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냉전/소련 기갑차량)]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Self-propelled_gun_2S5_%22Giatsint-S%22_with_152-mm_gun_2A37..jpg|width=100%]]}}} || || '''2С5 «Гиаци́нт-С» (Объект 307) ''' || [목차] == 개요 == [youtube(HJECaWjjDzY)] 1976년 채택된 소련군의 152mm [[자주평사포]]. 서방에서는 1981년에 포착하였으므로 M1981이라 알려졌었다. 흔히 자주곡사포라 하지만 [[2S7 피온]]처럼 자주평사포로 분류되고, 주포 역시 [[152mm 2A36 기아친트-B]] [[평사포]]다. [[GABTU 코드명]]은 오비옉트 307, [[GRAU 코드명]]은 2S5(2С5)다. 냉전 당시 약 900여문을 소련군이 운용했으며, 소련군은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처음 2S5를 실전에 투입했다. 이후 [[체첸 전쟁]], [[돈바스 전쟁]]에서도 쓰였다. == 제원 == ||||<:> {{{#FFFFFF '''2С5 Гиацинт-С[* 한국어로 읽자면 기아찐뜨-에쓰. Giatsint는 러시아어로 [[러시아어]]로 [[히아신스]] 또는 파멸을 뜻한다.]'''}}}|| ||<:>'''개발사'''||?|| ||<:>'''제조사'''||옴스크트란스마쉬|| ||<:>'''중량'''||28.2t|| ||<:>'''전장'''||8.33m|| ||<:>'''전폭'''||3.25m|| ||<:>'''전고'''||2.76m|| ||<:>'''엔진'''||[[V-2 엔진|V-59]] 4행정 12기통 디젤 엔진|| ||<:>'''변속기'''||??? 수동변속기|| ||<:>'''현가장치'''||[[토션 바]]|| ||<:>'''최대출력'''||520마력|| ||<:>'''최고속도'''||60km/h (도로)|| ||<:>'''톤당 마력'''||8.7hp/t|| ||<:>'''항속거리'''||500km|| ||<:> '''도섭 가능 심도'''||?m|| ||<:>'''주포'''||[[152mm 2A36 기아친트-B|2A37]] 152mm 54구경장 평사포 1문|| ||<:>'''발사 속도'''||분당 ~4발 (통상사격시) [br] 분당 5~6발 (급속사격시) [br] 분당 3~4발 (지속사격시)|| ||<:>'''포각도'''||부양각 -2°~+57° [br] 방위각 -25°~+25°|| ||<:>'''사거리'''||28.5km (OF-29 HE탄) [br] 40km (OF-59 HE/RAP탄)|| ||<:>'''부무장'''||[[칼라시니코프 기관총|PKT]] 7.62mm 다목적 기관총 1정|| ||<:>'''탄약 적재량'''||152mm 곡사포탄 30발 * OF-29 HE탄 * OF-59 HE/RAP탄 * 0.1~0.2kt급 핵포탄 * 기타 탄약 [* 연막탄, 집속탄, 생화학탄, 대인 화살탄 (일명 벌집탄) 등등] 7.62mm 기관총탄 1,500발|| ||<:>'''탑승인원'''||(단차장, 조종수, 포수, 탄약수 2, +탄약 운반수 2) 5~7명|| ||<:>'''방어력'''||불명|| ||<:><|2>'''장갑'''||균질 압연 장갑|| ||차체 전방위 약 10~15mm [br] 차체 제외 비장갑|| == 개발 == 1960년대에 미국에서는 당시 새로 나온 [[M109]] 자주포를 운용하면서 사거리를 늘린 개량형들을 배치하기 시작했고, 동시에 사거리가 긴 [[M107]] 자주평사포도 사용했다. 또한 중국과 대만이 붙은 [[진먼 포격전]]을 통해서, [[130mm M-46 평사포]]의 사거리가 충분하지 않다는 결론이 나왔다. 소련군은 기존의 자주포 전력으로는[* 1960년대에 소련의 자주포 전력은 [[2A3 콘덴사토르-2P]]나 [[2B1 오카]]같은 특수한 병기들을 제외하면 대부분 2차 대전기부터 생산된 [[ISU-152]]같은 자주포였다. 그리고 [[니키타 흐루쇼프]]가 재임할때 로켓과 미사일 개발이 추진력을 얻었지만 재래식 포병 전력 강화는 사실상 뒷전으로 밀려났기 때문에 흐루쇼프가 물러나기 전에는 신형 자주포들이 활발하게 개발되지 못했다.] 서방의 자주포 전력에 대응하기 힘들다는 결론을 내리고, 기존의 130mm M-46과 152mm M-47 야전 [[견인포|견인식]] 평사포들을 대체하고 포병 전력을 1980년까지 강화하기 위해 사거리가 더 길어진 신형 [[152mm]] 견인식 [[평사포]]를 개발하면서 이로 무장한 신형 자주포를 개발하는 결정이 내려졌다. 이에 [[152mm 2A36 기아친트-B]] 평사포가 개발에 들어갔고, 이를 주무장으로 쓰는 자주포 2S5는 1968년부터 계획되어 개발에 들어갔다. 개발은 [[우랄트란스마쉬]]와 모토빌리카 공장 설계국(SKB-172)에서 주도했다. 1971년 봄까지 총신 길이가 7200mm인 포 본체가 모토빌리카 공장에서 포 탄약 테스트를 위해 제조되었다. 그러나 탄약의 카트리지 케이스가 제때 배송되지 않아서 테스트는 1971년 9월에야 시작되어 1972년 3월까지 진행되었다. 