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해상병기/독일의 잠수함 계보)] || [[파일:212급-2.jpg|width=100%]]|| ||[[파일:212급-4.jpg|width=100%]]|| || {{{#white '''Die U-Boote der Klasse 212 A'''}}} || [목차] == 개요 == [[독일]]이 [[독일 해군]]에 배치하기 위해 개발한 [[재래식 잠수함]]으로, 세계 최초의 [[연료전지]] [[AIP]] 디젤 [[잠수함]]이다.[* 최초의 [[AIP]] 잠수함은 [[스웨덴]]의 [[고틀란트급 잠수함]]이다. [[스털링 엔진]]을 장착했고, 212급은 첫 '''[[연료전지]]''' 잠수함.] 현재 [[독일 해군]]과 [[이탈리아 해군]]이 운용 중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냉전]]의 시작과 함께 [[NATO]]가 창설되고, 옛 추축국이었던 [[서독]]이 이에 가입했다. 서독이 NATO의 일원으로써 역할은 잘 해주었지만, 아무래도 잘못을 저질렀던 나라라 아무 제한을 안 걸기는 꺼림칙했는지, NATO는 [[독일 해군]]의 잠수함은 500톤급 이상으로 건조하지 못하도록 규정을 만들어놨었다.[* 물론 수출용인 [[209급 잠수함]]은 1천톤대였다. 어디까지나 자국 해군용 잠수함을 500톤 이하로 제한한 것.] 212급은 이 규정이 풀리고 건조된 잠수함이다. 즉, 본격적으로 만든 자국용 잠수함이란 소리. 확실히 규정에 얽매인 채 만든 잠수함인 [[201급 잠수함]], [[205급 잠수함]] 등은 주변국 잠수함에 비해 그저 그런 평범한 성능이었지만[* [[209급 잠수함]]은 가격 대비 성능이 수준급이라 세계 각지에 팔려나가긴 했지만 자국 해군은 도입하지 않았다.], 500톤 제한 규정이 풀리고 만든 이 212급 잠수함은 확실히 당시 기준으론 혁신적이고 고성능으로 평가되었다. == 제원 == ||||||||<:> '''{{{+1 {{{#FFFFFF 212급 잠수함}}} }}} [br] {{{#FFFFFF Type 212 Submarine}}}''' || ||||<:> '''건조 업체''' ||<(> [[티센크루프 마린 시스템즈|HDW]] [br] [[핀칸티에리]] || ||||<:> '''전장''' ||<-2><(> 56m (BATCH-I) [br] 57.20m (BATCH-II) || ||||<:> '''전폭''' ||<-2><(> 6.8m || ||||<:> '''흘수선''' ||<-2><(> 6.4m || ||||<:> '''수상배수량''' ||<-2><(> 1,524톤 || ||||<:> '''수중배수량''' ||<-2><(> 1,830톤 || ||<|3> '''동력''' ||<:> '''방식''' ||<-2><(> [[AIP]] || ||<:> '''기관''' ||<-2><(> [[MTU(기업)|MTU]] 16V-396 디젤엔진 x1기 [br] 지멘스 페르마신 1,700 kW급 전동모터 x1기 [br] HDW/지멘스 30~40 kW급 PEM 연료전지[* U-31] x9기 [br] HDW/지멘스 120 kW급 PEM 연료전지[* U-32/U-33/U-34] x2기 || ||<:> '''추진''' ||<-2><(> 전동모터 프로펠러 1축 추진 || ||||<:> '''수중속력''' ||<-2><(> 12노트 || ||||<:> '''수중속력''' ||<-2><(> 20노트 || ||||<:> '''항속거리''' ||<-2><(> 8노트로 수상 항해시 14,800km || ||||<:> '''작전기간''' ||<-2><(> AIP 시스템 가동시 3주 잠항가능 / 최대 12주 작전 || ||||<:> '''승조원''' ||<-2><(> 23~27명 || ||||<:> '''잠항심도''' ||<-2><(> 