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항목 : [[일본 철도 정보]], [[일본의 철도 차량 목록]], [[JR 홋카이도]], [[전동차]] [목차]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b/JR_HOKKAIDO_EC733_B-102.jpg/800px-JR_HOKKAIDO_EC733_B-102.jpg]] == 사양 == || 열차 형식 ||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구동 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급전 방식 ||교류 20000V 50Hz || || 영업 속도 ||120km/h|| || 최고 속도 ||130km/h|| || 기동 가속도 ||2.2km/s|| || 신호 방식 ||ATS-Dn || || 제작 회사 ||가와사키 중공업 || || 도입 연도 ||2012년~진행중 || || 제어 방식 ||PWM 컨버터/인버터 VVVF-IGBT || || 동력 장치 ||농형 3상 유도전동기 || || 제동 방식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순전기제동 가능] || || 편성 대수 ||1M 2T / 3량(병결 6량)[br]2M 4T / 3000번대 || == 등장 배경 == > JR 홋카이도의 주력 통근형 전동차 2012년부터 도입을 시작하여 2014년까지 도입되었고, 2015년에도 [[711계 전동차|711계]] 대차분으로써 추가로 도입되었으며, 2015-16년 사이에 --하코다테 고자-- [[홋카이도 신칸센]] 개통에 따른 라이너 열차용으로써 또다시 추가적인 도입 계획이 수립되어 있는 [[JR 홋카이도]]의 주력 근교권 통근형 전동차이다.[* 만약 홋카이도가 735계를 비롯한 알루미늄 합금 차량의 도입을 포기한다면 앞으로도 추가적인 증비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미 JR 홋카이도는 2010년에 [[735계 전동차|735계]]라는 걸출한 신형식을 만들어냈지만, 증비를 놓고 갑론을박을 벌이던 중 결국 '''당장은 급하지 않다'''는 판단 하에 중장기적인 관점으로 미루어지면서 결국 이른 시일 내에 735계를 양산하겠다는 계획은 물건너가게 되었다.[* 애초부터 735계는 알루미늄 합금 차량 도입에 있어 시험 목적으로 소량 도입된 선행양산차 같은 성격이었다.] 이를 대신해 대량 양산된 것이 본 차량이다. 721계・731계・735계와 더불어 본 차량의 주된 활동 무대는 [[하코다테 본선]], [[삿쇼선|삿쇼선(학원도시선)]], [[치토세선]] 및 신치토세 공항까지 포함하는 삿포로 근교 통근권 노선이다. 그리고 --하코다테 고자-- 홋카이도 신칸센을 보조해줄 [[하코다테 라이너]]에 투입될 1000번대가 2015년 10월 7일과 10월 24일 두 차례에 걸쳐 1회에 2편성씩, 11월 11일 현재까지 총 4편성이 도입되었다. 현재는 삿포로 근교에서 시운전을 반복하며 길을 들이고 있는 중이라고 한다. == 각종 특징 == 기본적으로는 [[731계 전동차|731계]]를 기반으로 생산된 차량이다. 전작 겸 프로토타입이었던 [[735계 전동차|735계]]와는 다르게 차내 단차 역시 높이만 낮아졌을 뿐 731계의 단차 구조를 그대로 물려받았으며 --못생긴-- 강철제 전두부 형상과 고운전대 타입의 운전실, [[721계 전동차|721계]]에서 시작된 [[JR 히가시니혼]]스러운 왼손잡이 원핸들 마스콘, 실내 인테리어까지 그대로 물려받았다. 또한 삿포로 근교 전철 시스템 특유의 3+3 병결 운행에도 대응이 가능해서, 3량 편성의 경우 이 시스템에 투입되는 모든 차량과 병결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특히 예전 국철 시대의 전동차인 711계 전동차가 살아있었을 당시에는 [[711계 전동차|711계]]와도 병결이 가능했다고 한다. 다만, 731계와는 달리 [[키하 201계 동차|키하 201계]]와의 병결운전은 불가능하다. 2014년에 추가로 도입된 3000번대의 경우 [[신치토세 공항]] 수송력 증강분으로 도입되어 처음부터 6량 편성으로 조성되어 있다. 또한 u-seat라고 불리는 JR 홋카이도의 공항 이용객 전용 지정석도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에어포트 쾌속 전용 차량은 아니기 때문에 차량 운용에 유동성이 있어서, 간혹 이시카리 라이너 혹은 각역정차로 운행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u-seat는 모두 자유석으로 운행한다.[* 다만, 이와는 반대로 쾌속 에어포트에 투입되는 차량은 모두 3000번대나 721계 중 6량 편성으로 구성된 차량으로만 운용한다.] 0번대에는 735계와 같이 3색만 표출 가능한 LED 행선표시기가 탑재되어 있지만, 3000번대와 0번대 후기 도입분에는 풀컬러 LED 행선표시기가 탑재되어 있다. == 형식 == * 0번대 : 기본 형식 * 1000번대 : 0번대를 기반으로 설계된 차량. 3량 편성이며 2016년 홋카이도 신칸센 [[하코다테 라이너|라이너 열차]]로써 [[하코다테역|하코다테]]-[[신하코다테호쿠토역|신하코다테호쿠토]] 구간에 투입. * 3000번대 : 신치토세 공항 수송력 증강용 6량 편성. [[분류:일본의 철도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