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일본의 철도차량]][[분류:전동차]][[분류:2012년 출시]][[분류:JR 홋카이도]] ||<-3> [[JR 홋카이도|[[파일:JR 홋카이도 로고.sv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2CB431 '''JR 홋카이도 {{{+1 733계 전동차}}}'''[br]{{{-1 JR 北海道 }}} 733系 電車 [br]{{{-1 JR Hokkaido}}} 733 Series Car }}} ||}}} || ||<-3> [[파일:7333000_B3105.jpg|width=100%]] || ||<-3> {{{#2CB431 외형}}} || ||<-3> '''차량 정보''' || || '''열차 형식''' ||<-2> 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구동방식''' ||<-2>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대수''' ||<-2> 6량[* 3000번대][br]3량[* 0번대, 1000번대] || || '''운행 노선''' ||<-2> [[하코다테 본선]], [[치토세선]], [[삿쇼선]] || || '''도입년도''' ||<-2> [[2012년]] ~ 생산 중 || || '''제작회사''' ||<-2> [[가와사키 차량|[[파일:가와사키 중공업 로고.svg|width=130]]]] || || '''소유기관''' ||<|2><-2> [[JR 홋카이도|[[파일:JR 홋카이도 로고.svg|width=220]]]] || || '''운영기관''' || ||<-3> '''차량 제원''' || || '''전장''' ||<-2> 21,670㎜(선두차)[br]21,300㎜(중간차) || || '''전폭''' ||<-2> 2,915.3㎜ || || '''전고''' ||<-2> 4,045㎜ || || '''궤간''' ||<-2> 1,067㎜ || || '''사용전압''' ||<-2> 교류 20000V 50Hz [[가공전차선]] 방식 || || '''신호장비''' ||<-2> ATS-Dn || || '''제어방식''' ||<-2> [[미쓰비시전기|미쓰비시]], [[히타치 제작소|히타치]], [[도시바]]제 [[VVVF]]-[[IGBT]] || || '''동력장치''' ||<-2> [[교류(전기)|교류]] [[삼상|3상]] [[교류전동기#s-3.2.1|농형 유도전동기]] || || '''동력전달 장치''' ||<-2> TD 평행카르단 || || '''기어비''' ||<-2> 19 : 93(1:4.89) || || '''제동방식''' ||<-2>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순전기제동 포함] || || '''대차''' ||<-2> N-DT733(동력차)[br]N-TR733(무동력차) || ||<|2> '''최고속도''' || 설계 || 130㎞/h || || 영업 || 120㎞/h || || '''기동 가속도''' ||<-2> 2.2㎞/h/s || ||<|2> '''전동차 비''' || 6량 편성 || 2M 4T || || 3량 편성 || 1M 2T || [목차] [clearfix] == 개요 == [[JR 홋카이도]]가 운영하는 [[철도차량]]. == 등장 배경 == 2012년 [[삿쇼선]] 전철화에 대비해 도입을 시작하여 2014년까지 도입되었고, 2015년에도 711계 대차분으로, 2016년에는 [[홋카이도 신칸센]] 개통에 따른 라이너 열차용으로 또다시 추가 도입된 [[JR 홋카이도]]의 주력 근교권 통근형 전동차이다.[* 만약 홋카이도가 735계를 비롯한 알루미늄 합금 차량의 도입을 포기한다면 앞으로도 추가적인 증비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미 JR 홋카이도는 2010년에 [[735계 전동차|735계]]라는 걸출한 신형식을 만들어냈지만, 증비를 놓고 갑론을박을 벌이던 중 결국 '''당장은 급하지 않다'''는 판단 하에 중장기적인 관점으로 미루어지면서 결국 이른 시일 내에 735계를 양산하겠다는 계획은 물건너가게 되었다. 이를 대신해 대량 양산된 것이 본 차량이다. 721계・731계・735계와 더불어 본 차량의 주된 활동 무대는 [[하코다테 본선]], [[삿쇼선|삿쇼선(가쿠엔토시선)]], [[치토세선]] 및 신치토세 공항까지 포함하는 삿포로 근교 통근권 노선이다. 그리고 --하코다테 고자-- 홋카이도 신칸센을 보조해줄 [[하코다테 라이너]]용인 1000번대가 2015년에 반입되어, 2016년 3월부터 영업운전을 개시했다. 카와사키 중공업 효고 공장에서 제조되어 홋카이도로 [[갑종회송]]되어서 왔는데, 당시 [[고베시|고베]], [[오사카부|오사카]], [[교토부|교토]] 등 칸사이 일대에서 홋카이도 차량을 목격할 수 있는 진 풍경이 펼쳐졌다. 