250~700 m || ||<|4> '''소나''' ||<:> '''소나체계''' ||<-2><(> STN 아틀라스 DBQS40 소나 체계 || ||<:> '''함측''' ||<-2><(> FAS-3 중 / 저주파 패시브 소나[* S 181~S 184] [br] EFAS 소나[* S 185~S 186] || ||<:> '''예인''' ||<-2><(> TAS-3 저주파 예인 소나 || ||<:> '''기뢰 탐지''' ||<-2><(> MOA 3070 소나 || ||||<:> '''레이더''' ||<-2><(> 켈빈 휴즈 Type 1007 I 밴드 항법 레이더 || ||||<:> '''항법체계''' ||<-2><(> 아비오 GAUDI 자동 조종 / 유압 시스템 || ||||<:> '''전투체계''' ||<-2><(> 콩스베르그 MSI-91 전투 시스템[* S 181~S 184] [br] 아틀라스 일렉트로닉 ISUS [* S 185~186] || ||||<:> '''탐지체계''' ||<-2><(> 리바 칼조니 잠망경 시스템 [br] Carl Zeiss SERO 14 FLIR/거리계 [br] Carl Zeiss SERO 15 레이져 거리계 [br] WASS 수중청음기 || ||<|2> '''대응체계''' ||<:> '''ECM/ESM''' ||<-2><(> EADS FL 1800U ESM[* S 181~S 185] [br] EADS MRBR 800 ESM[* S 185~S 186] || ||<:> '''어뢰대응책''' ||<-2><(> TAU 2000 어뢰 방어 시스템 || ||||<|2> '''무장''' ||<(><-2> 533mm 어뢰 발사관 6문 || ||<-2><(> [[DM2A4 중어뢰]][* 독일 해군에서 사용] [br] [[어뢰|A184 중어뢰]][* 이탈리아 해군에서 사용] [br] [[블랙샤크 중어뢰]][* 이탈리아 해군에서 사용] [br] [[잠대공 미사일|IDAS 잠대공 미사일]][* 독일 해군용. 아직 미배치] [br] 외부 부착형 기뢰 24기 (옵션) || == 개발 및 건조 역사 == 1990년대 초, [[독일 해군]]은 [[206급 잠수함]]을 대체할 신형 잠수함이 필요함을 느꼈고, [[209급 잠수함]]을 기반으로 [[AIP]] 체계를 갖춘 신형 잠수함을 설계하기 시작한다. 해당 설계에 212급(Type 212)라는 급명을 부여하고, 기초연구를 시작했다. 1994년 들어서 [[이탈리아]]가 관심을 보여 설계에 참여했다. 마침 [[이탈리아 해군]]도 새 잠수함이 필요했던 탓이었다. 두 국가는 212급의 운용 성능을 [[발트해]] 같은 얕고 좁은 연안에서부터 지중해의 심해까지 운용가능한 전천후 디젤 잠수함을 만들기로 했다. 하지만 두 운용 환경에 모두 적합한 잠수함을 만들기란 힘들었던 나머지, 일단 절충안으로 설계하기로 했다. 이후 명칭이 212A급으로 변경되었다. 1996년 4월 22일에 양국은 [[독일 해군]]용 4척, [[이탈리아 해군]]용 2척에 추후 2척 추가 건조하기로 합의하고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1998년 독일 정부는 4척의 212급 잠수함을 주문했고, 독일 잠수함 컨소시움이 [[티센크루프 마린 시스템즈|HDW]]사의 킬 조선소와 TNSW사의 엠덴 조선소에서 건조를 시작했다. 양쪽에서 절반의 모듈을 생산하고, 나머지 반을 상대 조선소에 맡기는 형식으로 두 조선소가 건조 경험을 충분히 쌓을 수 있게 했다. 동년에 이탈리아 정부도 2척을 주문했고 [[핀칸티에리]]사가 Muggiano 조선소에서 건조했다. 이탈리아 해군용 212급의 함급명은 토다로급. 이후 2006년 독일 해군은 개량형 212급 2척을 주문했다. 전장을 1.2미터 늘려서 탐색 잠망경을 추가한 버전이다. 2012년에 두 척을 인도했다. 이탈리아 해군도 2척을 추가 주문했다. 