2> 1석 || ITN || === 스웨덴 (진행 중) === === 스페인 (진행 중) === === 슬로바키아 (15석) === ||<-5> '''{{{#ffcc00 개표 완료}}}''' || || '''정당''' || '''유럽의회 정당''' || '''득표율''' || '''의석수''' || '''2019년 대비 득표율 증감''' || || [[진보 슬로바키아|PS]] || RE || 27.81% || 6석 || {{{#008000 ▲}}} 7.71%p || || [[사회민주당(슬로바키아)|Smer]][*SPSLV The Left 자격정지] || {{{#fff NI}}} || 24.76% || 5석 || {{{#008000 ▲}}} 9.05%p || || [[공화주의 운동|Republika]] || {{{#fff NI}}} || 12.53% || 2석 || {{{#008000 ▲}}} 12.53%p ,,(신규),, || || [[목소리-사회민주주의|Hlas]][*SPSLV] || {{{#fff Others}}} || 7.18% || 1석 || {{{#008000 ▲}}} 7.18%p ,,(신규),, || || [[기독민주운동|KDH]] || {{{#fff EPP}}} || 7.14% || 1석 || {{{#FF0000 ▼}}} 2.55%p || ||<-2> '''유럽의회 정당''' ||<-2> '''의석수''' || '''2019년 대비 의석수 증감''' || ||<-2> {{{#fff ID}}} ||<-2> 7석 || {{{#008000 ▲}}} 5 || ||<-2> RE ||<-2> 6석 || {{{#008000 ▲}}} 2 || ||<-2> {{{#fff EPP}}} ||<-2> 1석 || {{{#FF0000 ▼}}} 4 || ||<-2> {{{#fff Others}}} ||<-2> 1석 || {{{#008000 ▲}}} 1 || ||<-2> '''이념 성향''' ||<-2> '''의석수''' || '''비고''' || ||<-2> 중도좌파 ||<-2> 7석 || Smer, Hlas || ||<-2> 중도 ||<-2> 6석 || Smer || ||<-2> 중도우파 ||<-2> 1석 || KDH || ||<-2> {{{#fff 극우}}} ||<-2> 2석 || Republika || === 슬로베니아 (진행 중) === === 아일랜드 (진행 중, 14석) === ||<-5> 개표 중[[https://www.rte.ie/news/elections-2024/results/#/european/national|rte.ie]] || || '''정당''' || '''유럽의회 정당''' || '''득표율''' || '''의석수''' || '''2019년 대비 득표율 증감''' || || [[피어너 팔|FF]] || RE || .% || 3석 || {{{#FF0000 ▼}}} .%p || || [[피너 게일|FG]] || {{{#fff EPP}}} || .% || 2석 || {{{#008000 ▲}}} .%p || || [[신 페인|SF]] || {{{#fff LEFT}}} || .% || 2석 || {{{#008000 ▲}}} .%p || || [[무소속|IND]] || {{{#fff Others}}} || .% || 2석 || {{{#008000 ▲}}} .%p || || [[노동당(아일랜드)|Lab]] || {{{#fff S&D}}} || .% || 1석 || {{{#008000 ▲}}} .%p ,,(신규),, || || [[엔투|Aon]] || {{{#fff Others}}} || .% || 석 || {{{#008000 ▲}}} .%p ,,(신규),, || ||<-2> '''유럽의회 정당''' ||<-2> '''의석수''' || '''2019년 대비 의석수 증감''' || ||<-2> {{{#fff EPP}}} ||<-2> 석 || {{{#008000 ▲}}} || ||<-2> RE ||<-2> 석 || {{{#008000 ▲}}} || ||<-2> {{{#fff LEFT}}} ||<-2> 석 || {{{#FF0000 ▼}}} || ||<-2> {{{#fff Greens/EFA}}} ||<-2> 석 || {{{#FF0000 ▼}}} || ||<-2> {{{#fff ECR}}} ||<-2> 석 || {{{#FF0000 ▼}}} || ||<-2> {{{#fff Others}}} ||<-2> 석 || {{{#008000 ▲}}} || ||<-2> '''이념 성향''' ||<-2> '''의석수''' || '''비고''' || ||<-2> 중도좌파 ||<-2> || GP/CG || ||<-2> 중도 ||<-2> || Aon || ||<-2> 우파 ||<-2> || II || ||<-2> 중도우파 ||<-2> || FG, FF || ||<-2> 좌파 ||<-2> 석 || SF || === 에스토니아 (진행 중) === === 오스트리아 (20석) === ||<-5> '''{{{#ffcc00 개표 완료}}}''' || || '''정당''' || '''유럽의회 정당''' || '''득표율''' || '''의석수''' || '''2019년 