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공무원)] [목차] == 개요 == 1급에서 9급에 이르는 공무원 계급 중에서 5급, 7급, 9급은 각각 공채 시험이 존재한다. 5급, 9급처럼 7급 공무원도 [[7급 공개경쟁채용시험]]을 통해 선발한다. 9급에 비해서는 채용 인원이 적고, 시험 과목은 많아 난이도 간극이 꽤 있는 편이다.[* 시험 제도 개편으로 2021년부터는 시험장에서 직접 보는 과목 수는 줄었다. 영어와 한국사가 [[TOEIC|검]][[TOEFL|정]][[한국사능력검정시험|제]]로 전환된 게 대표적] 국가 또는 지방 행정을 담당하는 [[공무원]] 가운데 근무 기관 및 부서에 따라 중앙행정기관에서는 주사(6급)와 같이 주사보로 근무하나, 일선 행정기관에서는 [[중간관리직]]의 직무를 맡기도 한다.[* 근무기관이 중앙부처 및 각 급 기관 본청 등 대기관일 경우 실무자에 속하며, 일선 관청 및 사무소 등 소기관일 경우 중간관리직에 속한다.] 건국 초기부터 1980년대까지는 4급 을류 공무원이었다.[* 1981년 공무원임용시험령은 5급 공개경쟁채용시험 - 대학 졸업수준 출제(‘94년까지), 7급 공개경쟁채용시험 - 전문대학 졸업수준 출제(‘94년까지), 9급 공개경쟁채용시험 - 고등학교 졸업수준 출제(‘94년까지)로 정하였다.] 일반직공무원 중 별도의 직급 명칭을 사용하는 [[교정직 공무원]]의 교위, 특정직공무원인 [[경찰공무원]]의 [[경사|경사]], [[소방공무원]]의 [[소방장]], [[군인]]의 [[위관급 장교]]도 7급 공무원과 대등한 계급이다.[* 계급적으로는 대등하나, 일반적으로 특정직공무원의 특이한 계급체계인 6급(갑), 6급(을)로서 승진적체 해소를 위해 나눠졌다.] 9급에서 입직을 하는 경우 평균 5~6년정도 걸리는 직급. 참고로 8급에서 7급(주사보)로 승진하려면 최소 2년은 근무해야 승진후보자가 될 수 있다. 6급(주사)를 보좌하는 역할을 주로 한다. 보통 팀장이 6급이기 때문에 7급은 일명 ‘차석’이라 불리며 팀장의 직무대리 및 보조를 한다. == 상세 == 일반직 공무원의 경우에 한하여 행정직렬은 행정[* 일반행정, 선거행정, 인사행정, 법무행정, 재경, 국제통상, 문화홍보, 감사, 통계, 기업행정, 운수], 세무, 전산, 교육행정, 사회복지, 속기, 방호[* 방호, 경비]가 있다. 7급 공무원의 직급은 주사보(主事補)라 칭한다.[* 7급은 계급, 주사보는 직급, 계장 등은 담당직위이다.] 7급 공무원은 중앙행정기관[* [[정부세종청사]], [[정부서울청사]], [[정부과천청사]], [[정부대전청사]]에 소재한 중앙부처 본부/본청.]과 일선 행정기관[* 중앙부처 본부/본청을 제외한 수많은 소속 정부기관의 장. 송파경찰서장, 역삼세무서장, 박물관장, 전파관리사업소장, 서울동부고용노동지청장, 지방국세청장 등의 기관.]에서 주사보로 일하게 된다.[* 주사보는 그 직위에 따라 그 직무가 다르다. 중앙행정기관에서는 주사의 경우와 같이 하위직원으로 근무하나, 일선 행정기관에서는 중간간부의 직무를 맡기도 한다.] 경리관을 맡거나 사업 진행 등 서기가 못 하는 일을 중축으로 하고 있으며, 사실상 대한민국에서 진행하는 사업 중 80% 이상이 7급 공무원 선에서 사업을 진행시킨다고 보면 된다. 국가직의 경우 7급 공무원들은 지방청등 일선 소속기관보다는 중앙부처본청 등에 배치되어 근무하기 때문에 업무량이 많고 야근도 상당히 잦은 편이다. 지방직 7급 공무원도 마찬가지라 이들의 최초 발령지또한 읍, 면, 동 단위가 아닌 광역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 본청이 대부분이다. 특히 정부청사본청, 광역자치단체 본청 같은 곳은 과로로 인해 각종질병을 앓거나 사망까지 하는 공무원도 자주 나온다.