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차 세계대전/독일 기갑차량)]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2brjz9dhtb71.jpg|width=100%]]}}} || || '''Sturmgeschütz IV''' || [목차]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9qW63yvlCo)]}}} || || '''호주 기갑 박물관 소장 4호 돌격포 기동 영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otJUKU5PMo)]}}} || || '''브로니 전차 박물관 소장 4호 돌격포 기동 영상''' || [[4호 전차]]의 차체에 [[3호 돌격포]] 전투실을 얹은 차량으로, [[4호 구축전차]]와 함께 2차 대전 독일의 상황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차량이다. == 제원 == ||<-4>
{{{#ffffff '''Sd.Kfz. 167 Sturmgeschütz IV'''}}}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stug4.jpg|width=100%]]}}} || ||<-2> '''중량''' ||<-2> 23t || ||<-2> '''전장''' ||<-2> 6.7 m || ||<-2> '''전폭''' ||<-2> 2.95 m || ||<-2> '''전고''' ||<-2> 2.20 m || ||<-2> '''승무원''' ||<-2> 전차장, 포수, 탄약수, 조종수 || ||<-2> '''장갑''' ||<-2> 10–80 mm || ||<-2> '''주무장''' ||<-2> 7,5cm StuK 40 L/48 돌격포[* [[PaK 40]]의 돌격포 버전.](탄약 63발) || ||<-2> '''부무장''' ||<-2> 7,92mm [[MG34]] 1정(탄약 600발) || ||<-2> '''엔진''' ||<-2> 마이바흐 HL 120 12기통 엔진 (296마력) || ||<-2> '''추중비''' ||<-2> 13마력/톤 || ||<-2> '''변속기''' ||<-2> ZF SSG 76 Aphon(전진 6단, 후진 1단) || ||<-2> '''서스펜션''' ||<-2>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리프 스프링]] || ||<-2> '''항속거리''' ||<-2> 210km || ||<-2> '''속력''' ||<-2> 40km/h (25 mph) || == 개발사 == === 땜빵으로 생산되다 === 예전부터 계획은 있었지만 논란 끝에 잠시 유보된 상태였었다. 하지만 1943년 11월, 연합군의 공습으로 알케트의 3호 돌격포 생산공장이 파괴되어 [[3호 돌격포]]의 생산이 잠시 중단되자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4호 전차]]의 차체에 3호 돌격포의 전투실을 얹은 급조차량을 만들었으니 그게 바로 4호 돌격포다. 급조품이었으니까 [[3호 돌격포]]의 공장이 복구된 후에는 더 이상 만들 필요가 없었겠지만, 독일군은 종전까지 이 돌격포를 계속 생산했다. 3호 돌격포에 실린 포가 [[PaK 40]]의 돌격포 버전인 7,5cm StuK 40 돌격포인 것을 보면 대체 왜 계속 생산했는지 의문이나 처음 4호 돌격포를 생산할 당시 4호 돌격포를 몇몇 신설 전차대대[* 기갑척탄병사단 소속 전차대대인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창설을 위해 배치한 이후, 이들의 장비 통일성을 유지하기 위해 생산되었다는 설이 있다. 총생산량은 1,139대이다. === 왜 이렇게 되었는가? === 아무튼 만들 필요가 없어졌는데도 꾸준히 생산한 덕분에(?) 대전 말기에 이르면 똑같은 7,5cm PaK 40 대전차포와 그 파생형들을 장비한 '''비슷한 체급'''에 '''비슷한 용도'''에 '''설계는 완전히 딴판'''인 차량이 '''4종류'''나 돌아다니는 기막힌 광경이 펼쳐진다. 그게 바로 [[3호 돌격포]], 4호 돌격포, 그리고 [[4호 전차]] H형, 4호 전차 J형이다. 이것은 독일군 입장에서도 매우 곤란했다. 이러한 뻘짓에는 정치적인 이유도 있었는데, 바로 [[기갑]]과 [[포병]]의 알력다툼이 그것이었다. 