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차 세계대전/독일 화포)] [include(틀:화포 둘러보기)] ||
[[파일:Sd_Kfz_181_Panzerkampfwagen_VI_Ausf_E_(Tiger_131).jpg|width=100%]] || || '''8,8cm Kampfwagenkanone 36''' || [목차] [Clearfix] == 개요 ==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국방군]]이 운용한 구경 [[88mm]]의 56 구경장 [[전차포]]. 56구경장 [[8,8cm FlaK]] 36 [[대공포]]를 기반으로 설계되었고, FlaK 36와 탄약이 동일한 88 x 571R mm 규격이라 탄약이 호환된다[* 다만 대공포에서는 충격으로 장약의 신관을 작동시켰다면, 전차포에서는 전기 점화를 사용하여 장약의 신관을 작동 시켰다는 차이가 있다.]. == 제원 == ||
* 중량 : - * 포신 : 4.928m * 포탄 : 88 × 571mmR[* 원본 대공포와 동일하다.] * 포탄중량 : 10.2 kg (Pzgr 39 APCBC), 7.3 kg (Pzgr 40 APCR) * 구경 : 8.8cm L/56 * 상하각도 : -8°에서 +15° * 포구초속 : 780 m/s (APCBC) / 930 m/s (APCR) * 연사력 : 분당 10발 * 최대사거리 : 10,500m || == 상세 == [[6호 전차 티거]]의 주포로 사용되었다. 공간이 제한된 [[전차]]의 [[포탑]] 안에 탑재하기 위해서 일부 부품에는 기존부터 사용된 독일군의 75mm나 50mm 전차포에 적용된 설계가 적용되었다. 포미는 한 변이 320mm인 정사각형 단면적으로 설계되었다. 포미 블록은 수직 하강 쐐기 방식에 반자동으로 작동하여 발사 후 탄피가 자동으로 배출되고 차탄 장전을 위해 포미가 열린 상태가 되었다. 높은 약실 압력 덕분에 KwK 36 주포는 당시 기준으로 빠른 포구초속을 가졌고, 빠른 탄속 덕분에 포탄의 탄도도 평평했고 포의 정확도도 뛰어났다[* 물론 다른 포와 마찬가지로 실전에서는 사격 시험장에서 만큼의 정확도가 나오지는 않았다. 같은 거리에서 사격을 해도, 사격 시험장과 달리 실전에서는 제품에 따라 존재하는 포와 탄약의 차이, 주변의 바람, 포수의 컨디션과 같이 변수가 있기 때문이다.]. 2차 대전 중에 노획한 티거를 사용한 영국 사격 시험에서 영국 포수는 1,200야드(1,100m)에서 16 x 18인치(41 x 46cm) 표적에 5번 연속으로 명중을 기록했다. 또 다른 5발은 시속 15마일(24km/h)로 이동하는 목표물에 발사되었고, 포연이 포수의 관측을 가렸지만 지휘관의 지시에 따라서 발사한 결과 3발이 명중했다. 포 자체의 성능 뿐만 아니라 우수한 광학기기가 사용된 조준 시스템도 티거의 주포가 높은 정확도를 가질 수 있도록 했다. [[티거 2]]의 전차포로 사용된 [[PaK 43|8,8cm KwK43]]와는 관련은 있지만 별개의 물건이다. 구경만 같을 뿐, 설계와 특성이 다른 화포라 탄약이 호환되지 않는다. == 탄약 == PzGr. 39(APCBC) PzGr. 40(APCR) Hl.39(HEAT) Sprgr. L/45 (HE) == 기타 == 이놈을 [[대공포|본래의 목적]]으로 써먹은 [[오토 카리우스]]의 설화가 유명하다[* 물론 이 이야기에서 카리우스는 매일같이 같은 경로로 비행하는 [[Il-2]]를 향해서 운 좋게 맞힌 것이며, 티거에 사용된 전차포는 원본 대공포와 달리 조준경이 대공용에 적합하지 않으며, 포신 가동 범위도 제한되었기 때문에 대공 사격을 하기에 최적화 된 포는 아니다.]. == 미디어 == 티거 전차가 등장하는 모든 매체에서 티거의 주포로 등장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8\,8cm FlaK, version=541, paragraph=4.1)] [[분류:지상 병기/세계 대전]][[분류:88mm]][[분류:전차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