이 추가주문 분량은 [[소프트웨어]]에 상용 기술을 적용하되, 기본 함체는 적정선에서 유지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최소화 했다고 한다. 209급의 선체를 베이스로 212급의 기술을 적용하여 설계한 수출용 잠수함이 바로 [[214급 잠수함]]이다. [[그리스 해군]], [[대한민국 해군]], [[튀르키예 해군]] 등에 수출되었다. 2015년 12월 22일 [[이탈리아 해군]]이 3차선(BATCH-III) 사양으로 2척을 추가 건조할 것임을 발표했다. 2020년대 새로운 파생형으로 [[212CD급 잠수함]]이 발표되었다. == 특징 == === 설계상 특징 === ||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FGS%20U%2031%20(S181)%20Type%20212%20Howaldtswerke-Deutsche%20Werft%20AG%2027-09-07.jpg|width=100%]] || || 212급 잠수함의 함미타. 통상적인 十자 함미타가 아닌 X자 함미타를 사용한다. || 함미타를 X형으로 설계하여, 선회력을 증가시키고 연안접근력을 최대화했다. 동시대의 잠수함들과 비교해, 212급은 17미터의 수심에서도 작전이 가능한 경이로운 연안접근력을 보유하고 있다. 덕분에 특수전을 수행할 경우 특수전 요원들이 해안까지 헤엄쳐가는 거리를 단축시켜 작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다른 설계상 특징으로는 함체 골격에 각기동형 골격을 사용하였고, 사령탑을 유선형으로 설계하여 수중 정숙도를 높였다. 또한 [[201급 잠수함]]부터 시도하여 [[206급 잠수함]]에 이르러 실전 배치에 성공한 비자기성 강철을 선체 재질로 사용하여, [[MAD#s-5|자기탐지기]]나 자기 [[기뢰]]에 접촉될 확률을 줄였다. 상기한 대로 선체 재질로 비자기성 강철을 사용한 것이 주요 특징인데, 같은 212급이라도 독일 해군용과 이탈리아 해군용은 각각 다른 재질을 사용하고 있다. 얕은 바다인 [[발트해]]에서 작전하는 독일 해군용의 212급에는 강도는 떨어지나 피탐지성이 낮은 [[스테인리스강]]이 쓰이고 있고[* [[발트해]]는 얕은 바다라서 [[대잠초계기]]의 [[MAD#s-5]]의 효율이 극대화된다. 이 MAD에 대한 피탐성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 MAD에 강한 [[스테인리스강]]을 선택한 것이다.], 이보다 깊은 [[지중해]]에서 작전하는 이탈리아 해군용의 212급에는 [[HY-80]] 고장력강이 사용되었다. === [[AIP]] === 가장 대표적인 특징을 꼽자면 역시 '''세계 최초의 [[연료전지]] [[AIP]] 디젤 잠수함'''이라는 점이다. [[산소]]와 [[수소]]를 이용한 무급기 추진방식이 [[제1차 세계대전]] 무렵부터 검토되긴 했지만, 화재나 폭발 위험 때문에 사장되기 일쑤였다. 212급은 연료와 산소탱크를 승조원 거주구역 바깥, 즉 압력선체와 외부 선체 사이에 설치해서 위험을 줄였다. 산소는 배관을 통해 압력선체 내부의 연료전지로 전달되어, 전기를 발전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설계로 그동안 시도는 많았으나 실용화되지 못한 연료전지 AIP 디젤 잠수함이 실용화된 것이다. === 무장 구성 === 주무장인 [[어뢰]]의 경우 [[독일]]제 어뢰 [[DM2A4 중어뢰]]가 세계 최초의 광섬유 유선유도어뢰라는 점을 제외하면 특별한 점은 없다. DM2A4 이외에도 [[이탈리아]]제 A184 중어뢰나 [[블랙샤크 중어뢰]] 역시 사용한다. 특이한 점이라면 개발중인 [[IDAS 잠대공 미사일]]이 향후 대공용 무장으로 탑재될 예정이라는 것이다. 