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충청북도의 지방도)] ||||<#FFBF00> '''505번 지방도''' || |||| '''학산~속리산''' || || '''시점''' || [[충청북도]] [[영동군]] 용화면 용화리 || || '''종점''' ||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중판리 || || 경유지 || [[충청북도]] [[영동군]] 학산면, 양산면, 심천면 [br] [[충청북도]] [[옥천군]] 동이면, 청성면, 청산면 [br] [[충청북도]] [[보은군]] 마로면, 장안면 || || 연결도로 || [[4번 국도]] [br] [[19번 국도]] [br] [[25번 국도]] [br] [[37번 국도]] [br] [[68번 지방도]] [br] [[502번 지방도]] [br] [[514번 지방도]] [br] [[575번 지방도]] || [목차] == 개관 == [[지방도]] 제505호선은 [[충청북도]] [[영동군]] 용화면과 [[보은군]] 속리산면을 남북으로 잇는 충청북도의 지방도다. == 노선 == === [[영동군]] === * 용화양강로 - 해당 구간은 과거 [[581번 지방도]] 였던 구간이며 505번 지방도 구간 중에서 선형이 제일 불량한 구간이다. 용화면 용화리 용화삼거리에서 [[49번 지방도]]에서 분기하면서 시작한다. 중간에 용화재를 넘는데 헤어핀과 급커브가 아주 많으므로 주의해서 넘자. 용화재를 넘으면 자계리가 나오며 안심해도 되나 싶던 찰나 자계리를 벗어나는 순간 또 도덕재가 나타나 운전자를 괴롭힌다. 도덕재는 용화재보단 고도가 낮지만 더 꼬불꼬불해 주의해서 넘어야 한다. --이름만 도덕이지 실제로는 전혀 도덕적이지 못한 고개다.-- 도덕재를 다 내려오면 도덕리가 나오고 여러 마을들을 지나 묵정교차로에서 [[19번 국도]]에 합류한다. * 학산양산로 - 해당 구간부터는 원래부터 505번 지방도 였던 구간이다. 학산면 서산리 학산사거리에서 [[19번 국도]]와 분기된다. 양산면 가곡리 양산삼거리에서 [[68번 지방도]]와 합류한다. 우회전하자. * 금강로 양강면 묵정리 외마포삼거리에서 [[68번 지방도]]와 분기된다. 좌회전하자. [[금강]]을 따라간다. 심천면 약목리 약목사거리에서 [[4번 국도]]와 교차한다. * 이원심천로 심천면 심천리 심천삼거리에서 [[514번 지방도]]와 합류한다. 우회전하자. * 용심로 심천면 단전리 단전사거리에서 [[514번 지방도]]와 분기한다. 좌회전하자. * 단전묘금로 === [[옥천군]] === * 단전묘금로 [[경부고속도로]]와 교차되나 연결되지 않는다. 청성면 묘금리 묘금삼거리에서 옛 경부고속도로와 교차하고 [[575번 지방도]]와 만난다. * 청성로 '''궁촌(弓村)재'''라는 고개를 넘는다. 해발 230m. 중간에 연속적으로 2번이나 급커브가 있는 구간이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거기다가 옥천에서 청산으로 가는 가장 빠른 길이라 그런지 교통량이 적은 것도 아니다. 고개를 내려온 후 산계교를 통해 보청천을 건너간다. 청성면 산계리 산계삼거리에서 [[19번 국도]]에 합류한다. 우회전하자. 청산삼거리까지 19번 국도와 중첩된다. * 청산관기로 청산면 교평리 청산삼거리에서 [[19번 국도]]와 분기된다. 근처에 청산향교가 있다. 청산면은 옛 청산군의 소재지였으며 현재도 옥천군의 다른 지역들과는 생활권이 다른 편이다. === [[보은군]] === * 청산관기로 도로 바로 옆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98021&cid=200000000&categoryId=200003812|고봉정사]]가 있다. 마로면 관기교차로에서 [[25번 국도]]와 교차한다. * 관기송현로 탄부면 탄부삼거리에서 [[502번 지방도]]와 직결하며 [[25번 국도]]에 합류한다. 우회전하자. 장안면 장내삼거리까지 25번 국도와 중첩된다. * 장안로 장안면 장내삼거리에서 [[25번 국도]]로부터 분기된다. 삼가터널. 원래 계곡을 따라 빙 돌아가는 길이었으나 터널로 직선화하였다. 터널을 빠져나오면 '''곧바로''' 삼거리가 나오므로 방심하다가 들이받지 말고 좌회전하자. * 비룡동관로 갈목재. 한남금북정맥 주능선을 가로지르는 길이다. 마치 뱀처럼 구불구불하다. 그러다 2013년 12월 23일부로 690m 길이의 갈목터널이 개통되어 더이상 구불거리는 고갯길을 넘지 않아도 된다. 대신 옛 길은 폐쇄되었다. 이유는 비법정탐방로. 갈목삼거리에서 우회전 * 속리산로 상판삼거리에서 좌회전 속리산면 중판리 중판삼거리에서 [[37번 국도]]와 만나며 종료된다. [[분류:충청북도의 지방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