갑종회송은 칸사이를 거쳐 호쿠리쿠, 아키타, 아오모리를 경유해 [[세이칸 터널]]로 홋카이도로 올라갔다. == 각종 특징 == 기본적으로는 [[731계 전동차|731계]]를 기반으로 생산된 차량이다. 전작 겸 프로토타입이었던 [[735계 전동차|735계]]에 비해 차체가 소폭 넓어지고 부품의 소형화를 이루어 출입문 계단도 없어졌지만, --못생긴-- 강철제 전두부 형상과 고운전대 타입의 운전실, [[721계 전동차|721계]]에서 시작된 [[JR 동일본]]스러운 왼손잡이 원핸들 마스콘, 실내 인테리어까지 그대로 물려받았다. 또한 삿포로 근교 전철 시스템 특유의 3+3 병결 운행에도 대응이 가능해서, 3량 편성의 경우 이 시스템에 투입되는 모든 차량과 병결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특히 예전 국철 시대의 전동차인 711계 전동차가 살아있었을 당시에는 711계와도 병결이 가능했다고 한다. 다만, 731계와는 달리 [[키하 201계 동차|키하 201계]]와의 병결운전은 불가능하다. 0번대에는 735계와 같이 3색만 표출 가능한 LED 행선표시기가 탑재되어 있지만, 3000번대와 0번대 후기, 1000번대는 풀컬러 LED 행선표시기가 탑재되어 있다. == 형식 == === 0번대 === [[파일:733系0番台.jpg]] {{{#!html ⓒ JAL EXPRESS (CCL BY-SA 3.0)}}} 삿포로 통근권에서 운행하는 [[하코다테 본선]], [[치토세선]], [[삿쇼선]]에 투입되는 번대. 3량 편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3량+3량의 병결 형태로 6량 편성으로 운행하는 경우도 있다. === 1000번대 === [[파일:733系1000番台.jpg]] {{{#!html ⓒ Cheng-en Cheng (CCL BY-SA 2.0)}}} [[하코다테역|하코다테]] - [[신하코다테호쿠토역|신하코다테호쿠토]] 구간을 운행하는 [[하코다테 라이너]]에 투입되는 번대. JR 홋카이도는 2014년 11월 [[홋카이도 신칸센]] 개통에 맞추어 신설하는 [[하코다테 라이너]]에 이 차량을 투입한다고 발표하였다. [[https://www.jrhokkaido.co.jp/press/2015/150212-5.pdf|#]] 기본적인 사양은 0번대 및 3000번대와 동일하나, [[홋카이도 신칸센]]과의 연계성과 [[하코다테시]] 지역의 특성을 고려해 외·내부 디자인이 일부 수정되었다. === 3000번대 === [[파일:7333000_B3105.jpg]] [[신치토세 공항역|신치토세 공항]] - [[오타루역|오타루]] 구간을 운행하는 [[에어포트(열차)|쾌속 에어포트]]에 주로 투입되는 번대. 다만 차량 운용이 고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어서, 삿포로권 보통열차에 투입되기도 한다. [[2014년]] [[5월 14일]], [[신치토세 공항]] 수송량 증강을 위해 도입 계획이 발표되었고[[https://www.jrhokkaido.co.jp/press/2014/140514-1.pdf|#]], 같은해 7월 19일 영업 운행을 시작하였다. [[https://railf.jp/news/2014/07/20/174500.html|#]] 처음부터 6량 편성으로 조성되어 있다. 0번대와 다르게 처음부터 실내등으로 LED가 설치되어 도입되었으며, 공간 재배치를 통해 승차 가능 인원이 증가하였다. 또한 u-seat(지정석)가 4호차에 설치되어 쾌속 에어포트로 운행 시 지정석으로 운영한다. 하지만 에어포트 쾌속 전용 차량은 아니기 때문에 차량 운용에 유동성이 있어서, 간혹 보통열차로 운행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u-seat는 모두 자유석으로 운영한다.[* 다만, 이와는 반대로 쾌속 에어포트에 투입되는 차량은 모두 3000번대나 721계 중 6량 편성으로 구성된 차량으로만 운용한다.] 쾌속 에어포트의 혼잡도 증가로 인해, 일반석도 전환 크로스시트인 [[721계 전동차|721계]]와는 달리 u-seat를 제외하고는 좌석이 전부 롱시트로 편성되었다. 그 때문에 이용객들 사이에서는 721계보다 평가가 다소 떨어진다. == 기타 == * TOMIX에서 [[철도 모형]]화 되었다. *[[에어포트(열차)|쾌속 에어포트]]용 [[https://www.tomytec.co.jp/tomix/products/n/98430.html|3000번대]] == 관련 문서 == * [[일본 철도 정보]] * [[일본의 철도 차량 목록]] * [[JR 홋카이도]] * [[전동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