제대로 개발해서 배치에 성공할지는 아직 미정이다.[* 이 잠대공 미사일 썰 때문에 [[2000년대]] [[한국]]에서 나온 밀리터리 소설들은 잠대공 미사일로 [[대잠초계기]]를 잡는 내용이 가끔씩 나왔다. 대표적으로 [[김경진(소설가)|김경진]]의 [[동해(동음이의어)#s-9|동해]], 서종건의 [[검은 전쟁]].] 한때 '''수납형 [[기관포]](!)''' 탑재가 검토되었던 적이 있다. [[라인메탈]]의 RMK30 30mm 기관포를 잠수함 마스트형으로 개조하여 잠수함에 탑재한다는 일명 '무레나 프로젝트(Project Muraena)'가 있었다. ~~~[[21형 유보트]](이쪽도 20밀리 기관포를 수납형으로 장착)도 아니고~~~ [[어뢰]]가 발달했다지만 작고 빠른 [[고속정]]을 상대하기란 어렵고, 특수전 지원을 위해 장착을 검토하였으나 소식이 없다. 아마 사장된 듯(...). 잠대공 미사일이나, 수납형 기관포나 참으로 혁신적인 발상이었으나 아직 둘 중 실전배치된 것이 없기에, 적어도 현 시점에선 212급은 어뢰를 주무장 삼는 평범한 잠수함이 되었다. == 파생형 == === 212NFS === '''U212NFS (Near Future Submarine)''' 이탈리아 해군이 3차선(BATCH-III) 사양으로 새롭게 도입하는 212급 잠수함이다. 기존에 운용 하던 212급 대비 길이가 1.2m 가량 길어지고 이탈리아에서 개발된 리튬 이온 전지를 탑재하고, MK2/E TESEO 대지 순항 미사일을 탑재할 예정이다. === 212CD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12CD급 잠수함)] '''U212CD (Common Design)''' [[노르웨이 해군]]과 독일 해군이 공동으로 도입할 212급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 == 동형함 목록 == ||<-8><:> {{{#FFFFFF '''독일 연방해군'''}}} || ||<:> '''함번''' ||<:> '''함명''' ||<:> '''기공일''' ||<:> '''진수일''' ||<:> '''취역일''' ||<:> '''퇴역일''' ||<:> '''상태''' || ||||||||||||||||<:><#808080> {{{#FFFFFF '''Die U-Boote der Klasse 212 A (U-Boot-Klasse 212 A)'''}}} || ||<:> S181 ||U-31 ||<:> 1998.7.1 ||<:> 2002.3.20 ||<:> 2005.10.19 ||<:> - ||<:> 현역 || ||<:> S182 ||U-32 ||<:> 2000.7.11 ||<:> 2003.12.4 ||<:> 2005.10.19 ||<:> - ||<:> 현역 || ||<:> S183 ||U-33 ||<:> 2001.4.30 ||<:> 2004.9 ||<:> 2006.6.13 ||<:> - ||<:> 현역 || ||<:> S184 ||U-34 ||<:> 2001.12 ||<:> 2006.7 ||<:> 2007.5.3 ||<:> - ||<:> 현역 || ||<:> S185 ||U-35 ||<:> 2007.8.21 ||<:> 2011.11.15 ||<:> 2015.3.23 ||<:> - ||<:> 현역 || ||<:> S186 ||U-36 ||<:> 2008.8.19 ||<:> 2013.2.6 ||<:> 2016.10.10 ||<:> - ||<:> 현역 || |||||||||||||| '''{{{#ffffff 이탈리아 해군}}}''' || ||<:> '''함번''' ||<:> '''함명''' ||<:> '''기공일''' ||<:> '''진수일''' ||<:> '''취역일''' ||<:> '''퇴역일''' ||<:> '''상태''' || ||||||||||||||||<:><#198019> {{{#FFFFFF '''U-212'''}}} || ||<:> S 526 ||살바토레 토다로 (Salvatore Todaro)[*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대서양 전투]]에서 활약한 잠수함 함장. 