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실린더 수에 따른 엔진 분류)] [목차] == 개요 == 실린더가 5개로 이루어진 엔진이며 한국에서는 [[KG모빌리티|쌍용자동차]][* 독일 벤츠제 5기통 디젤엔진을 들여와 사골처럼 우려먹었기 때문인데, 반쯤 쌍용의 상징이 되어버렸다.] 외에 보기 힘들지만 해외에서는 자주 볼 수 있었다. == I형 == [[파일:external/www.w124performance.com/block_surface1.jpg]] 위의 사진은 [[메르세데스-벤츠 OM602 엔진]]이다. 'Inline 5'형이라고도 하며 5개의 실린더가 직렬로 나열된 엔진이다. 한국에서는 벤츠 엔진을 적용한 [[KG모빌리티|쌍용자동차]]의 [[쌍용 무쏘|무쏘]]([[쌍용 무쏘 스포츠|무쏘 스포츠]] 포함)와 [[쌍용 코란도/2세대|뉴 코란도]], [[쌍용 이스타나|이스타나]], [[KG 렉스턴|렉스턴]], [[쌍용 카이런|카이런]], [[쌍용 로디우스|로디우스]] 등에서만 볼 수 있는 보기 힘든 방식이고, 해외에서도 2010년대 초~중반까지 볼보에서 적용했으나 다운사이징 때문에 4기통 2.0L 엔진에 밀려 사라지게 된다. 4기통의 회전력과 6기통의 부드러움 사이에 위치한 어정쩡한 위치이며, 말 그대로 [[4기통]] 엔진보단 부드럽게 돌아가지만 [[6기통]] 엔진보단 거친 회전질감을 보여준다. 배기음 자체는 10기통과 비슷하지만 뭔가 부족하다.[* 5기통 엔진을 장착한 대표적인 고성능 차량인 [[그룹 B]] 시절의 [[아우디 80#s-2.2.1|아우디 S1 스포트 콰트로]], [[아우디 TT]]RS와 [[람보르기니 가야르도]]의 배기음을 비교해보면 알 수 있다.] 하지만 6기통도 4기통도 아닌 엔진이기에 생각보다 독특하고 중독성이 있다. 대체로 독일 등 유럽계 메이커에서 5기통 엔진을 볼 수 있으며 [[메르세데스-벤츠]], [[아우디]], [[볼보]]에서 볼 수 있다. 하지만 역시 친환경을 이유로 [[볼보]]에서도 5기통 엔진을 포기하는 등 점점 사장되어가는 추세이다. 대표적인 예로 [[포드 포커스]] RS 2005년형은 [[볼보]]에서 가지고온 2.5L 터보 5기통 엔진을 사용했으나 2016년형은 에코부스트 4기통 트윈터보로 변경됐다. 2023년 현재, 5기통 엔진은 [[폭스바겐 그룹]]의 [[아우디]] [[아우디 A3|RS 3]], [[아우디 TT|TT RS]]에 들어가는 [[폭스바겐 EA855 evo 엔진|EA855 evo]] 계통의 2.5 TFSI 엔진[* 이 엔진을 람보르기니 10기통을 반으로 가른 엔진이라고 아는 사람들이 많은데, 전혀 상관없는 엔진이다.]과 [[스카니아]]의 [[스카니아 PRT-레인지|대형트럭]]과 [[버스]]에 들어가는 9.3 DC09 엔진뿐이다. 일본계 자동차 메이커와 북미계 자동차 메이커에서는 자체개발한 5기통을 찾아보기 힘들다. 있어도 상용형인 경우가 대부분. 일본의 경우 혼다 G 엔진을 제외하면 승용형 5기통 엔진 라인업이 전무하다. 지금은 폐지된 [[허머]]의 H3도 3.5 L L52, 3.7 L LLR 직렬 5기통 버전이 있었다. 점화순서는 1-2-4-5-3이다. == V형 == || [[파일:external/world.honda.com/2003.jpg]] || [[파일:RC211V.jpg|width=300]] || [[혼다]]의 [[모토 GP]] 레이스 머신이었던 RC211V(2002~2006)가 특이하게도 V5 엔진이었다.[* RC는 혼다의 레이스 머신에 붙는 이니셜이고 211은 21세기에 첫 번째로 만들어진 바이크란 의미 V는 V형 엔진이라는 의미다. 이후 RC212V와 RC213V까지 나온 상황 다만 RC212V와 RC213V는 둘 다 V4엔진이다.] 다른 레이스 바이크가 직렬 4기통이나 V4 엔진이었는데 [[혼다]]의 [[공밀레|기술력을 몽땅 갈아넣어 만들어진 엔진]]으로도 유명하다. 당시엔 모토 GP가 2행정 엔진 500cc에서 4행정 1000cc 엔진으로 바뀌는 기간이었는데, RC211V의 엔진의 성능이 워낙 강력하여 바이크 자체의 성능으로는 타 팀을 압도했을 정도. V형 엔진으로 폭이 좁아 선회력이 좋고 직렬 엔진 대비 불리한 고회전을 다기통으로 커버했다. 그래서 출력과 선회력 모두 강력한 사기적 바이크가 됐다. 그래선지 당시 압도적인 기량과 성적으로 GP를 씹어먹던 [[발렌티노 로시]]가 RC211V의 성능빨로 우승한 거 아니냐? 라는 시선이 있었을 정도. 다만 결과적으로 로시는 이적 후에도 챔피언 자리를 유지했기에, 머신빨이라는 일부의 의구심을 해소시켰다. [[파일:external/i380.photobucket.com/IMAG0322.jpg]] 폭스바겐의 VR5 형 엔진이다. 보통 V형 엔진의 각도는 90~60도인데, 할리의 경우 30도에 가까운 협각을 보여주고 있는데 홀수라는 어정쩡한 개수로 V형을 만들면 진동이 어마어마 할 테니 이를 상쇄하기 위해 10~15도 정도의 협각으로 배치하여 I5에 가까운 특성을 확보한 게 바로 VR형이라 할 수 있다. I5형 엔진보다 엔진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서 가로배치식 전륜구동 차량에 보다 쉽게 적용이 가능하여 [[폭스바겐]]에선 한동한 이런 VR 형식 배치를 한 엔진을 많이 개발했다. [[아우디]]에서는 직렬 5기통만 꾸준히 사용했고, 이 VR5엔진을 적용한 적 없다. 기통당 5밸브를 사용했다는 의미로 밸브커버에 5V라고 새겨져 있는 것을 V5 엔진으로 오해하면 안 된다. == 작동 == [youtube(lmb_HtUILHA)] 아우디 스포트 콰트로 S1 (직렬 I5) 참고로 위 영상의 차량인 스포트 콰트로는 오프로드의 패러다임을 180도 뒤집어놓은 이력이 있다. [[그룹 B]]의 등장으로 당시에는 랠리의 황금기라 불릴 정도로 상당히 약을 빨고 만든 차량들이 많았는데, 그 중에서도 이 차량은 최상위권 중 하나이자 '''"사륜구동"의 강점을 이용해 랠리계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당시 비포장의 제왕이었던 [[란치아 스트라토스|MR 랠리카]]를 '''한낱 따위로 만들어버린''' 괴물이었다. 자세한 사항은 [[아우디 80]] 문서 참고 [youtube(eUUocgjjJZw)] 폭스바겐 파사트 (병렬 협각 VR5) [[분류: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