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상북도의 지방도)] ||||<#FFBF00> '''904번 지방도''' || |||| '''고경~양남''' || || '''시점''' || [[경상북도]] [[영천시]] [[고경면]] 청정리 || || '''종점''' || [[경상북도]] [[경주시]] [[양남면]] 하서리 || || '''총 길이''' || 64.9 km || || '''경유지''' || [[경상북도]] [[경주시]] [[현곡면]], [[광명동(경주)|광명동]] [br] [[건천읍]], [[내남면]], [[외동읍]] || [목차] == 개요 == [[경상북도]] [[영천시]] [[고경면]] 청정리를 출발하여 [[경주시]] [[양남면]] 하서리에 도착하는 [[지방도]]이다. 경주 인근에 지나는 모든 국도를 연결시켜주고 있으며 경주시를 지나는 국도와 모두 교차한다.[* 단, 28번 국도는 경주가 아닌 영천 고경에서 교차한다.] == 주요 경유지 == === [[경상북도]] [[영천시]] 구간 === * [[고경면]] - 청정리에서 [[28번 국도]]로 부터 분기. [[국립영천호국원]]을 지나며 고경저수지를 지난다. 설날과 추석의 정체는 '''지옥'''인데 이유는 아랫문단 참고. 이 후 덕정리에서 [[909번 지방도]]가 분기되고 좌회전하면 '마치재'라는 고개를 넘는다 === [[경상북도]] [[경주시]] 구간 === * [[현곡면]] - 마치재에서 급커브를 따라 내려온다. 영천 방면은 정상 부근을 제외하고는 오르막하나 느껴지지 않지만 경주 방면으로는 급커브에 급경사가 한참 동안 이어지므로 주의해서 내려와야 한다. 904번 지방도에서 상태가 제일 열악한 구간이다. 이 후 남사리를 지나 가정리, [[경주디자인고등학교]]를 지나고 그 이후 현곡교차로에서 [[20번 국도]]와 교차한다. 여기서부터는 길이 왕복 2차로에서 왕복 4차로로 넓어진다. 이 후 현곡푸르지오를 지나고 [[동해선]] [[서경주역]]을 지나 금장리에서 [[68번 지방도]]와 만나며 일단 종료. 이 구간은 [[68번 지방도]]와 [[7번 국도]], [[4번 국도]]로 연결되지만 2012 도로현황조서에서 2013으로 넘어오면서 삭제되었다.[* 해제 구간은 현곡면 금장리 - 옛 [[중앙선]] [[서경주역(중앙선)|서경주역]] - 현곡면소재지 - 금장교 - 계림고 - 유원아파트 - 계림중 - 황성공원 - 황성주공아파트 - 황성지하도네거리 - 시청입구삼거리 - 신라중 - 경주교 - [[경주역]] - 팔우정삼거리 - [[대릉원]] - 내남네거리(황리단길 입구) - [[경주고속버스터미널]]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서천교 - [[무열왕릉]] - 율동 - 광명동으로 이어졌다. 경주시내 관광지와 경주시내를 지나기 때문에 막히지 않는 날이 없다.][* 이는 김천시내를 통과하는 [[903번 지방도]]도 마찬가지다.] * [[광명동(경주)|광명동]] - [[4번 국도]]에서 분기되며 다시 시작한다. * [[건천읍]] - 화천리에서 경부고속선 [[경주역]]을 지난다. 밑을 대놓고 지난다. 다만, 광명동에서 [[경주역]]까지는 왕복 '''1차로'''라 이용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경주역]]역세권개발사업으로 인해 현재 시끄러우니 되도록 우회하도록 하자. * [[내남면]] - 서쪽에서 동쪽으로 면 전체를 가로지른다. [[외현로]] 개통 이전 건천과 내남을 잇는 유일한 도로였다. [[35번 국도]]와 연결된다. 또한 [[외현로]] 개통 이전 내남과 외동을 잇는 유일한 도로였다. 이로 인해 복잡한 경주시내를 회피해 904번 지방도를 이용해 포항과 울산을 오가는 화물차도 많았다. * [[외동읍]] - [[산업로(울산)|산업로]], [[입실로]] 이후 입실삼거리에서 분기된다. [[외남로(경주)|외남로]]를 통해 입실을 지나 양남 방면으로 간다. * [[양남면]] - 효동리에서 [[14번 국도]]와 잠시 중첩된다. 계속 동쪽으로 가면 양남사거리에서 [[31번 국도]]와 만나며 종료된다. == 이용 상의 주의 사항 == 명절 당일 혹은 성묘철에 현곡교차로에서 [[영천시]] [[고경면]] 방향으로 904번 지방도를 이용하는 것은 절대로 피하는 것이 좋다. [[영천시]] [[고경면]] 방향에 있는 [[국립영천호국원]] 때문인데, 평소에는 막힐 일이 전혀 없는 이 도로가 명절 당일에는 성묘객들로 말 그대로 주차장이 되어 버린다. 이는 [[국립영천호국원]]을 같이 경유하는 [[28번 국도]]도 마찬가지지만, 28번 국도는 그래도 왕복 4차선이라서 정체가 덜한 편이지만 이 도로는 왕복 2차선인데다 노폭도 좁아 한 번 갇히면 빠져나오기 매우 힘들어진다. 5km 남짓한 구간을 지나는데 2~3시간이 걸리는 기적 체험이 가능하다. [[경주시]]에서 [[영천시]] [[고경면]] 방향으로 갈 일이 있다면 돌아가더라도 [[경주시]] [[안강읍]]을 통하는 [[68번 지방도]]와 28번 국도를 이용하자. 과거 [[경주역]]-내남-외동 구간은 [[건포산업로]], [[대경로]], [[산업로(울산)|산업로]]와 연계하여 포항에서 울산으로 가는 화물차가 많았다. 이유는 경주시내는 복잡하였기 때문. == 고속도로, 국도와 교차 == 고속도로와는 교차하지 않는다. 단, 경주시내에서 강변로를 통해 [[경부고속도로]] [[경주IC]]와 간접교차하며, 이 외에는 [[동해고속도로]]와도 산업로를 통해 [[남경주IC]]와 교차한다. 국도는 고경에서 [[28번 국도]]와 분기된 이후 현곡에서 [[20번 국도]]와 교차하고, 경주시내에서 광명동까지 잠시 [[4번 국도]]와 중첩된다.이후 화천리 일대에서 [[7번 국도]]와 간접연결되고, 내남에서는 [[35번 국도]] 및 [[7번 국도]]와 직접교차한다. 입실에서 양북까지 [[14번 국도]]와 중첩된다. 이후 양남에서 [[31번 국도]]와 만난다. === 요약 === 고속도로는 [[경부고속도로]], [[동해고속도로]]와 간접교차한다. 국도는 [[28번 국도]], [[20번 국도]], [[4번 국도]], [[7번 국도]], [[35번 국도]], [[14번 국도]], [[31번 국도]]와 교차하거나 중첩된다. == 도로명 == [[용담로(경주)|용담로]]-(끊김)-[[내외로]]-[[산업로(울산)|산업로]]-[[외남로(경주)|외남로]] == 차로 현황 == [[경주시]] [[현곡면]] 현곡교차로~용담교차로, [[경주시]] [[외동읍]] 외동읍내 구간을 제외한 전 구간이 왕복 2차로 구간이다. [[분류:904번 지방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