약 30,000톤의 격침톤수를 기록했다. 인간성과 관대함을 지닌 이로 "바다의 [[돈키호테(돈키호테)|돈키호테]]"라는 별명을 가졌다고 한다. 1942년 12월 14일 영국군의 공습으로 전사.] ||<:> 1999.7.3 ||<:> 2003.11.6 ||<:> 2006.3.29 ||<:> - ||<:> 현역 || ||<:> S 527 ||시레 (Scirè)[*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당시 있었던 시레 전투.] ||<:> 2000.5.27 ||<:> 2004.12.14 ||<:> 2007.2.19 ||<:> - ||<:> 현역 || ||<:> S 528 ||피에트로 베누티 (Pietro Venuti) ||<:> 2009.12.9 ||<:> 2014.10.9 ||<:> 2016.7.6 ||<:> - ||<:> 현역 || ||<:> S 529 ||로메오 로메이 (Romeo Romei)[*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지중해]]에서 활동한 잠수함 함장이자 군사용맹장 금장 수여자. 1941년 3월 31일 [[그램퍼스급 잠수함|영국 잠수함 로퀄]]의 공격으로 전사.] ||<:> 2012 ||<:> 2015.7.4 ||<:> 2017.5.11 ||<:> - ||<:> 현역 || ||||||||||||||||<:><#198019> {{{#FFFFFF '''U-212 NFS'''}}} || ||<:> - ||<:> ||<:> 2022.1.11 ||<:> - ||<:> - ||<:> - ||<:> 건조 중 || ||<:> - ||<:> ||<:> - ||<:> - ||<:> - ||<:> - ||<:> 건조 예정 || ||<:> - ||<:> ||<:> - ||<:> - ||<:> - ||<:> - ||<:> 건조 예정 || ||<:> - ||<:> ||<:> - ||<:> - ||<:> - ||<:> - ||<:> 건조 예정 || == 기타 == [[김경진(소설가)|김경진]] 작가의 소설 [[동해(동음이의어)#s-9|동해]]에서 장문휴급 잠수함이 212급 잠수함이다. [[국뽕]]으로 악명높은 작가답게 배수량 2000톤 미만 디젤 잠수함이면서 미중일러 최신 잠수함들을 압도하는 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지금까지도 개발이 완료되지 않은 잠대공 미사일을 탑재하여 [[대잠초계기]]까지 격추시킨다. [[미국]]은 이 동맹국 디젤잠수함의 성능을 경계해 공작을 가해 제거하려 했으며 종국에는 미중일러 4개국 해군과 맞서 싸운 뒤 침몰한다. 초판에는 212급이었으나 [[한국 해군]]의 214급 도입이 확정된 이후로 [[214급 잠수함]]으로 수정되었다. 작중 외관 묘사도 214급의 외형을 묘사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관련 문서 == * [[잠수함]] * [[독일 해군]] * [[이탈리아 해군]]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독일 함선)] [include(틀:현대전/이탈리아 함선)] [include(틀:해상병기 둘러보기)] [[분류:잠수함]][[분류:해상 병기/현대전]][[분류:독일 연방군/군함]][[분류:이탈리아군/군함]][[분류:2002년 공개]][[분류:2005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