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무안광주고속도로-광주대구고속도로의 구간)] [목차] '''진한 글씨'''는 고속도로 이정표에 표시된 주요경유지다. [[담양군]]('''[[고서JC|광주]]''') - [[순창군]] - [[남원시]] - [[장수군]] - [[남원시]] - '''[[함양군]]''' - [[거창군]] - [[합천군]] - [[고령군]] - '''[[대구광역시]]'''('''[[달성군]]''')이었다. ||<-2> '''소재지''' || '''번호''' || '''이름''' || '''접속[br]노선''' || '''비고''' || '''이정''' || ||<-7> [[호남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25.svg|height=25]] '''호남고속도로''']] '''직결''' || ||<|3> [[전라남도|전남]] ||<|3> [[담양군]] || 12 || [[고서JC]] || [[호남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25.svg|height=23]]]] || || 0km || || 13 || [[담양JC]] || [[고창담양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253.svg|height=23]]]] || || 3km || || 14 || [[담양IC]] ||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29)] || || 6.2km || ||<|7> [[전라북도|전북]] || [[순창군]] || 15 || [[순창IC]] ||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27)] || || 27.2km || ||<|6> [[남원시]] || 16 || [[남원JC]] || [[순천완주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27.svg|height=23]]]] || || 43km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8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FFFFAC 80%, #E60012 0%, #E60012 89%, #111E90 0%, #111E90 100%);" SA}}} || [[남원휴게소|남원]] || || 대구방향 || || 17 || [[남원IC]] ||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24)] || || || 18 || [[남장수IC]] ||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19)]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8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FFFFAC 80%, #E60012 0%, #E60012 89%, #111E90 0%, #111E90 100%);" SA}}} || [[지리산휴게소|지리산]] || || 양방향 || || 19 || [[지리산IC]] || [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37)] || || ||<|7> [[경상남도|경남]] ||<|3> [[함양군]] || 20 || [[함양IC]] || [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1084)] || || || 21 || [[함양JC]] || [[통영대전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35.svg|height=23]]]]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8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FFFFAC 80%, #E60012 0%, #E60012 89%, #111E90 0%, #111E90 100%);" SA}}} || [[죽산휴게소|죽산]] || || 광주방향 || ||<|3> [[거창군]] || 22 || [[거창IC]] ||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24)][br][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1084)][br][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1089)] || || || 23 || [[가조IC]] || [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1099)]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8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FFFFAC 80%, #E60012 0%, #E60012 89%, #111E90 0%, #111E90 100%);" SA}}} || [[거창韓휴게소|거창]] || || 양방향 || || [[합천군]] || 24 || [[해인사IC]] || [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1084)] || || ||<|4> [[경상북도|경북]] ||<|4> [[고령군]] || 25 || [[고령IC]] || [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907)] || || || 26 || [[동고령IC]] ||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26)][br][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905)] || || || || --[[양전IC]]-- || || || || 27 || [[고령JC]] || [[중부내륙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45.svg|height=23]]]] || || ||<|2> [[대구광역시|대구]] ||<|2> [[달성군]] || || 28 || [[옥포JC]] ||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파일:Expressway_kor_451.svg|height=23]]]] || || ||<-7>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파일:Expressway_kor_451.svg|height=25]]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직결''' || 확장 완료 전에 이미 없어진 나들목도 있었는데 [[양전IC]]는 개통때부터 계속 있었으나[* 이 점으로 [[고령IC|고령 나들목]]으로 진입하여 [[대가야읍]]에 진입하는거 보다 더 시간적으로 덜 걸렸다.], 88선이 폐쇄식으로 전환되면서 [[1995년]] [[12월 27일]]에 폐쇄되며 사라졌다. 그리고 [[가조IC|가조 나들목]]은 원래 평면교차로 였으나 입체화 되었다. 현재는 [[광주대구고속도로]]로 변경되었지만 여전히 시점 비석은 [[고서JC]]에 있고 종점 비석은 종점인 [[옥포JC]]에 있으나 88올림픽선 고속국도 12호 종점이라고 적혀 있다. 그리고 [[남원휴게소]]는 이 구간 도로의 상태가 터널 진입 전이라 완전히 개판이어서 완전히 이설된 탓에 폐쇄된 대신 확장 이후 새로운 남원휴게소가 생겼으며, [[죽산휴게소]]는 여전히 그 앞으로 확장된 고속도로가 지나지만 폐쇄되고 [[함양산삼골 휴게소]]가 새로 생기며 기존 휴게소를 대체하게 되었다. 참고로 두 휴게소 모두 정식 휴게소였지만 간이 휴게소 혹은 현재 각지에 주차장이라는 이름으로 남아 매점과 휴게소뿐인 곳과 크게 다를바 없었다. 본선으로 진입을 할 때는 차로 길이가 대단히 짧아 신속히 합류해야 했으며, 주차장 규모도 협소했고 건물도 굉장히 작았다. 밤에는 자판기와 화장실 말고는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이 없었으며, 그나마 식당 내부도 굉장히 작고 메뉴도 분식 위주로 빈약했다. 당연히 휴게소 전체 부지 자체가 협소하니 주유소나 충전소 따위는 없었다. 그럼에도 남원휴게소가 없었으면 대구 방면으로는 [[고서JC|고서]]부터 [[지리산휴게소]]까지 단 한개의 휴게소도 없었고[* 사실 광주 방향은 [[지리산휴게소]]가 88선의 마지막 휴게소 였고, 대구 방향은 [[거창휴게소]]가 88선의 마지막 휴게소 였다. 여길 지나면 쉬고 싶다면 비상주차대를 이용하는 방법말고는 없었다.], [[죽산휴게소]]가 없었다면 광주 방향으로는 [[거창휴게소]]를 지나면 [[지리산휴게소]]까지 갔었어야 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광주대구고속도로, version=900)] [[분류:광주대구고속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