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청나라의 황족]][[분류:청나라의 공주]][[분류:1597년 출생]][[분류: 1613년 사망]] [include(틀:청의 황녀)] ||<-2> {{{#fecd21 '''和碩公主 ''' [br]{{{+1 '''화석공주'''}}}}}} || || '''{{{#fecd21 출생}}}''' ||[[1597년]] || || '''{{{#fecd21 사망}}}''' ||[[1613년]](17세) || || '''{{{#fecd21 부왕}}}''' ||[[천명제]] || || '''{{{#fecd21 생모}}}''' ||[[서비 가목호각라씨(천명제)|서비]] 가목호각라씨 || || '''{{{#fecd21 부군}}}''' ||뉴호록 달계(紐祜祿 達啓) || || '''{{{#fecd21 자녀}}}''' ||슬하 자녀 없음 || [목차] [Clearfix] == 개요 == [[청나라]] [[천명제]]과 [[서비 가목호각라씨(천명제)|서비]] 가목호각라씨의 딸로, 파포태와 [[아이신기오로 목고십|목고십]], [[아이신기오로 바부하이|파포해]] 그리고 [[6황녀(천명제)|화석공주]]와 동복남매다. == 생애 == 1608년, 액역도의 아들 달계에게 시집을 갔다. 1613년, 누르하치의 5번째 딸이 17살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기록에 의하면 그녀는 어떠한 봉호도 받지 못하였다. 당시의 풍습으로 보아, 격격으로 불렸을 것이다. 내각 대고의 기록에 따르면, 건륭 3년 12월 2일, 3등시위 소이내는 증조모를 누르하치의 황6녀로 정할 때, 건륭 3년 7월, 3등 시위 알필달의 할머니가 홍타이지의 딸로 화석공주를 추서했다. 이로써 누르하치의 다섯째 딸은 화석공주로 추존되었고, 화석공주의 예에 따라 분원을 수리하고, 분호를 설치하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