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일본국유철도|[[파일:일본국유철도 로고.sv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000 '''일본국유철도 {{{+1 713계 전동차}}}'''[br]{{{-1 JNR}}} 713 series[br]国鉄713系電車}}} ||}}} || ||<-3> [[파일:Kuha712-901_Sunsine.jpg|width=100%]]|| ||<-3> {{{#005daa,#55b1ff 외부}}} || ||<-3> '''차량 정보''' || || '''열차 형식''' ||<-2> 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통근]], [[근교형 전동차]] || || '''구동방식''' ||<-2>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량 수''' ||<-2> 2량 1편성 || || '''운행 노선[br](현재)''' ||<-2> [[파일:JRK-JF.svg|width=20]][[닛포 본선|{{{#005daa,#55b1ff 닛포 본선}}}]][br]{{{#ff0000 ●}}}[[미야자키 공항선]] || || '''도입년도''' ||<-2> [[1983년]] || || '''제작회사''' ||<-2> [[도큐차량제조|[[파일:tokyucar.svg|width=120]]]][br][[히타치 제작소 카사도 사업소|[[파일:히타치 제작소 로고.svg|width=100]]]] || || '''소유자''' ||<|2><-2> [[JR 큐슈|[[파일:JR 큐슈 로고.svg|width=150]]]] || || '''운영자''' || || '''차량기지''' ||<-2> [[JR 큐슈/차량기지#s-7.2|가고시마 차량센터]] || || '''편성번호체계''' ||<-2> Lk1~4 || ||<-3> '''차량 제원''' || || '''전장''' ||<-2> 20,000㎜ || || '''전폭''' ||<-2> 2,900㎜ || || '''전고''' ||<-2> 3,652㎜ || || '''궤간''' ||<-2> 1,067㎜ || || '''사용전류''' ||<-2> [[교류]] 20,000V [[가공전차선]] || || '''운전보안장치''' ||<-2> [[열차자동정지장치|ATS-SK, ATS-DK]] || || '''제어 방식''' ||<-2> 사이리스터 위상제어 || || '''동력 장치''' ||<-2> 직류 정류자 전동기 || || '''기어비''' ||<-2> 14:85 (6.07) || || '''제동 방식''' ||<-2> 회생제동 병용 전자직통식 공기제동 || || '''모터 출력''' ||<-2> 150Kw || || '''최고속도''' ||<-2> 영업/설계최고속도 : 100㎞/h || || '''가속도''' ||<-2> 2.0 km/h/s || || '''감속도''' ||<-2> 상용:3.0 km/h/s, 비상:4.0 km/h/s || || '''전동차 비''' ||<-2> 1M 1T || [목차] [clearfix] == 개요 == || [youtube(NdbssZrAGDk)] || ||<-2> {{{#ff0000 ↑ '''미야자키, 노베오카'''}}} || ||{{{#ff0000 '''쿠모하 713-#'''}}}||M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ff0000 '''쿠하 713-#'''}}}||Tc'(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2> {{{#ff0000 ↓ '''미야자키 공항, 니시미야코노죠'''}}} || [[닛포 본선]], [[니치난선]], [[미야자키 공항선]]에서 운행되고 있는 [[통근형 전동차]]. == 역사 == === 개발 배경 === 1957년부터 [[일본국유철도]]는 패전 이후부터 쭈욱 운용하고 있던 각종 저성능 고물 차량을 대체하고, 보다 고성능의 전동차를 손에 넣기 위해 이른바 ''''신성능 전동차'''' 라는 계획 하에 몇 가지 신형 차량을 개발하고 있었는데[* 최초의 신성능 전동차인 [[101계 전동차]] 이후 국철 최후의 차량인 [[207계 900번대 전동차]]까지의 모든 국철 전동차를 이 범주에 넣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교류 전철화 구간인데 계속 기관차 견인 보통열차가 투입되고 있는 [[나가사키 본선]]에 투입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이 713계 전동차이다. 다만 당시 국철의 재정상태가 열악했기 때문에 대량 양산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4편성만 도입되게 되었다. 다만 당시 개발된 교류 전동차 기술들은 후에 개발된 [[783계 전동차]]나 [[787계 전동차]] 등에 적용되게 되었다. 대신에 [[나가사키 본선]]에 추가 투입된 열차가 바로 희대의 [[마개조]] 열차인 [[419계 전동차|717계 전동차]]로, [[JR 큐슈]]에서 [[813계 전동차|813계]]를 대량으로 뽑기 전까지는 계속 사세보선이나 나가사키 본선에서 굴러다녔다. [[1983년]]에 도입되었으며, 당시에는 [[미나미후쿠오카 차량구]]에 배속되어 나가사키 본선과 [[사세보선]]에서 운행했다. === [[JR 큐슈]] 민영화 이후 === [[1996년]]까지 도색만 큐슈색으로 바뀐 채 계속 나가사키현 부근을 배회하다가 [[813계 전동차]]의 증비와 함께 [[미야자키 공항선]]이 개업하면서 [[JR 큐슈/차량기지#s-7.2|가고시마 차량센터]]로 이적했다. 도색은 일명 '선샤인'이라고 부르는 빨간 도색으로 바뀌었으며, [[485계 전동차|485계]]가 폐차되면서 남은 시트를 설치했다. 그 말은 즉슨 보통열차에서 특급형 의자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 롱시트와 특급형 크로스시트가 모두 있는 형태로, 미야자키에 간다면 한 번 이용해 보자. [[https://twitter.com/meitetsu5300/status/948776962331308032?s=20|#]] --[[동춘여객|좌석은 최고급! 요금은 일반열차로 모십니다]]-- 그 이후로는 계속 미야자키 근교에서 운행하고 있으며 [[2003년]]에 1인승무 대응, 도어차임이 설치되었다. 그 후 [[2008년]]~[[2010년]]까지 가고시마 센터에서 중정비를 받으며 주 제어장치가 교체되었으며 [[2014년]]에 싱글암 팬터그래프로 교체, ATS도 [[JR 큐슈]]형 ATS인 ATS-Dk형으로 개조되었다. [[2020년]] 현재는 [[미야자키현]] 내에서 벗어나지 않고 있다. ([[노베오카역|노베오카]]~[[미야자키 공항역|미야자키공항]], [[니시미야코노죠역|니시미야코노죠]]) 그래서 소속은 가고시마 차량센터지만 실제로는 미야자키 차량센터에 있는 날이 더 많다. [[분류:일본의 철도차량]][[분류:JR 큐슈]][[분류:1983년 출시]][[분류:1983년 단종]][[분류:전동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