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웹소설/목록]][[분류:2020년 소설]][[분류:한국 현대 판타지 소설]][[분류:의학 소설]][[분류:네이버 시리즈/소설]][[분류:현대물/웹소설]][[분류:나무위키 웹소설 프로젝트]] ||<-2>
{{{#fefffe,#dddddd '''{{{+1 A.I. 닥터}}}'''}}}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I. 닥터.jpg|width=100%]]}}} || || '''{{{#fefffe,#dddddd 장르}}}''' ||[[현대 판타지]], [[전문가물|전문가]], [[의학]] || || '''{{{#fefffe,#dddddd 작가}}}''' ||[[한산이가]] || || '''{{{#fefffe,#dddddd 출판사}}}''' ||[[작가컴퍼니|JC미디어]] || || '''{{{#fefffe,#dddddd 연재처}}}''' ||[[네이버 시리즈]] [[https://series.naver.com/novel/detail.series?productNo=5074526|▶]] || || '''{{{#fefffe,#dddddd 연재 기간}}}''' ||1부: 2020. 04. 29. ~ 2021. 02. 15.[br]2부: 2021. 02. 16. ~ 연재 중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의 [[의학]] 웹소설. 작가는 [[한산이가]]. 외과의 백강혁을 주인공으로 내세운 이전 작품과는 달리 이수혁이라는 새로운 주인공 및 내과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 줄거리 == >최첨단 AI, 내과 의사 이수혁의 뇌에 자리 잡다. > >언제까지 수술하는 의사만 최고라고 생각하실 겁니까? >칼잡이 주인공은 솔직히 너무 많잖아요? >백강혁 말곤 누가 누군지도 모르겠어. > >병이 뭔지 알아야 치료도 하는 법. > >대학 병원의 기둥, 내과 의사가 왔다. >진짜 의사가 뭔지 보여 주마. == 연재 현황 == 2020년 4월 29일부터 재연재를 시작한 후,[* [[문피아]]에서 연재하다 중단된 후 [[네이버 시리즈]]로 넘어갔다.] 2021년 2월 15일 400화로 1부가 완결되고, 현재까지 2부가 연재 중이다. 매일 밤 12시에 업데이트 중. 네이버 매일10시무료 서비스대상작이다. == [[A.I. 닥터/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A.I. 닥터/등장인물)] == 미디어 믹스 == === 애니메이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I. 닥터 애니화 정보.jpg|width=100%]]}}} || 2021 애니메이션 기획개발 및 파일럿 제작 지원사업 서류심사 결과 공고에서 A.I.닥터가 선정되었다. [[https://www.gcon.or.kr/gconnect/selection_notice/12053?pageNum=7&schType=0&schText=|#]] === [[A.I. 닥터(웹툰)|웹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A.I. 닥터(웹툰))] == 기타 == * 실제 의사로 활동 중인 작가가 쓴 글이라 고증이 뛰어나다. * 종종 세세한 설정이 서로 충돌하는 [[https://limecolor.tistory.com/entry/%EC%86%8C%EC%84%A4-AI-%EB%8B%A5%ED%84%B0-%EC%98%A4%EB%A5%98-%EC%A0%95%EB%A6%AC2021-06-30-last-updated|회차]]가 있다. 이러한 회차에는 충돌하는 설정의 개선과 정리에 대한 댓글이 적지 않게 달리는 편.[* 이 중 동명이인 홍창기, 신현태의 자녀 등 일부 오류는 수정되었다.] * 사람의 머리에 전자기기가 박혀서 비범한 능력을 얻었다는 설정이 2017년 영화 [[https://www.netflix.com/kr/title/80099016|아이보이]]와 비슷하다. 다만 아이보이는 휴대폰의 능력을 얻게 되고,AI닥터는 인공지능과 공존하게 되었다는 것이 차이점. * 2018년에 연재가 끝난 웹소설 퍼펙트 써전 또한 인공지능이 주인공의 몸 속으로 들어가는 설정이다. 퍼펙트 써전은 주인공이 외과고 AI 닥터는 내과인 것이 차이점. * 이낙준 작가 주변인이 많이 등장한다. 일단 본인부터 [[이비인후과]] 교수[* 작중 이수혁이 평가하길 엄청난 실력가에 대인배, 인격자라 나온다. --자화자찬--]로 나오고 아내인 김진실 영상의학과 전문의나 [[닥터프렌즈]]의 오진승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우창윤 내과 전문의 등등. * [[닥터프렌즈]]의 리뷰 영상에 [[한산이가]]가 밝히기를 [[히카루의 바둑]]을 보고 영감을 얻어서 유령이 아닌 A.I를 응용해보면 어떨까 생각해서 만든 작품이라고 한다. * [[중증외상센터 : 골든 아워]]의 등장인물들의 이름이 환자 이름이나 의사 이름으로 등장한다.[* 대표적으로 환자 이름으로 등장한 양재원과 박경원, 태화의료원 원장 이름으로 등장한 이현종, 이수혁의 동기 이름으로 등장한 유지상 등이 있다.] 또 등장인물 본인이 등장하기도 한다.