대비 득표율 증감''' || || [[오스트리아 자유당|FPÖ]] || {{{#fff ID}}} || 25.36% || 6석 || {{{#008000 ▲}}} 8.16%p || || [[오스트리아 인민당|ÖVP]] || {{{#fff EPP}}} || 24.52% || 5석 || {{{#FF0000 ▼}}} 10.03%p || ||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SPÖ]] || {{{#fff S&D}}} || 23.22% || 5석 || {{{#FF0000 ▼}}} 0.67%p || || [[신오스트리아자유포럼|NEOS]] || RE || 11.08% || 2석 || {{{#008000 ▲}}} 1.07%p || || [[녹색 - 녹색 대안|Grüne]] || {{{#fff Greens/EFA}}} || 10.14% || 2석 || {{{#FF0000 ▼}}} 3.00%p || ||<-2> '''유럽의회 정당''' ||<-2> '''의석수''' || '''2019년 대비 의석수 증감''' || ||<-2> {{{#fff ID}}} ||<-2> 6석 || {{{#008000 ▲}}} 3 || ||<-2> {{{#fff EPP}}} ||<-2> 5석 || {{{#FF0000 ▼}}} 2 || ||<-2> {{{#fff S&D}}} ||<-2> 5석 || - || ||<-2> {{{#fff Greens/EFA}}} ||<-2> 2석 || - || ||<-2> RE ||<-2> 2석 || {{{#008000 ▲}}} 1 || ||<-2> '''이념 성향''' ||<-2> '''의석수''' || '''비고''' || ||<-2> 우파 ||<-2> 6석 || FPÖ || ||<-2> 중도우파 ||<-2> 7석 || ÖVP, NEOS || ||<-2> 중도좌파 ||<-2> 6석 || SPÖ, Grüne || === 이탈리아 (진행 중) === === 체코 (21석) === ||<-5> '''{{{#ffcc00 개표 완료}}}''' || || '''정당''' || '''유럽의회 정당''' || '''득표율''' || '''의석수''' || '''2019년 대비 득표율 증감''' || || [[ANO 2011|ANO]] || RE || 26.14% || 7석 || {{{#008000 ▲}}} 4.96%p || ||<|2> SPOLU[* [[시민민주당]], [[기독교민주연합-체코슬로바키아 인민당|CDU-CSL]], [[TOP 09]] 선거연합] || {{{#fff EPP}}} ||<|2> 22.27% ||<|2> 6석 ||<|2> {{{#FF0000 ▼}}} 11.17%p || || {{{#fff ECR}}} || || [[https://en.wikipedia.org/wiki/P%C5%99%C3%ADsaha_and_Motorists|PaM]][* Přísaha, Motoristé sobě 선거연합] || {{{#fff Others}}} || 10.26% || 2석 || {{{#008000 ▲}}} 10.26%p ,,(신규),, || || [[https://en.wikipedia.org/wiki/Sta%C4%8Dilo!|Stačilo!]] || {{{#fff LEFT}}} || 9.56% || 2석 || {{{#008000 ▲}}} 2.62%p || || [[시장과 무소속|STAN]] || {{{#fff EPP}}} || 8.70% || 2석 || -[* 직전 선거 STAN-TOP 09 연정에 의한 계산 불가] || || [[체코 해적당|Piráti]] || {{{#fff Greens/EFA}}} || 6.20% || 1석 || {{{#FF0000 ▼}}} 7.75%p || || SPD a Trikolora[* [[자유와 직접 민주주의]], [[https://en.wikipedia.org/wiki/Tricolour_Citizens%27_Movement|TRIKOLOLA]] 선거연합] || {{{#fff ID}}} || 5.73% || 1석 || {{{#008000 ▲}}} 2.45%p || ||<-2> '''유럽의회 정당''' ||<-2> '''의석수''' || '''2019년 대비 의석수 증감''' || ||<-2> RE ||<-2> 7석 || {{{#008000 ▲}}} 1 || ||<-2> {{{#fff EPP}}} ||<-2> 5석 || - || ||<-2> {{{#fff ECR}}} ||<-2> 3석 || {{{#FF0000 ▼}}} 1 || ||<-2> {{{#fff Others}}} ||<-2> 2석 || {{{#008000 ▲}}} 2 || ||<-2> {{{#fff LEFT}}} ||<-2> 2석 || {{{#008000 ▲}}} 1 || ||<-2> {{{#fff Greens/EFA}}} ||<-2> 1석 || {{{#FF0000 ▼}}} 2 || ||<-2> {{{#fff ID}}} ||<-2> 1석 || - || ||<-2> '''이념 성향''' ||<-2> '''의석수''' || '''비고''' || ||<-2> 중도우파 ||<-2> 12석 || ANO, SPOLU, STAN || ||<-2> 우파 ||<-2> 5석 || SPOLU, PAM || ||<-2> 좌파 ||<-2> 2석 || Stačilo! || ||<-2> 중도좌파 ||<-2> 1석 || Piráti || ||<-2> {{{#fff 극우}}} ||<-2> 1석 || SPD a Trikolora || === 키프로스 (6석) === ||<-5> '''{{{#ffcc00 개표 완료}}}''' || || '''정당''' || '''유럽의회 정당''' || '''득표율''' || '''의석수''' || '''2019년 대비 득표율 증감''' || || [[민주집회당|DISY/ΔΗΣΥ]] || {{{#fff EPP}}} || 24.78% || 2석 || {{{#FF0000 ▼}}} 4.24%p || || [[노동인민진보당|AKEL/ΑΚΕΛ]] || {{{#fff LEFT}}} || 21.49% || 1석 || {{{#FF0000 ▼}}} 6.00%p || || Fidias/Φειδίας[* 무소속, 피디아스(유튜버)] || {{{#fff Others}}} || 19.36% || 1석 || {{{#008000 ▲}}} 19.36%p ,,(신규),, || || [[국민대중전선|ELAM/ΕΛΑΜ]] || {{{#fff ECR}}} || 11.19% || 1석 || {{{#008000 ▲}}} 2.94%p || || [[민주당(키프로스)|DIKO/ΔΗΚΟ]] || {{{#fff S&D}}} || 9.72% || 1석 || {{{#FF0000 ▼}}} 4.08%p || ||<-2> '''유럽의회 정당''' ||<-2> '''의석수''' || '''2019년 대비 의석수 증감''' || ||<-2> {{{#fff EPP}}} ||<-2> 2석 || - || ||<-2> {{{#fff LEFT}}} ||<-2> 1석 || {{{#FF0000 ▼}}} 1 || ||<-2> {{{#fff S&D}}} ||<-2> 1석 || {{{#FF0000 ▼}}} 1 || ||<-2> {{{#fff ECR}}} ||<-2> 1석 || {{{#008000 ▲}}} 1 ,,(신규),, || ||<-2> {{{#fff Others}}} ||<-2> 1석 || {{{#008000 ▲}}} 1 ,,(신규),, || ||<-2> '''이념 성향''' ||<-2> '''의석수''' || '''비고''' || ||<-2> 중도우파 ||<-2> 2석 || DISY/ΔΗΣΥ || ||<-2> 좌파 ||<-2> 1석 || AKEL/ΑΚΕΛ || ||<-2> {{{#fff 불명}}} ||<-2> 1석 || Fidias/Φειδίας || ||<-2> 중도 ||<-2> 1석 || DIKO/ΔΗΚΟ || ||<-2> {{{#fff 극우}}} ||<-2> 1석 || ELAM/ΕΛΑΜ || === 크로아티아 (12석) === ||<-5> '''{{{#ffcc00 개표 완료}}}''' || || '''정당''' || '''유럽의회 정당''' || '''득표율''' || '''의석수''' || '''2019년 대비 득표율 증감''' || || [[크로아티아 민주연합|HDZ]] || {{{#fff EPP}}} || 34.60% || 6석 || {{{#008000 ▲}}} 11.88%p || || Koalicija 'SDP'[* [[크로아티아 사회민주당|SDP]], [[중도당(크로아티아)|Centar]], [[https://en.wikipedia.org/wiki/Dalija_Ore%C5%A1kovi%C4%87_and_People_with_a_First_and_Last_Name|DO i SIP]], [[https://en.wikipedia.org/wiki/Civic_Liberal_Alliance|GLAS]], [[크로아티아 농민당|HSS]]] || {{{#fff S&D}}} || 25.96% || 4석 || {{{#008000 ▲}}} 7.25%p || || [[조국운동|DP]] || {{{#fff Others}}} || 8.82% || 1석 || {{{#008000 ▲}}} 8.82%p ,,(신규),, || || [[https://en.wikipedia.org/wiki/We_can!_(Croatia)|Možemo!]] || {{{#fff Greens/EFA}}} || 5.92% || 1석 || {{{#008000 ▲}}} 3.89%p || ||<-2> '''유럽의회 정당''' ||<-2> '''의석수''' || '''2019년 대비 의석수 증감''' || ||<-2> {{{#fff EPP}}} ||<-2> 6석 || {{{#FF0000 ▼}}} 1 || ||<-2> {{{#fff S&D}}} ||<-2> 4석 || - || ||<-2> {{{#fff Greens/EFA}}} ||<-2> 1석 || {{{#008000 ▲}}} 1 ,,(신규),, || ||<-2> {{{#fff Others}}} ||<-2> 1석 || {{{#008000 ▲}}} 1 ,,(신규),, || ||<-2> '''이념 성향''' ||<-2> '''의석수''' || '''비고''' || ||<-2> 