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전동차]][[분류:일본의 철도차량]][[분류:1994년 출시]][[분류:JR 도카이]] * [[일본 철도 정보/철도차량 관련 정보]]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P8140243_1-marine1007.jpg]] [목차] == 사양 == JR東海373系電車 JR Central 373 series (EMU) || 열차 형식 ||[[특급형 전동차]]|| || 구동 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급전 방식 ||직류 1500V|| || 영업 속도 ||130km/h|| || 기동 가속도 ||2.1km/s|| || 신호 방식 ||[[열차자동정지장치|ATS]]-ST, [[열차자동정지장치|ATS]]-PT|| || 제작 회사 ||[[일본차량제조]],[[히타치 제작소]]|| || 도입 연도 ||1994년 ~ || || 제어 방식 ||[[도시바]] [[VVVF]]-[[GTO(반도체)|GTO]]|| || 동력 장치 ||[[교류전동기|농형 3상 유도전동기]]|| || 제동 방식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직통제동, 회생제동, 억속제동)|| || 편성 대수 ||1편성 3량|| || 소속 ||[[JR 도카이]] 시즈오카 차량구 (14편성 42량)|| == 개요 == [[JR 도카이]]의 최초 인버터제어(VVVF) 특급형차량. 1995년에 첫 등장, 현재 총 42량이 활약중이다. 최고속도 120km/h(설계최고속130km/h), 383계와 다르게 틸팅기능은 없다. 373계는 엄밀히 말하자면 특급보다는 '급행형', 그러니까 노후화된 165계를 대체할 목적으로 신조된 차량으로, 흔히 '특급치고는 하급, 근교형치고는 고급'이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비슷한 컨셉으로 제조된 차량으로 구 일본 국철의 [[185계 전동차]]가 있다. == 운행노선 == === 특급열차 === * [[후지카와(열차)|후지카와]]([[미노부선]]) : [[시즈오카역|시즈오카]] - [[코후역|코후]](1일 7왕복) * [[이나지]]([[이다선]]) [[토요하시역|토요하시]] - [[이다역|이다]](1일 2왕복) 등장 초기에는 도카이도 본선 특급 '[[도카이(열차)|도카이]]'(도쿄-시즈오카)로도 운행되었다. 2007년 폐지. 이외에도 시즈오카권 및 이다선 연선의 임시 특급/급행열차로도 투입된다. === [[라이너(철도)|홈라이너]] === * 홈라이너 누마즈·시즈오카·하마마츠 ([[도카이도 본선]] [[누마즈역|누마즈]]-시즈오카-[[하마마츠역|하마마츠]]) * 시즈오카권 홈라이너 열차. 열차 명칭은 종착역을 따서 명명한다. 예를 들어, 누마즈발 하마마츠행 홈라이너 열차는 '홈라이너 하마마츠' 식으로. 등장 초기에는 도카이도 본선 야간쾌속열차 '[[문라이트 나가라]]'(도쿄-오가키)로도 운행되었다. 2007년에 임시열차로 격하되면서 [[JR 동일본]] 소속 189계-185계로 바뀌었다가, 2020년 폐지되었다. === 보통 열차 === * 하마마츠-토요하시 간(1일 3왕복, 6량 편성) * 누마즈-[[아타미역|아타미]] 간(1일 1왕복, 3량 편성) * 고마가네 역-덴류쿄 역 간(상행 3량 편성, 하루 1개) * 덴류쿄 역-이다 역 간(하행 3량 편성, 하루 1개) [include(틀:포크됨2, title=373계 전동차, d=2023-02-04 16:06: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