테스트 결과 18.4kg의 완전 충전을 사용할 때 포구탄속은 945m/s 였고, 사거리는 28.5km에 달했다. 21.8kg로 늘어난 장약을 썼을때는 사거리 31.5km, 포구탄속 975m/s를 기록했지만, 사격시 반동이 심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장약을 20.7kg으로 줄이고 포신에 매끄러운 노즐을 도입했다. 1972년 4월에 포의 설계가 확정되었고 연말까지 2A37 포의 시제품 2대를 차체에 설치하기 위해 우랄트랜스마쉬 공장으로 보내졌고, 2S5의 프로토타입이 먼저 공장으로 보내진 다음 현장 테스트를 받았다. 1974년까지 기아친트-S 자주포의 전체 테스트 주기가 완료된 후 대량 생산 준비가 시작되었다. 1976년부터 1991년까지 생산하였으며, 화학탄 및 핵포탄 투사 능력도 부여받았다. == 특징 == 2S5 기아친트-S의 차체는 [[2K11 크루그]] 대공 미사일의 [[이동형 미사일 발사대|TEL]]/[[2S3 아카치야]]의 차대였던 [[SU-100P]] 자주포 기반의 GM-123 차체를 기반으로 제작되었고, 그 위에 포탑 없이 바로 견인식 평사포인 2A36 기아친트-B 평사포와 [[자동 장전 장치|반자동식 장전장치]]를 올린것이다. 이렇듯 오픈탑인 덕분에 사격시에는 포수를 제외한 모든 인원들이 차체 외부에 있어야 했으므로 운용 인원들의 생존성이 문제가 되었고, 휴행탄수도 적어서 포탄 30발을 운반하는 탄약운반차가 자주 따라붙었었다. 다만 기동시에는 모두가 탑승하며, 차체 자체에는 NBC 방호장치가 있었다. 포 구경은 [[152mm]]로 같지만 [[2S3 아카치야]]와는 다르게 신형 장포신 평사포인 2A36을 채택한 만큼, 기존 야포 기반의 곡사포로 무장한 아카시아보다 사거리와 발사속도(분당 5~6발), 방열속도(3분) 모두 높았으며, 일선 부대의 130mm M-46 견인포들을 대체해나갔다. == 개량형 == 소련이 해체되고 1990년대 후반에 생산이 중단된 이후 러시아에서 현대화 개량이 진행되었다. * 2S5M : 자동화된 신형 사격통제장치가 추가되었고, 주포가 2A37에서 2A37M으로 개량되어 더 강력한 152-mm 3OF60 고폭 파편탄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로켓 유도탄 사용시 사거리도 기존의 31.3km에서 37km로 늘어났다. * 2S5M1 : 주포를 155mm 규격으로 새로 바꿨다. 최대 사거리가 30km인 L15A1 포탄과 최대 사거리가 41km인 ERFB BB 로켓 유도탄을 사용할 수 있다. 2004년에는 기아친트-S의 차체에 [[2S35 칼리챠-SV]]와 탄도를 공유하는 곡사포를 장착한 실험적인 차량도 만들어졌다. == 실전 == === [[냉전]] ===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 소련군이 투입했다. === 현대 === ==== [[제1차 체첸 전쟁]] ==== ==== [[제2차 체첸 전쟁]] ==== ==== [[돈바스 전쟁]] ==== [[파일:2s5.jpg]] 우크라이나 정부군과 반군, 그리고 반군의 배후였던 러시아군 모두 투입했다고 알려졌다. 사진은 2014년에 촬영된 우크라이나군의 차량.([[https://fraza.com/analytics/288167-ukrainskij-arsenal-152-mm-samohodnaja-pushka-2s5-giatsint-s-|#]])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러시아군과 우크라이나군이 투입했다. == 운용국 == === [[소련]] === 900~950여대 === [[러시아]] === 육군 399대, 해군 해안포용 170대(?), 500여대 비축 === [[우크라이나]] === 24대, 돈바스 전쟁의 여파로 재취역함. === [[벨라루스]] === 120대 === [[에티오피아]] === 10대 === [[에리트리아]] === 12대 === [[핀란드]] === 18대 === [[폴란드]] === 450대 == 여담 == 소련군의 자주포라 하면 사람들은 보통 [[2S1 그보즈디카]] 또는 [[2S19 무스타-S]]를 떠올리고, 오픈탑 자주포라고 한정해도 그쪽으로는 [[2S7 피온]], [[곡산포]]등이 더 잘 알려져 있어 낮은 인지도를 자랑한다.(...) ==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 사람들에게 별로 알려지지 않은 병기인 만큼 인지도가 매우 떨어진다. === 게임 === *[[워게임: 레드 드래곤]] - 엄연한 소련군 병기임에도 [[워게임 시리즈]]통틀어 얼굴도 안보이다가 WRD에 와서야 DLC로 핀란드에 TelaK 152로 추가되었다. 성능은 최신형 자주포들보단 조금 처지지만, 그래도 고증대로 높은편인 발사속도 덕에 좋은 취급을 받는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러시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우크라이나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핀란드 기갑차량)]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분류:자주평사포]][[분류:지상 병기/냉전]][[분류:지상 병기/현대전]][[분류:소련군/장비]][[분류:러시아군/기갑차량]][[분류:우크라이나군/기갑차량]][[분류:핀란드군/기갑차량]][[분류:GRAU 코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