중도우파 ||<-2> 6석 || HDZ || ||<-2> 중도좌파 ||<-2> 4석 || Koalicija 'SDP' || ||<-2> {{{#fff 극우}}} ||<-2> 1석 || DP || ||<-2> 좌파 ||<-2> 1석 || Možemo! || === 포르투갈 (진행 중) === === 폴란드 (53석) === ||<-5> '''{{{#ffcc00 개표 완료}}}''' || || '''정당''' || '''유럽의회 정당''' || '''득표율''' || '''의석수''' || '''2019년 대비 득표율 증감''' || || KO[* 시민연합: [[시민 연단|PO]], [[현대(정당)|N]], [[폴란드 이니셔티브|IP]], [[녹색당(폴란드)|PZ]], 무소속 선거연합] || {{{#fff EPP}}} || 37.06% || 21석 || {{{#008000 ▲}}} 14.98%p[* 2019 PO, N, PZ 합산 득표율 대비] || || PiS[* [[법과 정의|PiS]], [[통합 폴란드|SP]], 무소속 선거연합] || {{{#fff ECR}}} || 36.16% || 20석 || {{{#FF0000 ▼}}} 9.22%p || || Konfederacja[* 자유와 독립 연대: 연대, [[KORWiN]], [[폴란드 왕관 연대]] 등 선거연합] || {{{#fff Others}}} || 12.08% || 6석 || {{{#008000 ▲}}} 7.53%p || ||<|2> TD[* 제3의 길: [[폴란드 인민당|PSL]], [[폴란드 2050|PL2050]], [[유럽민주연합|UED]], [[폴란드의 중심|CdPL]], 자유당, 실레시안 지역당, 무소속 선거연합] || {{{#fff EPP}}} ||<|2> 6.91% || 2석 ||<|2> {{{#008000 ▲}}} 2.33%p[* 2019 PSL, UED 합산 득표율 대비] || || RE || 1석 || || Lewica[* [[신좌파(폴란드)|LFI]], [[레비차 라젬]], 노동 연합 선거연합] || {{{#fff S&D}}} || 6.30% || 3석 || {{{#008000 ▲}}} 5.06%p || ||<-2> '''유럽의회 정당''' ||<-2> '''의석수''' || '''2019년 대비 의석수 증감''' || ||<-2> {{{#fff EPP}}} ||<-2> 23석 || {{{#008000 ▲}}} 7 || ||<-2> {{{#fff ECR}}} ||<-2> 20석 || {{{#FF0000 ▼}}} 7 || ||<-2> {{{#fff Others}}} ||<-2> 6석 || {{{#008000 ▲}}} 6 || ||<-2> {{{#fff S&D}}} ||<-2> 3석 || {{{#FF0000 ▼}}} 5 || ||<-2> RE ||<-2> 1석 || - || ||<-2> '''이념 성향''' ||<-2> '''의석수''' || '''비고''' || ||<-2> 중도좌파 ||<-2> 26석 || KO, PSL, LFI || ||<-2> 우파 ||<-2> 20석 || PiS || ||<-2> {{{#fff 극우}}} ||<-2> 6석 || Konfederacja || ||<-2> 중도우파 ||<-2> 1석 || PL2050 || === 프랑스 (81석) === ||<-5> '''{{{#ffcc00 개표 완료}}}''' || || '''정당''' || '''유럽의회 정당''' || '''득표율''' || '''의석수''' || '''2019년 대비 득표율 증감''' || || [[국민연합(프랑스)|RN]] || {{{#fff ID}}} || 37.37% || 30석 || {{{#008000 ▲}}} 14.03%p || || Besoin d'Europe[* [[르네상스(정당)|르네상스]], [[수평선(정당)|수평선]], [[급진당(프랑스)|급진당]], [[민주독립연합]] 선거연합] || RE || 14.60% || 13석 || {{{#FF0000 ▼}}} 7.82%p || || Réveiller l'Europe[* [[사회당(프랑스)|사회당]], Place publique 선거연합] || {{{#fff S&D}}} || 13.83% || 13석 || {{{#008000 ▲}}} 7.64%p || || [[불복하는 프랑스|LFI]] || {{{#fff LEFT}}} || 9.89% || 9석 || {{{#008000 ▲}}} 3.58%p || || [[공화당(프랑스)|LR]] || {{{#fff EPP}}} || 7.25% || 6석 || {{{#FF0000 ▼}}} 1.23%p || || [[유럽 생태녹색당|LE-EELV]] || {{{#fff Greens/EFA}}} || 5.50% || 5석 || {{{#FF0000 ▼}}} 7.98%p || || La France fière[* [[재정복!]], [[소상공인과 농민의 국민중심]] 선거연합] || {{{#fff ECR}}} || 5.47% || 5석 || {{{#008000 ▲}}} 5.47%p ,,(신규),, || ||<-2> '''유럽의회 