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상북도의 지방도)] [목차] == 개요 == 917호 지방도는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을 출발하여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에 도착하는 [[지방도]]이다. * 총연장 : 174.4km * 기점 :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황장리 * 종점 :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후정리 == 상태 == 기점과 종점만 보면 동해안을 달리는 해안도로가 연상되지만, 실상은 [[태백산맥]] 기슭을 따라 달리다 울진군 관내에 이르러서야 태백산맥을 넘어 동해에 다다르는 산악도로이다. 게다가 통행량까지 극히 적어 중앙선이 없는 구간이 많고 적지 않은 지점에서 비포장 도로를 만나게 되는데 특히 영양군 영양읍 ~ 수비면 구간인 [[낙동정맥로]]와 태백산맥(십이령)을 넘어가는 울진군 금강송면 ~ 죽변면 구간은 어지간한 장비를 갖춘 [[SUV]]가 아니고서는 오를 엄두도 낼 수 없는, 그야말로 [[오프로드]]다. 실제로 1박 2일에서 이 지방도를 배경으로 오프로드 특집을 찍기도 했다. 이렇게 최악의 도로사정을 갖춘 지방도지만, 비포장구간의 포장은 아마도 요원한, 아니 처음부터 불가능한 일이 될 것 같다. 상술했던것처럼 교통량이 극히 적은데다 이 도로의 주요 거점인 ~~인구 1만 8천의 미니자치구~~ [[영양군]]은 [[재정자립도]]가 그다지 좋지 못하고, [[울진군]]의 처지 또한 마찬가지여서 거액의 예산을 들여와 해발 1000m급 산밖에 없는 ~~깡촌~~ 금강송면을 개발할 이유가 전혀 없다. 다만 이 구간만 그렇고, 영양군 수비면 ~ 울진군 금강송면 광회2리까지의 낙동정맥로는 평범한 지방로로 제한속도를 준수하며 안전히 꾸준히 운행할 수 있는 평범한 도로이다. 울진군청에서 오산항을 연결하는 구간은 정확히 해안가를 끼고 달리는 절경의 해안도로로 유명하다. [[7번 국도]]([[동해대로]])보다도 동해에 붙어있는 도로로, 바람부는 날이면 가끔씩 파도가 도로를 덮치는 일이 잦다. 따라서 이 구간에는 견고하고 튼튼하고 높은 벽이 설치되어 있다. == 역할 == 오히려 이 지방도의 가치는 동해안의 해안도로인 [[7번 국도]]의 울진군내 지선 역할을 한다는데 있다. 이 도로는 종점인 죽변면 구간에서 3갈래로 갈라져 각각 북면, 죽변항, 울진읍을 이어주며 [[7번 국도]]와 합류하고 있어 주민들의 주요한 교통로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덕구온천]]으로 가는 길이기도 하다. == 주요 경유지 == * '''[[경상북도]] [[영덕군]] 구간''' 지품면 - 황장리에서 [[34번 국도]]로 부터 분기 * '''[[경상북도]] [[영양군]] 구간''' 석보면 - 화매리에서 [[911번 지방도]]와 교차 영양읍 - 무창리에서 [[918번 지방도]]가 분기 (수비면까지 중앙선 없는 시멘트 도로, [[낙동정맥로|일부 구간]]은 험한 비포장 산길이다!!) [[수비면]] - 수비면사무소 앞에서 [[88번 국도]]와 교차 (여기선 국도 마저도 중앙선이 없다!!) * '''[[경상북도]] [[울진군]] 구간''' 금강송면 - 광회리에서 [[36번 국도]]에 편입 (북면까지 비포장 도로), 북면 하당리에서 3갈래로 나눠짐 북면 - 하당리에서 분기, 북면사무소 앞에서 [[7번 국도]]에 합류 죽변면 - 북면 하당리에서 분기, 죽변항 앞에서 [[7번 국도]]에 합류 울진읍 - 북면 하당리에서 분기, 울진읍내에서 [[7번 국도]]에 합류, [[36번 국도]]와 교차 근남면 - 해안도로 시작 매화면 - 오산항에서 [[7번 국도]]에 최종 합류 == 도로명 == [[석보로]]-[[화무로]]-[[영양창수로]]-'''[[낙동정맥로]]'''-[[한티로]]-[[낙동정맥로]]-[[불영계곡로]]-[[십이령로]] * 1번:[[십이령로]]-[[덕구온천로]] * 2번:하당1길-[[하죽로]]-[[죽변중앙로]]-봉황길 * 3번:하당1길-[[하죽로]]-[[울진북로]]-[[망양정로]] [[분류:917번 지방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