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전라남도의 지방도)] [include(틀:미개통)] [목차] == 개요 == [[지방도]] 제819호선은 [[전라남도]] [[장흥군]] 안양면과 [[영암군]] 금정면을 잇는 [[전라남도]]의 지방도이다. 도로현황조서에서 무려 3쪽(1392~1394)을 차지하고 있을 만큼 노선이 길다. 총길이는 약 115 ㎞. 그러나 일부 구간은 개설되지 않았다. == 노선 == === [[장흥군]] === [include(틀:장흥군의 교통)] 시점은 안양면 사촌리이다. 용산면 상발리까지 정남진대교가 [[http://naver.me/FdEqlfsm|개통 되었다]]. * 정남진해안로 '''왕복 1차로'''다. 죽청해수갑문 삼산방조제 정남진전망대 관산읍 삼산리에서 왕복 2차로가 된다. * 회진로 대덕읍 연지교차로에서 [[23번 국도]]와 교차한다. * 대대로 기잿재. [[장흥군]]과 [[강진군]]의 경계가 되는 고개이다. === [[강진군]] === [include(틀:강진군의 교통)] * 대대로 대구면 미산삼거리에서 [[23번 국도]]에 합류하여 대구면 저두리까지 [[23번 국도]]와 중첩된다. 대구면 저두리부터는 '''노선이 끊기는데''', 여기부터 도암면 신기리까지 교량을 놓을 예정이었다. 그러나 강진만 자연 생태계 훼손 문제와 1,000억 원이 넘는 사업비로 인한 경제성 부족으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1346706|백지화되었고]], 대신 강진만 한가운데에 있는 가우도를 거쳐 보행자 전용 출렁다리를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2982238|가설하여]]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고 있다. 다시 말해 '''차량으로는 통행이 불가능하고, 도보로만 통행이 가능한 구간'''이라 할 수 있겠다. * 월곶로 도암면소재지사거리에서 [[55번 지방도]]에 합류한다. 우회전하자. 여기부터 도암면 계라리까지는 [[55번 지방도]]와, 도암면 계라리부터 도암면 지석리까지는 [[18번 국도]]와 중첩된다. 도암면 지석리 동령삼거리에서 분기한다. * 지석로 === [[해남군]] === [include(틀:해남군의 교통)] * 지석로 * 해남로 옥천면 신계리에서 [[13번 국도]]와 교차한다. * 흑석로 === [[영암군]] === [include(틀:영암군의 교통)] * 흑석로 미암면 채지리에서 [[2번 국도]]와 교차한다. 미암면채지리사거리에서 [[49번 지방도]]에 합류한다. [[49번 지방도]]와 중첩되다가 학산면 금계교차로에서 분기한다. * [[영암로]] 영암로 구간은 왕복 4차로이다. 군서면 성양리 성양교차로에서 [[821번 지방도]]와 합류한다. 영암읍 회문리 회문교차로에서 [[821번 지방도]]와 분기한다. 영암읍 춘양교차로에서 좌회전 * 낭주로 영암읍 역리사거리에서 우회전. 근처에 영암공설운동장이 있다. * 여운재로 여운재로와 활성로가 분기되는 교차로 인근에 가칭 [[월출산IC|월출산 하이패스 IC]]가 설치될 예정이며, 완공시 이를 통해 [[강진광주고속도로]]로 진입할 수 있다. 영암IC교차로에서 [[13번 국도]]와 교차한다. 여운재. 덕진면과 금정면의 경계가 되는 고개이다. 금정면 용흥리에서 [[23번 국도]]와 만나며 종료된다. == 폐지된 구간 == 동창~봉황~남평 구간은 [[55번 지방도]]로 편입되었으며, 남평~대촌~마륵동 구간(회재로+눌재로)은 광주직할시 승격 이후 지방도에서 해제되었다. [[분류:전라남도의 지방도]][[분류:819번 지방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