정당''' ||<-2> '''의석수''' || '''2019년 대비 의석수 증감''' || ||<-2> {{{#fff ID}}} ||<-2> 30석 || {{{#008000 ▲}}} 7 || ||<-2> RE ||<-2> 13석 || {{{#FF0000 ▼}}} 10 || ||<-2> {{{#fff S&D}}} ||<-2> 13석 || {{{#008000 ▲}}} 7 || ||<-2> {{{#fff LEFT}}} ||<-2> 9석 || {{{#008000 ▲}}} 3 || ||<-2> {{{#fff EPP}}} ||<-2> 6석 || {{{#FF0000 ▼}}} 2 || ||<-2> {{{#fff Greens/EFA}}} ||<-2> 5석 || {{{#FF0000 ▼}}} 8 || ||<-2> {{{#fff ECR}}} ||<-2> 5석 || {{{#008000 ▲}}} 5 ,,(신규),, || ||<-2> '''이념 성향''' ||<-2> '''의석수''' || '''비고''' || ||<-2> {{{#fff 극우}}} ||<-2> 35석 || RN, LFf || ||<-2> 중도좌파 ||<-2> 18석 || RlE, LE-EELV || ||<-2> 중도우파 ||<-2> 13석 || BdE || ||<-2> 좌파 ||<-2> 9석 || LFI || ||<-2> 우파 ||<-2> 6석 || LR || === 핀란드 (15석) === ||<-5> '''{{{#ffcc00 개표 완료}}}''' || || '''정당''' || '''유럽의회 정당''' || '''득표율''' || '''의석수''' || '''2019년 대비 득표율 증감''' || || [[국민연합당|KOK]] || {{{#fff EPP}}} || 24.77% || 4석 || {{{#008000 ▲}}} 3.98%p || || [[좌파동맹|VAS]] || {{{#fff LEFT}}} || 17.32% || 3석 || {{{#008000 ▲}}} 10.43%p || || [[핀란드 사회민주당|SDP]] || {{{#fff S&D}}} || 14.86% || 2석 || {{{#008000 ▲}}} 0.24%p || || [[핀란드 중앙당|KESK]] || RE || 11.76% || 2석 || {{{#FF0000 ▼}}} 1.76%p || || [[녹색동맹|VIHR]] || {{{#fff Greens/EFA}}} || 11.27% || 2석 || {{{#FF0000 ▼}}} 4.73%p || || [[핀인당|PS]] || {{{#fff ECR}}} || 7.60% || 1석 || {{{#FF0000 ▼}}} 7.60%p || || [[핀란드 스웨덴인당|RKP]] || RE || 6.17% || 1석 || {{{#FF0000 ▼}}} 0.17%p || ||<-2> '''유럽의회 정당''' ||<-2> '''의석수''' || '''2019년 대비 의석수 증감''' || ||<-2> {{{#fff EPP}}} ||<-2> 4석 || {{{#008000 ▲}}} 1 || ||<-2> RE ||<-2> 3석 || - || ||<-2> {{{#fff LEFT}}} ||<-2> 3석 || {{{#008000 ▲}}} 2 || ||<-2> {{{#fff S&D}}} ||<-2> 2석 || - || ||<-2> {{{#fff Greens/EFA}}} ||<-2> 2석 || {{{#FF0000 ▼}}} 1 || ||<-2> {{{#fff ECR}}} ||<-2> 1석 || {{{#FF0000 ▼}}} 1 || ||<-2> '''이념 성향''' ||<-2> '''의석수''' || '''비고''' || ||<-2> 중도좌파 ||<-2> 4석 || SDP, VIHR || ||<-2> 중도우파 ||<-2> 4석 || KOK || ||<-2> 좌파 ||<-2> 3석 || VAS || ||<-2> 중도 ||<-2> 3석 || RKP, KESK || ||<-2> {{{#fff 극우}}} ||<-2> 1석 || PS || === 헝가리 (진행 중) === == 구성 == == 결과 분석 == === 정당별 분석 === 전반적으로 좋지 않은 경제 분위기로 인한 집권 정당의 심판 성격을 보였다. 이런 가운데 극우가 조금씩, 점진적으로 유럽에서 성장해가는 추세가 지속된다는 전망은 일치했다. 특히 유럽 전반적으로 청년층에서 극우정당의 득표율이 크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2601108?sid=104|#]]다만 실제 분석을 뜯어다보면 다른 측면이 있다. [[사회민주진보동맹]] 소속 정당들은 이번 선거에서 과거보다 이민에 비우호적이고, 자국민을 중시하는 스탠스를 보였다. 거기에 친러 반우크라이나 성향을 제대로 드러내버린 [[사회민주당(슬로바키아)|정당]]과 그 정당을 지지한 조직들을 가차없이 쫓아내면서까지 친서방주의를 내새웠다. 이같은 표퓰리스트스러운 행보에 일부 반발이 있었긴 했지만 그럼에도 여론조사 상 좋은 방향이었고, 이때문에 의석수와는 별개로 득표율은 선전할 것이라는 전망이 있었다. 그러나 전망과 달리 여론조사보다 득표율은 낮아졌다. 