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attachment/T96M1.jpg|width=100%]] [[파일:attachment/T96M2.jpg|width=100%]] [목차] == 개요 == 1996년 육상자위대에 제식 채용된 96식은 기존 육자대에서 사용하던 '60식 107mm 자주 박격포'의 후계 장비로, 60식과 동일한 역할의 근접 화력 지원을 위한 자주박격포이다. 96식의 차체[* [[73식 장갑차]]와 87식 탄약 운반차와도 일부 부품을 공유함.]는 히타치 [[일본 탄약수송장갑차|73식 견인포 트랙터]]의 파생형인 92식 지뢰원처리차의 차체를 베이스로 제작하기에 히타치 제작소가 생산을 담당하며, 탑재하는 120mm 박격포는 프랑스 TDA社의 MO-120-RT-61를 토요카즈 공업이 라이센스 생산한 것을 탑재한다. 박격포는 차량 후방에 탑재되며 이동시에는 포를 차체 안쪽에 수납하고, 사격시에는 상부와 후부의 해치를 개방한 뒤 사격한다. 기갑사단 기계화보병 부대의 중심화력으로 홋카이도에 주둔중인 제7기갑사단 제11기계화보병 연대에 주로 배치되어 있으나, 단가가 상당히 있어[* 사실 뭘 생산하더라도 단 몇십 대에 그친다면 단가가 쌀 리가 없다.] 알려진 생산수량은 2009년 기준 단 24대에 불과하다. == 제원 == '''[ruby(96式, ruby=きゅうろくしき)] [ruby(自走, ruby=じそう)] [ruby(120mm, ruby=120ミリ)] [ruby(迫擊砲, ruby=はくげきほう)]''' |||| {{{#FFFFFF '''96식 자주박격포 제원'''}}} || ||<:>'''개발사'''||[[히타치 제작소]]|| ||<:>'''제조사'''||[[히타치 제작소]]|| ||<:>'''중량'''||23.5t|| ||<:>'''전장'''||6.70m|| ||<:>'''전폭'''||2.99m|| ||<:>'''전고'''||2.95m|| ||<:>'''엔진'''||디트로이트 8V71T 2행정 V형 8기통 슈퍼차저 디젤 엔진|| ||<:>'''변속기'''||불명|| ||<:>'''현가장치'''||[[토션 바]]|| ||<:>'''최대출력'''||411마력 (2,300rpm 에서)|| ||<:>'''최고속도'''||50km/h|| ||<:>'''톤당 마력'''||17.4hp/t|| ||<:>'''항속거리'''||300km|| ||<:> '''도섭 가능 심도'''||?m|| ||<:>'''주무장'''||톰슨-브란트 [[120mm 박격포#s-4.1|MO-120-RT-61 120mm 박격포]][* 일본의 호와/ 토요카즈 공업에서 라이센스 생산함] 1문|| ||<:>'''발사 속도'''||분당 6발 [br] 분당 20발 (급속사격시)|| ||<:>'''포각도'''||부양각 30°∼85° [br] 방위각 -45° ~ +45°|| ||<:>'''사거리'''||8.1km (일반탄) [br] 13km (RAP탄)|| ||<:>'''부무장'''||[[M2 브라우닝 중기관총|M2HB]] 12.7mm 중기관총 1정|| ||<:>'''탄약 적재량'''||120mm 박격포탄 50발 [br] 12.7mm 기관총탄 ?발|| ||<:>'''탑승인원'''||(단차장, 조종수, 박격포반 3) 5명|| ||<:>'''방어력'''||불명|| ||<:>'''장갑'''||[[알루미늄 합금 장갑]]|| == 관련 문서 == * [[120mm 박격포]], [[자위대]], [[육상자위대]], [[자주포]], [[자주박격포]]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일본 기갑차량)]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분류:자주박격포]][[분류:히타치 제작소]][[분류:지상 병기/현대전]][[분류:자위대/기갑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