[* 반대로 배치 운이 좋아 웰빙을 즐기는 공무원들도 일부 존재한다. 그야말로 복불복. 물론 이런보직들은 대부분 9급출신 7급들에게 맡기는 편이기는 하며 대부분 한직이라 진급에 욕심이 있는 경우라면 그렇게 좋은 자리라고 보기도 어렵다.] 그렇다고 시, 군, 구 본청이 딱히 편한것도 아닌게, 이쪽은 9급출신 7급들에게 여러가지로 치이는 입장이 된다. 국가가 공인한 전문 자격증과 해당 분야에서의 일정기간 이상 경력을 갖춘 사람들이 공채 및 특채 등의 입직 경로로 임용되는 계급이 평균 7급 내외다. 기본적으로 판검사 4급, 의사 5급, 변호사 6급, 약사 및 회계사, 한약사, 수의사 7급, 간호사 8급, 의료기사는 9급으로 주로 임용된다. 7급 공채 합격자들의 첫 보직은 두 가지 경우로 나뉜다. 하나는 초급 간부, 둘째는 실무자. 우선 초급 간부의 경우, 국가직은 지방청 등 일선 행정기관, 지방직은 구청에서 공직생활을 시작한다. 구청, 경찰서, 세무서, 국토관리사무소 등 1-2차 행정기관의 7급의 역할[* 중앙 부처에서는 업무 보조자 역할이다. 주로 조직의 일반 관리, 행정, 민원 처리 등의 업무가 주어진다.]은 팀내 차석 정도로, 사기업으로 따지면 [[대리(직위)|대리]]급 역할에 해당된다. 특별사법경찰권을 가진 공무원과는 달리, [[경찰공무원]]은 경사(7급 대우)가 사법경찰'''리'''에 해당하는 마지막 계급이다. 법원, 검찰직의 경우 7급부터 계장이기 때문에 생각 외로 6급과 7급 간 차이가 적다. 실무관의 경우에는 6급이 최고직급이고, 검찰수사관들의 경우 7급 이상이 되어야 수사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법원]]에서 7급으로 승진하기 위해선 능력검정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행정업무를 제외한, 재판 그리고 비송업무를 맡는 법원주사보는 독자적인 권한과 책임으로 자기 일을 처리한다.[* 행정법에서는 독임제 행정관청이라고 부른다.] 검찰직도 마찬가지라 입회계장으로 조서 등의 작성 권한을 갖고 있다. 7급 공채 출신은 소수로 뽑는탓에 9급 공채 출신과 5급 공채 출신 사이에서 끼인 존재가 되기도 한다. 9급 출신들은 워낙 인원이 많기에 압도되는 측면이 있고 5급 출신들은 공직에서 정책입안자 역할을 하기 때문에 최고의 전문성을 요구받는 위치가 된다.[* 실제 지자체기준으로 5급 출신들을 보려면 시,군,구 단위에는 가야 겨우 볼 수 있으며 대부분은 광역단위에서 근무하게 된다.] 반면 7급은 중간 관리자의 역할을 수행하다 보니 어쩔수 없는 것이다. 어느 조직이던 중간에 끼이는 입장이 가장 힘든것을 감안하면 7급 출신들 역시 마찬가지다. 그나마 9급에서 7급으로 올라왔다면 공직생활을 그럭저럭 오래 했기 때문에 크게 어려움이 없지만, 7급 출신들은 들어오자마자 아무런 업무지식도 없이 8-9급 들의 업무를 봐줘야하는 끼인 신세가 되기 때문에 체감 난이도가 높은 편이다. 군대에서 초급 (위관급) 장교와 비슷한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보통 4급으로 퇴직하는 케이스가 많으나 승진이 느린 직렬이나 인사적체가 심한 부처, 지방의 경우 5급으로 퇴직하는 경우도 꽤 있다.[* [[https://www.medicaltimes.com/Mobile/News/NewsView.html?ID=1112753|#]]] 이런 경우 만년 주사[* 심한 경우 '''20년 이상''' [[https://www.google.com/amp/s/www.jjan.kr/articleAmp/20170627614718|6급에 머무르는 경우]]도 있다. [[https://www.dampan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574|만년 팀장]]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렇게 만년 주사가 되었을 경우 늦은 나이에 입직했다면 '''7급 출신임에도 6급으로 퇴직하는 케이스'''가 나오기도 한다. 