그나마 추락한 지지율에 비해 봉쇄조항 등의 선거제도 도움을 받아 의석수는 2019년에 비해 5석만 잃고 135석을 얻을 것으로 전망되어 선방했다. 이같이 맥없이 떨어지는 모습은 향후 좌파정당들의 노선 재정립에도 혼란을 보일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도 당의 노선의 정체성이 우익 정당들의 단일대오에 비해 불명확했던것이[* 위 슬로바키아 예시만 보아도 당의 정체성 자체가 모호하다는걸 알 수 있다.] 패배의 원인이라는 질타를 받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소속 위원 하나가 나치 옹호 망언을 해버리자 숙고기간도 없이 [[독일을 위한 대안]]당 전체를 가맹정당에서 제명시키고 유사 정당들의 가맹을 막는 초강수를 쓸 정도로 유럽의회 승리에 올인한 [[정체성과 민주주의]]는 의회 내 예상 의석수가 60석에 채 미치지 못한 58석으로 전망되고 있다. 지난 선거에서 76석을 확보했고, 제명된 AfD의 11석을 제한 65석에도 미치지 못하는 결과를 받아들였다. 그나마 [[마린 르펜]]은 프랑스 내에서는 유럽의회 선거 1당이 되는 데 성공하며 국내 정치에서는 큰 성공을 거뒀다. 르펜은 [[에마뉘엘 마크롱|상대편]]의 [[2024년 프랑스 국민의회 선거|즉각적인 반응]]을 이끌었다는 점에서 극우쪽에서는 아주 높게 평가되고 있다. 비슷한 극우 진영 [[유럽 보수와 개혁]]은 이전부터 [[핀인당]]을 비롯하여 [[정체성과 민주주의|르펜의 그룹]]에 속했던 극우 정당 조직들을 뜯어 먹었음에도 불구하고 마크롱의 [[리뉴 유럽]]을 누르고 유럽의회 제3교섭그룹으로 진입하는데는 실패했다. 한편 [[녹색당-유럽자유동맹|유럽 녹색당들]]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정당별 결과/녹색정의당|0석만 모면했을 뿐]] '''사실상 대한민국의 [[녹색정의당]]과 다름없는 결과를 맞이했다.''' 그나마 0석을 모면하고 55석을 지킬 수 있었던 이유는 한국과 다르게 각 지방 및 국가별로 의회 의석을 가지고 있는 등 기초체력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이런 결과에 포린폴리시는 환경단체와 마찬가지로 녹색당의 공격적 설득방식이 국민들은 물론 다른 정당들에게도 반감을 샀고 이것이 지지율 하락과 다른 정당 연대 거부 등으로 나타난 현상이라고 분석했다.[[https://foreignpolicy.com/2024/06/03/europe-eu-parliament-elections-green-parties-climate-green-deal/|#]] [[기후위기]]로 산업화 이전 온도 대비 평균 1.5도 상승이 현실화되는 가운데 기후단체 시선에서 녹색당의 이 같은 행보는 심히 우려되는 상황이다. [[유럽의회 좌파-GUE/NGL|좌파 진영]]은 40석을 획득하며 2019년에 비해서는 나아진 흐름이지만 주 정당이었던 시리자(그리스)와 [[독일 좌파당|좌파당]](독일)이 궤멸적인 성적을 낸 것은 숙제거리로 남게 되었다. 전반적으로 우클릭을 한 [[유럽 인민당 그룹]]이 188석을 획득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극우정당들이 [[유럽 보수와 개혁|ECR]] 81석 + [[정체성과 민주주의]](ID) 64석 + 기타 25석[* AFD, 피데스 합산] 합산 170석을 획득하면서 [[오르반 빅토르]]가 구상하는 유럽 의회 내 우익단일 교섭단체가 성립되어 유럽 의회 제2교섭단체에 오르고 우파 대연정이 성립될 가능성도 전망되었다. 다만 후술하듯 유럽 인민당 진영에서는 우익 정당이 아닌 리뉴유럽이나 사회민주진보동맹 후보를 지원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우익 정당들을 견제하는 상황에서 반우익단일대오를 구축할 수도 있다는 전망 또한 배제할수 없다. 개표가 진행되면서 좌파진영에서는 유럽연합의 구성원들이 나치화되면서 집단 자체가 유명무실해질 것이라며, 그래도 유럽연합이 [[바이마르 공화국]]보다 2~3배는 오래 버텼다며(...) 자조하는 분위기까지 나오기도 했지만, 선거 후, [[유럽 인민당 그룹]]은 유럽집행위원회를 중도좌파 그룹이나 자유주의 그룹과 협의하여 구성할 방침이라고 밝히며, 극우세력에 유럽집행위의 주도권을 내주지 않을 것이라 밝히면서 좌파진영에서의 최악의 시나리오는 나오지 않을 전망이다. === 지역별 분석 === ==== 독일 ==== 독일에서는 구성원원의 나치 옹호 발언으로 [[정체성과 민주주의]]에서 퇴출되었던 [[독일을 위한 대안]]이 16%로 2당을 차지하며 예상 외 선전을 하게 되었다. 특히 이번 선거는 독일의 투표연령이 16세로 낮아진 후 처음 치르는 선거인데 이번에 처음 투표를 하게된 16, 17세 청소년층을 포함한 16~24세 청년층에서의 대안당 득표율이 이전 선거에 비해 크게 올랐다. 