당시 포병에게는 그나마 전공을 세울 수 있는게 돌격포였다. 그런데 기갑병과의 [[하인츠 구데리안]]은 돌격포까지 기갑병과로 끌어가려 들었고, 당연히 열받은 포병감은 구데리안에게 엿을 먹이고, 그래서 [[아돌프 히틀러]]가 포병 자산을 털린 포병감을 달래기 위해 만들었다. 그리고 종전까지 PaK 40 계열 포가 효과적인 대전차무기였던 이유도 있었고... 원래 군 병과나 조직별로 대립이 심한거야 어느 나라나 마찬가지였고 2차대전 당시 독일도 그러했다. 제국 2인자나 다름없는 공군의 [[헤르만 괴링]]부터 시작해서, [[파울 요제프 괴벨스]], [[하인리히 힘러]] 등등 온갖 고위 관료들과 군인들이 전공을 세우는데 혈안이 되어 있었고 그만큼 서로간의 알력다툼도 매우 심했다. 그 외에도 [[국민돌격대]] 건이나 여러가지로 내부에서 충돌이 꽤 심했다. 나치가 [[지도자 원리]]와 [[사회진화론]]에 따라 국가 내부에서의 권력투쟁을 권장했던 것이 이런 폐해를 낳았다. 이 4호 돌격포도 그런 독일의 정지적 이해관계가 빚은 촌극의 결과물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 비슷한 차량들과의 비교 == * 4호 돌격포를 만들기 위해서는 [[4호 전차]] 차체가 필요한데, 여기에 포탑을 달면 4호 돌격포보다 강력한 4호 전차 후기형이 완성된다. 포탑이 없어서 전투력이 떨어지는 4호 돌격포를 만들기에는 4호 전차의 차체가 아깝다. 다만 전쟁 막바지 상황에는 포탑을 생산하는 공장이나 운반할 철로가 박살나는게 일상이여서 차체에 포만 달아야 하는 상황이 많긴했다. * [[4호 구축전차]]와 비교하면, [[5호 전차 판터]]에 장착된 [[7,5cm KwK 42]] 전차포의 원본인 7,5cm PaK 42 대전차포를 탑재한 4호 구축전차의 화력이 4호 돌격포보다 훨씬 강력하며, 방어력도 [[경사장갑]]을 대폭 적용한 4호 구축전차 쪽이 낫다. 강점이라면 4호 돌격포가 4호 구축전차보다 차체 밸런스는 좋다는 점 정도. * [[헤처]]와 비교해도 비용대 효과면에서 뒤떨어진다. [[LT vz. 38|38(t)]]의 아담한 차체를 이용해서 만드는 헤처가 4호 돌격포보다는 저렴하다. 그나마 차체가 넓은 덕에 승무원 생존률에선 그나마 4호 돌격포가 낫다. * [[3호 돌격포]]와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차체가 커서 그만큼 내부가 넓었기에 거주성이 좀 더 나아졌지만, 어차피 화력과 방어력은 별로 차이가 없다. 오히려 더 커서 그만큼 피탄되기 쉬워졌다. == 실전 == === [[제2차 세계 대전]] === 그래도 [[4호 전차]]의 차체와 주포의 위력 덕분에 기본적인 성능은 쓸만했다고 한다. 4호 돌격포는 [[국민척탄병]] 사단과 SS 제17기갑척탄병사단에 배치되어 프랑스에서 미군을 상대로 전투를 치루었는데, 제대로 된 기갑장비가 없었던 터라 이놈은 의외로 큰 도움이 되었다. 당장 보병들 입장에선 장갑차 한대라도 아쉬운 판이었으니. 성능은 주포 구경의 열세를 제외하면 독일판 [[SU-85]] 수준이었으므로 땜방용으론 나쁘지 않았다. 1944년 8월 6일 독일 제394 돌격포 여단은 연합군 전차 26대를 파괴했는데, 3포대장 폰 예나(Von Jena) 대위와 휘하 승무원들이 셔먼 6대를 격파했다. 예나 대위는 당시의 공적으로 독일 십자장 금장을 수훈했다. 같은 달 독일 제394 돌격포 여단은 팔레즈 근방에서 궤멸했다. SS 제17 기갑척탄병사단 소속 4호 돌격포 2대가 스튜어트 2대와 관측차량 1대, 셔먼 3대를 격파하고 이후 한대는 고장으로 방기, 남은 1대는 국방군 보병 부상자들을 태우고 전선돌파를 감행 셔먼 2대를 추가로 격파하고 자력으로 행군하여 아군과 합류하는데 성공한 적도 있었다. == 보존 차량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agl2vVUcAAdgb-.jpg|width=100%]]}}} || || '''호주 기갑 박물관 소장 4호 돌격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turmgeschutz_iv_Muzeum_Broni_Pancernej_CSWL_2.jpg|width=100%]]}}} || || '''폴란드 브로니 전차 박물관 소장 4호 돌격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tuG_IV_Skarżysko.jpg|width=100%]]}}} || || '''폴란드 