심각한 인사적체 때문에 7급 출신임에도 9급 출신과 같은 계급으로 퇴직하는 불상사가 일어나는 것이다.]나 만년 사무관이 나오는 편이다.[* 만년 사무관이 발생하는 부처는 전반적으로 인사적체 현상이 심하다. 대표적으로 정부세종청사에서 인사적체 현상이 심한 부처는 기획재정부다.] 드물게는 비고시 출신임에도 우수한 공직 성과가 반영되어서 3급으로 퇴직하는 케이스도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304263736i|종종 찾아볼 수 있다.]][* 이 사례는 공직 사회에서 업무 성과와 기여도를 고려한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발탁 승진’에 해당된다.] == 입직경로 == 7급의 경우 9급보다 경력채용도 활발하게 되는 편이다. [include(틀:공무원 공개경쟁채용시험)] === 공채 === * [[7급 공개경쟁채용시험]] [[인사혁신처]](국가공무원) 또는 각 광역자치단체(지방공무원)에서 매년 실시하는 공개채용. * [[국가정보원]] 7급 공채 필기는 NIAT(국가적격성시험), 논술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비공개. 영어는 자격증으로 대체. 채용 중 여러 단계가 있지만 대부분이 비공개이다. 공개된 정보는 국가정보원 채용 홈페이지에서 열람 가능. 현재 국정원에서 하는 유일한 '''공채'''이며[* 그외 대부분의 채용은 특채나 임기제 선발이다. 심지어 지원 업무를 하는 9급 일반직조차도 제한 경쟁 채용이라 해당자격증이나 경력이 없으면 지원자체가 불가한 경우도 있다.]. '''공채 7급''' 중에서는 가장 채용인원이 많은 편이다.[* 1년에 3자리수를 선발한다고 알려져있다. 여타의 7급 공채가 많아야 2자리수임을 감안하면 굉장히 많은 인원을 선발하고 있다.] === 경력채용 === [include(틀:공무원 경력경쟁채용시험)]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공무원 시험/경력경쟁채용시험)] ==== 민간경력자 채용시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국가공무원 민간경력자 일괄채용시험)] ==== 지역인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지역인재 7급 수습직원 선발시험)] == 관련 문서 == * [[7급 공개경쟁채용시험]] * [[5급 공무원]] * [[9급 공무원]] * [[공무원/계급]] == 각종 대중매체의 제목 == === [[대한민국]]의 [[영화]] === 자세한 내용은 [[7급 공무원(영화)]] 문서로. === 대한민국의 [[드라마#s-2|드라마]] === [[2013년]] [[1월 23일]]부터 2013년 [[3월 28일]]까지 방송되었던 [[주원]]과 [[최강희(배우)|최강희]] 출연의 드라마. 위 문단의 [[리메이크]]이지만 [[http://www.wolyo.co.kr/news/articleView.html?idxno=8202|#]] 이야기는 물론 등장인물까지 영화와 완전히 다르다. 자세한 건 [[7급 공무원(드라마)]] 항목으로. [[분류:7급 공무원]]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공무원/계급, version=3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