그뿐만 아니라 25~34세 세대에서는 대안당의 득표율이 전체 평균 득표율보다 높은 18%를 기록했고 35~44세 세대에서는 대안당의 득표율이 무려 20%를 찍는 등 '''독일의 2030세대 사이에서 극우파 [[독일을 위한 대안]]의 세력이 상당히 확장된 것이 선거결과로 확인되었다.''' 대안당이 가장 낮은 득표율을 보인건 전체 평균 득표율의 절반밖에 안되는 8%의 득표율을 기록한 70대 이상 고령층인데 이들 고령의 노년층이 죽고 난 후에는 극우정당의 세력 확장을 막기가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다.[[https://www.dw.com/en/afd-how-germanys-far-right-won-over-young-voters/a-69324954|AfD: How Germany's far right won over young voters]] 독일 유럽의회 1당 역시 메르켈 이후 강경보수 성향의 [[프리드리히 메르츠]]가 당대표가 되면서 우클릭을 엄청나게 한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및 이들과 연합한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은 합쳐서 1위를 유지했다. 한편 [[올라프 숄츠]] 현 총리가 소속된 [[독일 사회민주당|사민당]]을 비롯한 진보, 좌파 세력은 30석을 확보했지만 지난 선거 대비 7석 의석을 잃었다.[* 사민당이 14%로 3위를 기록했고, 녹색당의 의석수 감소가 두드러졌다.] 뿐만 아니라 이민과 LGBT에 부정적인 [[좌익 내셔널리즘]] 성향의 신당인 [[자라 바겐크네히트 동맹]] 또한 신규로 6석을 얻으면서 메르켈과 사민당으로 대표되던 독일의 중도파 사회자유주의 세력의 입지가 크게 무너진 상황이 선거결과로 드러나게 되었다. 또한 독일에게 있어서는 동서독 간의 입장 차이를 크게 보인 선거였다. 독일 언론지에서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과거 서독 지역에서는 기독교민주연합이 우세인 반면 동독은 압도적으로 독일을 위한 대안당을 지지했다. [[https://www.tagesschau.de/europawahl/wahl/wahlkarte-europawahl-100.html|#]] ==== 프랑스 ==== 프랑스에서는 앞서 서술했듯 [[마린 르펜]]의 [[국민연합]]이 31.4%를 득표하여 제1당을 차지했고, [[에마뉘엘 마크롱]]이 이끄는 [[르네상스(정당)|르네상스]]가 속한 BE연합이 14% 득표에 그치면서 마크롱은 국민연합의 조기총선 요구에 [[2024년 프랑스 국민의회 선거|즉각 의회 해산을 단행했다.]][* 이 성적은 2위를 차지한 마크롱의 BE연합과 3위를 차지한 “깨어라 유럽”의 의석수와 득표율을 합쳐도 [[국민연합]]에 못미칠 정도이다.] ==== 이탈리아 ==== 이탈리아의 경우 5년 전과 다르게 [[동맹(정당)|북부동맹]]의 조직과 지지자들을 빼온 [[이탈리아의 형제들]]이 지난 선거 대비 4배 이상의 득표율인 29%를 기록하며 1위를 기록하면서 [[유럽 보수와 개혁|ECR]]의 유럽 제3원내정당 진입에 큰 역할을 했다. [[민주당(이탈리아)|민주당]]도 24.1%를 기록하며 그나마 [[사회민주진보동맹]] 그룹에서는 제일 선전했다. 이탈리아 내에서는 이탈리아의 형제들이 대승했다는 인식이 크며 [[조르자 멜로니]]가 유럽의회 선거의 정점을 찍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으며 ECR 그룹의 승리를 이끌었다는 인식에 그녀의 역할이 강화될 것으로[[https://www.reuters.com/world/europe/italys-pm-meloni-solidifies-top-spot-eu-vote-exit-poll-2024-06-09/|#]] 예측하고 있지만 멜로니의 정당그룹이 순수 성과로 이룬게 아닌 다른 그룹들의 조직들을 빼가서 자기 그룹에 붙인 점[* [[핀인당]]등이 이에 해당하며 사실 몇몇 극우정당들이 르펜을 떠나 멜로니쪽으로 향하게 된 이유는 [[2022년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하여 반러 감정이 거세지자 기존에 친러 친푸틴 성향을 띄던 정당들 발에 불이 떨어졌고, 지지율 유지를 위해 도망간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르펜이 워낙 친러 친푸틴 성향인 점으로 인해 친서방처럼 보이는 멜로니가 대체제 및 합리적 정치인으로 포장시켜 스포트라이트를 받는것 아니냐는 시각도 존재한다.[*출처필요 ] ==== 벨기에 ==== 벨기에에서의 결과는 [[사회민주진보동맹]] 그룹 입장에서 가장 충격적이였다. 특히 왈롱 지역이었다. 왈롱 지역은 중도좌파 진영이 크게 우세하면서 [[사회민주진보동맹]] 최후의 보루로 여겨져 왔으나, 이번 선거에서 [[유럽 인민당 그룹]] 가맹 정당들이 대선전을 했다. 또한 벨기에 전체 득표율 역시 각 그룹 별 이합집산 끝에 표가 갈렸고, 결과적으로 총리가 속해있던 Open VLD는 5% 대 초라한 성적표로 순위권에도 들지 못했다. 