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3차 순환선)] ||<#fff,#000>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width=50&theme=light]][[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50&theme=dark]] ||<-2> {{{#ffffff {{{+1 '''3차 순환선'''}}}}}}[br]{{{#fff 三 次 循 環 線}}}[br]{{{#fff Daegu Metropolitan City 3rd Ring Way}}}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구3차순환도로v2.png|width=100%]]}}}|| || '''연 장''' ||<-2> 25.87km[*명목상] 26.53km[*실제 대덕로의 단절로 인해 이천로-봉덕로 경유 시] || || '''도로명''' ||<-2> [[무열로]], [[청호로(수성구)|청호로]], [[청수로(수성구)|청수로]], [[대덕로]], [[대명로]], [[두류공원로]], [[서대구로]], [[노원로(대구)|노원로]] || ||<|6> '''경유지''' || [[수성구]] || [[만촌동]], [[범어동(대구)|범어동]], [[황금동(수성구)|황금동]], [[지산동(수성구)|지산동]], [[두산동]], [[상동(수성구)|상동]], [[중동(수성구)|중동]] || || [[남구(대구광역시)|남구]] || [[봉덕동]], [[대명동(대구)|대명동]] || || [[달서구]] || [[성당동]], [[두류동]] || || [[서구(대구광역시)|서구]] || [[내당동]], [[평리동(대구)|평리동]], [[비산동(대구)|비산동]] || || [[북구(대구광역시)|북구]] || [[노원동3가]], [[침산동(대구)|침산동]], [[산격동]], [[복현동]] || || [[동구(대구광역시)|동구]] || [[신암동]], [[효목동]]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구광역시]]의 세 번째 순환도로. [[2차 순환선]] 외곽에 위치하고 있다.[* 2차 순환선 안쪽으로는 [[1차 순환선]]도 있다. 대구는 [[중국]] [[베이징]]처럼 도로구조가 중심핵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쭉 뻗어있다.] [[대구 동구|동구]], [[대구 북구|북구]], [[대구 서구|서구]], [[대구 남구|남구]], [[달서구]], [[수성구]]를 지난다. [[대구 중구|중구]]만 유일하게 지나지 않는다. 여기에 포함되는 도로는 [[서대구로]], [[노원로(대구)|노원로]], [[동북로(대구)|동북로]], [[무열로]], [[청호로(대구)|청호로]](일부), [[청수로(수성구)|청수로]](일부), [[대덕로]], [[대명로]](일부), [[두류공원로]]가 있다. 주요 교차로는 큰고개오거리, 복현오거리, 연암네거리, 노원네거리, 만평네거리, 평리네거리, 두류네거리, 안지랑네거리, 중동네거리, 황금네거리, 만촌네거리, 효목네거리 등이 있다. 두류공원네거리 ~ 만촌네거리 사이의 북쪽 구간은 모두 [[일반국도]] 구간으로 구성 노선은 [[4번 국도|4번]], [[5번 국도|5번]], [[25번 국도|25번]], [[26번 국도|26번]]이다. 이 도로들 중 [[대덕로]]는 남구에 있는 [[주한미군]] [[캠프워커]] 때문에 미완의 도로가 되어버려 순환도로가 완전히 이어지지 못 하고 끊어져 있는 바람에 완주를 위해서는 이 순환도로 상에 있지 않은 이천로와 봉덕로를 잠시 경유하여야 한다.[* 순환3번 대 버스들과 다른 지선버스들도 이런 형태로 우회한다.] 2021년 캠프워커 동편 활주로/헬리포트가 반환되어 대덕로가 [[현충로역]] 동편까지 연장되면 순환도로가 완성될 것이다. 그리고 같은 해 12월 30일 서편 활주로까지 반환합의를 마치며 마지막 남은 구간까지 반환될 예정이다.[[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11230000043|#]] 미개설 구간은 2024년 2월 착공, 2025년 7월 준공 예정이다.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40201010000046|#]] [[대구 버스 순환3, 순환3-1|순환3(-1)]]번이 이 도로를 따라 운행하며[* 물론 위에 설명했듯 순환구간이 끊어져 있어 대체구간으로 이천로와 봉덕로를 잠시 지난다. 그리고 이 노선은 이름과 달리 완전한 순환선이 아니며, 범물동 기점을 드나들기 위해 순환선에 속하지 않은 용학로와 지범로, 범안로의 일부를 경유한다.], [[대구 도시철도 5호선]]이 이 3차 순환선를 따라도는 것으로 계획되어 있다. 본 순환선의 외곽으로 [[4차 순환선]]이 건설되었다. == 구간 == [include(틀:대구광역시 순환도로)] [각주] [[분류:3차 순환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