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youtube(dHeMzdmYsLo)] == 개요 == 1940년 7월 27일 개봉한 [[루니 툰|메리 멜로디즈]] 단편 애니메이션. [[텍스 에이버리]]가 감독을 맡았다. 분량은 8분 15초. 인기 캐릭터 [[벅스 버니]]의 공식적인 데뷔 작품이다. 벅스 같은 토끼 캐릭터는 1938년작 [[https://archive.org/details/porkys-hare-hunt|Porky's Hare Hunt]]에서 처음으로 등장했지만, 우리가 흔히 아는 모습의 벅스 버니는 이 작품에서 데뷔했다.[* 다만 아직 이름은 없었다. 벅스 버니라는 이름은 1941년작 [[https://en.wikipedia.org/wiki/Elmer's_Pet_Rabbit|Elmer's Pet Rabbit]]에서 처음으로 나왔다.] [[엘머 퍼드]]의 디자인도 여기서 거의 확정되었다. == 줄거리 == [include(틀:스포일러)] 토끼 사냥을 나온 [[엘머 퍼드]]는 토끼 발자국과 토끼 굴을 발견한다. 토끼를 굴 밖으로 꽤어내기 위해 [[당근]]을 미끼로 쓰지만, 토끼는 당근만 가져가버리고 엘머의 총도 망가뜨린다. 결국 엘머는 굴을 집적 파내지만, 토끼 [[벅스 버니]]는 다른 굴에서 나와 엘머에게 뭔일이냐(What's up, doc?)며 묻고, 엘머는 wabbit[* [[토끼|rabbit]]. 엘머 퍼드는 R이나 L을 W로 발음한다.]을 잡으러 왔다고 말해준다. 그리고 그게 뭐냐는 질문에 설명해주면서, 벅스가 wabbit이 맞는 것 같다고 의심한다. 그래서 벅스에게 wabbit이 맞냐고 물어보자, 벅스는 비밀스럽게 귓속말로 속삭이더니 자신이 wabbit이라며 큰 소리로 외치고는 달아난다. 엘머는 벅스를 잡기 위해 쫓아가지만, 벅스는 엘머 뒤에서 눈을 가리고 자기가 누구인지 맞춰보라고 질문한다. 엘머는 [[헤디 라마르]], [[캐롤 롬바드]], 로즈메리 레인(Rosemary Lane), [[올리비아 드 하빌랜드]] 같은 당대 할리우드의 인기 여배우들 이름을 대다가 벅스라는 걸 알아채지만, 벅스는 엘머에게 키스를 해주고 달아난다. 엘머는 이번에는 덫을 세우지만 잡힌 것은 벅스가 아니라 [[스컹크]]였다. 엘머는 벅스의 골탕에 화를 내고, 벅스는 자기는 재미있는 토끼라며 그걸 증명하기 위해 자신을 쏠 기회를 주겠다고 한다. 그렇게 엘머는 총으로 벅스를 쏘지만, 총에 맞고 고통스럽게 죽어가는 벅스의 모습에 후회를 하며 슬픔에 빠진다. 하지만 벅스는 그냥 죽은 척을 한 거였고, 슬퍼하는 엘머의 엉덩이를 힘껏 걷어차고 달아난다. 마지막까지 속아넘어간 엘머는 화를 내며 날뛰고, 벅스는 그런 엘머를 보며 정신이 나간 것 같다고 말한다. == 여담 == * 1941년 [[아카데미 단편 애니메이션상]]에 후보로 오른 작품이다. 당시 수상작은 [[https://www.youtube.com/watch?v=gHg9BTS6m1k|The Milky Way]]였고, 다른 후보로는 [[톰과 제리]]의 첫 번째 에피소드인 [[https://www.youtube.com/watch?v=KqQAJsOtNF0|Puss Gets The Boot]]가 있었다. * 2016년에 수상한 1941년 [[휴고상|레트로 휴고상]]에도 후보로 올랐다. * 1944년에 재상영되었을 때는 [[캐롤 롬바드]]가 [[항공 사고|비행기 사고]]로 사망한 뒤였기 때문에 [[바버라 스탠윅]]으로 대사가 일부분 수정되었다. * 관점에 따라 (해당 작품의) [[정신적 후속작]]으로 평가할 수 있는 작품은 [[What's Opera, Doc?]]이 있다. 둘의 줄거리 요소를 비교해 보면 여러모로 닮아있는 점이 많으며, 감독은 에이버리의 연출에 많은 영향을 받은 절친 [[척 존스]]가 맡았다. 2012년 공개된 (에이버리를 주제로 다룬) [[다큐멘터리]] King Size Comedy 인터뷰 영상들 중에서 제리 벡(Jerry Beck)[* 1955년에 태어난 [[미국인]] 애니메이션 [[평론가]] & [[역사가]], [[황금기]]에 제작된 [[단편 애니메이션]]들을 포함해 [[미국 애니메이션]] 작품들을 위주로 본인이 운영하는 [[블로그]] [[https://cartoonresearch.com/|카툰리서치 닷컴]]에서 관련된 게시글을 주기적으로 업로드하고 있다.]이 이러한 취지의 발언을 언급한 장면이 있다. == 스태프 == * 애니메이션 감독 - 텍스 에이버리[* 타이틀 카드에선 프레드 에이버리(Fred Avery)로 표기되었다.] * 스토리 작가 - 리치 호건(Rich Hogan) * 애니메이션 - 버질 로스(Virgil Ross)[* 타이틀 카드에선 이 애니메이터만 애니메이션으로 표기되었다.], [[로버트 매킴슨]], 롯 스크라이브너(Rod Scribner), 시드 서덜랜드(Sid Sutherland), 찰스 매킴슨(Charles Mckimson), 폴 스미스(Paul Smith) * 레이아웃(타이틀 미표기) - 텍스 에이버리 * 배경(타이틀 미표기) - 존 디드릭 존센(John Didrik Johnsen) * 편집자(타이틀 미표기) - 트렉 브라운(Treg Brown) * 음악 - 칼 스텔링(Carl W. Stalling) * 제작자 - 리언 슐레진저(Leon Schlesinger) * 애니메이션 제작사 - 리언 슐레진저 프로덕션 * 배급 - 워너 브라더스 픽처스, 비타폰 코퍼레이션(The Vitaphone Corporation) == 외부 링크 == * [[https://en.wikipedia.org/wiki/A_Wild_Hare|영어 위키백과]] * [[https://looneytunes.fandom.com/wiki/A_Wild_Hare|루니 툰 위키]] [[분류:루니 툰]][[분류:단편영화]][[분류:1940년 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