우익정당의 강세와 벨기에 노동당의 약진에 떠밀려 [[알렉산더르 더크로]] 총리는 유럽의회 및 연방의회 선거 패배에 책임을지며 [[https://www.theguardian.com/world/article/2024/jun/10/belgium-general-election-2024-pm-prime-minister-alexander-de-croo-set-to-resign|사임 의사를 표명했다.]] ==== 아일랜드 ==== 중도우파 연립여당 피너 게일, 피어너 팔은 직전 지방선거보다는 의석수를 잃었지만, 3일차 개표까지 각 20% 초반의 지지율을 기록하며 11%의 득표율로 예상되는 신 페인을 압도했다. 유럽의회 선거에서는 피어너 팔이 3석을 확보하며 지난 선거의 1석에 비해 성공을 거두었다. 피너 게일은 2석을 확보했는데, [[https://www.independent.ie/irish-news/politics/poll-the-race-to-europe-very-few-done-deals-as-candidates-close-in-on-finish-line/a1070878554.html|5월 31일 여론조사]] 결과가 선거에 그대로 이어진다면 지난 선거의 4석을 유지할 가능성이 있다. [[신 페인]]은 5월 24일 진행된 [[https://redcresearch.com/wp-content/uploads/2024/05/Business-Post-RED-C-Opinion-Poll-Report-May-2024.pdf|여론조사]]까지는 3당이 엎치락 뒤치락 하는 가운데 지지율 1위를 기록하기도 했지만 4월 24일 동일기관 조사 대비 5% 가까운 폭락을 기록하며 큰 폭의 지지율 하락이 예상되었다. 유럽의회 선거 예측조사 결과 신 페인은 득표율 2위가 예상되었지만, 동시에 진행된 지방선거 개표 결과 신 페인은 큰 표차로 3위로 쳐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럽의회 선거 3일차 개표까지 2석을 확보하며 이미 지난 선거의 1석보다 더 나은 결과를 내는 데 성공했다. 녹색당과 변화를 위한 무소속은 지난 선거에서 각각 2석을 얻었지만 이번 선거에서 모두 의석을 내는 데 실패했다. 이들의 더블린 의석은 노동당과 신 페인이, 남부 의석은 신 페인과 무소속이 나눠가졌다. 1차 선호 투표를 집계한 개표 첫날, 남부 지역에서 5석 중 1석을 피너 게일이 가져갔다. 2일차 개표에서는 더블린 4석을 피너 게일, 피어너 팔, 신 페인, 노동당이 각각 나눠가졌는데, 이 중 노동당은 10년만에 유럽의원 당선자 배출을 확정지었다. 2차 선호 투표 집계가 실시된 둘째날, 남부 지역에서 피어너 팔이 2석을, 신 페인과 무소속이 각각 1석을 확보했다. 5석이 걸린 중부-북서부에서는 무소속 후보가 1석을 가져갔다. ==== 스페인 ==== 지난 선거에서 시민당(CIUDADANOS)에 주어진 표들은 우파 계열 정당이 모두 흡수했다. 특히 다수 표가 EPP 계열의 [[인민당(스페인)|인민당]]으로 흘러가며 인민당은 득표율 34.2%로 지난 선거보다 14%p의 득표율을 더 얻으며 9석이 늘어난 22석을 확보했다. 우파 정당 [[복스(정당)|복스]]는 10% 득표율을 달성하는 데는 실패했지만 2석 증가한 6석을 확보했다. 포데모스가 1석 줄은 2석을 가져갔지만, '파티는 끝났다'가 3석을 가져가며 새로 원내에 입성했다. 지난 유럽의회 선거 1당이었던 [[스페인 사회주의노동자당]]은 2.7%p 낮은 30%의 득표율로 1석 줄은 20석을 확보했다. 지역정당 선거연합체 '공화국 지금'과 좌익정당 선거연합 '연대'는 각각 3석을 유지했다. 카탈루냐 지역정당 Junte UE는 2석을 잃었으나 원내정당 지위는 간신히 유지했다. 친유럽 선거연합 CEUS는 1.2%p 낮은 득표율을 기록했지만 의석수 1석은 유지했다. ==== 키프로스 ==== 키프로스에서는 2000년생 유튜버 피디아스(Fidias)가 19.36%를 득표해 10개 정당을 제치고 전체 득표율 3위로 당선되었다. 정치적 무관심이 만연한 젊은 세대를 적극 공략해 20대에서 40%, 30대에서 28% 득표율을 얻은 것이 당선에 큰 기여를 했다는 평이다. 또한 피디아스는 키프로스에서 공식 선거운동 비용 0유로를 쓰고 당선된 유일한 후보로 역사에 남게 되었다.[* 물론 틱톡 등 SNS에서 열심히 비공식 선거운동을 했으므로 실질적 선거운동 비용은 당연히 0이 아니다.] 이외에는 다른 유럽 국가들처럼 좌익 진영이 축소되고 극우 민족주의 세력이 소폭 늘어났다. ==== 체코 ==== [[체코 사회민주당]]이 의석확보에 실패, 유럽의회 원외정당이 되었다. ==== 폴란드 ==== [[2023년 폴란드 총선거]]의 흐름처럼 [[시민 연단]]이 주축이 된 시민연합의 의석이 7석 늘었고, [[법과 정의]]는 그만큼 의석을 잃었다. 극우정당 연합이 6석을 확보하며 원내입성에 성공했고, 좌파연합은 5석을 상실했다. 전반적으로 지지율이 우측으로 옮겨지는 유럽의 흐름과 유사한 모습을 보였다. [[분류:2024년 선거]][[분류:유럽의회 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