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건담 빌드 파이터즈/등장 건프라]][[분류:Z 건담]][[분류:2018년 HG 건프라]] || '''{{{#FFFFFF amazon.co.jp[* HGBF A-Z 건담의 조립 설명서에 형식번호를 "'''[[아마존(기업)|amazon.co.jp]]'''"로 기재한''' 공식 설정'''이다.[[http://gundamsblog.net/wp-content/uploads/2018/01/006-23.jpg|#]]] A-Z 건담[br]{{{-1 A-Zガンダム | A-Z Gundam}}}}}}''' || || [[파일:amazon.co.jp A-Z 건담 설정화.png|width=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건담 빌드 파이터즈 배틀로그]] 5화에 등장하는 기체. 빌더 및 파이터는 [[유우키 타츠야]]. 디자이너는 [[야나세 타카유키]].[* [[기동전사 건담 00]]에서 주역 건담들과 [[이노베이터]]의 MS들을 디자인했다. 그래서인지 프라모델을 조립해본 사람들의 평가는 상당히 더블오 계열 디자인과 닮았다는 평이 많다. 두부의 네 개의 블레이드 안테나는 [[건담 하루트]]가, 무장 기믹은 [[세라비 건담]]이 생각난다는 등의 평이 많다.] == 특징 == 타츠야가 [[메이징 카와구치]]로서 활동하면서 해외 원정을 위해 직접 제작한 기체. [[Z 건담]]을 베이스로 화력과 추진력을 최대로 높인 기체 설계와 야지마 상사가 새롭게 개발한 입자에 대응한 도료가 칠해져 있다. 또, Z 건담의 웨이브 라이더 가변 시스템을 그대로 계승했다. 무장으로는 트윈 하이퍼 메가 런처, A-Z 빔 사벨 실드, 빔 사벨을 사용한다. 그리고 흉부에 발칸이 장비되어 있다. 트윈 하이퍼 메가 런처는 풀 차징으로 발사 시 소행성 하나는 쉽게 파괴할 정도의 화력을 보여준다. 또, 라이플을 분리해서 바인더에 장착해서 고화력의 프라임 캐논 샷을 발사할 수 있다. == 작중 행적 == [include(틀:스포일러)] 명인 카와구치로서 유럽 순방을 떠나기 전, 유우키 타츠야가 [[이오리 세이|이오리]]를 찾아가 건프라 배틀을 요청, 이오리의 [[빌드 스트라이크 건담|빌드 스트라이크 갤럭시 코스모스]]와 대결하기 위해 꺼내든다. 배틀이 시작되자마자 웨이브 라이더로 빌드 스트라이크 갤럭시 코스모스를 위협하고 MS 모드로 변형해서 트윈 하이퍼 메가 런처를 풀 차징으로 소행성을 공격해서 화력을 자랑한다. 그리고 공격을 이어가다가 빔 공격을 웨이브 라이더로 재빠르게 회피한다. RG 스타 시스템으로 맞대응을 시작한 빌드 스트라이크 갤럭시 코스모스를 프라임 캐논 샷으로 몰아부치는데 성공하지만 중력권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상대의 빔 사벨 공격으로 한쪽 바인더 및 라이플이 파손된다. 하지만 재빠르게 기수에 빔을 출력해서 위기에 대처한다. 이 때, 상대의 빔 라이플과 충돌하면서 폭발이 발생하고 다시 MS 모드로 변경하여 상대를 뒤에서 붙잡는데 성공한다. 마무리로 자세 제어가 어려운 상대를 재빠르게 아래로 내리꽂을 수 있도록 자세를 바꿨지만, 상대가 스러스터를 최대 출력을 내서 궤도가 바뀐 채 바다에 충돌한다. 심하게 반파한 빌드 스트라이크 갤럭시 코스모스가 빔 사벨로 마지막 일격을 준비, 빔 사벨로 맞대응했으나 갑자기 상대의 한쪽 다리가 파손되어 공격을 회피하고 바로 반격으로 허리 부분을 공격당한다. 양쪽 모두 전투불능 상태로 되어버려 그대로 배틀이 종료된다. == 모형화 == === 건프라 === ==== H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GBF A-Z 건담 박스아트.jpg|width=100%]]}}} || || 상품구분 || [[아마존재팬|{{{#!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white; border-radius: 4px; padding: 1px" [[파일:Amazon.co.jp 로고.svg|height=16]] {{{#000 한정}}}}}}]] || || 브랜드 || [[하이 그레이드|High Grade Build Fighters]] || || 스케일 || 1/144 || || 발매 || 2018년 1월 27일 || || 가격 || 2,500엔 || || 링크 || [[https://bandai-hobby.net/item/3971/|제품 페이지]] || || 리뷰 || [include(틀:국내 건프라 리뷰 표시)] [[https://youtu.be/o-G27-mmhH8|건담홀릭]][br][include(틀:해외 건프라 리뷰 표시)] [[http://schizophonic9.com/re4/hgbf_az.html|#1]], [[http://gundamsblog.net/ガンプラ/hgbf-a-z(エーゼット)ガンダム|#2]], [[https://gunplapocchi.com/gunpla-az-gundam-amazon-limited/|#3]], [[http://myhobby.moo.jp/hgbf-az/review.html|#4]] || 일본에서는 [[아마존재팬|일본 아마존]] 한정으로 발매되었으며 한국을 포함한 다른 국가에서는 일반판으로 발매되었다. 2017년에 발매된 [[Z 건담/모형화#HGUC리바이브|HGUC Z 건담 [G.E.P\]]]를 기반으로 설정화에 입각한 컬러링 변경, 변경된 외형 및 신규 무장 등을 신규 조형으로 추가해서 상품화했다. 다만, 추가된 파츠가 제법 많아 가격은 다소 높게 책정됐다. A-Z 빔 사벨 실드 및 고출력 빔 파츠는 HGAW 건담 DX의 빔 파츠를 그대로 유용했다. 원형인 Z 건담 [G.E.P]은 웨이브 라이더의 붉은색 부분이 씰이여서 다소 아쉬웠으나 A-Z 건담은 그런 부분이 없다보니 색분할는 조금 더 나은 편이다. 호일 씰도 듀얼 아이, 센서 외에는 제공되지 않는다. 전체적인 조형 및 프로포션, 가동성 모두 좋은 편이고 가변 기믹도 분리·재조립이라는 과정을 제외하면 깔끔하게 재현되어 있다. 그럼에도 아쉬운 부분으로는 MS 형태일 때 허리 부분에 공간이 많아 다소 텅 빈 느낌을 주고 있고 작중 전투에서 사용된 기수 부분이 ㅅ자형 빔 이펙트 파츠는 부속되지 않았다. 초기에 몇번 생산된 이후로 재판이 이루어지지 않아 프리미엄이 상당히 많이 붙었다. (2022년 5월 기준) 일본 아마존에서 신품이 7,000~8,000엔에 판매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중고장터에서 4~6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기동전사 건담 시리즈 애니메이션 작품별 주역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