흰독수리 박물관 소장 4호 돌격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n0ZAaC.jpg|width=100%]]}}} || || '''라트비아 스벤티스 뮤이자 호텔 박물관 소장 4호 돌격포''' || 전후 [[https://www.reddit.com/r/WorldofTanks/comments/g14yvv/stug_iv_complete_1_of_5_in_the_world_australian/|총 5대가 생존하여]] 1대는 폴란드 브로니 전차 박물관에[* [[https://www.militarytrader.com/.amp/museums/pulled-from-a-river-in-|늪에 빠진 차량을 회수해 복원한 차량이다]].], 1대는 호주 기갑 화포 박물관에[* 위 두 차량은 현재 기동이 가능한 차량들이다.], 폴란드 흰독수리 박물관에 1대[* 3호 돌격포와 4호 전차 부품이 섞여 조립된 차량이다.], 러시아 [[쿠빙카 전차 박물관]]에 1대, 라트비아 스벤티스 뮤이자 호텔(Sventes Muiža Hotel) 박물관에 1대[* 해당 차량은 인터넷 매물로 올라왔던 이력이 있다.]가 보존중이다. == 미디어 == === 게임 === ==== [[월드 오브 탱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iki.gcdn.co/StuG_IV_scr_2.jpg|width=100%]]}}} || || '''Sturmgeschütz IV''' || 개인임무 보상 전차로 등장. 정규트리에 있는 3호 돌격포 G형의 하위호환이다. 주포는 70구경장을 끌어다 쓰는 3호 돌격포와는 달리 고증인 48구경장 7.5cm 포를 사용하며, 고증 엔진이 달려서 추중비도 떨어진다. 대신 옆구리에 쉬르첸이 달려있어 측면 방어력이 3돌보단 약간 높고, 7티어까지 만나는 3돌과는 달리 6티어까지만 만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tuG IV sculpture.jpg|width=100%]]}}} || || '''4호 돌격포 조각품''' || 월드오브탱크를 제작한 워게이밍의 지원으로 4호 돌격포 조각품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시리즈]] ====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gamereplays.org/post-7754-1189997640.jpg|width=100%]]}}} ||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의 4호 돌격포'''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국방군|국방군]] 소속으로 출연. 싼 가격과 적은 인구수로 스팸하여 적의 초반을 압박하거나, 상대가 대전차 준비가 부족할 때 허를 찌르는 효자 유닛이다. 이밖에 StuH 42가 4호 돌격포에서 포만 곡사포로 바꿔서 등장한다. ==== [[배틀필드 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tugIV.png|width=100%]]}}} || || '''배틀필드 V의 4호 돌격포''' || [[배틀필드 V/탑승 장비/독일 지상 장비#s-6|독일군 지상 장비]]로 등장한다. 배틀필드 특유의 장비 시스템 때문에 3호 돌격포 초기형에서 쓰던 24구경장 곡사포를 기본으로 달고 나오며, 연구를 통해 고증대로 48구경장 대전차포를 달아서 전차를 잡으러다니거나 24구경장 포를 강화하여 보병을 지원할 수 있다. ==== [[로드 투 발러:월드워2]] ==== 독일측 유닛으로 등장한다. 성능은 좀 애매한 편이다. == 모형 == === 프라모델 === ==== [[에어픽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0420_200043.jpg|width=100%]]}}} || || '''4호 돌격포 초기형''' || == 둘러보기 == [include(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 기갑차량)]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분류:돌격포]][[분류:4호 전차]][[분류:지상 병기/세계 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